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1. 1. 1. i) ii ) iii) iv) i) a) ( 1) aisin gurun da gebu nioi jy> 1: A) ( 2) hün tung giyang ni jai emu gebu helung giyang > 2: A) (3) ci dan gurun i unggu mafa Cl S lO >‘ A) :B b) (4) uji julgei su sin ba inu > 1: A) (5) nioi jy gurun dade moo hoo ci tucike > 1: A) -(6) du an san hüwang ho birai dalin de gurifì tehe > 1: A) a) c) , (7) tofohon fu , ninju juwe jeo bihebi > 1: B) (8) tere alin i ninggu de tamun gebungge omo bi > 2: B) (9) aga agambi > nimanggi nimarambi > eàun edumbi > talman talmambi > -1-

New 滿洲語의 格, 性, 數에 對해 서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85558/1/1. 2236794.pdf · 2019. 4. 29. · (43) aisin gurun da gebu>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滿洲語의 格, 性, 數에 對해 서

    홉洲語文法(其二)-

    崔 훌훌 根

    1. 格

    1. 1. 形뺑

    零形態에 는 i) 王格, ii) 列學格, iii) 呼格, 그라 고 iv) 덤 的格 等을 表示한다.

    i ) 主 格

    a ) 名詞(代名詞)와 代名詞(名詞)가 連接하여 前部는 主語部分을 그 後部는 述語部分을

    形成한다.

    ( 1) aisin gurun da gebu nioi jy> (金史一, 1: A) 金 國 의 原 名(은) 女 륨이 다.

    (2) hün tung giyang ni jai emu gebu helung giyang > (金史卷一, 2: A) 混 同 江 의 別 名(은) 黑龍 江이 다.

    (3) ci dan gurun i unggu mafa Cl S lO >‘ (違史卷 1: A) 좋~ :B 國 의 始 祖(는) 奇 首이 다.

    b ) 그러나 大搬는 主語(名詞)와 이를 說明하는 述語部分으로 連接한다.

    (4) uji julgei su sin ba inu > (金史一, 1: A) 꺼좀(는) 옛 홉협 慣 之 地 이 다.

    (5) nioi jy gurun dade moo hoo ci tucike > (金史一, 1: A) 女 륨 國(은) 原來에 蘇 輯 에서부터 나왔다.

    -(6) du an san hüwang ho birai dalin de gurifì tehe > (遺史一, 1: A) 홈B 養 山(은) 黃 河 江의 河빠 에 移住해서 살았다.

    以上 a) b)의 境遇에 있어서는 호格은 國語의 「은, 는」으로서 總對橋에 該當한다.

    c) 主語部分이 直接 動詞終止語와 連接한다. (主格 「이 , 가J)

    (7) tofohon fu , ninju juwe jeo bihebi > (金史一, 1: B) 十五 府와 六十 二 州(가) 있었다.

    (8) tere alin i ninggu de tamun gebungge omo bi > (滿洲實錄一, 2: B) 그 山 의 頂上 에 關門 이라 稱하는 옷(湮)(이 ) 있다.

    (9) 이 와 같은 境遇로서 다음과 같은 例도 있다.

    aga agambi > 비 (가) 내린다.

    nimanggi nimarambi > 눈(이) 내린다.

    eàun edumbi > 바람(이 ) 불다.

    talman talmambi > 안개(가) 내리다.

    (끼 다)

    -1-

  • 2

    targiyan targiyambi > 번개(가) 치다.

    (번쩍거리다)

    語學wf究 第12卷 第 1 號

    akjan akjambi > 우뢰(가) 울다.

    (雷聲하다)

    d) 特히 主語를 彈調하는 境遇에 는 이 外의 다른 方法으로 主格을 表示하기 도 하는데 1

    動詞語幹에 -ngge를 接尾해서 名詞化시켜서 主格을 表示하는 境遇도 있다.

    (10) g디nici mukten serenggel abkai banjibuha ten ba > (盛京眼 序)

    按컨데 奉天 이라하는 곳은 天 願 之地이라.

    (11) fonjihaηgge amba kai > (論 語)質問(이 ) 크 도다.

    (大 짧 問)

    (1 2) buhengge buhe, sangnahaηgge sangnaha > (金史一, 21: A) 줄 사람(은) 주고, 賞할 사람(은) 賞했다.

    e) “oci, seci"가 主格을 表示하는 投劉을 하는 境遇도 있다 (13) meni ere coohiyan gisun oci damu cohiyan bade teile

    우리 이 朝解 말 (은) 다만 朝蘇 땅에 서 만

    baitalambi > (淸語老ε大一, 7 : A) 쓴다.

    (14) bi seci3 han i fujin > (金史三, 24: B) 나 (는) 皇 E이다.

    (15) turi oci sahaliyan turi, orho oci jeku orho > (淸語老大一, 25: A) 콩 (은) 검은 콩이오, 짚 (은) 조 짚이다.

    f ) “mu“도 때로는 主格表示의 位置에 있다.

    (16) bi inμ daci bithe be majike tuwambi > (金三, 34: B) 나 (는) 原來부터 책 을 若千 읽 었다.

    (보았다)

    (17) ere jokü iηu meni mukün booi ningge > (淸老二, 2: B) 이 작도 는 우리 겨 리 의 접 것 이 라.

    (8) hülha de geleme jailahangge in상 bi > (金四, 8: A) f잃없§ 에게 캡먹고 피 하는 사람 (이 ) 있 다.

    g) 以上과 같은 諸關係로 因해 서 主語가 二重으로 되 는 境遇도 있다.

    1 이 와 같은 例로서 는 serengge가 第- 많다.

