11
ABSTRACT The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uccessio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vegetation monitoring at the floodplain downstream of Juksanbo on the Yeongsan-gang River, where disturbances occurred due to the river construction.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the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gang River was dominated by perennial herb communities such as the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ies, and the distribution of tree, shrub, annual and biennial vegetatio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sites. The dominant communities, M. sacchariflorus and P. communi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changing according to the topography and soil proper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In 2015, the result of vegetation monitoring showed planted vegetations such as Coreopsis lanceolata and Chrysanthemum leucanthemum were dominated in the downstream of Juksanbo site. In this study, the perennial herb communities was dominated at the sit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vegetation of the site was naturally restored by succession. KEY WORDS: Vegetation distribution, Vegetation succession, Monitoring, River 한국식생학회지 1(1): 109-118, 2020 Korean J. Vegetation Science. 01(1): 109-118, June 2020 ISSN 2733-7405(Print) 1 2 3 4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River Seung-Nam Jin 1 , Hyung-Jin Cho 2 , Kyoungphile Nam 3 and Kyoungphile Nam 3* 요 약 하천 사업으로 인하여 교란이 발생한 영산강의 죽산보 하류 지역 홍수터에서 식생 모니터링을 통하여 식생의 분포와 천이를 확인하였다. 영산강 하류에서 식생의 분포는 물억새군락과 갈대군락과 같은 다년생 초본 식생이 우점 하였고, 조사지점별로 교목 및 관목림 식생과 일·이년생 초본 식생이 조사지점의 특성을 반영하며 분포하였다. 우점 군락인 물억새군락과 갈대군락은 하천의 종방향을 따라서 지형 및 토양 특성에 따라서 분포가 변화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죽산보 직하류의 식생은 2015년 모니터링에서 큰금계국군락과 불란서국화군락 등 조경용 식생군락이 대규모로 식재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다년생 초본 식생이 우점하고 있어, 식생천이에 의하여 하천 식생이 자연적으로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어 : 식생분포, 식생천이, 모니터링, 하천 1 접수 202037, 수정 (1: 2020325, 2: 202045), 게재확정 2020415Received 3 7 2020; Revised (1st: 3 25 2020, 2nd: 4 5 2020); Accepted 4 15 2020 109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ABSTRACT

The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uccessio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vegetation monitoring at the floodplain downstream of Juksanbo on the Yeongsan-gang River, where disturbances occurred due to the river construction.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the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gang River was dominated by perennial herb communities such as the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ies, and the distribution of tree, shrub, annual and biennial vegetatio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sites. The dominant communities, M. sacchariflorus and P. communi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changing according to the topography and soil proper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In 2015, the result of vegetation monitoring showed planted vegetations such as Coreopsis lanceolata and Chrysanthemum leucanthemum were dominated in the downstream of Juksanbo site. In this study, the perennial herb communities was dominated at the sit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vegetation of the site was naturally restored by succession.

KEY WORDS: Vegetation distribution, Vegetation succession, Monitoring, River

한국식생학회지 1(1): 109-118, 2020Korean J. Vegetation Science. 01(1): 109-118, June 2020

ISSN 2733-7405(Print)

영산강하류의식생분포특성

진승남

1ㆍ조형진2ㆍ최종윤3ㆍ김정철4ㆍ윤종학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River

Seung-Nam Jin1, Hyung-Jin Cho2, Kyoungphile Nam3 and Kyoungphile Nam3*

요 약

하천 사업으로 인하여 교란이 발생한 영산강의 죽산보 하류 지역 홍수터에서 식생 모니터링을 통하여 식생의 분포와

천이를 확인하였다. 영산강 하류에서 식생의 분포는 물억새군락과 갈대군락과 같은 다년생 초본 식생이 우점 하였고,

조사지점별로 교목 및 관목림 식생과 일·이년생 초본 식생이 조사지점의 특성을 반영하며 분포하였다. 우점 군락인

물억새군락과 갈대군락은 하천의 종방향을 따라서 지형 및 토양 특성에 따라서 분포가 변화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죽산보 직하류의 식생은 2015년 모니터링에서 큰금계국군락과 불란서국화군락 등 조경용 식생군락이 대규모로 식재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다년생 초본 식생이 우점하고 있어, 식생천이에 의하여 하천 식생이 자연적으로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어 : 식생분포, 식생천이, 모니터링, 하천

1 접수 2020년 3월 7일, 수정 (1차: 2020년 3월 25일, 2차: 2020년 4월 5일), 게재확정 2020년 4월 15일 Received 3 7 2020; Revised (1st: 3 25 2020, 2nd: 4 5 2020); Accepted 4 15 2020

108 조영준·전철규·류현이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L R D G ‘17 ‘18 ‘19 귀화

식물멸종위기

국화과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for. indivisa 가는잎왕고들빼기 Th,Th(w) R5 D1 pr ○

국화과 Sonchus brachyotus 사데풀 H R2,3 D1 pr ○

국화과 Sonchus oleraceus 방가지똥 Th(w) R5 D1 pr ○ ○ ○ 귀

국화과 Sonchus asper 큰방가지똥 Th(w) R5 D1 pr ○ ○ 귀

국화과 Youngia japonica 뽀리뱅이 Th(w) R5 D1 ps

국화과 Youngia sonchifolia 고들빼기 Th(w) R5 D1 ps ○

109

Page 2: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111

2.2 식생 분포 조사

식생 분포 조사를 위해 현장조사를 기초로 하여 현존식생

도를 작성하였다. 식생의 공간분포를 지도화하여 조사지역

내 식생이 분포하는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식생분포 현황을

작성하였다. 대상지점의 식생 분포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

록 항공사진 (해상도 25cm)을 기반으로 현장에서 식생의

공간분포를 조사하여 지도위에 기록한 후, 실내에서 GIS

(QGIS ver. 2.14.22)를 이용하여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현존식생도를 이용하여 8개 생태공간의 식생상관

과 군락별로 분포 면적을 계산하고, 인공적으로 식재된 군락

과 외래식물 군락의 면적 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생태공간

별 우점 군락을 분석하여 죽산보 하류의 죽산지구에서부터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옥정리에 위치한 옥정지구까지

식생 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33.. 결결과과 및및 고고찰찰

3.1 조사지구 별 식생 분포 특성

영산강 조사 대상지점에서 조사된 식생군락은 총 55개

군락으로 교목 및 관목림 식생 16개 군락, 다년생 초본 식생

22개 군락, 일·이년생 초본 식생 17개 군락이었으며, 비식생

지역으로는 경작지, 나지, 도로, 수역, 공원시설물, 주차장

등이 있었다 (Table 2). 면적으로는 다년생 초본 식생이

2,789,525 m2로 78.6%의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교목 및

관목림 식생이 394,177 m2, 11.1%, 일·이년생 초본 식생이

291,096 m2, 8.2%의 면적으로 분포하였다. 비식생지역은

75,679 m2, 2.1%로 조사되었다 (Table 3).

Table 2. List of communities surveyed in the study sites, Youngsan-gang River.

GroupCommunit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Abbrev.

