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2019. 11. 21 기술분석 2019-128 이 보고서는 코스닥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 확충을 위해 발간한 보고서입니다. 기술분석보고서 GS홈쇼핑(028150) 소매 요약 기업현황 산업분석 기술분석 재무분석 주요 이슈 및 전망 고객 및 협력사와의 상생을 추구하는 국내 1위 홈쇼핑 기업 ■ 본 보고서는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통한 자본시장 혁신방안」의 일환으로 코스닥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 확충을 위해,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의 후원을 받아 한국IR협의회가 기술신용평가기관에 발주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 본 보고서는 투자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제공되는 것입니다. 또한 작성기관이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 임하에 종목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보고서를 활용한 어떠한 의사결정에 대해서도 본회와 작성기관은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 다. ■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산업테마보고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산업테마보고서는 발간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간 중이며, 현재 시점에서 해당기업이 속한 산업테마 보고서가 미발간 상태일 수 있습니다. ■ 본 보고서의 요약영상은 유튜브로도 시청 가능하며, 영상편집 일정에 따라 현재 시점에서 미게재 상태일 수 있습니다. ■ 본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한국기업데이터(주)(TEL.02-3215-2497, [email protected])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기업데이터(주) 강귀석 전문위원 작 성 자 작성기관 요약 영상 보러가기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2019. 11. 21기술분석 2019-128

이 보고서는 코스닥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 확충을 위해 발간한 보고서입니다.

기술분석보고서

GS홈쇼핑(028150)

소매

요 약

기업현황

산업분석

기술분석

재무분석

주요 이슈 및 전망

고객 및 협력사와의 상생을 추구하는 국내 1위 홈쇼핑 기업

■ 본 보고서는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통한 자본시장 혁신방안」의 일환으로 코스닥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

확충을 위해,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의 후원을 받아 한국IR협의회가 기술신용평가기관에 발주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 본 보고서는 투자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제공되는 것입니다. 또한 작성기관이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

임하에 종목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보고서를 활용한 어떠한 의사결정에 대해서도 본회와 작성기관은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

다.

■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산업테마보고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산업테마보고서는 발간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간 중이며, 현재 시점에서 해당기업이 속한 산업테마

보고서가 미발간 상태일 수 있습니다.

■ 본 보고서의 요약영상은 유튜브로도 시청 가능하며, 영상편집 일정에 따라 현재 시점에서 미게재 상태일

수 있습니다.

■ 본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한국기업데이터(주)(TEL.02-3215-2497, [email protected])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기업데이터(주) 강귀석 전문위원작 성 자작 성 기 관

요약 영상 보러가기

Page 2: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1

소비자 중심의 국내 홈쇼핑 시장점유율 1위

기업

▶ 국내 최초의 홈쇼핑 선두업체

▶ 상품선정 및 방송편성 프로세스 구축에 의한 공정 경쟁 및

협력사와의 상생 추구 기업

▶ 소비자 중심 경영 체계 구축 기업

GS홈쇼핑(028150)

시세정보(11/14)

현재가 151,800원

액면가 5,000원

시가총액 9,962억 원

발행주식수 6,562,500주

52주 최고가 203,100원

52주 최저가 145,500원

60일 평균 거래대금 14.4억 원

60일 평균 거래량 9,368주

외국인지분율 55.41%

주요주주

㈜지에스 36.10%

투자지표 (억 원, IFRS연결)

구분 2016 2017 2018

매출액 10,978 10,863 11,044

증감(%) -2.20 -1.05 1.67

영업이익 1,264 1,413 1,368

이익률(%) 11.51 13.01 12.39

순이익 1,058 1,027 1,339

이익률(%) 9.64 9.46 12.13

ROE(%) 11.19 10.10 12.46

ROA(%) 8.15 7.38 9.50

부채비율(%) 39.35 33.96 27.91

유보율(%) 2,967.53 3,243.27 3,526.11

EPS(십원) 1,611 1,568 2,042

BPS(십원) 15,980 16,847 18,042

PER(배) 10.67 13.83 8.80

PBR(배) 1.08 1.29 1.00

[그림 1] 지에스홈쇼핑

*출처: 지에스홈쇼핑

인터넷, 모바일, 데이터 홈쇼핑 채널 등 다양한 채널과 판매전략을 보유

하고 고객 만족 및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추구하는 기업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이하 ‘동

사’)은 홈쇼핑프로그램 공급사업,

홈쇼핑프로그램의 기획, 제작 및 이

에 따른 상품의 유통, 통신판매 등

의 사업을 영업목적으로 1994년

12월 23일 ㈜한국홈쇼핑으로 설립

되었다.

