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9월 넷째주 뉴스레터 vol.52 핫뉴스 ‘ 2013 한식 29초 영화제’ 본선 27일 막 올라 한식세계화 소식 ‘내 추억의 한식’ 외국인도 반했어요 한식세계화에 일조하는 한식당 전통공연과 한식의 융복합화 세종문화회관 삼청각 •Hot News Final Round of the 2013 Korean Food 29 Second World Film Festival Began on September 27 •Global Korean Food News “My Memories of Korean Food” captivates foreign guests •Korean restaurants contribute to Korean food globalization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Korean food: Samcheonggak of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늦여름 밭고랑에서 어머니가 따오신 빨간색이 고운 고추. 뜨거운 태양볕에 바짝 말려 빻은 고춧가루로 겨우내 먹을 김장과 장을 담가야 한다며 바쁘게 고추 꼭지를 따신다. 오늘도 시골 집 앞마당엔 빨갛고 맵게 익어가는 고추들 위로 쪽빛 가을 하늘이 끝없이 펼쳐져 있으리라. Traditionally in late summer, mothers would bring home bright red peppers from the fields. They would dry them out under the hot sun then take the stems off, preparing the peppers to be ground into powder for kimchi and the various jang that fed the family year round. Today, the sun still shines down on peppers laid out to dry on city rooftops and in the courtyards of rural houses. 빨갛고 맵게 익어가는 고추 Peppers ripen red and spicy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 vol.52

핫뉴스

‘ 2013 한식 29초 영화제’ 본선 27일 막 올라

한식세계화 소식

‘내 추억의 한식’ 외국인도 반했어요

한식세계화에 일조하는 한식당

전통공연과 한식의 융복합화세종문화회관 삼청각

•Hot News

Final Round of the 2013 Korean Food 29 Second World Film Festival Began on September 27

•Global Korean Food News

“My Memories of Korean Food” captivates foreign guests

•Korean restaurants contribute to Korean food globalization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Korean food: Samcheonggak of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늦여름 밭고랑에서 어머니가 따오신 빨간색이 고운 고추.뜨거운 태양볕에 바짝 말려 빻은 고춧가루로

겨우내 먹을 김장과 장을 담가야 한다며 바쁘게 고추 꼭지를 따신다.오늘도 시골 집 앞마당엔 빨갛고 맵게 익어가는 고추들 위로

쪽빛 가을 하늘이 끝없이 펼쳐져 있으리라.

Traditionally in late summer, mothers would bring home bright red peppers from the fields. They would dry them out under the hot sun then

take the stems off, preparing the peppers to be ground into powder for kimchi and the various jang that fed the family year round.

Today, the sun still shines down on peppers laid out to dry on city rooftops and in the courtyards of rural houses.

빨갛고 맵게 익어가는 고추 Peppers ripen red and spicy

Page 2: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02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에릭 리퍼트 셰프 ‘한식의 매력속으로’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셰프 중 한사람으로 꼽히는 에릭 리퍼트(Eric Ripert)

셰프가 오는 10월 5일 7박 8일간의 일정으로 한국의 맛을 찾아 방한한다. 에릭

리퍼트 셰프는 발우공양과 모던 한식 체험부터 서일농원, 중부시장 견학, 길거리

음식 체험까지 한식의 맛과 멋을 탐험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한식 맛 투어에는

미국의 유명 음식잡지 본 아페띠(Bon Appetit)의 푸드비평가 매트 로드버드(Matt

Rodbard)가 동행해 에릭 셰프와 함께 한식의 맛과 매력, 스타일을 전세계에 알릴

전망이다. 에릭 리퍼트 셰프는 미슐랭 3스타를 받은 뉴욕의 프랑스 식당 ‘르 베르

나댕(Le Bernardin)’의 오너셰프이며, 지난 2011년 미국 PBS 방송쇼 아베끄 에릭

(Avec Eric)으로 에미상을 수상하기도 한 유명 방송진행자이다.

베트남 하노이국립대학교 학생들 한식 특강 ‘기대’

한식재단은 숙명여대 한국문화교류원과 공동으로 베트남 최초의 종합대학인 하노이국립대학교 한국어학과

3학년생 80명을 대상으로 오는 10월 8일~9일 2일간 한식 특강 및 체험행사 ‘Learning&Running’을 개최한다.

한식재단은 이번 특강에서 베트남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한국 드라마에 등장하는 한식을 매개로 한국의 식문

화를 소개하고 한식에 대한 관심 및 이해도를 높일 계획이다. 이날 특강은 TV, 신문 등 20여 개 베트남 현지 언론

매체가 취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식재단은 “한글날을 맞이해 베트남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식강좌 및

체험 기회를 제공해 더욱 뜻깊은 행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치와 김장문화’ 국제심포지엄 개최

‘김치와 김장문화’를 주제로 한 국제심포지엄이 9월 26일 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 민속극장 ‘풍류’에서 개최됐

다. 2013 유네스코 무형유산 자문기구(NGO)인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 주최하는 이번 심포지엄에는 유네스

코한국위원회, 문화재청,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을 비롯해 불가리아, 케냐, 콜롬비아의 유네스코 무형유산 자문기

구 소속 전문가, 일본 국립오사카민족학박물관 등 학계 및 관련기관 전문가들이 참석해 2013년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 목록인 ‘김치와 김장문화’에 담긴 사회문화적 의미를 탐구하고, 각국의 전통음식문화와

의 비교연구를 통해 세계속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김치와 김장문화에 대해 논의했다.

‘김치와 김장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여부는 오는 12월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열리는 제8차

무형유산위원회(Intergovernmental Committee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에

서 결정될 예정이다. 현재 무형유산위원회는 심사소위원회인 심사보조기구(Subsidiary Body)를 통해 김치와

김장문화가 인류무형유산이 될 자격을 갖추었는 지에 대한 실사를 진행중이다.

2013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28일 개막

제7회 ‘2013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가 9월 28일 개막한다. 이번 비엔날

레는 커뮤니티-나, 너, 우리 다함께(Community - with me, with you,

with us)를 주제로 이천세라피아와 여주도자세상, 광주 곤지암도자공원

일원에서 11월 17일까지 51일 간 진행된다. 특히 전시부문에서는 국제지

명공모전, HOT Rookies, 전국장애인도예공모전, 한중도자예술교류전, 정

통도자 반상기전 등을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도자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국제도자학술회의, 클레이워크숍 ‘힐링캠프’ 등 학술&워크숍을

비롯해 체험과 공연을 포함한 다양한 부대행사도 열릴 예정이다.

2013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는 경기도가 주최하고 한국도자재단(2013

GIGB 국제위원회)이 주관하며, 문화체육관광부, 안전행정부, 외교부, 교

육부, IAC(국제도자협회) 등이 후원한다.