    2 그러나 “ocl”의 本然의 뜻은 主格하고는 좀 距離가 있는 形成이다. 다음 f7II는 이것을 分明히 한마

    { ~~띠 ningge oci emke de ilan jiha , ft빼니n ningge g탤育의 것 (01 염 ) 한7E 에 서 돈이 오 , 뼈紅色의 것

    { OC1 emke de juwe ]iha > (淸語老ε大 15 : A) (이 연) 한7E 애 두 돈이요. 3 이 境遇의 “seci"는 本來의 뭇은 r ...... 로 말할 것 같으연 , J 이 보다 正確하다. 4 이 “ inu" 또한 本來의 뭇은 r ...... 도 또한J , 또는 r ...... 이다J. r ...... 가 옳다」 等의 뜻으로 보는

    것이 보다 正確하다. { sini hendure댐e inu>(淸老 15 : A) 너의 말한 것(이) 옳다.

    { tubaci morin hidai ba iπu hanci > (同上)저기서 말 市 場 (도 또한) 가짱다.

  • 滿써{語의 格, 뾰, 數 3

    (19) geo yung cang yargiyan i dahahangge waka > (選史三)

    高 永 昌(이) 정말로 降服한 켜(은) 아니다. ^(이)

    (20) nioi jy gurun i niyalma du taisy sehengge terecÏ teribuhe> (金史一, 6: A)

    女 흉 國 의 사람들(이)都太師라고한것찮그때부터始作했다 ii) 列 擊 格

    主格과 同樣으로 「列塵格」의 格語尾도 零形態이 다.

    (21) sunja jing, tofohon fu , ninju juwe jeo bihebi > (金史一, 1 :_B) 五 京(과) 十五 府(와) 六十 二 州(가) 있었다.

    (22) julergi jurgan nikan gurun i niyalma , jeo hiyan, cifun alban , cooha morin weile 南 院〔은) 漢 나라 사랑(과) 1'1、l 縣(과) 租 租(와) 兵 馬 事

    be icihiyambi > (滿文 「大遺國史」 八, 25: A) 를 辦理한다.

    (23) sunja gurun serengge liyang gurun , tang gurun , jin gurun, han gurun, jeo 五 國 (이 라는 것은) 梁 國(과) 庸 國(과) 품 國(과) 漢 國(과) 周

    〔代)

    gurun inu > (金史一 2: A) 國 이다.

    iii) 호語가 A稱名詞나,Á.稱代名詞 또는 固有A名이 되는 혜는 呼格과 共通이 될 수 있

    다. 따라서 滿뻐語에서는 呼格 또한 零形態이다.

    (24) suwe coohai weile be ujeleme olhoso > (金史一, 47: A) rtI.等(은) 兵 事 를 重히하여 敬慣하라. 너이들(아)

    (25) age si aibici jihe > (淸老 1: A) 兄(은) 어다에서 왔는가. (아)

    (26) bira de morin i hefeli deri olome ilifi den jilgan jilidame hendume, 江 中에서 馬 題 에 풀이 닿도록 서서 高 聲 으로 뽑하여 말하되,

    bujantai simbe bi dain de jafafi wara beyebe uj i6. sindafi unggifi 布퍼泰(야) 녀를 내가 戰爭 에서 잡아서 죽일 몽올 샅려서 放免해서 보내고 ulai gurun de ejen obuha > (滿洲實錄三, 86: A) 烏拉 1 國 에 君主 되 게 했 었다.

    (27) gucuse suweni ilan nofi gemu ducibu > (淸老二)벗들(아) 너이 세 사람이 다 내라.

    iv) 目的格

    名詞가 或種의 動詞와 連接하게 되는 境遇에는 담的格을 表示하는 境遇도 있다

    (28) cooha baime unggifi > 軍土(를) 要請하러 보내 고

    (30) ehe tolgin tolgika bihe > 惡 夢(을) 꾸었었 다.

    (29) cooha ilifi > 軍士(를) 이 르쳐 서 (興師해 서 )

    (31) amba gung mutembi > t 功(을) 이를 수 있다.

    (32) duin feye bahafi > (以上 金史-에 서 ) 네곳에 傷處(를) 입고

    5 이 境遇는 零形態라커 보다는 目 的格의 省略이 라고 봄이 잦當하다.

  • 4 語學ltf究 第 12卷 第 1 號

    1. 20 i6, ni7

    格語尾, i, ni는 두 種類의 格을 表示할 수 있는데 , i) 持格 ii) 貝格이 다

    i) 엠 格

    a ) 持格은 그 使用例에 따려 다음과같이 區分할 수 있 다.

    @ 主語의 限定(33) cu wan niyalma> (34) wargi jing ni ba>

    배 사람 西 京 地方

    (船 員)

    (35) solgo gurun 、,\-oang> (36) irgen í nyialma> 高麗 國 王 百 姓

    (漢 民)

    (37) fe ice baìta> (以上 金史一에서) 新舊之 事

    (38) nikan i gisun> (39) coohíyan í níyalma> 漢 語 朝蘇 人

    (以上 淸語老E大-에 서 ) (40) weji aiman harga i goloi niyalma>

    商集 部族內期爾哈 省 A (41) monggoi bithe> (以上 滿洲實錄三)

    쫓古 文字.

    (42) hebe i amban> (回遭傳-)參贊 大ê

    p 主語의 領有(43) aisin gurun da gebu>

    金 國 의 原 名

    (45) tang taidzung han cooha> I흙 太宗皇帝의軍士

    (44) mini hala> 나의 姓

    (46) 1111 jang si hafan> 그의 長 史짧

    (47) terei harangga> (以上 金史一에 서 ) 그들의 屬下

    (48) meni mukün i booi ningge> 우리 親威 접의 것이라.