동사는 1995년 8월 1일 홈쇼핑 TV방송을 개시하였고, 2000년 1월

20일자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으며, 2005년 4월 상호를 'LG홈쇼핑'

에서 'GS홈쇼핑'으로 변경하여 지금까지 인터넷, 모바일, 데이터 홈쇼핑

채널 등 다양한 판매채널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상품을

공급하고 있다.

동사는 대한민국의 쇼핑문화를 창조하고 국민생활의 질을 높여온 국내

최대의 온라인 유통 전문기업으로, 동사의 최대주주는 ㈜지에스로

2018년 12월 31일 기준 주식수 2,368,900주, 지분율 36.10%이며(전

년 대비 변동 없음) 동사의 사업부문은 TV쇼핑, 모바일쇼핑, 인터넷쇼

핑, 카탈로그쇼핑 등이다.

동사는 동사를 제외한 4개의 종속회사(비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연

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콜센타사업

((주)GS텔레서비스), 중국 도소매업(GS구(상해)상무유한공사) 및 온라

인쇼핑((주)텐바이텐)과 투자 및 컨설팅사업(GSLL, Inc.)이 있다.

[표 1] 최대 주주 및 연결대상 종속회사

최대 주주 지분율(%) 연결대상 종속회사 지분율(%)

㈜지에스 36.10

㈜GS텔레서비스 100

GS구(상해)상무유한공사 100

㈜텐바이텐 79.99

GSL LABS, Inc 100

*출처 : 사업보고서처: 사업보고서

Page 3: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

주요 사업분야 : TV쇼핑,

모바일, 인터넷, 카탈로그 등

[그림 2] 핵심역량

*출처: 지에스홈쇼핑

동사는 다양한 판매채널, 콘텐츠 제작 역량, 차별화된 고객서비스,

DATA/AI 기반 매장 운영, 프리미엄 브랜드 등 5가지 비즈니스 핵심역

량을 보유하고 TV쇼핑, 데이터 홈쇼핑, 모바일 및 인터넷몰 등의 판매

채널을 통하여 상품을 유통 및 판매하고 있다.

시장점유율 1위 : 사업

다각화로 매출액 개선 기대

동사의 2018년 매출액은 11,044억 원(2017년 매출액 10,863억 원),

영업이익 1,368억 원(2017년 영업이익 1,413억 원)을 기록했다.

2019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8,900억 원(전년동기(7,966억 원) 대비

+934억 원), 영업이익 912억 원(전년동기(947억 원) 대비 -35억

원)을 기록했다.

동사는 중국 등 세계 7개국에 진출하여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등

최근 3년간 홈쇼핑 시장점유율 수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동사는 콘

텐츠 프로그램 개발, IPTV 채널 선점 등을 통하여 모바일 쇼핑 분야의

매출액 개선 기대된다.

소비자 만족 경영 : 상생문화

기여

동사는 CCM을 도입하여 대표이사와 임직원의 소비자권익에 대한 인식

을 제고하고, 상품과 서비스 수준을 소비자 관점으로 끊임없이 개선함

으로써 대내ᆞ외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동사는 사후 분쟁해결 및 행정조치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

고, 소비자 중심의 선순환 시장을 조성함으로써 기업ᆞ소비자 간의 상

생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동사는 소비자 만족시스템을 구축하고 24시간 무료 콜센터 운영, 선환

불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는 등 소비자 만족을 통한 상생문화 시현을

목표로 한다.

Page 4: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1

Ⅰ. 기업현황

온라인 유통 전문

통신판매사업자

동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이하 ‘동사’)이고, 약칭으로 주식회사 GS

홈쇼핑, 영문으로는 GS Home Shopping Inc.라 표기한다.