핫뉴스 ┃ Hot News

2013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포스터

오너셰프이자 방송진행자인 에릭 리퍼트(Eric Ripert)

핫뉴스 ┃ Hot News

Page 3: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03 2013년 9월 넷째주

The final round of the 2013 Korean Food 29 Second World Film Festival, which is sponsored by the KFF and hosted by The Korea Economic Daily, began on September 27.With a slogan of “Discover Korea's Delicious Secret,” the short film festival showcases video content of 29-second duration (excluding credits) that contains short but powerful stories on Korean food. After the preliminary and final rounds, an award ceremony will be held on October 26 along with a variety of other events to complete the festival.During the preliminary round, which ended on August 23, Korean and foreign participants submitted 29-second movies made without restrictions on theme, genre or format. These were then judged by the public online. A total of 361 people made it through to the final round – these include the Korean and foreign video makers who passed the preliminary round, the winner of last year’s film festival, who by default is allowed to participate in this year’s finals, and foreign participants will compete in the final round. Final round participants are required to submit videos

Final Round of the 2013 Korean Food 29 Second World Film Festival Began on September 27

The competition for short but strong videos and stories on Korean food has entered its final round under the theme of “My Korean Food.” An award

ceremony for the competition will be held on October 26

based on the theme of “My Korean Food,” either via the web or mobile app, between September 27 and October 17.Concerning the submissions, a KFF spokesperson stated that “Many submissions for the preliminary round covered a variety of themes and had unique video footage and meaningful storylines,” but for the final, “considering that the theme is My Korean Food, we hope that there will be more submissions than ever before that will captivate the eyes and taste buds of domestic and foreign netizens.”Submissions entered into the final round will be evaluated by netizens and experts in moviemaking, academia, advertising and journalism to decide the final winner. The winner will be announced at the award ceremony on October 26. In addition to the award ceremony on that day, the 29 Second World Film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will host a screening party featuring this year’s video submissions and will also conduct a mentoring session where 29-second film makers will be able to discuss their work with famous film directors.

외국인 참가자까지 총 361명이 본선에서 겨룬다.

본선에 진출한 감독들은 ‘나의 한국음식(My Korean

Food)’을 주제로 영상을 만들어 9월 27일부터 10월

17일까지 웹(Web)이나 앱(App)으로 출품하게 된다.

한식재단은 “예선에서 다양한 주제, 독특한 영상과

의미있는 스토리가 담긴 작품들이 많이 출품됐다”며,

“나의 한국음식을 주제로 치뤄지는 만큼, 어느 때 보다

도 더 맛있는 영상이 많이 출품되어 국내외 네티즌

관객들의 입맛을 사로잡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네티즌 및 영화, 학계, 광고, 언론계 전문가의 심사를

거쳐 결정되는 수상작은 10월 26일 시상식에서 발표

될 예정이다. 29초 영화제 사무국은 시상식 당일 출

품 영화 상영 파티 및 유명 영화감

독과의 멘토링 세션 등도 마련할 계

획이다.

한식재단이 후원하고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하는

‘2013 한식 29초 영화제’ 본선이 27일 막을 올렸다.

‘Discover Korea's Delicious Secret’을 슬로건으로

크레딧을 제외한 29초 동안 짧지만 강렬하게 한식

관련 영상과 스토리를 담아내는 이번 영화제는 예선

과 본선을 거쳐 10월 26일 시상식과 다양한 부대행

사로 막을 내리게 된다.

지난 23일 마감한 영화제 예선에서는 국내외 참가자

들이 직접 감독이 되어 주제와 장르, 형식에 제한없이

29초의 영상에 담아낸 작품들이 네티즌 관객들의

심사대에 올랐다. 본선을 통과한 예선 참가자들과 전

년 우승으로 자동 본선진출의 자격을 얻은 감독들과

‘2013 한식 29초 영화제’ 본선 27일 막 올라

짧지만 강렬한 영상과 스토리에 담아낸 한식의 향연 시작‘나의 한국음식’ 주제로 본선 경쟁, 10월 26일 시상식 개최

2013 한식 29초 영화제 본선이 9월 27일 시작됐다 The final round of the 2013 Korean Food 29 Second World Film Festival began on September 27

Page 4: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04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The culmination of “Eat, Play, Love: My Memories of Korean Food to the World” – a program hosted by the Korean Food Foundation (KFF) to commemorate the first

The “My Memories of Korean Food” event turned out to be a meaningful experience for foreign visitors, with many of them seeing Korean food in a new light.

“My Memories of Korean Food” captivates foreign guests

Korean Food Foundation’s 1st anniversary commemorative event for the official portal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has been successfully completed

‘내 추억의 한식’은 외국인들에게도 감동의 맛이

었다.

한식재단이 한식세계화 공식 포털 오픈 1주년

기념 이벤트로 마련한 ‘Eat, Play, Love 내 추억의

한식, 이제 세계에 알립니다’의 마지막 프로그램

인 ‘추억의 한식 외국인 체험행사’가 지난 9월 17

일 서울 명동에 위치한 서울글로벌문화관광센터

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식을 직접 맛

보고 평가를 들어보는 순으로 진행됐다.

행사에 초청된 20여 명의 외국인들은 한식세계

화 공식 포털(www.koreanfood.net)에서 진행된

‘내 추억의 한식’ 사연 공모에서 우수작으로 선정

된 토란탕과 김치찌개 외 10여 종의 메뉴로 구성

된 ‘추석 한 상’과 ‘일반 한 상’의 자세한 소개를

듣고 직접 맛보는 시간을 가졌다.

추석 한 상과 일반 한 상은 한식세계화 공식 포털

1주년 이벤트 중의 하나였던 ‘Eat, Play, Love 내

추억의 한식, 이제 세계에 알립니다’란 사연 공모

전을 통해 1, 2등에 선정된 작품에서 나온 한식

을 그대로 살린 상차림이다.

행사에 참가한 중국 국적의 쉬징(33) 씨는 “중국

인들에게 잘 알려진 한식은 많이 먹어봤지만 전

통 한식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다양한 한식을

직접 맛보니 한식의 다채로움을 더욱 깊이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국에 교환학생 신분으로 온 아르메니아 국적

의 라루카(23) 씨는 “추석을 맞아 한국인 친구들

이 모두 고향에 내려가 무엇을 먹어야할 지 많이

고민하는 것을 보았다”며 “이런 좋은 기회를 친구

들과 함께 할 수 있어서 즐거웠고, 이런 자리를

제공해 준 한식재단에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또한 “이곳에서 접한 한식들을

앞으로도 자주 만들어 먹어볼 생각”이라며 활짝

웃었다.

체험행사와 함께 서울글로벌문화관광센터를 방문

한 내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송편과 약과, 한과 등

의 전통 음식을 제공하고 각 음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도 진행됐다. 외국인들은 송편에 가장 많은

점수를 주며 형형색색의 빛깔과 뛰어난 맛이 일품

‘내 추억의 한식’외국인도 반했어요

한식세계화 공식 포털 1주년 기념 이벤트 성료

내외국인들이 명동의 서울글로벌관광문화센터에서 잡채와 송편을 맛보며 ‘내 추억의 한식’을 체험하고 있다Invited guests to the commemorative event try japchae and songpyeon at the Seoul Global Culture and Tourism Center

한식세계화 소식 ┃ Global Korean Food News

Page 5: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05 2013년 9월 넷째주

anniversary of the official portal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 was held on September 17 at the Seoul Global Culture and Tourism Center in Myeongdong. The event provided a hands-on experience for foreigners with an opportunity to taste Korean food and evaluate it on the spot.Twenty invited foreign guests were given explanations of and then a chance to try foods selected from the winning entries in the “My Memories of Korean Food to the World” essay contest run by the official portal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www.koreanfood.net). Guests ate from one of two tables (Chuseok table, Regular table) on which were ten dishes including taro soup and kimchi-jjigae.Shu Xing (33), a Chinese participant at this event, stated that “I have tried Korean foods well-known in China various times, but today is the first time I have eaten traditional Korean food,” and he added that “tasting so many kinds of Korean food gave me a better understanding of its variety.” Latuka (23), an Armenian exchange student, stated that “after all my Korean friends went home for Chuseok, I wondered what I should eat,” but she “enjoyed sharing good food

with friends and would like to thank KFF for providing this opportunity.” Latuka also added with a bright smile, “I would like to make at home the foods I tried today.”In addition to the food experience event, songpyeon, yakgwa (honey cookies), hangwa (traditional cookies) and other foods were provided for Korean and foreign visitors at the Seoul Global Culture and Tourism Center. A popularity survey was conducted, resulting in songpyeon receiving the most votes from foreigners. Reasons why it was given the most votes included songpyeon’s beautiful colors and its delicious taste. Other cultural programs held on the day included an introduction to KFF and screening of related videos, a hanbok experience, and a Hangeul class, all of which received enthusiastic responses from Korean and foreign participants. A KFF spokesperson stated that the event “was a meaningful opportunity in which we felt the deep love of Korean food by foreigners” and that the KFF would “continue to prepare various events to promote Korean food to foreigners to increase awareness of activities geared towar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이 외에도 한식세계화에 대한 소개 및 관련 영상

상영, 한복체험, 한글클래스 등 각종 한국 문화

프로그램이 병행되면서 국내외 참가자들의 큰 호응

을 이끌어냈다.