Tree &shrub

Melia azedarach L. 멀구슬나무 Mea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Rup

Salix koreensis Andersson 버드나무 Sko

Lespedeza cuneata G.Don 비수리 Lc

Salix subfragilis Andersson 선버들 Ssu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Pd

Pinus densiflora-Miscanthus sacchariflorus # 소나무-물억새 PdMs

Hemiptelea davidii Planch. # 시무나무 Hdp

Robinia pseudoacacia L. # 아까시나무 Rp

Populus nigra var. italica Koehne # 양버들 Pon

Salix chaenomeloides Kimura # 왕버들 Sc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 은사시나무 Pt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Aj

Ulmus parvifolia Jacq. # 참느릅나무 Up

Pueraria lobata Ohwi 칡 Pl

Indigofera bungeana Walp. *# 큰낭아초 Lb

Perennial herb

Phragmites communis Trin. 갈대 Pco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Hand. -Mazz. 개솔새 Ctg

Persicaria conspicua (Nakai) Nakai ex Mori 꽃여뀌 Pec

11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11.. 서서론론

하천 생태계에서 홍수터 (floodplain)는 홍수를 완화하고

다양한 생물 서식처 환경을 제공하며 수질을 개선하는 등

가치 높은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Ward et al., 1999).

그러나 인간사회에 홍수터는 비옥한 토지로 인식되어 농경

지와 주거지 등으로 개발되어 왔다. 몬순 기후인 우리나라에

서는 여름의 집중 호우로 인하여 침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

였고,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이수와 치수의 목적으로 하천정

비사업이 진행되어 우리나라 대부분의 하천이 직강화와

제방 구축으로 인한 인공하천화 하였다 (Hong et al., 2012).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4대강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수자원

확보 및 홍수와 가뭄 등과 같은 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

고 하천공간을 합리적으로 정비하려는 취지로 4대강에 인공

보를 건설하였다 (Park and An 2014). 이렇게 건설된 인공보

는 수체의 수리수문학적 특성, 화학적 특성, 생물학적 특성

에 대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Baxter, 1977; Harris, 1984; Mallen-Cooper et al., 1995;

An et al., 2007; Park and An, 2007; Han et al., 2012).

하천 식생은 하천 서식환경의 구조 및 기능적인 기반을

형성하여 (Baattrup-Pedersen and Riis, 1999), 높은 생산성,

서식처 제공 및 하상 안정 등의 기능으로 하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Byeon et al., 2005). 따라서 하천의

복원이나 관리방안 수립 시에는 일반적으로 식생의 복원

및 관리가 동반되며 하천식생의 효율적인 복원 및 유지관리

를 위하여 하천식생과 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생태

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Kim et al., 2014).

본 연구는 영산강 하류지역의 수변지역 생태공간에서 식생

의 분포를 모니터링하여 4대강 사업 이후의 환경 변화 및

식재에 의한 식생 분포 변화를 파악하고, 차후 식생 조사를

포함한 종합적 조사를 바탕으로 생태공간의 이용과 보전을

도모하기 위한 생태공간 구획화 및 관리방안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2.. 연연구구 방방법법

2.1 대상지점 및 조사시기

영산강은 우리나라 4대강의 하나로 총 유역면적 3,371.4km2,

유로연장 136.0 km 에 이른다. 영산강의 하류에서 식생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대강 사업 구간에 조성된 생태공

간 중 죽산보 하류에 위치한 8개 생태공간을 선정하여 조사

를 수행하였다 (Fig. 1). 조사 대상지점의 면적은 가장 넓은

죽산지구가 1,035,449 m2이었고, 가장 좁은 지점은 몽탄지

구로 106,744 m2이었으며, 8개지구 전체의 면적은

3,550,477 m2 이었다 (Table 1). 식생 조사는 2019년 8월에서

10월 사이에 실시하였다.

Fig. 1. Map showing the study site in the Youngsangang River, Korea.

Table 1. Information of study sites in Youngsan-gang River.Study site Regional location Area (m2)

Juksan (JS) Jeollanam-do, Naju-si, Dasi-myeon 1,035,449

Daya (DY) Jeollanam-do, Naju-si, Gongsan-myeon 318,643

Gongsan (GS) Jeollanam-do, Naju-si, Gongsan-myeon 477,485

Donggang (DG) Jeollanam-do, Naju-si, Donggang-myeon 657,081

Gokcheon (GC) Jeollanam-do, Naju-si, Donggang-myeon 177,458

Neureoji (NRJ) Jeollanam-do, Muan-gun, Mongtan-myeon 273,705

Mongtan (MT) Jeollanam-do, Muan-gun, Mongtan-myeon 106,744

Okjeong (OJ) Jeollanam-do, Naju-si, Donggang-myeon 503,912

Total area 3,550,477

Page 3: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111

2.2 식생 분포 조사

식생 분포 조사를 위해 현장조사를 기초로 하여 현존식생

도를 작성하였다. 식생의 공간분포를 지도화하여 조사지역

내 식생이 분포하는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식생분포 현황을

작성하였다. 대상지점의 식생 분포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

록 항공사진 (해상도 25cm)을 기반으로 현장에서 식생의

공간분포를 조사하여 지도위에 기록한 후, 실내에서 GIS

(QGIS ver. 2.14.22)를 이용하여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현존식생도를 이용하여 8개 생태공간의 식생상관

과 군락별로 분포 면적을 계산하고, 인공적으로 식재된 군락

과 외래식물 군락의 면적 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생태공간

별 우점 군락을 분석하여 죽산보 하류의 죽산지구에서부터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옥정리에 위치한 옥정지구까지

식생 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33.. 결결과과 및및 고고찰찰

3.1 조사지구 별 식생 분포 특성

영산강 조사 대상지점에서 조사된 식생군락은 총 55개

군락으로 교목 및 관목림 식생 16개 군락, 다년생 초본 식생

22개 군락, 일·이년생 초본 식생 17개 군락이었으며, 비식생

지역으로는 경작지, 나지, 도로, 수역, 공원시설물, 주차장

등이 있었다 (Table 2). 면적으로는 다년생 초본 식생이

2,789,525 m2로 78.6%의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교목 및

관목림 식생이 394,177 m2, 11.1%, 일·이년생 초본 식생이

291,096 m2, 8.2%의 면적으로 분포하였다. 비식생지역은

75,679 m2, 2.1%로 조사되었다 (Table 3).

Table 2. List of communities surveyed in the study sites, Youngsan-gang River.

GroupCommunit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Abbrev.

Tree &shrub

Melia azedarach L. 멀구슬나무 Mea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Rup

Salix koreensis Andersson 버드나무 Sko

Lespedeza cuneata G.Don 비수리 Lc

Salix subfragilis Andersson 선버들 Ssu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Pd

Pinus densiflora-Miscanthus sacchariflorus # 소나무-물억새 PdMs

Hemiptelea davidii Planch. # 시무나무 Hdp

Robinia pseudoacacia L. # 아까시나무 Rp

Populus nigra var. italica Koehne # 양버들 Pon

Salix chaenomeloides Kimura # 왕버들 Sc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 은사시나무 Pt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Aj

Ulmus parvifolia Jacq. # 참느릅나무 Up

Pueraria lobata Ohwi 칡 Pl

Indigofera bungeana Walp. *# 큰낭아초 Lb

Perennial herb

Phragmites communis Trin. 갈대 Pco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Hand. -Mazz. 개솔새 Ctg

Persicaria conspicua (Nakai) Nakai ex Mori 꽃여뀌 Pec

11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11.. 서서론론

하천 생태계에서 홍수터 (floodplain)는 홍수를 완화하고

다양한 생물 서식처 환경을 제공하며 수질을 개선하는 등

가치 높은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Ward et al., 1999).