동사는 1994년 12월 23일 홈쇼핑 프로그램 공급사업, 홈쇼핑 프로그램의 기획,

제작 및 이에 따른 상품의 유통, 모바일, 컴퓨터 및 카탈로그를 이용한 통신판매

등의 사업을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동사는 1995년 8월 1일 홈쇼핑 TV방송을 개시하였고, 2000년 1월 20일자로 코

스닥 시장에 상장되었다. 또한, 동사는 2005년 4월 상호를 'LG홈쇼핑'에서 'GS홈

쇼핑'으로 변경하였고, 2007년 1월 이후 지금까지 허태수 대표이사 체제를 유지하

고 있다.

동사는 TV쇼핑, 모바일쇼핑, 인터넷쇼핑몰, 카탈로그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판매사업자로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통신판매업자" 신고를 하였다. 특히 TV쇼핑 사업을 영위하기 위

하여 방송법에 의거 "상품소개와 판매에 관한 전문편성을 행하는 방송채널사용사업

자"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승인을 얻었으며, 매 5년마다 재승인을 받고 있다.

4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 보유

동사는 동사를 제외한 4개의 종속회사(비상장사, 국내 2, 해외 2)를 보유하고 있

다. 국내 법인 ㈜GS텔레서비스는 텔레마케팅 서비스업체이고 ㈜텐바이텐은 도소매

업체이며, 해외 법인 GS구(상해)상무유한공사는 중국 내 소싱을 위한 도소매업체

이고, GSL LABS는 투자 및 컨설팅업체이다.

중국 GS구(상해)상무유한공사(GS Shopping Shanghai Trading)는 중국내 오프라

인 영업과 국내 홈쇼핑 상품공급 및 개발을 위해 2011년 3월 중국 상해 설립된

글로벌 소싱 자회사이고, ㈜텐바이텐은 라이프스타일 사업에 필요한 역량(디자인소

품, 트렌디/유니크상품소싱, 감성콘텐츠)을 키우고 브랜드 포지션(디자인상품 시장

1위)을 확보하기 위해 구주인수 및 유상증자 방식으로 인수하였다.

최대주주 :

㈜지에스

동사의 최대주주는 ㈜지에스로 2018년 12월 31일 기준 주식수 2,368,900주, 지

분율 36.10%이며(전년 대비 변동 없음), 최대주주 ㈜지에스 이외에 특수관계인으

로 김호성(소유주식수 200주, 계열사 임원), 곽재우(소유주식수 14주, 계열사 임

원) 등이 있다. 소액주주의 비율은 약 40.59%(주식수 2,663,520주, 2018년 결산

기준) 수준이다.

Page 5: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

[표 2] 주요 주주, 연결대상 종속회사 및 타 법인 출자현황

주요 주주 지분율(%)연결대상 종속회사 및

타 법인 출자현황주요 사업 지분율(%)

㈜지에스 36.10

㈜GS텔레서비스 텔레마케팅 서비스 100

GS구(상해)상무유한공

사도소매 100

㈜텐바이텐 도소매 79.99

GSL LABS, Inc 투자 및 컨설팅 100

*출처: 사업보고서

경영철학 :

진정성[그림 3] 심볼마크

*출처: 지에스홈쇼핑

[그림 3] 브랜드 핵심가치

*출처: 지에스홈쇼핑

동사는 1994년 이후 축적된 데이터와 사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고객의 더 나은 쇼핑을 위해 상품과 서비스를 개선

하고 있다. 동사의 심볼마크 또한 동사가 지향하는 핵심가치

인 ‘Real(진정성)’을 괄호 안에 형상화하였다.

동사 브랜드의 핵심가치로는 참여를 위한 경험제공, 고객 의

견 청취, 고객 개인별 맞춤화, 전 과정의 투명성, 최고의 상

품제공 등이 있다.

기업문화 : 협업 동사는 협업을 통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직원 간 소통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문화

와 공간을 제공하고 있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과감히 혁신하는 프로젝트를 진

행하고 있다.

또한, 동사는 다양한 부서 간 빠르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협업을 위한

다양한 Tool을 구축/사용하고 있고, 특히 오프라인 협업공간 GHG(Growth

Hacking Ground), 기업형 페이스북 Workplace 등을 통해 활발히 커뮤니케이션하

고 있다.