한식재단은 “외국인들의 한식 사랑을 여실히 느낄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라며 “앞으로 외국인

들에게 한식을 알릴 수 있는 각종 행사를 꾸준히

마련해 한식세계화사업의 인지도 제고에 앞장서

겠다”고 말했다.

‘Eat, Play, Love, 내 추억의 한식, 이제 세계에 알립니다’ 사연 공모전에서 우수작으로 선정된 한식메뉴를 시식하고 있는 사람들Foreigners taste test Korean foods selected through the “Eat, Play, Love My Memories of Korean Food to the World” essay contest

Page 6: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06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2013 남양주 슬로푸드국제대회가 10월 1일 막을 올린다. 사진은 지난 4월 1일 개최된 2013 남양주 슬로푸드국제대회 출범식The 2013 Namyangju International Slow Food Conference begins on October 1. The photo is from the inauguration ceremony held on April 1

Asia and Oceania and a forum for academic exchange.Under the slogans “Slowfood, changing the world through taste” and “Eat Good, Clean and Fair with Slow Food,” the conference will include teams from 40 countries in the Asia and Oceania regions. The opening ceremony, entitled “Terra Madre,” will take place on October 1, and the conference’s preparation committee is expecting 300,000 visitors over its 6-day duration.Asio Gusto will provide visitors with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slow food, with an International Hall exhibiting slow food and taste-test booths run by countries from all over the world; a hall under the theme of “1,000 Meal Stories” hosting

One of the three largest slow food festivals in the world is due to be held in Namyangju, Gyeonggido. This will be the first time such a festival has ever been held in the Asia·Oceania region.The Namyangju International Slow Food Conference (otherwise known as Asio Gusto) will be jointly hosted by Slow Food Korea, Slow Food International Headquarters, and Namyangju City and sponsored by organizations including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Gyeonggi Province and Korea Tourism Organization. Approved by the Slow Food International Headquarters located in Bra, Italy, the conference is designed to be both an international culinary event focusing on

A Feast of 1,000 Tastes“We invite you to the world of slow food”

2013 Namyangju International Slow Food Conference to be held October 1-6 will be full of sights and smells and tasty treats

세계3대 슬로푸드 축제가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최초로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열린다.

(사)슬로푸드문화원, 슬로푸드 국제본부, 남양주

시가 주최하고 농림축산식품부와 경기도, 한국

관광공사 등이 후원하는 이번 대회는 이탈리아

브라(Bra)에 위치한 슬로푸드 국제본부가 승인한

대회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를 아우르는 국제

음식문화 커뮤니티이자 학술 교류의 장으로 기획

됐다.

‘슬로푸드, 맛으로 바꾸는 세상’, ‘생산은 유기농,

밥상은 슬로푸드’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10월 1일

개막식(Terra Madre)을 시작으로 7일간의 행사

에 들어가는 ‘2013 남양주슬로푸드국제대회(Asio

Gusto, 이하 아시오 구스토)’에는 아시아·오세아

1000가지 맛의 향연 “슬로푸드 세계로 초대합니다”

10월 1일~6일 ‘2013 남양주 슬로푸드국제대회’ 볼거리·먹을거리 풍성

한식세계화 소식 ┃ Global Korean Food News

Page 7: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07 2013년 9월 넷째주

for visitors will include the Slowfood Plaza, Slowfood Restaurant and Asio Slow Music.Asio Gusto will also host a Slowfood International Conference, which will focus on 11 slow food-related themes to highlight the true value of slow food. Participants at the conference will discuss the “virtue” of food in relation to a variety of themes, including agriculture and diversity of plant life (as seen in the case of rice), rice as the staple food of Asians, food as seen through the philosophy of “sharing,” food of the Korean “one-member household” movement compared to the global slow food movement, and food training to produce experts and specialists. Kim Byung-Soo, director of the Asio Gusto Department of Planning, explained that the reason for the hosting of Asio Gusto was a desire to promote “fresh and tasty seasonal foods, the basic philosophy of slow food (Good), food for which production and consumption does not harm human beings or the environment (Clean), and food that is provided for consumers at a reasonable price and brings back fair compensation for producers (Fair).”

displays by local government bodies, food companie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organic and eco-friendly produce; and the Ark of Taste, a theme hall featuring slow food producers, food product distribution companies from Korea and abroad that will show the diversity of farming and culinary culture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food workshops of participating Asian and Oceanian countries will introduce not only their culinary cultures and folk traditions, but also “endangered” foods, which will allow visitor a special opportunity to experience foods that are not easy to come by even abroad.In addition, the festival will feature a farmer’s market that sells organic farm produce, a Slow Food Contest, a children’s slow food hands-on experience hall, and a Yo-Ri-Ga-Mu (Youth+Music+Dance Rescue Our Food!). Yo-Ri-Ga-Mu is unique in that it displays foods made with ingredients that are usually thrown away, not because there is a problem with their quality or taste, but simply because they do not conform to a standardized shape. Other hands-on events and entertainment

니아 지역 40여 개국, 30여 만명이 방문할 것으로

대회 관계자들은 예상하고 있다.

아시오 구스토는 세계 각국의 슬로푸드 전시 및

시식 기회를 제공하는 국제관, 1천 여 밥상 이야

기를 주제로 국내외 유기농·친환경 생산자, 지자

체와 식품 기업, 관련 단체의 전시관으로 구성

된 국내관, 그리고 세계의 농업과 음식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세계 맛의 방주(Ark of

Taste)’를 주제로 국내외 슬로푸드 생산자와 식품

유통업체, 바이어 등이 마련한 주제관을 상설,

슬로푸드의 현재를 한눈에 보여줄 계획이다.

특히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참가국의 음식문화

와 민속을 소개하고 소멸위기의 음식을 시연하

는 ‘맛 워크숍’은 외국 현지에서도 쉽게 접하기

힘든 음식을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11개 슬로푸드에 관한 주제를 심도있

게 다루는 슬로푸드 국제 컨퍼런스도 마련해

슬로푸드의 진정한 가치를 조명한다. 컨퍼런스에

서는 아시아인의 주식인 쌀을 중심으로 한 농업

의 중요성과 생물 다양성, 나눔이라는 철학에서

본 음식, 한국의 한살림 운동과 세계의 슬로푸드

운동 비교, 미각 교육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음식

의 고귀한 가치를 조명한다.

또한 유기농 농산품을 구매할 수 있는 농부장터,

슬로푸드 요리경연대회, 슬로푸드 어린이 체험관,

품질과 맛은 이상이 없지만 규격화된 모양이 아니

라는 이유로 버려지는 식재료로 만든 요리를 선

보이는 요리가무(料理歌舞) 등이 마련돼 프로그

램과 규모면에서 세계 3대 슬로푸드 축제의 진면

목을 보여줄 예정이다.