    (49) tere niyalmai jumanggi> (50) alban i gindana> (以上 淸語老ε‘大二에 서 ) 그 사람의 鍵뺨 官家 웠

    (51) 、,vang yun boode> (三譯總解-)王 充 의 집 에

    6 ri 的字之字. 又以字. 用字 此i字. 亦有聯흙在第-頭字尾 念f'F第二頭字音者- 與單用義同Joo. 淸文혈뚫卷三. r淸文助語虛字J (第六葉 A)

    7 rni 的字. 之字. 又以字. 用字 又9尼字. 짧字 乃뺑맺想像語혔 寶解標的點子J-淸文량쫓. 同上(第八葉 A) 持格이 나 具格表示의 境遇 ni는 -ng字 아례 에 使用펀 다.

    8 r的之以用皆觸iJ- (淸文虛字指南編)

    「的, 之」는 持格을, r以, 用」은 具格올 表示한다.

  • 滿써{語의 格. 性, 數 5

    @ 主語의 本質

    (52) aisin i umiyesun> (53) suje i etuku> 金 帶 銀 衣

    (54) wehe i peilu> (以上 滿文遺史二에 서 ) 石 牌

    (55) orhoi sektefun> (56) mooi susihe>(以上 淸語老ε大二에 서 ) 草 席 木 牌

    (57) seke silon da퍼>(滿뻐實錄三) ~皮~舍3利縣 훌 짧皮, 天鼠皮로 만든 外套服

    @ 主語의 數훌, 期間, 距離

    (58) juwe biyai ciyanliyang> (59) tumen moringga> 二個月(間의) 錢樓 萬名 (의) 騎兵

    (60) juwe tanggü cooha> (61) juwe hacin baita> 二 百(名) 의 兵士 種 의 事務

    (以上 滿洲實錄三에 서)

    (62) hontoho tumen hülhai cooha> (63) minggan hacin ilha> 半 萬 戰 兵 千 種 의 꽃

    (64) sunjaci ging ni erin>

    (以上 西閒記一, 二에서)

    (65) orin ba i dubade> 표 更 時 十 里 許에

    (以上 淸語老ε大二에 서)

    ii) 具 格

    (66) jiyangjiyün ubade ai baitai jihe> (金三, 37: A) 將軍아 여기에 무슨 얼로 왔는가.

    (67) ini galai waha uyun niyalma> (金 12: A) 그의 손으로 죽인 九 名은

    (68) helibu etehe hüsun i a bu wan i baci bosome> (金一, 11: B) 0J里짧는 戰觸한 餘勢 로 阿 不 흉흉 의 地方에 서 透聲하며

    (69) aini karulambi; erdemu i beyebe tasambi> (淸文혐흉) 무엇우로써 報答하리오 德 o 로써 폼을 닦는다.

    (70) galai jorimbi; yasai tuwambi> (以上 淸文虛字指南編)손으로 가르키 다. 눈드로 본다.

    (71) futai tatakú i muke be tatambí> (淸語老ε大二, 20: A,B) 새끼 두페 로 물 을 걷는다.

    iii) 格語尾 -i, -ni의 多樣{生(72) mini susihai joriha babe tuwame yobu sefi> (金史一)

    나의 馬觸(의) 가르키는 곳을 보면서 가라고 말하고 (이 )

    (2..로)

    “ mini susihai"의 “ i"는 主格드로도, 所有格£로도, 그리고 貝格무로도 解釋이 될 수 있다.

    (73) gemu niyaküra fì. tumen se i han seme hülame hengkilehe> (金史三, 18: A) 다 우릎끓고 皇帝 萬 歲 라고 煥呼하며 拜禮했다.

  • 6 語學wf究 第12卷 第 1 號

    안umen se han"은 「皇帝萬歲」라는 뭇이 나, 文字 그대 로는 「萬歲(의 ) 皇帝」로 되 고 寶

    質的A로는 「皇帝여 萬歲를 누리소서」의 뭇으로 되어서, 이 境遇의 “-i"는 「所願, 所쏠」을

    表示하게 된다.

    (74) lapui se geli inggu i tehe bade jifi> (金史一, 13: A) R없홉폼等은 다시 짧歌(가) 살던 곳에 와서

    (의)

    윗 “i"는 主格과 持格의 두 格을 表示할 수 있다.

    iv) 格語尾 -1, -nl가 省略되 는 境遇a) 윗 名렵의 末륨이 i 母흡인 境遇에 는 省略되 는 例가 많다.

    (75) ai jergi (i) bithe> (76) susai ( i) dorgi> 무슨 等級의 글 선버 中에

    (77) enenggi( i) dobori> (以上 淸語老ε大一에 서 ) 오늘 저녁

    (78) mederi ( i) baru9 abalambi seme genefi> (遺二, 6: A) 바다 로 符繼하러간다 고 가서

    (79) tulergi (i) yamun> (80) goroki hanciki (i) niyalma> (金史一)

    外 部暑 遠 近 民

    b) 熟語, 成語가 되 었을 境遇

    (81) alban (i) diyan> (82) sun ceng hoton (i) duka> 官 店 )1價 城 門

    (以上 淸老一에서 )

    (83) jase (i) irgen> (84) jiyedusy (i) hafan>

    邊境 民 節度使 官職

    (85) solgo (i) gurun> (86) ududu ( i) niyalma>(以上 金史一에 서 ) 高麗 國 數 名

    v) baru, emgi, adali , gese, songkoi , jalin 等에 上用되어서 -種의 複合格을10 形成한다.

    a) ..... . i baru ( 벨 向해서)-向方 (87) helibu geren baru hendume> (金史一, 12: A)

    쳤里짧는 여러사람 올 向해 말하되

    (88) bi gemun becen baru genembi> (淸老 1: A) 나 皇 城 부로 向해 가노라.