Page 6: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3

[그림 4] 기업문화 : 협업

*출처: 지에스홈쇼핑

비즈니스

핵심역량 :

콘텐츠, 프리미엄

브랜드 등[표 3] 비즈니스 핵심역량

구분 내용

다양한 판매 채널TV 쇼핑, 데이터 홈쇼핑, 인터넷몰, 모바일앱 등 한 상품을

동시에 다양한 채널에서 고객 경험 제공

콘텐츠 제작 역량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쇼핑 트렌드를 선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퀄리티 높은 콘텐츠 제공차별화된

고객서비스

동사를 통해 필요한 상품을 찾고, 구매하고, 배송 받는 모든

과정에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DATA/AI 기반

매장 운영

25년 이상 쌓아온 TV쇼핑 큐레이션 노하우와 정교한 DATA

분석/AI기술을 더해 개인(고객) 맞춤화 매장 운영

프리미엄 브랜드협력사와의 전략적인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대중적 브랜드부터

프리미엄 브랜드까지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브랜드 상품 제공

*출처: 지에스홈쇼핑

동사는 다양한 판매채널, 콘텐츠 제작 역량, 차별화된 고객서비스, DATA/AI 기반

매장 운영, 프리미엄 브랜드 등 5가지 비즈니스 핵심역량을 보유하고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판매채널 :

TV쇼핑, 데이터

홈쇼핑, 모바일

및 인터넷몰 등

동사는 TV쇼핑, 데이터 홈쇼핑, 모바일 및 인터넷몰 등을 통하여 상품을 유통 및

판매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홈쇼핑 방송을 선보인 동사는 25년 이상 쌓아온 콘텐츠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전국 3,000만 방송 가구 수를 대상으로 24시간 고객에게 차별화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동사는 고객이 원할 때 리모콘으로 필요한 상품을

직접 선택, 구매할 수 있는 양방향 데이터 쇼핑 즉, IPTV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3,300만명이 다운로드한 국민 쇼핑 앱 GS SHOP은 정교한 고객 DATA

분석을 통해 고객 맞춤형 상품과 매장을 선보이고 있으며 TV쇼핑과 지속적인 시너

지를 유지하고 있다.

Page 7: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4

[그림 5] 판매채널

*출처: 지에스홈쇼핑

해외진출 : 세계

7개국

[그림 6] 해외진출 현황

*출처: 지에스홈쇼핑

동사는 중국, 태국, 말레이시아 등 세계 7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이외에도 베트남

e커머스 스타트업(르플레어)에 300만 달러를 투자하는 등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통하여 세계 시장에 홈쇼핑 한류를 만들어가고 있다.

신상품 입점

프로세스 구축

[그림 7] 신상품 입점 프로세스

*출처: 지에스홈쇼핑

동사는 신상품 입점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약 8,000개사의 파트너사와 함께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디자인하고 있다.

Page 8: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5

동사는 협력사의 과거 경영실적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재무 건실성을 측정하기 위해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가등급을 기준으로 상품군별로 일정한 등급 이상을 받은 협

력사에 대해서만 방송 입점을 허용하고 있다. 또한, 동사는 매월 2회 신규 및 기존

협력사교육을 통하여 해당 기준을 지속 고지 및 상호 공유를 원칙으로 한다.

[표 4] 협력사 평가 기준

구분 상품군(대분류) 신용등급 상품군(대분류) 신용등급

TV홈쇼핑 협력사

디지털기기/핸드폰 B 스포츠/레져/자동차용품 CCC

컴퓨터/게임기/소프트웨어 B 가구/인테리어 CCC

대형가전 B 의류 CCC

생활/소형가전 B 패션잡화 CCC

생활건강용품 B 속옷 CCC

건강식품 B 보석/시계/액세서리/장식 CCC

일반식품 B 침구/커튼 CCC

주방가전 B 출산/유아/아동 CCC

주방용품 B 악기/취미/문화/애완 CCC

화장품/미용기구/향수 B 여행/서비스/상품권 CCC

*출처: 지에스홈쇼핑(상품선정 및 방송편성 기준과 절차)

상품선정 및

방송편성 기준과

절차 구축

동사는 TV홈쇼핑 방송 및 상품판매형 데이터 방송(이하, 통칭하여 ‘방송’)을 위

해 공정하고 투명하게 신상품 및 협력사를 선정하고 객관적인 지표로 방송편성을

확정하기 위하여 상품선정 및 방송편성 기준과 절차를 구축하고 있다.