김병수 아시오 구스토 조직위원회 총괄기획본부

장은 “슬로푸드의 기본 철학은 신선하고 맛 좋은

제철음식(Good), 생산과 소비과정이 인간과 지

구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은 음식(Clean), 소비자

에게는 합리적인 가격, 생산자에게는 공정한 보상

을 지불하는 음식(Fair)”이라고 아시오 구스토 개

최의 의미를 설명했다.

3

Page 8: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08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한식세계화를 생각하며

신각수(전 주일대사)

음식에는 그 나라가 가진 문화의 정수가 녹아

있다. 음식은 풍토와 산물이라는 날줄과 문화라

는 씨줄이 오랜 세월에 걸쳐 엮어낸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한식에도 한민족의 유구한

역사 속에 빚어진 우리 문화가 듬뿍 녹아 있다.

물론 우리 음식도 외부의 영향을 받았고 이를 전

통 속에 소화시켜 독특한 우리만의 음식문화를

빚어냈다. 소프트 파워가 중시되는 21세기에 한

식은 한국문화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국제무대에

알려 한국의 국가브랜드를 높이는 주요한 수단임

에 틀림없다.

필자는 36년간 외교관 생활을 하면서 세계 속에

서 한국과 한국문화의 인지도가 높아지는 과정

을 직접 목도하고 경험했다. 그러나 한류로 대표

되는 한국문화가 세계 곳곳에서 높은 인기를 누

리고 있는데 반해 한식의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

은 점이 매우 안타까웠다. 최근 한식세계화를 위

한 노력이 본격화되어 한식이 국제무대에서 제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물론 문화 전파가 쉽지 않듯 한식을 세계화하는

작업도 많은 난관을 넘어야 할 것이다.

대사관저는 한식을 전파하는 유용한 전초기지

다. 대사로서 유엔, 이스라엘, 일본의 여론주도층

에 한식을 알리기 위해 고민했던 경험을 토대로

한식세계화에 도움이 될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우선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얼마나 전통을

고수하면서 현지인의 입맛에 맞출 것인지 잘

생각해야 한다. 한식은 외국에서 신선한 식재료

구입이 어렵고 손맛을 타기 때문에 전통 유지와

현지화의 적절한 배합이 쉽지 않다. 한식 가운데

지역별, 국가별로 현지인의 미각에 맞는 음식을

선정하고 현지 사정에 맞는 표준형 조리 방법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런

방식이 한식의 세계현지화(Glocalization)가 아닐

까 생각한다. 한식이 음양 조화를 통한 건강식이

라는 점을 홍보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한식 보급은 고급 음식과 대중 음식으로

나누어 공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식은

오래 끓이고 발효시키고 신선한 채소를 많이 사용

하며 손이 많이 가기 때문에 채산 맞추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일식처럼 고급음식이라는 이미지를

창출하는 방식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요리 중심

의 대중 음식 가운데 현지 사정에 맞게 적절히 선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셋째, 한식 전파의 핵심은 요리사이다. 세계무대

에 진출할 우리 요리사들을 양성하고 또 외국에

서 한식을 배우고자 하는 외국 요리사들을 한국

에서 연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한식세계화에 한류의 힘을 최대한 이용해

야 한다. 걸그룹 카라를 광고에 내세운 홍초가 일

본에서 10배의 매출 신장을 이룩한 것이 좋은

예다. 융합의 시대에 다양한 한국 문화 장르가 결

합하면 막강한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섯째, 우리 음식에 맞는 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포도주, 일본주, 중국술에 버금가는 우리 술이

개발돼야 한다. 일본은 일본주의 해외보급을 위해

재외공관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 우리도 이러

한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여섯째, 한식에 대한 우리 국민의 의식이 바뀌어

야 한다. 외국 음식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드는데도

한식은 가격이 싸야 한다는 그릇된 인식이 있다.

한국인 스스로 우리 음식의 격을 인정하지 않으

면서 외국인들이 인정하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한식세계화는 국가브랜드를 높이는 효과도 있지

만 장기적으로 우리 농업의 기반을 강화하는데

도 매우 중요하다.

세계에서 한식이 통용되면 이에 필요한 식재료

공급을 통해 우리 농업이 세계로 뻗어가는 촉매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일이야 말로 본국

과 재외동포사회 그리고 민관의 파트너십으로 장

기적 관점에서 꾸준히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한

국을 문화국가로 우뚝 서게 하는데 한식 전파가

크게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신각수 前 주일대사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법학(국제법)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게이오대학과 도쿄대학에서 연수하고, 스탠포드대학과 북경대학에서 초빙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제9회 외무고시에 합격한 후 주일대사관 1등서기관, 동북아과장, 조약국장, 주유엔 차석대사, 주이스라엘 대사, 제2차관, 제1차관 등을 거쳐 최근 주일본 대사를 역임했다. 현재 신 대사는 아시아관계, 한일관계, 국제법, 국제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칼럼 ┃ Column

Page 9: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09 2013년 9월 넷째주

신각수 (전 주일대사)

Shin Kak-Soo, former ambassador to Japan

Thoughts o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hin Kak-Soo

(former ambassador to Japan)

yin and yang. Second, it would be best to prepare separate promotional strategies for the dissemination of high cuisine and popular dishes. Because Korean food requires long periods of boiling, fermentation, a lot of fresh vegetables, and a great deal of preparation, it is not easy to find a reasonable profit margin. Therefore, it would be best to follow the Japanese food example and select the best strategy for the local situation, either promoting Korean food as a high-culture cuisine or a popular food that can be easily made. Third, the key to promoting and spreading Korean food is its chefs. Programs must be established that cultivate Korean chefs that can later work abroad, as well as cater to foreign chefs interested in coming to Korea to learn about Korean food. Fourth, the power of Hallyu must be utilized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s much as possible. One good example is the use of the girl idol group Kara for a fruit-flavored vinegar advertisement in Japan, which resulted in a ten-fold increase in sales. If diverse Korean cultural genres are combined in this era of fusion, a significant synergy effect will be created, boosting awareness and sales.Fifth, the development of a unique type of liquor that goes well with Korean food is an urgent task. An alcoholic beverage must be developed that serves as the Korean answer to wine, sake and Chinese liquor. Japan actively makes use of its overseas embassies and legations to promote its liquor. Korea must also engage in a wide variety of promotional activities along the lines of Japan’s strategy.Sixth, the Korean peoples’ image of Korean food must change. There is an incorrect assumption that even though it is much more expensive to make than the foods of other countries, Korean food should be sold cheaply. If Koreans do not recognize the value of their own food, it is impossible to expect the same from foreigners.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will have the effect of raising our national brand and in the long term will be crucial for strengthening Korean agriculture. If Korean food is globalized, this will increase the purchase of ingredients, which in turn will increase demand for Korean agricultural produce and spread it throughout the world. This is a task that must be carried out with a long-term perspective through the cooperative efforts of the Korean government, Koreans living abroad and private corporations. I hope the spreading of Korean food will play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helping Korea rise as a cultural power.