    (89) mederi baru abalambi seme genefi> (遺史二, 6: A) 바다로 向해 特獨한다 고 가서

    b) ..... . i emgi ( .. . ... 와 함께)-同伴

    (90) ugunai, holu i emgi genefi> (金史一, 5: B) 烏古週는 붐홈 와 함께 가서

    (91) hiya gurun i emgi> (金史-, 49 : B) 夏 國 과 함께

    (92) bi hüi i emgi suntuhuni g isureci (論語)나 回 와 함께 終 日토록 말하니

    9 “ baru"는 1 ..... . 로 向헤서 」로 되어 向格과 같게 된다. 10 이 境遇는 「後置詞」와도 哈似해 서 그 性格이 一:ìË치 옷하다

  • 滿洲語의 格, 性, 數

    c) ...... i adali, ...... i gese ( ...... 와 같이)-相似 (金史三, 4: B) 原來 와 같이 能히하면

    ’ (95) jeo gurun i taibe i adali gebu be akümbuki sefi> (邊二, 6: B) 周 國 의 taibe 와 같이 이릎 을 온전히 남기고자 한다하고

    ‘(96) emu beye i gese> (金史一, 46: B) 한 몸과 같이

    {97) juwe minggan hü jeku sindara ku i gese amban bihebi> (옳史一, 23: B) 千 웹의 數 슐 庫 와 같이 크게 있었다 .

    . r ...... 에 依照해 서 ] d) ...... i songkoi ( ...... 에 做此해서 }--比較

    l ...... 대로 」

    -(98) sung gurun i songkoi dololoci acambi> (金二, 13: B) 宋 國 에 依照해서 行禮하는 것이 마땅하다.

    ‘ (99) mini gisun i soη~gkoi oho kai> (金一, 26: A) 나의 말 대로 되었 도다.

    e) ...... i jalin [:::::켈 볍짧L原因 l ...... 로 因해서 j

    ( 100) amaga weile i jaliπ hendufi> (金一, 14: B) 後 事 를 위해서 말하되

    (101) ulin i jaliη de niyalma be waci> (金一, 22: B) 財겉훌 때 문 에 사람 을 죽이 연

    1. 3. dell

    “de"는 i) 與格12과 ii) 處格13 및 iii) 間時橋14과 iv) 向橋等15을 表示한다.

    i) 與 格

    (102) tentekengge minde ambula hihan akü> (金四, 5: A) 그와 같은 것은 나에게 크게 希뚱하지 않다.

    (103) juwe amban de cooha bufi> (遺二 2: A) 두 大닮 에게 軍土(를) 주어서

    (104) san. dung ji nan fu li halangga niyalma de uncaha> (淸老六, 1: B) 山 東 濟 南 府 李 哥 사람 에게 팔았다.

    ii) 處 格

    (105) liyoodung hoton dorgi de tehe wang halangga niyalma , (淸老六, 1-A) 遺東 城 內에사는王 哥 사람

    7

    11 r de 時候宇, 又地方字, 處字, 性字, 又給字, 與字, 又裡頭字, 上頭字.tE字, 於字•... '''J(淸文助語虛字一)

    12 r給字, 與字J(淸文助語虛字一)13 r地方字, 處字J(淸文助語虛字一)

    1‘ 「時候字J(淸文助語虛字一)15 r往字J(淸文助語虛字一)

  • 8 語學&다究 第12卷 第 1 號

    (106) bithe de henduhengge> (金一, 51 : A) 書 에 말하되

    (107) ding jeo hecen i ba de afa.fi gidaha> (違二, 2 : A) 定 州 城 에서 攻꿇해서 짧破했다.

    iii) 間時格

    (108) bi tofohon se de mujin tacin de oho> (論語)나 十五 歲 에 志、는 學問 에 있었다.

    (109) julgeci tede isidala> (金四, 11: B) 옛 날부터 現今에 이르도록

    (110) ere tumen jalan de isidara sain arga kai> (遺二, 4; B) 이는 萬 代 에 이르도록 좋의 計略이로다.

    iv) 向 格

    “de"는 處格이기는하나 보다 더 「向格」的인 性格이 彈한 境遇가 있다.

    (111) dailiyoo i sandg ìing hecen de gen얘> (金一, 43: B) 大遺 ‘ 의 上 京 城 에로(向해 ) 가서

    (112) cidan_ gurun de jimbi sere be> (遺二, 1: B) 좋끝와 國 에로(向해 ) 올 것이라는 것 을

    (113) sin 10 gurun de , nioi ji gurun de dosika> (遺二, 4: A) 新 羅 國 에로(向해서 ), 女 륭 國 에로(向해서 ) 들어갔다.

    v) 格語尾 “de"의 多樣↑生

    格語尾 “de"는 與處格과 間時格, 向格을 規示하는 外에 主格, 目的格, 同伴格等의 f生格

    을 띄는 境遇도 있다.

    (114) uba de bici tuba de sain, tuba de bici uba de sain> (淸文혐쫓卷三〕 여 기 에 있드연 저 기 가 좋고 저 기 에 있으면 여 기 가 좋다.

