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Page 2: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가난한 나라는 왜 여전히 가난한가

솔직해 지자. 우리가 기억하는 한 아프리카, 중남미 가난한 나라에 대한 원조는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다.

UN산하의 기관들과 여러 국제 단체는 전세계 ‘가난 근절’을 외치며 활동하고 있으며선진국들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천문학적 원조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처음 가졌던 의문으로 다시 돌아오고 만다가난한 나라는 왜 여전히 가난한 가

먹고 살기 힘든 한국 기업들글로벌 기업들 그리고 현재 해외시장에 진출중인

중소기업들에게 현재 시장은 더 이상 황금의 땅이 아니다.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경제 회복세는 더디고 해외시장은 더더욱 힘들어 졌다.

BOP’S GOT TALENT!여기 해결책이 있다. 가난하다 소외 받았던 40억 명,

넥스트 마켓 BOP계층(Base Of Pyramid). 기업도 살고 빈곤층도 가난에서 벗어나는 상생의 길

BOP 시장을 주목하자.

Page 3: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주제선정배경

탐방주제

목표설정

탐방 지역및 기관

contents

•원조와 구호 활동에도 줄어들지 않는 빈곤문제

•기존 시장의 경쟁과열 및 기회고갈

•두 가지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방법 – BOP 비즈니스

•한국 기업의 BOP시장 진출 교두보,BOP 비즈니스 플랫폼 모델 구축

•BOP비즈니스란 무엇인가

•한국기업은 왜 BOP시장에 진출하지 못하는가

•한국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탐방계획 및 향후 계획

LG 글로벌 챌린저 2015

한국의 BOP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Page 4: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주제배경

해결방법

문제제기

방안제시

향후계획

개도국의 고질적 빈곤과 선진국 경제시장 포화 문제의 해결 필요성 증대

기업과 빈곤층이 상생할 수 있는 BOP 비즈니스

외국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BOP비즈니스 플랫폼 국내에 부재

한국형 BOP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외국의 BOP비즈니스 현장, BOP계층 주거지역, 국제기구, 플랫폼 운영주체 등을 탐방,조사자료를 토대로 한국형 BOP비즈니스 플랫폼 모델을 제안

핵 심 요 약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5: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주제선정배경 - 원조와 구호 활동에도 줄어들지 않는 빈곤문제

세계 주요국들이 개도국의 빈곤을 퇴치하기위해 지난 60년간 투입한 원조 자금

2조 3000억 불

전세계 극빈층인구 27억 명

60년 전 전세계 극빈층인구 26억 명일반 빈곤층을 모두 포함하면 40억 명 이상

인구증가율을 고려해도 투입한 자금과노력에 비해 빈곤층의 감소는 미미한 수준

빈곤퇴치실패

요인분석성공

핵심요소경제교란

일시적효과

정치,사회불안정

자발적참여

빈곤층자립

지속가능성

“아프리카에 대한 자선원조는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아예 원조를 해주지 않는 것만도 못하다.” (담비사 모요, ‘Dead Aid-죽은원조’ 저자)

“원조가 자립 자조정신을 병들게 하고 개방개혁을 가로막으며, 시장경제 작동을 왜곡시키고 기업가 정신이 탄생할 토대를 무너뜨리고 있다.”

(시크와티, 케냐 경제학자)

“공여자 주도의 국제적 원조가 결국 많은 개발도상국의 역량을파괴하는데 공모자가 되고 있다.” ( 프랜시스 후쿠야마, ‘역사의 종언’ 저자)

기존의 무상증여 방식 원조는빈곤의 근본적 원인을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지님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6: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BOP Business 성공 - 빈곤 해결 및 기업성장

자립자립할 수 있는 기회와 토대를만들어주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원조’의 형태

지속가능성단순한 원조가 아닌 ‘자립’의 근본인‘지속’ 가능한 경제 자립

자발성일시적인 캠페인이 아닌빈곤층 당사자들의 자발적인참여 유도

새로운 시장 개척 및사회적 과제 해결 (CSV)*

*creating shared value

기본 원조자금과BOP 경제 자립의

시너지 효과

BOPBUSINESS빈곤 해결 기업 성장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7: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연간소득20,000달러 이상

연간소득3,000~20,000달러

연간소득3,000달러 미만

TOP

BOP(Base Of the Pyramid) 소득 피라미드의 하부를 이루고 있는 계층으로 1인당 연간소득 3,000불 미만으로 생활하는 경제적 빈곤층

전세계 약40억 명시장규모: 약 5조 달러

“Next Volume Zone”MOP 성장 가능성 지대

참고문헌: 빈곤층 비즈니스 현황과 시사점, 정후식, 한국은행 조사국, 2010The Next 4 billion, IFC and WRI, 2007

BOP란? BOP 비즈니스란?