A nation’s food embodies the quintessence of its culture. This is because food is the result of long years of weaving together the “longitude” strings of climate and produce and the “latitude” strings of culture. Accordingly, Korean food is steeped in the long and rich culture of our people. Of course, Korean food has been formed by many outside influences, which has resulted in a unique culinary culture. There is no doubt that in a century in which great emphasis is placed on “soft power,” Korean food is an important means of showing the world the uniqueness and excellence of Korean culture and eventually raising Korea’s national brand globally.During 36 years of diplomatic life, I have personally witnessed and experienced the increasing awareness of Korea and Korean culture around the world. However, I find it highly regrettable that while Korean culture as embodied by Hallyu enjoys great popularity, the awareness of Korean food is not as apparent. Fortunately, efforts to globalize Korean food have recently begun in earnest, which should redress the imbalance. But just as the spreading of culture is no easy task, the work of globalizing Korean food will have to overcome many difficulties. The ambassador’s official residence has been a useful outpost for spreading awareness of Korean food. Based on my experiences as an ambassador, wondering how to promote Korean food to social leaders at the UN, Israel and Japan, I would like to offer a few suggestions that may help with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First, there must be a very clear strategy on how much Korean food tradition will be maintained and how much Korean food will be localized to satisfy local preferences.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purchasing fresh ingredients for Korean food abroad and the high level of dependence on the person cooking it, it is not easy to find a balance between tradition and localization. The best alternative would be to decide on foods for each region and country that best match local tastes and develop standardized recipes that take local conditions into consideration. Is this not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t would also be helpful to promote the fact that Korean food is a health food based on the harmony between Shin Kak-Soo majored in law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where he also received his MA and Ph.D. in international law. Shin has also studied at Keio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Tokyo in Japan and served as a visiting researcher at Stanford University and Peking University. After passing the 9th Foreign Service Examination, Shin served as first secretary at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Japan, director, Northeast Asia Division I, Asian and Pacific Affairs Bureau, MOFA, director-General, Treaties Bureau, MOFAT, deputy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ambassador to Israel, deputy vice minister, vice minister, and most recently as ambassador to Japan. Shin is currently actively engaged in publishing books and giving lectures on Asian relations, Korea-Japan relations,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bodies.

Page 10: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10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아시오 구스토(Asio Gusto)’라고도 불리는 2013

남양주 슬로푸드국제대회는 이탈리아 토리노의

‘살로네 델 구스토(Salone del Gusto)’, 프랑스 뚜

르에서 유럽인들을 중심으로 개최되는 ‘유로구스

토(Euro Gusto)’와 더불어 슬로푸드 국제본부에

서 승인한 아시아·오세아니아 최초 세계 3대 슬로

푸드국제대회이다.

유치부터 2013 남양주 슬로푸드국제대회의 공동

조직위원장까지 막중한 책임을 맡고 있는 이석우

남양주시장. 그는 소중한 음식 네트워크의 장이

자 아시아·오세아니아의 소멸위기 음식의 보존과

지속을 이야기하는 의미 있는 대회로 만들겠다

며 개막을 앞두고 막바지 준비에 여념이 없다.

이석우 조직위원장은 유치과정에서 남양주시가

지난 2008년부터 꾸준히 진행해 온 슬로푸드대

회, 그리고 (사)슬로푸드문화원의 존재가 밑거름

이 됐다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2012년 안종운

공동 조직위원장(전 농림부 차관)과 함께 조직위

원회를 구성,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그해 10월 25

일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슬로푸드 국제본부와 아

시아·오세아니아를 대표하는 슬로푸드국제대회

개최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 이번 대회를 개최

한다. 이석우 조직위원장은 이번 대회에서 특히

‘맛의 방주(Ark of Taste)’ 프로젝트에 심혈을 기

울였다. 맛의 방주는 지구의 종말에 대비해 모든

종을 한 쌍씩 실었던 ‘노아의 방주’처럼 전 세계의

생산은 유기농, 밥상은 슬로푸드“맛으로 세상을 바꿉니다”

2013 남양주 슬로푸드국제대회 이석우 조직위원장

사라져가는 종자와 음식을 기록하는 음식유산

등재 프로그램이다. 이 기록을 기반으로 소농을

육성하고, 먹거리의 생산·가공·유통·소비 전반을

아우르는 지역경제의 선순환이 가능하며, 결국

이것이 슬로푸드 국제본부의 중점사업이기도 하

다. 현재 77개국 1225종이 등재되어 있으며, 한국

도 이번 대회를 통해 ‘연산 오계, 진주 앉은뱅이

밀, 제주 푸른콩 된장, 울릉도 칡소, 울릉도 섬말

나리’ 5개 품목을 등재했고, 대회 후에도 지속적

으로 등록 수를 늘려나갈 계획을 갖고 있다.

이석우 조직위원장은 그동안 진행되어 온 유럽의

대회들이 컨퍼런스, 박람회의 성격이 강했다면

이번 남양주 슬로푸드 국제대회는 박람회와 축

제가 결합된 행사라고 강조한다. 슬로푸드 리더들

의 심도 있는 컨퍼런스와 전 세계의 사라져가는

종과 음식에 대한 전시, 그리고 가족들이 함께 할

수 있는 ‘가족밥상의 날’, ‘맛 워크숍 프로그램’,

‘아시오 키즈 구스토’ 등 슬로푸드에 관심 있는

모두가 슬로푸드를 체험하고 친근하게 느껴볼 수

있도록 각 계층별 눈높이에 맞는 프로그램들로

알차게 구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석우 조직위원장은 이번 대회를 통해 아시아·

오세아니아의 다양한 식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소규모 전통식품과 소농, 지역위주

의 농업 정책으로의 관심과 변화를 유도하고, 슬로

푸드 운동의 허브로서의 한국의 위상이 정립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계획에 대해 이석우 조직위원장은 “40여 개

국 30만 명의 관람객들이 참여하는 이번 대회의

방점을 잘 찍고, 보완과 개선을 통해 2015년에 열

릴 제2회 슬로푸드국제대회는 더욱 값진 대회가

되도록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대회

를 통해 슬로푸드 운동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이

개선되고 올바른 먹거리 문화 정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아시아·오세아니아의 대표적인 맛과 한국 고유의 음식축제 문화를 전세계에 알리겠다는 이석우 조직위원장Co-chair Suk-Woo, Lee hopes to globally promote the most representative tastes of Asia and Oceania as well as Korea’s culinary culture

인터뷰 ┃ Interview

Page 11: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11 2013년 9월 넷째주

The 2013 Namyangju International Slow Food Conference, also called Asio Gusto, is a first in Asia and one of the largest three slow food festivals in the world, ranking with Salone del Gusto in Torino, Italy and the Europe-centric Euro Gusto in Tours, France. Namyangju Mayor Suk-Woo, Lee, co-chairman of Asio Gusto’s organizing committee, is responsible for everything related to the hosting of the 2013 Namyangju International Slow Food Conference. Busy with last-minute preparations, Lee hopes to make this international conference an occasion for building an invaluable food network and discussing ways to preserve and maintain the “endangered” foods of Asia and Oceania. Co-chairman Suk-Woo, Lee explained that Namyangju’s continuous record of having hosted slow food contests since 2008 and the existence of Slow Food Korea were instrumental in its being selected as the location for this year’s Asio Gusto. In 2012, Lee put together the organizing committee with Co-chairman Ahn Jong-woon (former vice minister,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fter months of systematic preparation, the team went to Torino on October 25 to sign an MOU with the Slow Food International Headquarters (SFIH) for Namyangju to host an international slow food conference for the Asia and Oceania region. For the conference, Lee has devoted special attention to the Ark of Taste project. Just like Noah’s ark, where animals were collected in pairs to prepare for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the Ark of Taste is a program that registers “world food heritages” of foods and plant seeds/breeds from all over the world that are in danger of disappearing. With