그러나 인간사회에 홍수터는 비옥한 토지로 인식되어 농경

지와 주거지 등으로 개발되어 왔다. 몬순 기후인 우리나라에

서는 여름의 집중 호우로 인하여 침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

였고,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이수와 치수의 목적으로 하천정

비사업이 진행되어 우리나라 대부분의 하천이 직강화와

제방 구축으로 인한 인공하천화 하였다 (Hong et al., 2012).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4대강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수자원

확보 및 홍수와 가뭄 등과 같은 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

고 하천공간을 합리적으로 정비하려는 취지로 4대강에 인공

보를 건설하였다 (Park and An 2014). 이렇게 건설된 인공보

는 수체의 수리수문학적 특성, 화학적 특성, 생물학적 특성

에 대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Baxter, 1977; Harris, 1984; Mallen-Cooper et al., 1995;

An et al., 2007; Park and An, 2007; Han et al., 2012).

하천 식생은 하천 서식환경의 구조 및 기능적인 기반을

형성하여 (Baattrup-Pedersen and Riis, 1999), 높은 생산성,

서식처 제공 및 하상 안정 등의 기능으로 하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Byeon et al., 2005). 따라서 하천의

복원이나 관리방안 수립 시에는 일반적으로 식생의 복원

및 관리가 동반되며 하천식생의 효율적인 복원 및 유지관리

를 위하여 하천식생과 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생태

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Kim et al., 2014).

본 연구는 영산강 하류지역의 수변지역 생태공간에서 식생

의 분포를 모니터링하여 4대강 사업 이후의 환경 변화 및

식재에 의한 식생 분포 변화를 파악하고, 차후 식생 조사를

포함한 종합적 조사를 바탕으로 생태공간의 이용과 보전을

도모하기 위한 생태공간 구획화 및 관리방안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2.. 연연구구 방방법법

2.1 대상지점 및 조사시기

영산강은 우리나라 4대강의 하나로 총 유역면적 3,371.4km2,

유로연장 136.0 km 에 이른다. 영산강의 하류에서 식생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대강 사업 구간에 조성된 생태공

간 중 죽산보 하류에 위치한 8개 생태공간을 선정하여 조사

를 수행하였다 (Fig. 1). 조사 대상지점의 면적은 가장 넓은

죽산지구가 1,035,449 m2이었고, 가장 좁은 지점은 몽탄지

구로 106,744 m2이었으며, 8개지구 전체의 면적은

3,550,477 m2 이었다 (Table 1). 식생 조사는 2019년 8월에서

10월 사이에 실시하였다.

Fig. 1. Map showing the study site in the Youngsangang River, Korea.

Table 1. Information of study sites in Youngsan-gang River.Study site Regional location Area (m2)

Juksan (JS) Jeollanam-do, Naju-si, Dasi-myeon 1,035,449

Daya (DY) Jeollanam-do, Naju-si, Gongsan-myeon 318,643

Gongsan (GS) Jeollanam-do, Naju-si, Gongsan-myeon 477,485

Donggang (DG) Jeollanam-do, Naju-si, Donggang-myeon 657,081

Gokcheon (GC) Jeollanam-do, Naju-si, Donggang-myeon 177,458

Neureoji (NRJ) Jeollanam-do, Muan-gun, Mongtan-myeon 273,705

Mongtan (MT) Jeollanam-do, Muan-gun, Mongtan-myeon 106,744

Okjeong (OJ) Jeollanam-do, Naju-si, Donggang-myeon 503,912

Total area 3,550,477

Page 4: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113

Table 3. The area of vegetation life form in each study site.

Study site JS DY GS DG GC NRJ MT OJ Total

Tree &shrub

m2 131,218 27,118 38,607 112,511 26,502 52,130 5,075 1,016 394,177

% 12.7 8.5 8.1 17.1 14.9 19.0 4.8 0.2 11.1

Perennial herb m2 778,574 174,477 395,219 523,064 146,835 190,551 85,540 495,265 2,789,525

% 75.2 54.8 82.8 79.6 82.7 69.6 80.1 98.3 78.6

Annual &biennial herb

m2 92,215 108,944 37,712 19,963 1,809 13,340 10,651 6,462 291,096

% 8.9 34.2 7.9 3.0 1.0 4.9 10.0 1.3 8.2

Non-vegetation m2 33,442 8,104 5,947 1,543 2,312 17,684 5,478 1,169 75,679

% 3.2 2.5 1.2 0.2 1.3 6.5 5.1 0.2 2.1

Total m2 1,035,449 318,643 477,485 657,081 177,458 273,705 106,744 503,912 3,550,477

%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죽산지구는 죽산보 직하류의 우안에 위치하며 대상지점

중 가장 넓은 생태공간으로 다년생 초본 식생이 75.2%로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였고, 교목 및 관목림 식생이

12.7%, 일·이년생 초본 식생이 8.9% 이었고, 비식생지역은

3.2%로 조사되었다 (Table 3). 군락별로는 물억새군락이

57.6%로 가장 넓었고, 수크령군락 9.2%, 강아지풀군락

6.3%, 버드나무군락 5.8%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죽산지구는

과거 4대강 살리기 사업 시에 큰금계국과 불란서국화가 넓은

면적으로 식재되었으나 (국립환경과학원 2015), 현재는 물

억새, 수크령, 강아지풀 등 벼과 초본 군락이 우세하여 큰금계

국군락은 소규모로 잔존하고 있다 (Table 4, Fig. 2(a)).

다야지구는 죽산보하류 좌안에 위치하며, 다년생 초본 식

생이 54.8%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 일·이년생 초본 식생이

34.2%, 교목 및 관목림 식생이 8.5% 이었고, 비식생지역은

2.5% 조사되었다 (Table 3). 갈대군락 24.9%, 쑥군락 14.6%,

물억새군락 14.3% 등 다년생 초본군락이 우세하였으나,

단일군락으로는 일·이년생 초본 식생 군락인 강아지풀군락

이 29.0%로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였다 (Table 4, Fig.

2(b)).

공산지구는 영산강 좌안에 다야지구와 연결되어 하류방향

으로 분포하며, 다년생 초본 식생이 82.8%로 우점하고, 교목

및 관목림 식생과 일·이년생 초본 식생은 각각 8.1%, 7.9%의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1.2%로 조사되었다

(Table 3). 군락별로는 갈대군락이 61.2%로 가장 넓게 분포

하였고, 물억새군락 12.9%, 강아지풀군락 6.9%, 쑥군락

6.8%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Fig. 2(c)).

동강지구는 함평천 합류부 하류지역 좌안에 위치하며, 다

년생 초본 식생이 79.6%로 우점하고, 교목 및 관목림 식생과

일·이년생 초본 식생은 각각 17.1%, 3.0%의 비율로 분포하

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0.2% 이었다 (Table 3). 군락별로

는 갈대군락과 물억새군락이 각각 37.2%, 35.7%로 유사한

면적비율로 분포하였고, 버드나무군락 14.2%, 쑥군락 5.2%

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Table 4, Fig. 2(d)).

곡천지구는 동강지구 하류에 위치하며, 다년생 초본 식생

이 82.7%로 우점하고, 교목 및 관목림 식생과 일·이년생

초본 식생은 각각 14.9%, 1.0%의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1.3% 이었다 (Table 3). 군락별로는 물억새군

락이 50.8%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 갈대군락 22.2%, 버드

나무군락 12.9%, 큰김의털군락 7.5%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Fig. 2(e)).