“BOP계층을 원조의 대상이 아니라 미래의 잠재시장으로 간주하여 이들에게 필요한 제품이나서비스를 기존시장과는 다른 방법으로 제공함으로써 기업은 수익을 확보하고 아울러 빈곤층의후생수준도 높이는 비즈니스”

BOP 비즈니스의 잠재성과 기회

1 . 미래의 성장동력 확보세계적으로 BOP인구가 크게 증가, 구매력이 확대될 전망**성장잠재력이 큰 BOP 계층과의 접촉을 늘리고 자사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임으로써동 계층의 소득이 향상되는 시점에서 고부가가치 제품판매를 확대 기대

**선진국 인구는 2035년을 절정으로 감소로 반전되나 개도국 인구는 계속 증가하여 2010~2050년 중약 22억 명이 늘어나 세계인구의 86%(2050년 기준)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

2. 자원확보BOP 계층이 많은 남미, 아프리카 등에 진출함으로써 이들 지역에 매장되어있는광물과 에너지 자원을 선점하는 효과

3. 국제원조기관 등의 적극 지원밀레니엄 개발목표(MDGs)의 실현을 위해 UN 및 국제원조기관이 기업의 BOP비즈니스를 적극 지원함에 따라 사업추진이 유리

4.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실현더 나아가 기업의 이윤창출활동 자체가 사회에 공헌이 되는 CSV단계로의 발전.

BOP

LG 글로벌 챌린저 2015

MOP

주제선정배경 – 왜 BOP에 주목해야 하는가

Page 8: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왜 기업들은 BOP시장에 진출하길 망설여 하는가? - 선입견 BOP시장은 정말로 기업에 매력이 없는가? - 현실

1. 빈곤층은 구매력이 부족하며 기업이 진출하기 힘들다?

2. BOP시장은 기업의 장기성장과 활력에 중요하지 않다?

3. 빈곤층은 선진국에서 팔리는 제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4. BOP시장은 선진기술이 필요 없고 대가지불능력이 없어혁신의 출처가 되지 못한다?

5. 기업이 개도국의 부족한 사회인프라 및 의식개선 운동, 그리고 정부기관 및 NGO 등과의 협력을 모두 부담한다?

BOP시장을 미리 주목한 선진국들은 BOP시장 진출을 위해 정부-기업-NGO간의 원활한 협력을 위해 BOP플랫폼을 구축,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UNDP또한 밀레니엄 개발목표 협약을 통해BOP사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에는 이러한 비즈니스 플랫폼이 없다!

기저층은 성장성 높은 개도국의 중요 계층으로집합적, 개별적 측면에서 잠재력 높은 구매력을 갖고 있다!

UNDP(유엔개발계획)은 BOP시장을 넥스트 마켓(Next Market)으로 지칭. 선진국 중심의 수요확대가 이미 한계에 도달한 상황에서 BOP시장은 오히려 기업의 장기성장에 가장 중요하다 할 수있다!

BOP계층 또한 인간이 소비에서 보이는 질적 욕망에 대해 보편적인 반응이 실제 사례를 통해 드러났다. 이는 일반적으로BOP계층이 대기업의 질 좋은 물건을 사지 않을 것이란 선입견을 깨뜨리는 증거이다!

BOP시장에 진출할 때 전문가들은 ‘제로베이스’설계가 필수적이라 조언한다. 실제 시장에 진출한 기업들이 BOP시장의 제약조건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경영혁신은 물론 기술혁신까지 이뤄낸사례가 많다!