Eat Good, Clean and Fair with Slow Food“Changing the world through taste” Suk-Woo, Lee Co-chairman of the 2013 Namyangju International Slow Food Conference Organizing Committee

this heritage list, the SFIH can nurture small farmers and jump-start a “virtuous cycle” in the local economy of the production, processing,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food products – this is basically its central responsibility. As of now, a total of 1,225 seeds and breeds from 77 countries have been registered. Through this year’s conference, Korea has registered five items (Yeonsan ogol chicken, Jinju anjeunbaengi wheat, Jeju green bean doenjang, Ulleungdo kudzu cow, Ulleungdo seommalnari), with plans to add more after the festival is over. Co-chairman Lee emphasizes that while events held in Europe have been either like conferences or expos, Namyangju’s Asio Gusto is an expo and a festival combined. With in-depth conference meetings of slow food leaders, exhibitions of seeds and foods throughout the world that are disappearing and/or endangered, a Family Meal Day event, a Taste Workshop Program, and an Asio Kids Gusto event, the Asio Gusto program has been designed so that anyone interested in slow food can participate in whatever area that is of concern to them.Lee hopes that this conference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increase pride in the diverse culinary cultures of Asia and Oceania, induce interest in small-scale traditional food products, promote change in small-scale farming and local farming policies, and solidify Korea’s position as a hub of the slow food movement. Regarding plans for the future, Co-chairman Lee stated “With 300,000 participants from over 40 countries expected, this conference will make its mark. Later, after supplementary measures and further improvements, the 2nd Slow Food International Conference to be held in 2015 will be an even greater event.” Lee also added that “through this conference, we hope that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of the slow food movement is improved and the establishment of a proper eating culture is hastened.”

2013 남양주 슬로푸드국제대회 이석우 조직위원장Co-chair Suk-Woo, Lee hopes to globally promote the most representative tastes of Asia and Oceania as well as Korea’s

culinary culture

Page 12: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12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한식세계화에 일조하는 한식당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국제 행사를 통해 한식의 맛과 멋을 알리고, 한국음식문화의 아름다움을 세계인과 함께 나누는 한식 레스토랑을 소개한다.

전통공연과 한식의 융복합화

세종문화회관 삼청각

전통문화예술복합공간 삼청각(三淸閣)은 전통 가옥에서 명

인들의 예술을 만날 수 있으며 국제회의, 세미나 개최는 물론

다례, 규방공예, 한국요리 등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또

한 한국 전통의 맛과 멋을 경험할 수 있는 국제적 관광명소

로 지난 2009년 한-페루 정상회담 만찬, 2011년 G20정상회

의 대표단 배우자들 방문, 2013 세계박물관회연맹 서울 이사

회 및 총회 공식만찬까지 국제행사의 만찬장소로 이용됐다.

삼청각 관계자는 “한국의 문화예술을 한식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은 21세기 문화융합시대에 걸맞은 삼청각만의

새로운 시도”라며 “전통공연과 한식의 융복합화를 통해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들에게도 각광받고 있다”고 말했다.

삼청각은 옛 양반가의 요리를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선보이

고 있으며, 제철식재료를 사용한 담백하고 정갈한 맛, 고급스

러운 담음새까지 ‘전통에 현대적 해석을 입힌다’는 콘셉트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 또한 박경식 셰프의 지휘하에 ‘음식이

곧 약’이라는 약선음식의 정신을 살린 한식을 선보여 삼청각

을 찾는 국내외 고객들의 호감을 이끌어내고 있다.

· 문의 : 02-740-3209 · 주소 : 서울시 성북구 대사관로 3 삼청각

약선음식에 뿌리를 두고 있는 삼청각의 메뉴들 Samcheonggak dishes based on the philosophy of yakseon

1 멋과 품격을 갖춘 다양한 형태의 전통가옥에서 한국 전통의 맛과 멋을 경험할 수 있는 삼청각 2 삼청각은 다양한 국제 행사 및 만찬장소로도 인기가 높다1 Samcheonggak is an elegant example of multi-format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traditional Korean food and culture 2 Samcheonggak is a popular location for diverse types of dinner banquets

A comprehensive spa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 Samcheonggak is a traditional Korean building that holds performances of master artists,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seminars, and cultural events that involve traditional tea ceremonies, Korean upper-class handicrafts and Korean food. As a major tourist attraction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the elegance of Korean tradition, Samcheonggak has been used as the banquet venue for various large-scale international events including the 2009 Korea-Peru Summit, the visit of the wives of the representatives at the 2011 G20 Summit, and the 2013 general meeting of the Seoul board of directors of the World Federation of Friends of Museums. A Samcheonggak spokesperson explained that “preparing a space at which one can enjoy Korean art and food together is a new and unique service by Samcheonggak that is in keeping with this era of cultural syncretism.” He added that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and Korean food is receiving the attention of not only Koreans but foreigners as well.”Samcheonggak features foods eaten by the traditional Korean upper-class that have been modified to match modern tastes. Its dishes are faithful to tradition in appearance but have a modern interpretation through elegant plating and the use of seasonal ingredients to create a fresh and clean taste. Under the direction of Chef Park Kyung-Sik, an expert of yakseon cooking, the philosophy that “food is medicine” is embodied in all of the food made at Samcheonggak, which is partly why it attracts so many Korean and foreign visitors.·Phone: 02-740-3209 ·Address: Samcheonggak, Daesagwan-ro 3, Seongbuk-gu, Seoul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Korean food: Samcheonggak of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1

2

Page 13: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13 2013년 9월 넷째주

Korean restaurants contribute to Korean food globalizationWe would like to introduce Korean restaurants that share the beauty of Korean food with people around the globe and also let the world know of the flavors of Korean food through various international events held in and outside of Korea.

“한식세계화, 우리나라 오천년 역사와 전통을 알리는 일”

삼청각의 박경식 셰프는 한국음식을 이끄는 100인의 조리인 선정,

‘한식세계화’ 관련 서울시장 표창 등 한국의 맛과 멋을 전하는데 있

어 대내외적으로 인정받은 인물이다. 박 셰프는 삼청각이 한식의

우수성과 가치를 알리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천년 우리

역사와 전통’을 알리는 것이라는 생각으로 음식 하나하나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우리가 늘 먹는 음식이기에 다소 간과할 수 있는 한식의 역사와 전

통, 우수성을 고객에게 알리기 위해 맛과 더불어 담음새까지 멋스

러울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외국인들도 많이 방문하기

때문에 그들이 자연스럽게 한식을 접하도록 전통에 현대적 해석을

입히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박경식 셰프가 또 한가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바로 계절음식이다. 제철 식재료를 사용했을 때 음식

의 맛과 더불어 가치까지 높아진다는 것이 그의 음식 철학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삼청각에는 고정

메뉴 외에도 계절별 특선 요리는 물론 상견례, 비즈니스 모임, 외국인 접대 등 다양한 고객의 니즈에 맞

춘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약식동원’이라 하여 약과 식품을 하나로 보아왔습니다. 이처럼 생약과 약용

가치가 높은 식품을 잘 배합하여 조리한 약선음식을 삼청각의 한식에도 녹여내고 있습니다. 한국의

전통문화예술을 소개 할 때 수려한 차림새에 건강함까지 더한 한식 역시 ‘예술’이라고 불릴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죠.”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s the promotion of Korea’s five thousand years of

history and culture”Chef Park Kyung-Sik of Samcheonggak is an individual who has been widely recognized for his efforts to promote the taste and culture of Korea, including being selected as one of the top 100 leading chefs of Korean food and awarded a citation by the mayor of Seoul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Chef Park painstakingly prepares each dish with the view that it does not only promote the excellence and value of Korean food, but also symbolizes “five thousand years of history and tradition.”Chef Park said that “In order to show guests the history, tradition and excellence of Korean food, all of which is easy for us to take for granted because it’s something we eat every day, I do my best to create the best possible taste and strive for the most attractive plating. We have a particularly large number of foreign guests, and I always make sure that they can encounter Korean food with a degree of familiarity by interpreting tradition in a more modern way.” Another aspect that Chef Park regards as high-priority is seasonal food. This is due to his food philosophy that the use of seasonal ingredients for any dish improves its taste and overall value. Because of this, Samcheonggak has both a fixed menu and special seasonal menus. These can cater to a wide variety of occasions from meetings between the parents of prospective brides and grooms to business meetings to entertaining foreign guests. “From a very long time ago,” said Chef Park, “our ancestors believed that food and medicine were one and the same. In accordance with this belief, Samcheonggak serves a harmony of foods that have high medicinal value. We must continue our efforts to include beautiful and healthy Korean food in introductions to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rt of Korea.”