느러지지구는 영산강 우안에 위치하며, 다년생 초본 식생

이 69.6%의 면적을 차지하고, 교목 및 관목림 식생과 일·이

년생 초본 식생은 각각 19.0%, 4.9%의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6.5% 이었다 (Table 3). 군락별로는

갈대군락과 물억새군락이 45.1%와 24.0%로 우점 하였고,

왕버들군락이 느러지지구 내 불안정한 지반 안정화를 위해

38,803 m2, 14.2%의 넓은 면적에 식재되어 있었다. 또한

조사 대상 지점 중 유일하게 경작지로 5.9%의 면적이 이용되

112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 Alien plant community #: Artificial community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Pilg. # 띠 Ic

Scirpus maritimus L. 매자기 Sm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모새달 Phl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 물억새 Ms

Arundinella hirta Koidz. # 새 Ah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ex Rendle # 솜대 Pnh

Stellaria aquatica Scop. 쇠별꽃 Sta

Pennisetum alopecuroides Spreng. # 수크령 Pal

Artemisia princeps Pamp. 쑥 Apr

Typha angustifolia L. 애기부들 Ta

Pseudosasa japonica Makino ex Nakai 이대 Psj

Myriophyllum spicatum L. 이삭물수세미 Mys

Carex dimorpholepis Steud. 이삭사초 Cdi

Zoysia japonica Steud. # 잔디 Zj

Zizania latifolia Turcz. ex Stapf 줄 Zc

Paspalum thunbergii Kunth ex Steud. 참새피 Pat

Coreopsis lanceolata L. *# 큰금계국 Cl

Festuca arundinacea Schreb. *# 큰김의털 Fa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 털물참새피 Pdi

Annual &biennial herb

Persicaria trigonocarpa (Makino) Nakai 가는개여뀌 Pet

Sicyos angulatus L. * 가시박 Sa

Setaria viridis P.Beauv. 강아지풀 Sv

Panicum bisulcatum Thunb. 개기장 Pab

Coreopsis tinctoria Nutt. *# 기생초 Ct

Oenothera biennis L. * 달맞이꽃 Oo

Echinochloa crusgalli P.Beauv. 돌피 EcgConyza canadensis Cronquist * 망초 Cc

Kummerowia striata Schindl. 매듭풀 Ks

Bidens frondosa L. * 미국가막사리 Bf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 미국개기장 Pdm

Digitaria ciliaris Koel. 바랭이 Dic

Persicaria hydropiper Spach 여뀌 Ph

Bidens pilosa L. * 울산도깨비바늘 Bip

Cosmos bipinnatus Cav. *# 코스모스 Cb

Xanthium canadense Mill. * 큰도꼬마리 Xc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환삼덩굴 Hj

Non-vegetation

Farmland 경작지 Fa

Bareland 나지 BaRoad 도로 Ro

Open water 개방수면 Ow

Facility 시설물 Fac

Parking lot 주차장 PaL

Page 5: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113

Table 3. The area of vegetation life form in each study site.

Study site JS DY GS DG GC NRJ MT OJ Total

Tree &shrub

m2 131,218 27,118 38,607 112,511 26,502 52,130 5,075 1,016 394,177

% 12.7 8.5 8.1 17.1 14.9 19.0 4.8 0.2 11.1

Perennial herb m2 778,574 174,477 395,219 523,064 146,835 190,551 85,540 495,265 2,789,525

% 75.2 54.8 82.8 79.6 82.7 69.6 80.1 98.3 78.6

Annual &biennial herb

m2 92,215 108,944 37,712 19,963 1,809 13,340 10,651 6,462 291,096

% 8.9 34.2 7.9 3.0 1.0 4.9 10.0 1.3 8.2

Non-vegetation m2 33,442 8,104 5,947 1,543 2,312 17,684 5,478 1,169 75,679

% 3.2 2.5 1.2 0.2 1.3 6.5 5.1 0.2 2.1

Total m2 1,035,449 318,643 477,485 657,081 177,458 273,705 106,744 503,912 3,550,477

%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죽산지구는 죽산보 직하류의 우안에 위치하며 대상지점

중 가장 넓은 생태공간으로 다년생 초본 식생이 75.2%로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였고, 교목 및 관목림 식생이

12.7%, 일·이년생 초본 식생이 8.9% 이었고, 비식생지역은

3.2%로 조사되었다 (Table 3). 군락별로는 물억새군락이

57.6%로 가장 넓었고, 수크령군락 9.2%, 강아지풀군락

6.3%, 버드나무군락 5.8%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죽산지구는

과거 4대강 살리기 사업 시에 큰금계국과 불란서국화가 넓은

면적으로 식재되었으나 (국립환경과학원 2015), 현재는 물

억새, 수크령, 강아지풀 등 벼과 초본 군락이 우세하여 큰금계

국군락은 소규모로 잔존하고 있다 (Table 4, Fig. 2(a)).

다야지구는 죽산보하류 좌안에 위치하며, 다년생 초본 식

생이 54.8%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 일·이년생 초본 식생이

34.2%, 교목 및 관목림 식생이 8.5% 이었고, 비식생지역은

2.5% 조사되었다 (Table 3). 갈대군락 24.9%, 쑥군락 14.6%,

물억새군락 14.3% 등 다년생 초본군락이 우세하였으나,

단일군락으로는 일·이년생 초본 식생 군락인 강아지풀군락

이 29.0%로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였다 (Table 4, Fig.

2(b)).

공산지구는 영산강 좌안에 다야지구와 연결되어 하류방향

으로 분포하며, 다년생 초본 식생이 82.8%로 우점하고, 교목

및 관목림 식생과 일·이년생 초본 식생은 각각 8.1%, 7.9%의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1.2%로 조사되었다

(Table 3). 군락별로는 갈대군락이 61.2%로 가장 넓게 분포

하였고, 물억새군락 12.9%, 강아지풀군락 6.9%, 쑥군락

6.8%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Fig. 2(c)).

동강지구는 함평천 합류부 하류지역 좌안에 위치하며, 다

년생 초본 식생이 79.6%로 우점하고, 교목 및 관목림 식생과

일·이년생 초본 식생은 각각 17.1%, 3.0%의 비율로 분포하

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0.2% 이었다 (Table 3). 군락별로

는 갈대군락과 물억새군락이 각각 37.2%, 35.7%로 유사한

면적비율로 분포하였고, 버드나무군락 14.2%, 쑥군락 5.2%

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Table 4, Fig. 2(d)).

곡천지구는 동강지구 하류에 위치하며, 다년생 초본 식생

이 82.7%로 우점하고, 교목 및 관목림 식생과 일·이년생

초본 식생은 각각 14.9%, 1.0%의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1.3% 이었다 (Table 3). 군락별로는 물억새군

락이 50.8%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 갈대군락 22.2%, 버드

나무군락 12.9%, 큰김의털군락 7.5%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Fig. 2(e)).