참고문헌: The Fortune at the Bottom of the Pyramid, C.K. Prahalad and Stuart L. Hart, 2001

False

False

False

False

False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9: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사례분석을 통해 BOP비즈니스 살펴보기 유니레버의 BOP 시장 진출 요점

상호협력, 네트워크 구축위생관념이 미비한 BOP계층을 대상으로대규모 NGO, 각 지방 NGO, 지방정부, 관련정부부처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인 손씻기 교육과 운동을 펼침

제약요인 극복이미 지역에 산재해있는 여성 네트워크와 연계,BOP계층을 직접 고용하여 방문판매 하는 형식으로 여성BOP 계층의 소득과 인권을 신장시킴과 동시에 유통문제를 해결

혁신BOP계층에 맞는 제품개발을 통한 기술혁신과시장제약요인을 극복하고 이윤을 창출하는 과정에서경영혁신을 이뤄냄

사회적 과제 해결과 이윤창출단일사업만으로 45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하였으며

사회적 이미지상승/ 브랜드충성도 확보/ 시장점유율 증가 효과를누리고 빈곤층의 건강개선/소득증대/인권신장까지 이뤄냄.기업의 이윤창출활동이 사회적 과제까지 완수한 대표적 CSV사례이자 BOP비즈니스 사례

참고문헌: BOP超巨大市場をどう攻略するか BASE OF PYRAMID, 2013, 고바야시노리타카

유니레버의 성공요인

1. BOP계층의 Needs 파악인도의 많은 BOP계층 사람들이 위생관념이 미비함설사와 호흡기질환등의 질병으로 사망하는 경우多

2. 지불 가능한 상품 서비스 제공기존 비누에 향균 기능을 강화해 기능을 개선한

$1 의 Lifebuoy비누를 출시

3. BOP 계층의 경제 자립 기회 제공현지 판매원(샤크티 레이디)를 통해 제품 판매하여

고용 창출 효과 및 판매 Network 구축

45억 달러 수익 창출5만 명 현지인 고용 효과

유니레버의 BOP시장 진출인도 BOP시장 진출을 통해인도상장 회사 중 시가총액 1위,인도 비누시장의 65%이상을 점유

Page 10: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인도BOP

정부, NGO

수익창출: 비누사업만으로 45억불 수익

기술혁신: BOP계층에 맞는 제품개발 통해 기술력 상승

시장선점: 시장점유율 65%기록

브랜드가치 상승: 기업이미지 상승, 높은 고객충성도 확보

건강증진: 설사로 인한 사망률 급락. 그 외 질병발병률 하락

소득증진: 샤크티 프로젝트 통한 BOP계층 소득상승. 의료비용지출 절감

인권향상: BOP 여성계층의 경제활동 참여로 여성인권상승이 두드러짐

빈곤탈출: 건강, 소득 증진 등으로 인해 빈곤층 자립율 상승

보건문제해결: 해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설사병으로 인한 사망 및 각종 질병예방을 성공. 직접적 의료원조가 아니었으므로 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

사회적 과제 완수: 빈곤층의 건강문제 해결, 소득증진, 빈곤탈출 인권향상

참고문헌: BOP超巨大市場をどう攻略するか BASE OF PYRAMID, 2013, 고바야시노리타카The business solution to poverty, paul polack, 2013Creating value for all, UNDP, 2006

유니레버의 BOP 비즈니스 효과 분석 – 기업 / 정부 및 NGO / BOP 계층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11: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BOP비즈니스가 가져오는 관련 주체별 메리트

BOP계층• 필요로 하는 상품&서비스 입수• BOP패널티 해소• 새로운 고용기회 창출에 따른

소득향상 등

국제원조기관, NGO등• 기업과 연계로 새로운 BOP계

층 발굴 및 지원• 기업의 기술 및 서비스이용을

통해 지속적 지원이 가능• 개도국의 사회적 과제 효율적

해결가능

BOP비즈니스가 초래하는 중 장기적 변화

BOP비즈니스는 실시 기업의 수익증대, 개도국BOP계층의 생활수준향상, 국제 원조기관 등의 사회적 과제목

표의 효율적 달성 등 Win-Win-Win형의 효과를 초래

정부 및국제원조

기관민간기업

관민관계

BOP

MOP

TOP

MOP

TOP

BOP

MOP

TOP

장래의 “볼륨존”획득 등 비즈니스기회 더욱 확대

BOP 비즈니스가 추구하는 궁극적 목표는 현재의 “빈곤형 피라미드"에서“부유형 펜타곤"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빈곤을 퇴치함과 동시에 기업수익 창출을 도모

참고문헌: 빈곤층 비즈니스 현황과 시사점, 정후식, 한국은행 조사국, 2010

BOP비즈니스실시

중기적변화

장기적변화

BOP비즈니스 실시 기업 및 국가

• 개발도상국의 소득향상 등에 따른 기업수익증대 및 자국의 경제활성화

• 새로운 시장의 획득•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확대• BOP지역에서 개발한 상품, 서비스를 국내