박경식 세종문화회관 삼청각 셰프

Park Kyung-SikSamcheonggak Chef,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Page 14: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14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

In Korea, there are four major rites of passage: birth, coming of age, marriage, and death. Each of these rites has traditionally been accompanied by special ceremonies and foods.Dol is the term for a baby’s first birthday. Long before the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many babies did not live to see their first birthday. Therefore, dol was a special celebration that was painstakingly prepared, with plenty of food for the many invited guests to enjoy in celebration of the baby’s successful first year. The dol table was set with foods that had symbolic significance for the baby’s life: white rice, miyeokguk (seaweed soup), noodles, white rice cakes, sorghum and red bean gyeongdan (sweet rice balls), injeolmi (glutinous rice cakes covered with bean flour), five-colored songpyeon (half-moon shaped rice cakes), seasonal fruit, and jujubes. White rice cakes symbolized the parents’ hopes for the baby’s cleanliness in both body and

spirit, while the reddish color of the sorghum and red bean gyeongdan was meant to block evil spirits. The sticky and thick injeolmi symbolized a firm spirit and the five-colored songpyeon symbolizes a harmonious human being.The dol table was also set with objects symbolizing future occupations or longevity. These were arranged in front of the infant and everyone waited for him or her to grab one. Whichever object was grabbed predicted the infant’s future. It was believed that rice meant wealth, jujubes meant many children, a spool of white silk thread meant longevity, blue and red-colored thread meant conjugal harmony, and a brush, inkstone or book meant academic success. Today, this tradition remains, albeit in slightly changed format. For example, some parents place a microphone and/or stethoscope on the table in the hopes that their child may become a singer or doctor.

A Korean Rite of Passage Dol

한식은 문화다. 음식의 맛에 멋과 이야기를 더해야 비로소 한식이 완성된다. 발효에 탁월한 전통 옹기, 음식을 정갈하게 담아내는 그릇, 독특한 음식문화인 젓가락, 그리고 음식을 먹는 법까지 한식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인의 통과의례

통과의례(通過儀禮)는 출생, 성년, 결혼, 사망 등

사람이 새로운 상태로 넘어갈 때 겪어야 할 일생

의 의식을 통틀어 말한다. 우리나라 역시 통과의

례의 여러 단계가 있고, 거기에는 항상 특별한 의

식과 음식이 있었다.

돌은 아기가 태어난 후 1년이 되는 날로 보통 첫번

째 생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의학이 발달하지 않은

옛날에는 돌이 되기 전에 사망하는 유아가 많았

다. 그래서 돌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져 정성껏 돌

잔치를 마련하고, 손님들과 음식을 나누며 아이

의 첫번째 생일을 축하했다.

돌상에는 각각 특별한 의미를 담은 쌀밥과 미역

국, 국수, 백설기와 수수팥경단, 인절미, 오색송편

을 비롯해 제철과일, 대추 등의 음식이 올려졌다.

부모는 백설기로 아기의 신성함과 정결을 기원했

고, 주술적으로 나쁜 액을 막기 위해 붉은 색 수

수팥경단을 만들어 친지들과 나눠먹었다. 찰진

인절미는 마음이 단단하라는 뜻, 오색송편은 조

화로운 사람이 되라는 뜻으로 돌상에 올렸다.

아기 돌상에는 음식 외에도 아기의 무병장수와

다복을 기원하는 여러 상징물들을 올려놓았고,

아이가 무엇을 잡는지에 따라 주위 어른들이 아

이의 인생을 예측했다. 쌀을 잡으면 부자가 되고,

대추를 잡으면 자손이 번창하며, 흰색 명주실을

잡으면 오래 산다고 생각했다. 또한 청홍색실을

잡으면 부부금슬이 좋고 붓, 벼루, 책을 잡으면

훌륭한 문장으로 벼슬을 하게 된다고 믿었다.

요즘에는 이런 전통이 조금 변형되고 있는데, 돌

상에 마이크나 청진기 등을 올려 놓아 가수나

의사가 되기를 기원하기도 한다.

돌상 위에 올려진 것 중 무엇을 잡느냐에 따라 아기의 장래를 점쳐보는 것을 ‘돌잡이’라 한다Doljabi is the act of telling the baby’s future based on what he or she grabs from the dol table

한식, 문화와 소통하다 ┃ Korean Food, Communicates with Culture

Page 15: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15 2013년 9월 넷째주

한국 고유의 식문화를 담은 한식의 맛과 멋을 세계인들과 함께 누리고자 세계 곳곳에 있는 대표 한식당을 소개하는 ‘해외 우수 한식당 추천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된 『한식당 가이드북』 뉴욕편과 LA편에 소개된 한식당을 만나본다.

“I love it because Hansik is a very healthy and well-balanced diet and I consider it to be a simple, yet clean, food. One of my two favorite Korean foods to make and eat are bibimbap and topokki.”The above is what Bernard Guillas, executive chef of the La Jolla Beach & Tennis Club restaurant The Marine Room, had to say about Korean food after a visit to So Hyang.So Hyang, located just behind a large office building on LA’s Wilshire Boulevard, is a favorite haunt of crisply-dressed professionals. This Korean restaurant’s elegant and modern interior makes the visitor want to stay for more than just a simply lunch.In addition to grilled menu items like tender Japanese beef, prime sirloin, brisket and beef

tongue, So Hyang also features seafood options like dolsot(hot pot stone) eel rice, Chilean sea bass and grilled salmon. There are cheaper options like dolsot bibimbap and kimchi-jjigae as well, making for the restaurant’s famous wide variety of Korean foods and price ranges.Those who visit So Hyang for lunch particularly enjoy the lunchtime galbi-gui (grilled short ribs) combo. This dish consists of large slices of seasoned lean meat, rice, vegetable spring rolls, freshly seasoned soft tofu, and pyeonyuk (sliced boiled meat) whose slices are eaten wrapped in napa cabbage leaves with garlic and doenjang (soybean paste). The dish is served in a neatly sectioned lunch box-style container, which adds to the convenience and enjoyment of the meal.

An Elegant Grill RestaurantSo Hyang

The KFF has worked on a project to promote overseas Korean restaurants, performing the duty of a Korean food ambassador and spreading the flavor and beauty of Korean food throughout the world. We will take a look at the Korean restaurants listed in the Korean Restaurant Guides for New York and Los Angeles published through the restaurant recommendation project.

세련된 분위기의 구이전문점

소향

해외우수한식당 가이드북 미주편은 한식세계화 공식 포털 사이트(www.koreanfood.net)와 애플 앱스토어 및 안드로이드 (구글플레이)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The Korean Restaurant Guide-the United States is available for download from the offcial websit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www.koreanfood.net) and is also available as an app for iOS and Android.