느러지지구는 영산강 우안에 위치하며, 다년생 초본 식생

이 69.6%의 면적을 차지하고, 교목 및 관목림 식생과 일·이

년생 초본 식생은 각각 19.0%, 4.9%의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6.5% 이었다 (Table 3). 군락별로는

갈대군락과 물억새군락이 45.1%와 24.0%로 우점 하였고,

왕버들군락이 느러지지구 내 불안정한 지반 안정화를 위해

38,803 m2, 14.2%의 넓은 면적에 식재되어 있었다. 또한

조사 대상 지점 중 유일하게 경작지로 5.9%의 면적이 이용되

112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 Alien plant community #: Artificial community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Pilg. # 띠 Ic

Scirpus maritimus L. 매자기 Sm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모새달 Phl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 물억새 Ms

Arundinella hirta Koidz. # 새 Ah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ex Rendle # 솜대 Pnh

Stellaria aquatica Scop. 쇠별꽃 Sta

Pennisetum alopecuroides Spreng. # 수크령 Pal

Artemisia princeps Pamp. 쑥 Apr

Typha angustifolia L. 애기부들 Ta

Pseudosasa japonica Makino ex Nakai 이대 Psj

Myriophyllum spicatum L. 이삭물수세미 Mys

Carex dimorpholepis Steud. 이삭사초 Cdi

Zoysia japonica Steud. # 잔디 Zj

Zizania latifolia Turcz. ex Stapf 줄 Zc

Paspalum thunbergii Kunth ex Steud. 참새피 Pat

Coreopsis lanceolata L. *# 큰금계국 Cl

Festuca arundinacea Schreb. *# 큰김의털 Fa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 털물참새피 Pdi

Annual &biennial herb

Persicaria trigonocarpa (Makino) Nakai 가는개여뀌 Pet

Sicyos angulatus L. * 가시박 Sa

Setaria viridis P.Beauv. 강아지풀 Sv

Panicum bisulcatum Thunb. 개기장 Pab

Coreopsis tinctoria Nutt. *# 기생초 Ct

Oenothera biennis L. * 달맞이꽃 Oo

Echinochloa crusgalli P.Beauv. 돌피 EcgConyza canadensis Cronquist * 망초 Cc

Kummerowia striata Schindl. 매듭풀 Ks

Bidens frondosa L. * 미국가막사리 Bf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 미국개기장 Pdm

Digitaria ciliaris Koel. 바랭이 Dic

Persicaria hydropiper Spach 여뀌 Ph

Bidens pilosa L. * 울산도깨비바늘 Bip

Cosmos bipinnatus Cav. *# 코스모스 Cb

Xanthium canadense Mill. * 큰도꼬마리 Xc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환삼덩굴 Hj

Non-vegetation

Farmland 경작지 Fa

Bareland 나지 BaRoad 도로 Ro

Open water 개방수면 Ow

Facility 시설물 Fac

Parking lot 주차장 PaL

Page 6: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115

Comm-unity

Study siteTotal area

(km2)The ratio of area

(%)JS DY GS DG GC NRJ MT OJ

Ms 596,876 45,594 292,311 234,638 90,079 65,646 6,869 50,976 1,382,989 38.95

Ah 1,444 1,444 0.04

Pnh 2,698 2,698 0.08

Sta 1,427 1,427 0.04

Pal 95,501 7,714 103,215 2.91

Apr 17,521 46,674 32,328 34,393 1,008 10,015 1,916 143,855 4.05

Ta 1,402 301 1,703 0.05

Psj 732 732 0.02

Mys 83 83 0.00

Cdi 181 181 0.01

Zj 2,731 2,731 0.08

Zc 7,516 1,447 8,963 0.25

Pat 575 575 0.02

Cl 866 866 0.02

Fa 3,345 1,344 1,974 13,321 30,651 50,635 1.43

Pdi 2,582 2,582 0.07

Pet 1,674 1,674 0.05

Sa 389 380 34 803 0.02

Sv 65,254 92,425 32,905 8,676 874 1,009 201,143 5.67

Pab 21,057 21,057 0.59

Ct 365 365 0.01

Oo 516 516 0.01

Ecg 3,482 2,205 1,250 6,937 0.20

Cc 1,932 1,932 0.05

Ks 234 234 0.01

Bf 1,082 1,082 0.03

Pdm 1,841 1,841 0.05

Dic 3,490 3,490 0.10

Ph 429 429 0.01

Bip 1,324 823 2,147 0.06

Cb 1,351 1,351 0.04

Xc 9,043 334 9,377 0.26

Hj 4,822 8,095 1,809 10,261 5,269 6,462 36,718 1.03

Fa 16,211 16,211 0.46

114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고 있었다 (Table 4, Fig. 2(f)).

몽탄지구는 옥정지구와 마주하여 영산강 우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년생 초본 식생이 80.1%로 우점하고, 일·이년생

초본 식생과 교목 및 관목림 식생은 각각 10.0%, 4.8%의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5.1% 이었다 (Table

3). 군락별로는 갈대군락이 61.7%로 우점 하였고, 쑥군락

9.4%, 물억새군락 6.4%, 환삼덩굴군락 4.9% 등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최근까지 도로공사가 이루어져 그로 인한

교란이 발생한 지구이다 (Table 4, Fig. 2(g)).

옥정지구는 조사지구 중 가장 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년생 초본 식생이 98.3%로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일·이년생 초본 식생과 교목 및 관목림 식생은 각각 1.3%,

0.2%의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0.2% 이었

다 (Table 3). 군락별로는 갈대군락이 81.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물억새군락 10.1%, 큰김의털군락 6.1%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Fig. 2(h)).

Table 4. The community area of each study site in Youngsan-gang River. The community abbreviation is shown in the table 2.

Comm-unity

Study siteTotal area

(km2)The ratio of area

(%)JS DY GS DG GC NRJ MT OJ

Mea 5,331 5,331 0.15

Rup 1,825 482 2,307 0.06

Sko 60,378 16,254 93,547 22,891 76 898 194,044 5.47

Lc 1,748 4,243 1,477 7,468 0.21

Ssu 22,458 22,458 0.63

Pd 13,445 13,445 0.38

PdMs 2,267 2,267 0.06

Hdp 357 357 0.01

Rp 1,025 1,614 2,768 831 1,577 7,815 0.22

Pon 30,415 30,415 0.86

Sc 2,922 1,317 38,803 2,323 1,016 46,381 1.31

Pt 11,893 11,893 0.33

Aj 1,796 1,796 0.05

Up 8,789 2,239 144 11,172 0.31

Pl 2,659 1,381 11,115 3,821 2,780 3,155 377 25,288 0.71

Ib 10,963 777 11,740 0.33

Pco 50,904 79,467 61,522 244,711 39,453 123,478 65,833 411,722 1,077,090 30.34

Ctg 3,593 3,593 0.10

Pec 862 862 0.02

Ic 1,299 1,299 0.04

Sm 478 478 0.01

Phl 1,524 1,524 0.04

Page 7: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115

Comm-unity

Study siteTotal area

(km2)The ratio of area

(%)JS DY GS DG GC NRJ MT OJ

Ms 596,876 45,594 292,311 234,638 90,079 65,646 6,869 50,976 1,382,989 38.95

Ah 1,444 1,444 0.04

Pnh 2,698 2,698 0.08

Sta 1,427 1,427 0.04

Pal 95,501 7,714 103,215 2.91

Apr 17,521 46,674 32,328 34,393 1,008 10,015 1,916 143,855 4.05

Ta 1,402 301 1,703 0.05

Psj 732 732 0.02

Mys 83 83 0.00

Cdi 181 181 0.01

Zj 2,731 2,731 0.08

Zc 7,516 1,447 8,963 0.25

Pat 575 575 0.02

Cl 866 866 0.02

Fa 3,345 1,344 1,974 13,321 30,651 50,635 1.43

Pdi 2,582 2,582 0.07

Pet 1,674 1,674 0.05

Sa 389 380 34 803 0.02

Sv 65,254 92,425 32,905 8,676 874 1,009 201,143 5.67

Pab 21,057 21,057 0.59

Ct 365 365 0.01

Oo 516 516 0.01

Ecg 3,482 2,205 1,250 6,937 0.20

Cc 1,932 1,932 0.05

Ks 234 234 0.01

Bf 1,082 1,082 0.03

Pdm 1,841 1,841 0.05

Dic 3,490 3,490 0.10

Ph 429 429 0.01

Bip 1,324 823 2,147 0.06

Cb 1,351 1,351 0.04

Xc 9,043 334 9,377 0.26

Hj 4,822 8,095 1,809 10,261 5,269 6,462 36,718 1.03

Fa 16,211 16,211 0.46

114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고 있었다 (Table 4, Fig. 2(f)).