시장으로 역전개가 가능• 자국의 경제협력 인식도, 존재감 향상 등

Page 12: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그 외의 BOP비즈니스 사례 BOP비즈니스의 효과

자료출처: Grameen bank 공식 홈페이지

그라민 은행 (Grameen bank)

시멕스 (CEMEX)

자료출처: Creating value for all, UNDP, 2006CEMEX 공식 홈페이지

대한민국의 BOP비즈니스 현황

-2009년부터 일본정부가 BOP시장 진출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기 시작하자 한국도 정부차원에서 BOP시장에 대한 기본적 조사를 수행.--여러 기관에서 2010년~2011년 당시 BOP시장의 매력과 진출 필요성에 대해 역설 했지만 구체적 정책으로 실현되지는 않음-기업들은 BOP비즈니스에 대해 별다른 관심조차 보이지 않은 채 지나감.

(2010년 일본 정부가 적극적으로 BOP시장 진출을 지원하자 이에 반응해 한국의 정부 부처 및 경제연구소들이 BOP비즈니스에 대한 보도자료와 보고서를 발표했다)

세계적인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BOP비즈니스에 대해 아직 한국 기업들의 참여는 별로 없습니다. 그러나 BOP비즈니스가 갖는 여러 가지 의미를 볼 때 한국기업들도 참가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습니다. 개도국의 빈곤감소에도 도움을 주며 동시에 새로운 시장의 개척 의미도 있기 때문입니다.

-한인수 (아시아의 빈곤과 한국 기업의 역할 저자)

• 1983년 방글라데시에서 가난한 이들에게 소액대출을 위해 설립된 은행

• 빈곤층에게 담보 없이 대출을 해준다는 사업방식에 우려에도 불구결과적으로 99%에 이르는 상환율을 기록해 사업 확장함(現 전세계 2565개 지점 운영, 꾸준한 흑자 기록 중)

• 대출을 이용한 빈곤층 중 58%가 빈곤을 벗어나는데 성공

• CEMEX는 매출 210억 달러 규모, 세계3대 시멘트 회사의 멕시코 기업

• 결과적으로 월간 15%라는 경이로운 성장률을 기록하며 5억 달러 이상신규수요를 창출해 내는데 성공(BOP 계층의 적합한 제품을 개발 및 자금대출, 자금계획상담, 건축컨설팅 등토털서비스를 제공. 또한 지역사회와 협력해 ‘Patrimonio hoy’라는 마을단위의‘계’를 조직)

• BOP계층은 2007년까지 18만호의 자가주택을 건설함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13: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한국의 BOP시장 진출을 가로막는 제약요인

시장요인 정책적 요인

시장정보의 부재손쉽게 얻을 수 있는 선진국시장정보에 비해 BOP시장은진출기업이 1차 정보를 직접 구해야 하는 부담을 짊어진다

규제 환경의 부재빈곤층 시장에는 기업이 일할 만한 규제기능의 표준이 없음. 원칙이 통하지 않는다. 법적 시스템이 제대로 기능해야 비로소얻게 되는 기회나 보호라는 게 턱없이 부족하다

사회 기반시설의 미비전기, 상하수도, 도로, 병원, 공공서비스 등이 미비한 상황에서 기업은 이를 직접 극복해나가며 BOP시장에 진출 해야 하는 부담을짊어진다

금융서비스의 이용제한신용대출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가난한 생산자와 소비자는 금융투자도 대량구매도 불가능하다. 보험의 부재로 인해 예상치 못한 일에 자산과 수입을 보호받지 못하며 은행과 현금인출기 같은 은행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재정은 불안하고 비용도 많이 든다.

지식과 기술의 결여BOP계층 소비자의 경우 특정 제품의 사용방법조차 모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빈곤층 공급자, 유통업자, 소매상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지속적으로 양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유통시킬 지식과 기술이 결여되어 있을 수 있다.

Q. 기획재정부는 과거에 BOP시장 진출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한적이 있는데 현재 정부의 태도는 어떻습니까? 그리고 개도국의 빈곤문제 해결에 있어서 한국정부가 민간과 협력하여 진행하는 방향은 어떠합니까?