    여 기 “de"는 두 種類가 있는데 , 上記 文章의 前半部의 “ uba de"의 “de"는 單純한 處所

    格이 나, “ tuba de"의 “de"는 主格的 面을 띄 고 있 다. (後半部는 그 反對이 다)

    (115) cooha tucibu.fi wang du de afanjire jakade> (遺史二, 2: A)

    軍土 出兵시켜서 王 都 (에겔로) 攻擊해오 니

    (116) puhai gurun daci nikan de olhome> (選史二, 3: A)

    漸海 國은 처음부터 漢 밸) 두려워하여 以上 (115)의 “ wang du de"의 “de"는 向格( ... 에게로)과 目的格( ... 를)의 兩面을 表示하

    고, (16)의 “nikan de"의 “de"는 덤的格的 面이 보다 더 彈하다.

    (117) amban i doroi ulu de acaha> (金史四, 4: A)

    大民 의 禮로 ulu 쨌) 만났다 (1 18) boihoji de acaδ geneki> (淸老三 , 4 : A>

    主Á (어많1]) 만나고 가고자 한다

    上記 “ ulu de" 의 “de"와 “ boihoji de"의 “de"는 다 同伴格( ... 와, 과)로 解釋하는 것이 보

    다 더 )1圓調롭다.

    vi) 處所를 表示하는 副詞 dele , doro , tule, feji le, oilo等과 時候年月 日을 表示하는 語형윷

  • 滿洲語의 格, 性, 數 g

    다음에 는 “de"가 省略되 는 境遇도 있 다.

    (119) dailiyoo gurun kooli tuweri ten ineηggi han beye tai ninggude tafiIfi tR i: 大遺 國 의 法f용은 쪽 至 日 (에 ) 皇帝 親히 臺 上에 오르고 훌

    dele sektefi> (遺史三, 15: A) 위에 자리칼고

    上記 文章의 “ inenggi" 와 “ dele" 다음에 는 “ de" 가 省略되 어 있 다고 보는 것 이 쫓當하다.

    (120) taidzu Inl juleri bisire fodoho moo be niowenggiyen be gabtabure jakade> 太祖 그의 (앞에 ) 있는 柳 木 을 짧쳤銀 으로하여금 활쏘게 하니

    (滿洲寶錄卷二 34: A) 上記 “ juleri" 다음에도 “de"가 省略되어 있다고 보인다.

    (121) han isinara 0ηggolo ak디 oho> (金史-, 53: B) 皇帝 의 到達하기 以前(에) 죽었 다.

    1. 4. be16

    “ be"는 i) 單純한 目的格17과 ii) 若千의 多樣性으로 區分된 다.

    i) 目的格(122) han etuku be jafafi songkoro de> (金史三, 36: A)

    皇帝 의 衣服 을 잡고 痛哭할 때

    (123) ubai muke tatara adali muke be tatambi> (淸老三, 2: A) 여기 울 걷는것과 같이 물 을 걷는다.

    (124) muse gabsihiyan cooha be sonjofi> (遺史二, 27: B) 우리가 先錢 軍土 를 選擇하고

    ii) 格語尾 “be"의 多樣性

    a) 主 格

    (125) meoliyanghü be nimbi seme donjifi , tuwaname geneme, han lSInara onggolo>

    宗雄 〔휠) 病알른다 고 듣고, 보려 가서, 皇帝 의 到達하기 前애 meoliyanghü akü oho> (金史-, 53: B) 宗雄은 죽었 다.

    (126) gung bahangge be udu aha same wesihun obumbi> (金史一, 26: A)

    功을 얻은 者 (활)비록 없懷 이라도 貴하게 되게한다 (127) taidzung han be soorin be siraha seme urgun i doro jihe> (金史二, 7: A}

    太宗 皇帝 (홀) 帝位 를 繼承했다 고 쩔 禮 로 왔다 (128) darhan hiya be ak디 oho seme donjifi> (滿쐐實錄卷七)

    達爾漢 輔 (흘) 죽었 다 고 듣고 조記 文章 中의 “be“들은 主格的 面을 지니고 있는 것도 事實이다.

    b) 使 投

    (129) JUl simbe18 abka facuhün gurun be dasame banjikini seme banjibuhabi> 아들아 너로하여금 하늘이 亂 國 을 다스리며 살라 하고 出生케했다.

    (滿앤{實錄卷一)

    16 rbe 把字, 將字, 也字, 又以字, 用字, 又使子, 令字, 敎字, 聯用單用但可 ...... J (淸文助語虛字 6)l 17 r把字, 將字」

    18 r使字, 令字, 敎字」

  • 10 語學liff究 第‘ 12卷 第 1 號

    (1 30) taidzu ini juleri bisire fodoho moo be niowenggiyen be gabtabure jakade> 太祖 그의 앞에 있는 柳 木 을 쫓표청鏡 으로하여금 활쏘게하 니

    (滿洲實錄卷二 34: A)

    (131) tese be emu fiyelen arabuha> (淸文뽑쫓卷四, 25: A) 그플 로하여금 一 編 을 쓰게했다.

    以上 (129) , (130) , (1 31)의 諸文章의 “be"듣은 덤的格과 同時에 使沒(…로 하여금) ..2..로

    도 解釋될 수 있다. 特히 그 “be"를 받는 動詞의 語幹에 使投의 -bu-가 揮入된 境遇에는

    r ... 로 하여금」으로 解釋하는 것이 順調롭다. c) 具 格19

    (132) ai be fulehe da obumbi> (淸文땀쫓三 6: B) 무엇 으로써 根 本 을 삼을 것인가?

    上記 “be"는 팀的橋과 同時에 貝格( ... ..2..로써 ) 의 性橋을 띄고 있다.

    iii) 팀的格語尾 “be" 가 省略되는 境遇(例는 ( 1.1) r零形態」中 iv) 담的格條 彦照)

    Y폐-洲語에는 目的格의 省略이 許多히 많기 때문에 或은 이것은 零形態인가도 疑心이 되기

    도 하나, 原則的A로는 g的格 “be"의 省略이겠ξ냐, 次次 零形態로 化石化된 것으로 보인

    다.