몽탄지구는 옥정지구와 마주하여 영산강 우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년생 초본 식생이 80.1%로 우점하고, 일·이년생

초본 식생과 교목 및 관목림 식생은 각각 10.0%, 4.8%의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5.1% 이었다 (Table

3). 군락별로는 갈대군락이 61.7%로 우점 하였고, 쑥군락

9.4%, 물억새군락 6.4%, 환삼덩굴군락 4.9% 등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최근까지 도로공사가 이루어져 그로 인한

교란이 발생한 지구이다 (Table 4, Fig. 2(g)).

옥정지구는 조사지구 중 가장 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년생 초본 식생이 98.3%로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일·이년생 초본 식생과 교목 및 관목림 식생은 각각 1.3%,

0.2%의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며, 비식생지역은 0.2% 이었

다 (Table 3). 군락별로는 갈대군락이 81.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물억새군락 10.1%, 큰김의털군락 6.1%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Fig. 2(h)).

Table 4. The community area of each study site in Youngsan-gang River. The community abbreviation is shown in the table 2.

Comm-unity

Study siteTotal area

(km2)The ratio of area

(%)JS DY GS DG GC NRJ MT OJ

Mea 5,331 5,331 0.15

Rup 1,825 482 2,307 0.06

Sko 60,378 16,254 93,547 22,891 76 898 194,044 5.47

Lc 1,748 4,243 1,477 7,468 0.21

Ssu 22,458 22,458 0.63

Pd 13,445 13,445 0.38

PdMs 2,267 2,267 0.06

Hdp 357 357 0.01

Rp 1,025 1,614 2,768 831 1,577 7,815 0.22

Pon 30,415 30,415 0.86

Sc 2,922 1,317 38,803 2,323 1,016 46,381 1.31

Pt 11,893 11,893 0.33

Aj 1,796 1,796 0.05

Up 8,789 2,239 144 11,172 0.31

Pl 2,659 1,381 11,115 3,821 2,780 3,155 377 25,288 0.71

Ib 10,963 777 11,740 0.33

Pco 50,904 79,467 61,522 244,711 39,453 123,478 65,833 411,722 1,077,090 30.34

Ctg 3,593 3,593 0.10

Pec 862 862 0.02

Ic 1,299 1,299 0.04

Sm 478 478 0.01

Phl 1,524 1,524 0.04

Page 8: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117

Mongtan site Okjeong site

Fig. 2. Vegetation maps of each study site in Youngsangang River in, Korea. The abbreviations of community are shown

in the table 2.

조사 대상 지구 내의 인공적으로 식재된 식생 군락의 면적

비율은 Table 5와 같다. 대상지구 면적 대비 인공 식재 군락

면적의 비율이 높은 지구는 죽산지구와 느러지지구로 각각

16.31%와 15.92%의 면적 비율로 분포하였다. 죽산지구에

는 소나무, 아까시나무, 큰낭아초, 수크령 등이 식재되어

있었으며, 느러지지구에는 왕버들군락이 지반침하를 막기

위한 공법의 적용으로 인해 넓은 면적에 식재되어 있었다.

외래식물 군락은 큰낭아초군락, 큰금계국군락, 큰김의털

군락, 털물참새피군락, 가시박군락, 기생초군락, 달맞이꽃

군락, 망초군락, 미국가막사리군락, 미국개기장군락, 울산

도깨비바늘군락, 코스모스군락, 큰도꼬마리군락 등 13개의

군락의 분포가 조사되었으며, 큰낭아초와 큰김의털은 제방

사면 녹화를 위해 식재되었으며 큰금계국군락, 기생초군락,

코스모스군락 등은 조경을 위해 식재되었다.

Table 5. The area of artificial plant communities and alien plant communities in each study sites.

3.2 식생 군락 분포의 종적 변화

영산강의 죽산보 하류 지역 생태공간에서는 교목식생인

버드나무군락, 왕버들군락과 다년생 초본 식생인 물억새군

락, 갈대군락, 수크령군락, 쑥군락, 큰김의털군락 및 일·이년

생 초본 식생인 강아지풀군락과 환삼덩굴 군락 등이 우점하

였다. 이 중 물억새군락과 갈대군락이 각 지구별로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군락들은 각 지구별 특성

에 따라서 분포하고 있었다. 물억새군락과 갈대군락은 죽산

지구에서 옥정지구까지 영산강의 종적 방향을 따라 분포

양상이 달라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죽산보 하류의 죽산지

구, 공산지구 등에서는 물억새군락의 분포 면적 비율이 높았

으나 동강지구, 곡천지구, 느러지지구 등에서는 두 군락이

혼재하였으며 최하류에 위치한 몽탄지구와 옥정지구에서

는 갈대군락이 매우 높은 비율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이는 두 종의 서식처와 영산강 하류의 지형과 토양 특성

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천 식생의 분포는 지형,

토양 수리 등 다양한 환경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하천 수로부터의 지형 높이는 식생의 분포

양상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Sigafoos,

1961; Hupp, 1983). 또한 토양 특성의 변화도 식생의 분포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서, 하천 토양 표면에 퇴적된

토양 특성이 식생의 분포를 결정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Study site JS DY GS DG GC NRJ MT OJ Total

Artificial community

m2 168,876 3,644 14,228 20,684 15,596 43,568 3,622 31,667 301,885

% 16.31 1.14 2.98 3.15 8.79 15.92 3.39 6.28 5.70

Alien plantcommunity

m2 18,838 10,756 2,240 5,166 13,321 777 3,123 30,651 84,872

% 1.82 3.38 0.47 0.79 7.51 0.28 2.93 6.08 1.60

116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Juksan site

Daya site

Gongsan site

Donggang site

Gokcheon site

Neureoji site

Comm-unity

Study siteTotal area

(km2)The ratio of area

(%)JS DY GS DG GC NRJ MT OJ

Ba 13,415 2,516 5,947 1,543 862 692 828 25,803 0.73

Ro 3,210 611 2,984 6,805 0.19

Ow 1,710 383 2,312 176 341 4,922 0.14

Fac 15,107 1,626 16,733 0.47

PaL 5,205 5,205 0.15

Total 1,035,449 318,643 477,485 657,081 177,458 273,705 106,744 503,912 3,550,477 100.00

Page 9: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117

Mongtan site Okjeong site

Fig. 2. Vegetation maps of each study site in Youngsangang River in, Korea. The abbreviations of community are shown

in the table 2.