정부는 최근에 민간자금을 활용한 PPP방식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PPP 방식을 활용하면 단기적으로 정부재원을 적게 들이고도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도국 입장에서 유리한 점이 있는데, 문제점은대부분 개도국이 관심을 갖는 PPP 사업은 민간 입장에서 봤을 때는 별로 수익성이 없는 경우가 많아 추진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까지 개도국 사업 중에 PPP 방식은 많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현재로서는 정부에서 특정 사업에 돈을 빌려주면서 한국 기업 참여를 유도한다거나 하는 방식이 가장 전통적이고 일반적인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과거 BOP시장에 대한 정부의 보도자료는 민간에 대한 '정보제공'

적 성격의 보도자료로 직접적으로 정책을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BOP시장은 한국기업에게도 분명 매력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직접적 지원정책은 없는 상황입니다.

진입을 막는 시장제약요인과 이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정책의부재로 인해서 한국기업의 진출이 어려운 상황

기획재정부 사무관인터뷰(익명요구)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14: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제약요인 극복 대안

현지정부기관

시민사회CSO,

NGO, NPO

시장제약요인은 사실상 기업이 BOP시장에 진출하지 못하는 가장 직접적인이유이다. 이러한 제약요인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기업이 단독으로 BOP비즈니스를 성공시키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다만, 이러한 제약요인을 극복할 수있는 방법이 있는데 그건 바로 삼자체제를 통해서 BOP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다. CSO, NGO, NPO, 현지정부기관 그리고 BOP비즈니스를 하는기업의 이해관계가 일치하게 되면 각자의 역량을 활용해 제약요인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사례연구를 통해 보았던 유니레버나 CEMEX도이러한 삼자체제를 이용해 제약요인들을 극복하여 성공했으며, 이 외의 수많은 기업들이 삼자체제를 구축해 제약요인을 극복하였다.

하지만 기업 자체적으로 이러한 삼자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면 자본력, 시장경험, 교섭능력 등의 자체역량이 필요하다.

문제는 대기업을 제외하고 이 정도의 자체역량을가진 기업이 한국에 많지 않다는 것이다

기업

해답은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이러한 자체역량을 가진 기업이 많지 않은 것은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몇몇 나라들의 경우에는 기업의 규모에 관계없이 핵심역량을 BOP시장 진출에 쏟아 부어 성공을 거두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바로 제약요인을 극복시켜주는 비즈니스 플랫폼이 존재하기 때문이었다.

BOP BUSINESS PLATFORM

BOP시장행 승객: 기업체플랫폼 건설자: 정부

플랫폼을 통한 제약요인극복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15: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전문가 인터뷰 한국기업이 BOP시장에 진출하려면...

Interviewee 한인수 (아시아의 빈곤과 한국기업의 역할 저자)

Q. BOP시장 진출에 있어서 기업에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BOP비즈니스가 이루어지는 빈곤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기존과 같은 다른 기업을 파트너로 하는 것이 아니라 현지 기업가나 현지의 NGO와 효과적인 파트너십의 구축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Q. BOP 비즈니스에서 NGO와의 파트너십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우선 기본적으로 BOP비즈니스는 기업과 NGO의 협동이 필요한 비즈니스입니다. 대개는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의 과정에서 현지 NGO와 기부 등을 통해 협력하고 그것을 바탕으로BOP비즈니스로 발전해 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째, BOP 비즈니스를 위한 사업 니즈를 정함에 있어 진출기업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기보다는 현지 사정과 니즈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NGO의 힘을 빌리는 경우가 효과적입니다.

셋째, BOP 비즈니스는 개도국에서의 교육개발(사회, 계발교육을 포함)을 동반하게 됩니다. 그 사회교육에 의해 시장개발이 행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회교육의 수행을 위해서는 NGO 및 국제기구의 협력이 필수입니다.

넷째, BOP 비즈니스는 소위 사회기업의 창업과 연관됩니다. 그래서 교육과 사업개발을 통해서 개도국에서의 사회기업가의 육성을 목표로 합니다. BOP비즈니스에서는 현지 커뮤니티 농가나 소규모 생산자에 협동조합이나 NGO 등의 단체를 설립하고 그 단체와 장기적,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해서 생산자의 자립뿐만 아니라 커뮤니티의 개발을 도모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많이 택하게 됩니다.

다섯째, NGO와의 협동을 하게 되면 국제기관과의 연계 강화가 가능합니다. BOP 비즈니스의 수행을 위해서는 국제기관이나 자국의 원조기관과의 연계가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특히 유력한 NGO를 끌어들이려면 국제원조기관과의 연계가 불가결합니다. 국제기관과연계하는 것은 BOP비즈니스에 신뢰성을 부여하여 자금조달이 용이하게 되며 유력한NGO와 협동할 기회도 넓어지게 됩니다.