    1. 5. ci20

    格語尾 “ci"는 i) 單純한 聲格21과 ii) 比較格22(…보다)를 表示하고, iii) 由來格23( ••• 로 부

    터, r時間과 場所에서」 自, 從, 由)等을 表示한다.

    i) 짧格( ... 에서부터에게서부터 )

    (133) aisin Ci24 ubasafi , sung gurun de dosika> (金史四, 14: B)

    金 에게서 背쨌하고 朱 國 에로 들어갔다. (올)

    ( 134) ere buda ci emu moro tamame tucibufi> (淸老三, 9: B) 이 밥 에서 한 사발 담아 내게해서

    (135) te jurgan ci dere eshun niyalma be ume halbubure seme> (淸老三, 20: A) 지금 官廳에서 낯 선 사람 을부치 지 말라 하여

    ii) 比較格

    (136) ebihe de emu hiyase bele bahara ci wesihun> (淸老三, 11: A) 배 부를 때 한 말 쌀 얻은것 보다 貴하다.

    (137) ninggun jergi ci fusihün hafan be> (金史四 , 15: A) 六 級 보다 얄은 官員 을

    (138) juwe biya de, cin wang ci f usihün loho ashafi han i gung de dosire be 月 에 棄 王 보다 下位(官員)은 메 刀하고 皇帝 宮 에 들어오는것 을

    19 r以字, 用字」

    20 r ci 如字, 若字, 則字, 又自字, 짧字, 又離字, 又比字, 又是字, 在字尾聯用, 乃結上起下, 未然、Z語」이펌文助語處字 13)

    21 r離字 ... J 22 r比字 ... J 28 r 自字, 維字, 由字」

    2. 이 境遇의 “ci"는 目的格짧劃도 한다.

  • nakabuha> (金史三, 3: B) 禁止했다.

    iii) 由來格

    滿洲語의 格, 性, 數

    (金史三, 12: A) 그때부터 大ê. 賢A들이 柱切했다.

    (140) tulergi ci jidere niyalma boigoji akü oci bisirakü (金史四, 5: B) 外部 에서 오는 사람이 쫓 없을것 같으면 許可하지 얀했다.

    (141) cimahaci nakaki sefi geli omiha> (金史三, 10: A) 明日부터 그만두겠다 고 하고 또다시 마셨다.

    2. 性

    1!

    滿VH語에 있어서도 다른 알타이諸語에서와 同樣으로 「文法的 性」은 存:tE하지 않는다. 다

    반 語쫓로서만 「自然性」을 區~Ij할 따름이다.

    〔例J jui (子, 아해, 어 린애, 아들)

    그러 나, sargan JUl (말, 女兒, 娘, 處女)

    jui, 또는 haha jui (사내 아이 , 아들, 子)

    그러나 自然、性올 區別하는 語棄構成에는 若千의 法則이 있는 것 같다.

    i) 郞 그 하나는 「母흡의 對立」으로 區別하는 方法이 다.

    다음은 母홉 [aJ는 男性, 母룹 [eJ는 女性에 使用되어서 自然性을 區別하는 語養를 構成

    한다 25

    [aJ

    ama (父)

    .amha (文Á)

    haha (男)

    .amaJ‘a (뚫, 시 아버 지

    .dehema (據父)

    .amila (雄-鳥類)

    ganggan (陽姓)

    a (陽)

    [eJ

    eme (母)

    emhe (文母)

    hehe (女)

    emeke (站, 시어머니)

    deheme (購母)

    emile (雖)

    genggen (陰姓)

    e (陰)

    이 外에 도 物件이 나 擺念의 련월弱,

    tampin (술, 차명 ) 大小를 表示하는데 使用된다.

    hadai (쐐기)

    .aihüma (자라)

    .dalan (말의 목부분)

    habtaha (男子用 허 리 딱 )

    a: e 母륨對立外에 도 0: u/ a: u 母륨對立에

    [oJ

    jojin (孔옳의 別名)

    bokto (꼽추, 點背Á)

    tempin (花組)

    hedei (쐐 기 구맹 )

    eihume (거 북)

    delen (동물의 젖부분)

    hebtehe (女子用 허 리 딱 )

    있어서도 若千씩은 發見된다.

    [uJ jujin (同)

    buktu (꼽추, 龜背Á)

    25 Zaxarov 1879 : 118"'119; M이lendorff 1892. A Harmony of Vowels; 崔轉根 1973 : 6 참조.

  • 12 를홉學JiJf究 第 12卷 第 1 號

    [aJ

    tarbalji (鳥名, 團觀)

    akdan (信賴, 寄賴)

    ii) 接尾解로 姓을 區別한다.

    atu (魚類, 숫놈)

    ambuma (大據父)

    buka (후, 雄)

    sabitun (觀)

    efu (뼈-夫)

    iii ) 子홉差에 依해 서 性을 區別한다.

    gimsu (藉, 雄)

    mafa (祖父)

    küca (山후, 雄)

    cibirgan (핸隻)

    iv) 全然 別個의 語좋로 性을 區別한다.

    indahün (狗, 大)

    tasha (虎)

    ihan (牛)

    lefu (熊)

    buhü (뾰)

    sirga (屬, 노루)

    seke (紹)

    ulgiyan (짧)

    "

    "