조사 대상 지구 내의 인공적으로 식재된 식생 군락의 면적

비율은 Table 5와 같다. 대상지구 면적 대비 인공 식재 군락

면적의 비율이 높은 지구는 죽산지구와 느러지지구로 각각

16.31%와 15.92%의 면적 비율로 분포하였다. 죽산지구에

는 소나무, 아까시나무, 큰낭아초, 수크령 등이 식재되어

있었으며, 느러지지구에는 왕버들군락이 지반침하를 막기

위한 공법의 적용으로 인해 넓은 면적에 식재되어 있었다.

외래식물 군락은 큰낭아초군락, 큰금계국군락, 큰김의털

군락, 털물참새피군락, 가시박군락, 기생초군락, 달맞이꽃

군락, 망초군락, 미국가막사리군락, 미국개기장군락, 울산

도깨비바늘군락, 코스모스군락, 큰도꼬마리군락 등 13개의

군락의 분포가 조사되었으며, 큰낭아초와 큰김의털은 제방

사면 녹화를 위해 식재되었으며 큰금계국군락, 기생초군락,

코스모스군락 등은 조경을 위해 식재되었다.

Table 5. The area of artificial plant communities and alien plant communities in each study sites.

3.2 식생 군락 분포의 종적 변화

영산강의 죽산보 하류 지역 생태공간에서는 교목식생인

버드나무군락, 왕버들군락과 다년생 초본 식생인 물억새군

락, 갈대군락, 수크령군락, 쑥군락, 큰김의털군락 및 일·이년

생 초본 식생인 강아지풀군락과 환삼덩굴 군락 등이 우점하

였다. 이 중 물억새군락과 갈대군락이 각 지구별로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군락들은 각 지구별 특성

에 따라서 분포하고 있었다. 물억새군락과 갈대군락은 죽산

지구에서 옥정지구까지 영산강의 종적 방향을 따라 분포

양상이 달라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죽산보 하류의 죽산지

구, 공산지구 등에서는 물억새군락의 분포 면적 비율이 높았

으나 동강지구, 곡천지구, 느러지지구 등에서는 두 군락이

혼재하였으며 최하류에 위치한 몽탄지구와 옥정지구에서

는 갈대군락이 매우 높은 비율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이는 두 종의 서식처와 영산강 하류의 지형과 토양 특성

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천 식생의 분포는 지형,

토양 수리 등 다양한 환경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하천 수로부터의 지형 높이는 식생의 분포

양상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Sigafoos,

1961; Hupp, 1983). 또한 토양 특성의 변화도 식생의 분포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서, 하천 토양 표면에 퇴적된

토양 특성이 식생의 분포를 결정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Study site JS DY GS DG GC NRJ MT OJ Total

Artificial community

m2 168,876 3,644 14,228 20,684 15,596 43,568 3,622 31,667 301,885

% 16.31 1.14 2.98 3.15 8.79 15.92 3.39 6.28 5.70

Alien plantcommunity

m2 18,838 10,756 2,240 5,166 13,321 777 3,123 30,651 84,872

% 1.82 3.38 0.47 0.79 7.51 0.28 2.93 6.08 1.60

116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Juksan site

Daya site

Gongsan site

Donggang site

Gokcheon site

Neureoji site

Comm-unity

Study siteTotal area

(km2)The ratio of area

(%)JS DY GS DG GC NRJ MT OJ

Ba 13,415 2,516 5,947 1,543 862 692 828 25,803 0.73

Ro 3,210 611 2,984 6,805 0.19

Ow 1,710 383 2,312 176 341 4,922 0.14

Fac 15,107 1,626 16,733 0.47

PaL 5,205 5,205 0.15

Total 1,035,449 318,643 477,485 657,081 177,458 273,705 106,744 503,912 3,550,477 100.00

Page 10: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119

RReeffeerreenncceess

An, K. G., Kim, K. I. and Kim, J. H. 2007.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s in wastewater-impacted and

non-impacted stream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0(1):82-92.

Baattrup-Pedersen, A. and Riis, T. 1999. Macrophytes diver-

sity and composition in relation substratum character-

istics in regulated and unregulated Danish streams.

Freshwater Biology. 42:375-385.

Baxter, R. M. 1977. Environmental effects of dams and

impoundment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 8:255-283.

Byeon, M. S., Park, H. K. and Ban, O. B. 2005. Distribution

and primary production of macrophytes. Joint Spring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Water Quality and

Korean Society of Water & Wastewater. (in Korean)

Han, J. H., Ko, D. G., Lim, B. J., Park, J. H. and An,

K. G. 2012. Summer patterns and diel variations of

fish movements using fish trap sampling technique

in the Juksan wei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6):879-891.

Harris, J. H. 1983. Impoundment of coastal drainages of

southeastern Australia, and a review of its relevance

to fish migrations. Australian Zoologist. 21:235-250.

Hong, I., Kang, J. G., Kang, S. J. and Yeo, H. K. 2012.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Mangyou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2(5):

213-220.

Hupp, C. R. and W.R. Osterkamp. 1985. Bottomland vegeta-

tion distribution along Passage Creek, Virginia, in

relation to fluvial landforms. Ecology. 66:670-681.

Kim, J. W. 2013. Manual of Korean Plant Ecology. Nature

and Eocology, Seoul, Korea. (in Korean)

Kim, E. J., Cho, K. H. and Kang, H. G. 2014.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riparian environment and vege-

tation distribution in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7:321-330.

Mallen-Cooper, M., Stuart, I. G., Hides-Pearson, F. and

Harris, J. H. 1995. Fish Migration in the Murray River

and Assessment of the Torrumbarry Fishway, Final

Report. NRMS Project N00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5. Aquatic

Ecosystem Monitoring in Weirs of the Yeongsan River

(III). (in Korean)

Park, H. J. and An, K. G. 2007. Trophic State Index (TSI)

and empirical models, based on water quality parame-

ters, in Korean reservoir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0(1):14-30.

Sigafoos, R. S. 1961. Vegetation in relation to flood fre-

quency near Washington, D.C.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424-C:248-24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1981. Platte River ecology study. Special

Research Report, Northern Prairie Wildlife Research

Center.

Ward, J. V., Tockner, K. and Schiemer, F. 1999. Biodiversity

of floodplain river ecosystems: ecotones and con-

nectivity, Regulated Rivers: Research & Management,

15(1): 125-139.

Ware, G. H. and W. T. Penfound. 1949. The vegetation

of the lower levels of the floodplain of the South

Canadian River in central Oklahoma. Ecology.

30:478-484.

118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Ware and Penfound, 194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1981).