Q. NGO나 국제기관, 정부기관과의 연계가 필수라고 말씀하셨는데 기업이단독으로 진출할 수는 없습니까?

BOP비즈니스의 추진 주체는 물론 풍부한 경영자원을 지닌 선진국 기업이 되겠지만 기업단독으로 공략할 수 있는 BOP시장은 거의 없습니다. 기존의 시장과는 다른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국제 원조기관의 의한 지원, 현지 기업가나 NGO와의 파트너십이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Q. NGO나 국제기관, 정부 등의 기관이 기업에 협력할 동기가 있습니까?물론입니다. BOP비즈니스를 통해 세 주체가 나름대로의 목적실현이 가능합니다. 이러한관계를 삼중 윈(WIN-WIN-WIN)의 구도라고 합니다

BOP비즈니스에서의 NGO역할

1. NGO는 현지의 사정에 밝아 그들과의 협력은 현지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2. NGO는 동원력이 있는 네트워크가 있어 지역사람들의 협력을 얻기가 용이하다.3. NGO는 유통, 배달력이 있다. 즉 유저, 소비자에 직결되는 힘이 있다.4. 시장개발을 위한 계발, 교육활동의 전개력이 있다. BOP층 자신이 비즈니스의

담당자가 되기 때문에 연수의 실시와 인재육성이 가능하다. NGO는 인재를 발굴해 내 훈련, 교육하여 사람들을 비즈니스에 참가시키는 힘이 있다.

5. 정부, 국제기관으로부터의 지원의 획득 노하우를 갖고 있다.6. NGO는 비즈니스 컨설팅 능력이 있다. 즉 프로젝트 발굴력, 제품개발 자문 등

의 능력이 있다.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16: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Q. 저희는 조사과정에서 단일 기업이 BOP비즈니스를 수행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NGO, 정부, 국제기관등과의 관계를 구축해나가는 것은 매우 많은역량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BOP시장에 진출한 기업들은 이러한 관계를 모두 직접적으로 구축해나갈 만큼 역량 있는 기업들입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개별기업의 입장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아 참여단계에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지원정책을 통해 BOP시장에 진출했습니다.

Q. 정책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겠습니까?UN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정책적 지원에 대해 살펴보죠.

1. 유엔국제개발기구(UNDP)의 Growing Sustainable Business(GSB)프로그램UNDP는 UN산하의 기관으로 다양한 형태의 사회과제에 관여하고 있는 조직입니다. 이기관의 BOP비즈니스 관련 이니셔티브로는 포괄적인 시장의 개발(IMD)이라고 하는 전제방침하에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육성(GSB)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UNDP는 정보, 자금, 현지파트너 십을 제공하고 중개인으로서 민간기업과 개도국의파트너를 연결짓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2004년 시작이래 15개국에서 50건 이상의 프로젝트가 실시되었습니다.

2. 세계은행 그룹의 국제금융공사(IFC)국제금융공사의 설립 목적은 개발도상국에서 민간 부분의 투자, 융자를 지속가능한 형태로 촉진해서 빈곤감소와 인류의 생활수준 향상을 실현하는 것이며, 그럼으로써 세계은행의 활동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IFC의 BOP관련 이니셔티브는 BOP비즈니스를 행하는 기업에 대해 투자, 융자나 자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3. 미국에서의 USAID ‘PSA 프로그램’ 미국의 USAID(미국국제개발청)은 2001년부터 민간기업을 비롯하여 재단, 대학, NGO, 등과 연계하여 개발과제를 해결하는 PSA(private sector Alliance)프로그램을 실시했습니다. 자금 공여 이외에도 개발원조 경험과 노하우, 당해 정부 및 현지 NGO 등과의 네트워크를 기업에게 제공하고 지금까지 건강, 환경, 농업 등의 부문과 관련하여 마이크로 소프트, 코카콜라 등 약 1,800여개의 기업과 함께 900건에 달하는 연계 프로젝트를 실행하였으며 투자금액은 90억 달러 수준에 이릅니다.