    [uJ

    turbelji (鳥名, 罵)

    akdun (堅固한, 信寶한)

    i뼈

    atuha (소, 암놈)

    ambu (大淚母)

    buca (同, J雄)

    sabintu (嚴)

    eyun (뼈)

    bimsu (同, n밟)

    mama (祖母)

    güca ( 同, Jt堆 )

    sibirgan (班點이 있는 cibirgan)-

    {ajirgan, ajirharl (雄狗)enihen, eniyehen (J唯狗)

    {muhan (雄虎)biren , *birin26 ( J維虎)

    {muha§an (삼牛)

    uniyen, *eniyen27 (tt牛){sati (大熊, 堆)nari (大별빼)

    {mafuta (많 , 雄)

    iolo (同上, Jil1t) {;따rg맹atu 용얘ar꺼싸ka따tt펌l

    fωomyo애o (同上, Jt빠땀ψ )

    {「「Iωun맨g잃g맑u , 률치ltωur빼1I a없ih바。, eihu seke (紹 , J뼈)

    {aidagan, 융uldun (鋼, 雄)

    sakda (同上, !1m)

    {taman (불친 錯, 雄)

    mehe (同上, Jil1t)

    {~비du (牙짧, 雄)mehen (同上, ~)

    26 *標는 「滿漢類뽑」에는 보이고 其他휩籍에는 보이지 않는 語形.27 “eniyen"은 浦漢類書에는 r~t牛」로 되어 있으나, 淸文鍵等에는 「雄 KandahanJ으로 되어 있으며,

    Kandahan은 「麗類」로 說明되 어 있다.

    28 韓模淸文옳의 記錄에 依함. 同뽑 p. 425.

  • nailun (水觀)

    滿써{語의 格, 性, 數

    {aIgin (水觀, 雄)

    uki (同上, 雖)

    ronon (黃후, 雄)jeren (黃후)

    Isirhacin (同上, 얀)

    ‘以上과 같이 動物名과 그 H ‘ 감의 名稱이 各各 다르게 되어 있다. 이에 比해서 A稱에 있어서는

    ahün (兄)

    deo (弟)

    efu C=훨兄)

    meye (妹夫)(쫓妹之夫)

    eyun (뼈)

    non (妹)

    keke (쫓뼈í)

    basa (쫓妹)

    等을 들 수 있으나, 이 中에는 漢字語 由來도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사람」의 境遇에는 -般的부로 “haha"는 「男子」이고, “hehe"는 女子이다.

    13

    또 鳥類의 境遇에는 "amila" , “emile" 를, 動物의 境遇에는 “haha gurgu" , “hehe gurgu"

    로 區別한다.

    3. 훌 「數」에 있어서도 滿洲語에 있어서는 다른 얄타이諸語처럼 分明한 表示가 없다.

    emu niyalma, juwe ihan, ilan morin , duin temen , A 牛 二[9, 馬 三마, 路曉 四따,

    ninggun tumen sunja minggan nadan tanggü jakünju uyun moringga cooha.

    六萬五千 七百八十九騎 兵

    i) 다만 複數表示 接尾解가 있어 그 複數임을 表示할 수 있을 따름이다.

    -複數表示 接尾解에는 -sa, -se, -si , -so, -ta , -te, -ri 等이 있다.

    -sa; ambasa; hafasa; nikasa; bayasa; sakdasa; wangsa; andasa; morisa

    大폼들, 官員들, 漢A들, 富者들, 홉老들, 王等, 客들, 말들

    -se; gegese; beile se; uruse; juse29 ; aguse30 ; gucuse; mergese; irgese 누념들, 貝動等, 며느리들, 아들을, 兄들, 親舊들, 學士들, 百姓들

    -si; omosi; hahasi; ahasi; hehesi; asihasi; hojihosi 子孫블, 男子들, 없{쫓들, 女子을, 少年들, 사위들

    -so; monggoso; solhoso; giohoto so 豪古A을, 高麗人들, εA들

    -ta; ahüta; amata; sargata; amjita; sefuta; tehemata; asihata; unggata 兄들, 아벼지들, 쫓들, 伯父들, 스승들, 據父들, 少年들, 年長者들

    -te; emete; eshete; uhumete; deote; efute; meyete; eigete; ejete 어 머 니 들, 뼈父들,ili'{母들, 아우들, 빼兄들, 妹夫들, 男便들, 主A들

    앙9 jui+se>juse 30 agu(兄)은 -se , -sa 兩形이 接尾될 수 있다. 이 와같은 例로 urun (子歸)>urusa , uruse; nakcu (母의 兄弟)>nakcuse nakcute; sargan(쫓) >sargata , sargate; hahaC男子)>hahasa , hahasi; gioro(淸朝六祖의 子孫)> gioroso, giorose

  • 14

    -rμ mafari; mamari 祖父들, 祖母들

    語學1iFf究 第 12卷 第 1 號

    ii) 이 外에 도 be, sei , jergi, sei jergi 等을 接尾시 켜 서 複數表示를 하는 境遇도 있 다.

    (142) -sei; aliha bithei da ortai sei gingguleme wesimbuhe

    (43) be;

    大 學 土 웹爾泰 等 護 題

    amban be baicaci ê 我等훌 HP

    (144) jergi 1 _ jabsaha ufaraha jergi baita> (大遺國史 序文)i jergiJ ’ 得 失 等 事

    eture jetere jergi jaka> 衣 食 等 物

    hanci goro i jergi ba> 近 遠 等 處

    (145) sei jergi; walugu sei jergi ambasa> (金史-, 40: B) 휩!): :홈古 等 大많等

    julergi dzaihiyang siyoo tang gu sei jergi ambasa> (週史七, 4: B) 前 宰相 蕭 等 大닮을

    yelioi cala sei jergì ambasa> (同上)耶律 等 大닮等

    iii) 回, 度, 찮, 次, 週, 遍, 種, 第等을 表示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語暴를 使用힌다”

    (146) mudan (回, 次, 遍, 週)

    sunja mudan; udu mudan; ilan mudan 五遍,幾回,三 次

    (147) mari (回, 遍, 度)emu mari; tanggü man; 一 回, 百 度(回) ,

    emu jergi be emu mari sembi> (消文盤 ; 散語類)遍 을 - 回 라고한다.