물억새는 하천 내에서도 조금 솟아오른 둔덕이면서 모래나

실트가 퇴적된 곳을 선호하며, 갈대는 물억새에 비하여 좀더

물에 가까우면서 산소가 부족한 진흙땅을 선호하는 특성을

보인다 (Kim, 2013). 영산강 하류는 보의 건설로 인하여

수면이 보를 중심으로 보 상류가 높고 하류가 낮은 계단형의

형태를 나타나며, 따라서 보 직하류에서는 고수부지와 수면

의 단차가 높지만 하류로 진행하면서 단차가 낮아지는 지형

특성을 나타낸다. 그로 인해서 보 직하류에서는 물억새군락

이 우점하다가 점차 갈대와 섞이며 결국에는 갈대군락이

고수부지 전체에 분포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Fig. 3. Vegetation

3.3 식생 군락 분포의 시간적 변화

2015년 국립환경과학원의 영산강수계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에 의하면 죽산보 하류의 식생은 식재된

큰금계국-불란서국화군락, 불란서국화군락과 소리쟁이군

락, 물억새-갈대군락, 벳지군락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

다. 하지만 5년이 지난 현재는 물억새군락, 수크령군락, 강아

지풀군락, 버드나무군락, 갈대군락 등 자연식생이 우점하고

기존에 식재된 군락이 대부분 사라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44.. 결결론론

본 연구에서 영산강 하류 지역에 위치한 생태공원과 생태

하천을 포함한 생태공간의 식생은 주로 물억새군락과 갈대

군락의 다년생 초본 식생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탐방로가

조성된 일부 조사지점에서는 수크령군락, 강아지풀군락,

큰금계국군락과 같은 조경용 식생 혹은 교란지에서 나타나

는 일·이년생 초본 식생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의 분포는 우점하는 군락이 하천 종방향을 따라 물억새

군락에서 갈대군락으로 변화하는 것이 보여 영산강 죽산보

하류 지역의 지형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조사지점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의해 조성되거나 정비된

지역으로 사업 시공시에 넓은 면적으로 식재된 군락은 대부

분 자연식생으로 대체된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대규모 하천정비사업에 의해 변화된 하천 식생이 자연적인

천이에 의해 회복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태계의

기능과 구조를 유지하기 위하여 생태계 기반 요소 중 하나인

식생을 평가하여 하천 생태공간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감감사사의의 글글

본 연구는 환경부의 ‘영산강지역 생태공간 조사 및 평가’

과제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Page 11: X,>[ ^ JKL3˜산강 하류의 식생 분포... · 2020. 12. 10. · X,>[ ^ JKL3 1ㆍ2; 2ㆍ"d#3ㆍ(g 4ㆍ#d 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gang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119

RReeffeerreenncceess

An, K. G., Kim, K. I. and Kim, J. H. 2007.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s in wastewater-impacted and

non-impacted stream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0(1):82-92.

Baattrup-Pedersen, A. and Riis, T. 1999. Macrophytes diver-

sity and composition in relation substratum character-

istics in regulated and unregulated Danish streams.

Freshwater Biology. 42:375-385.

Baxter, R. M. 1977. Environmental effects of dams and

impoundment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 8:255-283.

Byeon, M. S., Park, H. K. and Ban, O. B. 2005. Distribution

and primary production of macrophytes. Joint Spring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Water Quality and

Korean Society of Water & Wastewater. (in Korean)

Han, J. H., Ko, D. G., Lim, B. J., Park, J. H. and An,

K. G. 2012. Summer patterns and diel variations of

fish movements using fish trap sampling technique

in the Juksan wei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6):879-891.

Harris, J. H. 1983. Impoundment of coastal drainages of

southeastern Australia, and a review of its relevance

to fish migrations. Australian Zoologist. 21:235-250.

Hong, I., Kang, J. G., Kang, S. J. and Yeo, H. K. 2012.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Mangyou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2(5):

213-220.

Hupp, C. R. and W.R. Osterkamp. 1985. Bottomland vegeta-

tion distribution along Passage Creek, Virginia, in

relation to fluvial landforms. Ecology. 66:670-681.

Kim, J. W. 2013. Manual of Korean Plant Ecology. Nature

and Eocology, Seoul, Korea. (in Korean)

Kim, E. J., Cho, K. H. and Kang, H. G. 2014.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riparian environment and vege-

tation distribution in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7:321-330.

Mallen-Cooper, M., Stuart, I. G., Hides-Pearson, F. and

Harris, J. H. 1995. Fish Migration in the Murray River

and Assessment of the Torrumbarry Fishway, Final

Report. NRMS Project N00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5. Aquatic

Ecosystem Monitoring in Weirs of the Yeongsan River

(III). (in Korean)

Park, H. J. and An, K. G. 2007. Trophic State Index (TSI)

and empirical models, based on water quality parame-

ters, in Korean reservoir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0(1):14-30.

Sigafoos, R. S. 1961. Vegetation in relation to flood fre-

quency near Washington, D.C.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424-C:248-24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1981. Platte River ecology study. Special

Research Report, Northern Prairie Wildlife Research

Center.

Ward, J. V., Tockner, K. and Schiemer, F. 1999. Biodiversity

of floodplain river ecosystems: ecotones and con-

nectivity, Regulated Rivers: Research & Management,

15(1): 125-139.

Ware, G. H. and W. T. Penfound. 1949. The vegetation

of the lower levels of the floodplain of the South

Canadian River in central Oklahoma. Ecology.

30:478-484.

118 진승남ㆍ조형진ㆍ최종윤ㆍ김정철ㆍ윤종학 한국식생학회지 1(1) 2020

(Ware and Penfound, 194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1981).

물억새는 하천 내에서도 조금 솟아오른 둔덕이면서 모래나

실트가 퇴적된 곳을 선호하며, 갈대는 물억새에 비하여 좀더

물에 가까우면서 산소가 부족한 진흙땅을 선호하는 특성을

보인다 (Kim, 2013). 영산강 하류는 보의 건설로 인하여

수면이 보를 중심으로 보 상류가 높고 하류가 낮은 계단형의

형태를 나타나며, 따라서 보 직하류에서는 고수부지와 수면

의 단차가 높지만 하류로 진행하면서 단차가 낮아지는 지형

특성을 나타낸다. 그로 인해서 보 직하류에서는 물억새군락

이 우점하다가 점차 갈대와 섞이며 결국에는 갈대군락이

고수부지 전체에 분포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Fig. 3. Vegetation

3.3 식생 군락 분포의 시간적 변화

2015년 국립환경과학원의 영산강수계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에 의하면 죽산보 하류의 식생은 식재된

큰금계국-불란서국화군락, 불란서국화군락과 소리쟁이군

락, 물억새-갈대군락, 벳지군락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

다. 하지만 5년이 지난 현재는 물억새군락, 수크령군락, 강아

지풀군락, 버드나무군락, 갈대군락 등 자연식생이 우점하고

기존에 식재된 군락이 대부분 사라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44.. 결결론론

본 연구에서 영산강 하류 지역에 위치한 생태공원과 생태

하천을 포함한 생태공간의 식생은 주로 물억새군락과 갈대

군락의 다년생 초본 식생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탐방로가

조성된 일부 조사지점에서는 수크령군락, 강아지풀군락,

큰금계국군락과 같은 조경용 식생 혹은 교란지에서 나타나

는 일·이년생 초본 식생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의 분포는 우점하는 군락이 하천 종방향을 따라 물억새

군락에서 갈대군락으로 변화하는 것이 보여 영산강 죽산보

하류 지역의 지형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조사지점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의해 조성되거나 정비된

지역으로 사업 시공시에 넓은 면적으로 식재된 군락은 대부

분 자연식생으로 대체된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대규모 하천정비사업에 의해 변화된 하천 식생이 자연적인

천이에 의해 회복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태계의

기능과 구조를 유지하기 위하여 생태계 기반 요소 중 하나인

식생을 평가하여 하천 생태공간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감감사사의의 글글

본 연구는 환경부의 ‘영산강지역 생태공간 조사 및 평가’

과제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