의 인기 메뉴인 허브프라임등심스테이크와 점심메뉴인 갈비구이콤보, 세련되고 깔끔한 의 내부The herb prime sirloin steak and lunchtime galbi-gui combo are two of So Hyang’s most popular menu items. Elegant and clean interior

“한식은 건강식이고 균형이 잘 잡힌 식단이라

정말 좋다. 내가 좋아하고 직접 만들어 먹기도

하는 한식은 비빔밥과 떡볶이다.”

라호야 리조트 레스토랑 마린 룸의 총괄 셰프

버나드 길라스(Bernard Guillas)가 을

방문하고 한식에 대해 내린 평가다.

은 LA 윌셔 거리의 대형 오피스 빌딩

바로 뒤편에 있어 깔끔한 옷차림의 전문직 종

사자들이 즐겨찾는 곳으로 점심 한 끼만 먹고

가기에는 아쉬울만큼 세련되고 현대적인 분위

기의 한식당이다.

이곳은 부드러운 와규, 프라임 등심, 차돌박

이, 우설 등 구이메뉴부터 장어돌솥밥, 칠레

산 농어와 연어 구이 등 해물메뉴, 그리고 저렴

하게 맛볼 수 있는 돌솥비빔밥, 김치찌개 까지

가격대와 재료별로 다양한 종류의 한식메뉴

를 갖추고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점심시간에 소향을 찾는 사람들은 점심

메뉴인 갈비콤보를 즐긴다. 커다란 순살코기

양념갈비와 밥, 채소스프링롤, 양념한 신선한 연두

부, 마늘·된장과 함께 배추에 싸먹는 편육이 함께

나오는데, 도시락처럼 칸칸이 나뉜 나무 찬합에 담겨

나와 보는 재미까지 주고 있다.

세계속의 한식당┃Korean Restaurants on the International Stage

Page 16: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 9 vol - Korean … · 2014-08-08 ·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September, 2013 2013년 9월 넷째주 뉴스레터vol.52

한식재단 뉴스레터는 한식세계화 공식 포털 사이트(www.koreanfood.net)에서 다시 볼 수 있습니다.

KFF newsletters, The Taste of Korea are also available on our website (www.koreanfood.net).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7(양재동) aT센터 1306호#1306, 27 aT Center, Gangnam-daero, Seocho-gu, Seoul Tel_82.2.6300.2050 ┃ Fax_82.2.6300.2055 www.koreanfood.net ┃ www.hansik.orgtwitter.com/hansikkorea ┃ facebook.com/hansikkorea

16 우리들의 한식이야기 ┃ Our Korean Food Story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법International korean menu guide

국·내외 한식당 및 한식을 즐기는 외국인을 위해 대표적인 한식 154개를 10개 언어로 표기한『한식메뉴 외국어 표기 길라잡이』에 수록된 메뉴입니다.

한식세계화 공식 포털 1주년 이벤트 ‘ 내 추억의 한식, 이제 세계에 알립니다’ 공모전에서 1등으로 뽑힌 사연을 간략하게 줄여 소개한다.

Below is a summarized version of the first place submission for the “My Memories of Korean Food to the World” contest, an event commemorating the 1st anniversary of the official portal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어린시절 아버지의 사업실패로 전라도에서 충청도로

이사를 했습니다. 저는 그때 푹 익힌 토란에 당시엔 생일

에나 먹을만큼 귀한 소고기를 잘게 찢어넣고 끓인 토란

국을 참 좋아했습니다. 겨울철 추위도 녹여주었고, 늘상

광주집에서 먹던 바로 그 맛이었기 때문입니다. 이사한

곳에서는 토란 자체가 생소해서 어머니께서 추운 겨울

온 시장을 다 뒤지고도 구하지 못하셨지요. - 중략 -

몇년 뒤 아버지께서 아들을 위해 심은 토란으로 3년여

만에 토란국을 끓여 먹었습니다. 뜨끈한 기운이 얼마나

마음을 가득 채워주던지….

이제는 제가 집앞 텃밭에 부모님을 위해 토란을 키우고

있습니다. 가난했지만 마음만은 따뜻하게 데워주었던 토란

국 그 귀한 맛이 참 고맙습니다. ● 한재명

When I was a child, my father’s business failure prompted the family’s move from Jeollado to Chungcheongdo. At the time, I loved taro soup, a wonderful mixture of taros boiled until they were soft and pieces of beef stripped by hand. Beef was a precious food that was usually saved for birthdays. I loved taro soup because it warded off the winter chill and tasted just like what I had always eaten at our home in Gwangju. However, our new home was in a place where taros were virtually unknown. My mother would search the market inside out in the dead of winter to find taros, but it was to no avail. - omit - Three years later, I was able to have taro soup once again with the taros that my father had planted for me. The hot energy of the soup was so invigorating! Today, I grow taros in my garden at home for my elderly parents. The taro soup that warmed my heart during hard times is a precious taste that I will never forget. •Han Jae-Myung

술상(청주, 육포, 어란, 은행) Sul sang

쌀, 누룩, 물을 원료로 하여 빚은 맑은 술을 청주라고 한다. 청주를 마시는 술상에는 안주로 육포, 어란, 은행 등과 전, 편육, 김치 등을 올린다.

[영어] Wine Table Menu: cheongju, dried beef, dried fish roe, ginko nutsCheongju is a clear wine made of rice, nuruk (fermentation starter) and water. The traditional wine table with cheongju includes plates of dried beef (yukpo), dried fish roe (eopo), and ginko nuts.

[일어] 酒膳(清酒、ジャーキー、魚卵、銀杏)清酒は、米、麹、水を仕込んで発酵させた澄んだお酒。清酒には、ジャーキー、魚卵、銀杏などのつまみや、チヂミ、蒸し肉、キムチなどがよく合う。

[중국어]

[프랑스어] Repas autour du CheongjuOn boit du Cheongju (alcool à base de riz et de levure) avec du Yukpo (bœuf séché), de l'Eoran, (œufs de poisson fermentés), des fruits de ginkgo, du Pyunyouk (tranches de bœuf), ou du Kimchi (chou fermenté).

[스페인어] Menú para el vino: cheongju, carne seca, huevas de pescado secas, nueces de ginkoCheongju es un vino de arroz, nuruk (iniciador de fermentación) y agua. La mesa tradicional para el vino con cheongju incluye platos de carne seca (yukpo), huevas de pescado secas (eopo) y nueces de ginko.

[이탈리아어] Menu per la tavola del vino: cheongju, manzo essiccato, uova di pesce essiccate, semi di gingkoCheongju è un vino chiaro fatto col riso, nuruk

(starter di fermentazione) e acqua. La tavola del vino tradizionale con cheongju comprende piatti di manzo essiccato (yukpo), uova di pesce essiccate (eopo) e semi di gingko.

[독일어] Wein-Menü: Cheongju, getrocknetes Rindfleisch, getrockneter Fischrogen, Ginko-NüsseCheongju ist ein klarer Wein, der aus Reis, Nuruk (Fermentationsstarter) und Wasser gebraut wird. Am traditionellen Weintisch mit Cheongju gibt es Teller mit getrocknetem Rindfleisch (Yukpo), getrocknetem Fischrogen und (Eopo) Ginko-Nüssen.

[베트남어] Thực đơn rượu: cheongju, thịt bò khô, trứng cá khô, hạt ginkoCheongju là một loại rượu trắng làm từ gạo, nuruk (men rượu) và nước. Rượu truyền thống với Cheongju bao gồm thịt bò khô (yukpo), trứng rán khô (eopo) và hạt ginko.

[아랍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