    (148) -dari; (每, 遍, 핍) mudandari; inenggidari; erindari;

    每遍, 每 日, 每時,

    tereci aniya dari; afaha dari> (金四, 10, 15: B) 그때부터 每 年, 攻擊時 마다.

    (149) -geri; (次 , 핍, 遍)

    emgeri; juwanggeri; ilanggeri; emtenggeri; emu udunggeri -次, 一遍; 十次, 十遍; 三次, 三遍; 各一次 ; 數次, 幾遍

    (150) tome; (每)niyalma tome; hoton tome; gasan tome; 사람 마다 每 城, 每 村,

    每 A (151) hacin; (種, 項, 件, 樣)

    sunja hacin; u1in hacìn 五 種(件) ; 財貨類

  • 滿?JH語의 格, 性, 數

    (152) “ aname" 亦是 「每」字意로 使用되는 境遇도 있다.

    hergen tome gisum aname> 每 字 每 句

    iv) 語棄를 重壘해서 複數를 表示한다.

    15

    (153) güsa g디sa; gasan gasan~ meni meni; hacin hacin; uksun uksun; ba ba; ai ai 各 雄, 많은 村, 各 各, 各 種, 여러 族屬, 各 處, 各樣 各色의

    jaka; golo golo de unggimbi> (金四, 6: B) 物件, 여러 省 £로 옮겼다.

    또는 同意語를 重壘해서 複數表示를 한다.

    (154) baita sita; juse dasu; gasha cecike; ulha ujima 事 事, 兒 子等, 鳥 類, 家 좁

    v) eiten , gemu , geren, tumen, tanggü, yaya , udu , ududa , yooni, labtu , niyalma , urse等

    의 語좋가 다른 名詞와 連해서 複數表示를 한다.

    (155) eiten baita (jaka); irgen gemu 一切 事件 (物件), 百姓 全部

    (156) geren niyalma (haha); tumen jaka (arbun) 聚 Á (男) , 萬 物 (象)

    (157) tanggü hala (hafan) ; yaya kooli (baita) 百 姓 (官), 凡 例 (事)

    (158) udu minggan moringga cooha; ududu niyalma 幾 千 의 團 兵, 許多 A

    (159) !abtu l1iyalma (jaka) ; yooni agüra (jugün) 許多 人 (事物), 全 器貝 (路)

    (160) coohai niyalma; boo (tacire) urse 兵土 들, 家 族들 (學生들)

    (繼續)

    참고문헌

    1. 崔聽根, 1975. 滿洲語 造語法 짧究. 서 을대 학교 교양과정 부 인문사회 과학 제 5접 .

    2. 滿漢字淸文뺨豪(舞格 著述, 程明遠校햄, 獲正八年(1730J刊行)中 卷三 「淸文助語虛字J.

    3. 淸文虛字指南編(훔田萬福著, 光續十一年[1885J , 京都隆福좋鏡古堂書행햄行) .

    4. 淸書指南(大淸全書) 附錄 ; 훌東沈혐亮弘맺民輯, 康熙二十-年0682J 刊) 中 卷三 r職

    淸虛字講約J .

    5. 字法學-歌(金州隆泰R田徐民著, :J\':諸十-年(1885J , 文寶堂刊) .

    6. 淸文備考(長白載戰式似ES著, 康熙六十-年(1722J刊)中 第-卷 「虛字講約J.

    7. 淸文接字(힘洛峰著, 同治三年(1864J , 京都隆福좋路南 聚珍堂줄행棒行) .

    8. 淸文指要(三合便魔 附錄, 乾l逢四十五年0780J刊) .

    9. von Möllendorff, P .G. 1892. A Manchu Grammar. Schanghai. 10. Zaxarov, Ivan. 1856. Grammatika Man ‘ curskaya. Sankt-Peterburg.

  • 16 語學liff究 第 12卷 第 1 號

    ABSTRACT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Case, Gender and Number in the Man-

    churian Language.

    Hak-k ì1n Choe

    In the Manchurian language, we can find severaI morphemes which signify the case ending. That is, (1) zero-morpheme, (2) i , ni, (3) de, (4) be, (5) ci.

    (0 zero-morpheme signi.fies several case endings; A) Nominative, B) Enumerative, C) Vocative, D) Objective.

    (2) i , ηi signify two kinds of case endings; A) Genitive, B) Instrumenta l. (3) de signifies; A) Dative, B) Locative, C) Interval, D) Directive. (4) be; A) Objective.

    (5) ci; A) Ablative, B) Comparative, C) Departure. In short, the Manchurian Case endings manifest very comp\icated aspects. As for Gender in the Manchurian language, there is no grammatical gender but there

    exists only “ natural gender". E.g. haha jui (son) ; sergan jui (daughter) .

    However, it seems there have some rules to discriminate the natural gender. That is, 1) alternating the vowels (a: e) , 2) affixing the suffixes, 3) with the dissimilarity of con-sonant , etc.

    The same thing can be said with the “ Number". There is no manifest designation

    for the Number in the Manchurian language. But a considerable number of plural suffixes

    signify plural numbers.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럼동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문학과

    ‘(점 수 : 1976. 4. 13)

    滿洲語의 格, 性, 數에 對해서1. 格2. 性3. 數참고문헌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