방송을 위한 상품선정은 협력사로부터 제안 받은 상품에 대해 신상품 평가 위원회

의 평가에 따라 공정하게 선정한다. 기준에 부합된 상품에 대해서는 품질안전 담당

부서와 심의담당부서를 통해 상품군별 정해진 기준에 의거한 품질 검사와 심의 절

차를 거쳐야 한다.

또한, 협력사는 온라인을 통해 입점 제안된 내역에 대한 진행 현황을 알 수 있으

며, 입점불가 판정을 받은 제안 내역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중소기업 육성 및

지원 :

위드패키지

프로그램 운영

동사는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해 동사의 역량을 활용한 '위드패키지'를 운영하고 있

고, 위드패키지는 동사와 장기적으로 상생/협력해나갈 수 있는 협력사(중소기업)를

발굴해 육성/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동사는 2012년부터 중소기업을 위한 무료방송 프로그램인 ‘아이

러브 중소기업’을 방송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는 데이터 홈쇼핑 채널 GS MY

SHOP에서 '꿈꾸는 가게' 프로그램을 통해 중소기업 무료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둘째, TV쇼핑 인기 시간대에 중소기업 상품을 우대편성하고 있으며, 전체 편성 시

Page 9: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6

간 중 중소기업 상품을 적극적으로 편성/방송하고 있다.

셋째, TV쇼핑은 물론 인터넷몰 '중소기업 우수상품관' 등 중소기업의 판로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MD, 바이어와 직접 수출

상담을 할 수 있는 ‘해외 홈쇼핑 시장 개척단’을 연 2회 파견하고 있으며 통관

부터 판매까지 대신해주는 ‘중소기업 해외수출 지원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넷째, 무이자 예탁금을 기반으로 조성한 ‘상생펀드’ 대출기금 700억 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지속성장 기반을 강화하는데 아낌없이 지원하고 있다.

다섯째, 제조, 경영, 기술, 유통, 디자인, 공장, 수출 등 중소기업이 원하는 분야에

대해 컨설팅을 지원하고, 또한 방송, 제조 프로세스, 경영 혁신활동, 생산성 향상

설비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림 8] 위드패키지

*출처: 지에스홈쇼핑

스타트업 지원 동사는 선진 기술 스타트업 투자를 지속하고, 스타트업 생태계 기반 신사업 추진

및 협업을 통해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동사의 스타트업 지원은 단지 투자에만 그

치지 않고 스타트업 네트워크 강화를 돕기 위하여 ‘GWG(Grow with GS)를

2015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그림 9] 스타트업 지원

*출처: 지에스홈쇼핑

Page 10: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7

동사는 현재까지 약 700여개 스타트업체(총 투자금액 약 2,000억 원)에 직/간접적

인 투자를 하였다. 동사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거래(B2C)를 넘어 소비자 대 소비

자 간의 거래(C2C), 플랫폼 커머스, 콘텐츠, 마케팅, 온·오프라인 융합, SNS 등

다양한 스타트업에 투자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중국, 동남아, 중동, 북미까지 넓혀

나가고 있다.

[그림 10] 직접 투자 현황

*출처: 지에스홈쇼핑

사업부문 :

TV쇼핑

동사는 TV쇼핑 사업부문에서 신상품 개발을 강화하고 자산화 브랜드 육성 및 차별

화 상품 확대 등을 통해 상품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시청률 제고를 위

한 멀티아이템 및 브랜드 프로그램의 활성화 등으로 새로운 방송 포맷을 정착시켰

다.

또한 동사는 채널간 시너지를 지속 강화화고 있으며, 배송만족도와 상품 품질을 높

임으로써 고객서비스를 제고하는 동시에, 기존 경험이나 직관에 의존한 영업방식에

서 데이터와 디지털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영업을 효율화 하고 있다.

사업부문 :

모바일

쇼핑(M-Commerc

e)

동사는 동사의 강점인 방송상품과 Brand 상품을 중심으로 한 상품 차별화를 바탕

으로 모바일 커머스 성장 전략을 수립 및 수행하고 있다.

동사는 매출 확대 및 고객 활성화를 위하여 모바일 쇼핑에 적합한 판매방식 및 상

품차별화를 강화하고, 고객 관점의 개인화된 서비스 및 관계지향 마케팅 활동을 확

대해 가고 있으며, 주요 활동은 아래와 같다.