4. 일본에서의 ‘BOP 비즈니스 지원센터’

가장 눈여겨봐야 할 사례입니다. 우리와 비슷하게 BOP비즈니스의 참여가 늦어졌던일본에서는 ‘BOP비즈니스 정책연구회보고서’에서 BOP비즈니스 참여단계에 있어 다양한과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업, NGO/NPO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BOP 비즈니스 추진 플랫폼(가칭) ’의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그 후 2010년 10월 경제통산성 산하에 ‘BOP비즈니스 지원센터(Japan Inclusive Business Support Center)’를 설립,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이 조직은 일본기업의 BOP 진출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조직으로 ‘BOP비즈니스 추진 플랫폼’ 구상에서 제시된 대로, 포털사이트에 의한 일원적(원스톱) 정보제공기능, 매칭(관계자 간의 연계 촉진)지원, 상담창구 기능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BOP비즈니스에 관심이 있는 기업들은 사업계획 검토단계, 사업화 단계, 사업확립 확대단계별로 필요한 정보와 지원책들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BOP 비즈니스 진출 시 실질적인 도움을 받게 되어 있습니다.

Q.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BOP시장에 진출 의미와 활성화 방안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에서는 BOP 비즈니스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 차원에서의 논의는 선진국에 비해미흡합니다. 특히 BOP비즈니스 분야의 진출은 미미하죠. 따라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BOP 비즈니스 진출을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시급한 상황입니다.BOP 비즈니스와 관련하여 정부지원이 필요한 배경은첫째,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 전개를 지원하는 의미에서 중요합니다. 둘째, BOP비즈니스의 진출을 통해 개도국에서의 빈곤 등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지원의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정책적 지원의 틀은 일본과 비슷하게 우선 BOP비즈니스를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원센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즉 BOP비즈니스 진출에 필요한 정보와 인적 네트워크를 조성해 줄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업과 국제기관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BOP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비즈니스 플랫폼과 같은 정책적 교두보가 필요하다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17: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목표설정 – 한국형 BOP비즈니스 플랫폼 건설

BOP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부, NGO, 기업 등의 유기적 협력의중요성 및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한국형 BOP비즈니스 플랫폼 모델을 수립한다

탐방중점 첫째

BOP비즈니스를 정책적으로지원하고 있는 기관에 방문하여정책수립과정, 정책진행, 결과등을 심층탐구하며 실제 정책이나 지원기관이 BOP비즈니스에관여하는 정도, 중요성, 메커니즘을 연구한다.

탐방중점 둘째

BOP비즈니스를 실행하고있는 기업체에 방문하여BOP시장 진출의 과정과 현황 등 BOP비즈니스 수행현장을 탐구한다.

탐방중점 셋째

BOP계층 지역이면서 ODA, PPP등의 각종 원조협력을받는, 그리고 NGO-기업-정부체제로 BOP비즈니스가이루어지는 지역 정부기관에 방문하여 삼자체제의 구성, 협력원리, 운영 메커니즘을 연구한다.

LG 글로벌 챌린저 2015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18: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탐방지역 및 기관

남미국가 선정이유

1. 아시아에 비해 국가별 언어, 문화, 관습, 생활양식 차이가 유사2. 위의 이유로 단일 시장으로 보았을 때 가장 큰 BOP시장 구성3. 표본지역 조사를 통한 자료를 남미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4. 모범적 BOP비즈니스, ODA등의 사례가 풍부5. 핵심 국제기구와 NGO등이 고루 분포하고 협력체제를 잘 갖춤6. 아시아 국가보다 한국기업이 BOP진출을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환경7. BOP비즈니스 플랫폼이 활발하게 작동하고 있음

페루리마(LIMA)- UN Complex 및 각종 BOP비즈니스 주체기업들이 위치찬차마요(Chanchamayo)- 주민들 대부분이 BOP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농업부터 금융업까지 다양한 직종에 BOP층이 분포. 한국과 각종 ODA, 기타원조 등의 협력이 많고 BOP사업이 활발

칠레산티아고(Santiago)남미의 경제정책, 상황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UN중남미경제위원회가 위치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19: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탐방지역 및 기관

탐방중점: 일주일간 시장님과 함께 사업 현장과 BOP지역에 직접 방문, BOP비즈니스에 관련한 정부기관-NGO-재단-기업의 연결 메커니즘과사업 진행방식을 배우고 빈곤층에 대한 자료수집 등을 중점적으로 수행정흥원 시장은 남미이주역사상 최초로 한국인 시장으로 선출되었다.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페루에서 수많은 빈민들을 도와왔기 때문에 ‘빈민의 대부’로도 불린다. 6년의 재임 기간 동안 수많은 ODA, 인프라건설지원, 빈곤 감소를 성공시켰으며 정부기관-NGO-자선단체-대학재단 등이합작하여 진행하는 빈곤퇴치 프로그램을 다수 진행하였다. 현재 진행하는 BOP비즈니스 관련 정책도 다수.

찬차마요 시청- 정흥원 시장

탐방중점: GSB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탐구하며, 국제기구의 관점에서 BOP비즈니스의 역할과 전망 등에 대해 취재

UNDP는 2008년 BOP시장을 ‘넥스트마켓’ 으로 지칭하며 BOP시장 공략에 대한 장편의 보고서를 낼 정도로 BOP비즈니스 지원에 적극적인 기관이다. UNDP는 밀레니엄 개발목표(MDGs) 달성에 공헌하는 민간기업의 사업을 지원하는 GSB(Growing Sustainable Business) 프로그램이외에도 현지정부와 관련 기관과의 조정, 시장조사, 기술협력 등 협력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유엔개발계획(UNDP)

탐방중점: 한국의 원조기관이 개도국에서 수행하는 원조시스템을 탐구하며 찬차마요 시청과 연계하여 탐방진행

KOICA는 1991.1.14 에 설립된 정부출연기관 '한국국제협력단 '으로 개도국의 경제발전을 지원하고 최빈국 주민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등 국제협력을 목적으로 설립된 정부 재정지원기관 이다. 현재 페루 찬차마요시와 협력해 빈곤층을 위한 병원건립사업을 하고 있으며 연세대-KOICA-찬차마요시청-지역병원 협력으로 빈곤층의 건강개선을 위한 보건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 PERU- 박인선 연구원

컨택 완료

컨택 완료

컨택 완료

탐방중점: BOP비즈니스를 진행하는 방법과 현지 NGO-정부기관-국제기구 등과의 협력 메커니즘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유니레버는 인도 뿐만 아니라 전세계 개도국에서 Sustainable living plan에 따라 BOP비즈니스를 진행 중이다.BOP비즈니스를 진행하는 방법, 철학 등에 있어서 가장 모범적인 기업 중에 하나로 손꼽힌다.

유니레버(Unilever) 페루 컨택 완료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20: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Mibanco 은행

탐방중점: 금융 분야에서의 BOP비즈니스 작동원리와 미치는 영향, BOP계층관련 자료 등을 수집한다.

Mibanco는 페루의 사회적 은행으로써 빈곤층에 특화된 금융서비스를 통해 소상공인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단순한 마이크로 크레딧과는 다른 분야의 대안금융 서비스를 주도한 은행 중 하나이며, BOP계층에 금융서비스를 지원해서 자립을도우면서도 높은 성장률과 재정건전성을 이룬 페루의 대표은행이다.

국내탐방기관*

담당자 조율 중

한국형 BOP비즈니스플랫폼 모델 구축

국내 정부기관*과 함께정책적 타당성 검토

최종 보고서 작성 및 배부

해외 탐방 후 Action plan

컨택 완료

UN 중남미경제위원회- 백승진 경제정책관

탐방중점: BOP계층을 포함한 남미 전반의 경제정책, 개발 등에 대해 탐구한다.

UN산하의 중남미 경제위원회는 중남미와 카리브해 지역의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경제발전 증진활동, 역내 및 역외 국가와의 경제관계 강화와 역내 사회개발을 증진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컨택 완료

LG 글로벌 챌린저 2015

Page 21: New 가난한나라는왜여전히가난한가lgchallengers.com/wp-content/themes/lg/images/global/PDS/... · 2016. 3. 28. · -2009년부터일본정부가bop시장진출을위한정책을적극적으로펼치

탐방일정

7월 22일 7월 23일 7월 24일 7월 25일 7월 26일

7월 28일

8월 1일 7월 31일 7월 30일 7월 29일

8월 2일

8월 1일 8월 2일 8월 3일

출국 페루 리마 도착 유니레버 방문 찬차마요로 이동

찬차마요 시청방문

ODA, 일반원조 분야 연구

KOICA 방문/리마로 이동(야간버스)

찬차마요 시청BOP 관련 2차 자료 수집/BOP비즈니스 주체 방문

BOP계층 지역방문1차 자료 수집

칠레-산티아고 이동UNDP 방문

귀국 찬차마요에서 코이카 방문을 제외한 모든 일정은정흥원 시장님 혹은 김규일 보좌관님과 함께할 예정입니다.

휴식 및 자료정리

UN중남미경제위원회 방문

UN중남미경제위원회 방문

LG 글로벌 챌린저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