- Brand사와 Relationship 강화를 통한 상품 차별화 진행

- 고객 Engagement 향상을 위한 멤버십 서비스 등 마케팅 활동 진행

- 고객 Context에 맞는 상품 큐레이션을 통한 고객 활동성 증대

- 데이터에 기반한 영업 활동 분석 및 판매 활동 전개

Page 11: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8

사업부문 :

인터넷

쇼핑(E-Commerce)

동사는 인터넷 종합몰 시장에서도 선두 그룹을 유지하고 있다.

동사는 소셜커머스, 오픈마켓 등과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TV쇼핑과 시

너지 강화를 통해 차별화된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고

객 니즈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쇼핑몰을 지속 개선하

고 있다. 또한 고객 만족을 위한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 정책 및 고객 관리 프로그

램을 운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업부문 :

카탈로그 쇼핑

카탈로그 사업은 고객 DB 분석을 통해 선정한 고객층에게 카탈로그를 발송하여 상

품 판매를 하는 사업으로, 기존 TV/온라인 쇼핑 매체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에게도

홈쇼핑의 편리함과 가치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동사는 설립 이후 구축된 광범위한 고객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 최적의 구매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카탈로그 사업에서의 확고한 경쟁우

위를 계속 지켜나갈 계획이다.

기타 :

콜센터사업

GS텔레서비스는 1995년 GS홈쇼핑의 고객서비스팀으로 출범한 이래, 체계화된

Contact Center를 운영하고 있으며, 구축된 know-how를 바탕으로 현재 부천, 부

산 2개의 center를 24시간 365일 안정적으로 운영중이다.

또한, 동사는 한국서비스품질 2년 연속 우수기업 인증(2006년 및 2007년, 지식경

제부), 홈쇼핑 콜센터 품질지수 1위(2006년, 한국능률협회) 등을 통해 대외적으로

서비스 역량을 인정받았으며, 지속적으로 고객사(Client)와 고객(Customer)을 만

족시킬 수 있는 핵심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더불어 IVR 등 H/W에서 WFM 등 S/W까지 필수적인 Contact Center Infra를 보

유하고 있으며,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텐바이텐 :

인테리어 및

패션상품 판매

㈜텐바이텐은 즐겁고 색다른 생활문화 서비스와 차별화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

고 있다. ㈜텐바이텐이 지향하는 생활 문화서비스의 핵심인 고급화된 부가가치 창

조라는 목표 아래 ㈜텐바이텐만의 디자인감성 상품과 감성마케팅 전략을 통해 고객

에게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며, 높은 고객 로열티와 독창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바탕

으로 ㈜텐바이텐만의 감성채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텐바이텐은 이러한 경쟁우위를 통해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디자인쇼핑몰 시장에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커머스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출시, 모바일에 적합한 상품과 판매방식 구현을 통해 모바

일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Page 12: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9

[그림 11] ㈜텐바이텐 사업영역

*출처: ㈜텐바이텐 홈페이지

판매경로 동사는 TV, 모바일, 컴퓨터, 카탈로그 등을 통하여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이 상

품구매를 신청하는 경우 신용카드(약 88%), 무통장입금 또는 간편결제를 통하여

대금을 결제한 후 택배회사를 통하여 고객이 원하는 곳으로 상품을 배송한다.

국내 택배회사가 일반적으로 취급할 수 없는 대형제품, 신선도 유지가 필요한 식

품, 전문업체의 설치가 필요한 상품 등은 공급업체에서 직접 배송을 담당한다.

[그림 12] 판매경로

*출처: 사업보고서

판매전략 동사의 판매전략은 고품질의 상품 제공 및 신뢰와 재미가 있는 방송제작이다.

Page 13: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10

[표 5] 판매 세부 전략

구분 내용

고품질의 상품 제공

상품판매전 사전 QA검사("공인인증, 시험성적서" 확인 및 성능관련사항 점검)

협력업체 현장실사 시행(협력사 실태조사 및 현지 검사)

중국 등 생산의류 현지 QA 시행(현지 외주검사소를 활용한 전수검사 실시 및 개선사항 전파/확인)

고객 배송전 품질검사 실시(현장방문 검사)

협력업체 품질향상 지원 프로그램 시행(ISO 9001 및 싱글 PPM 추진지원)

협력업체 품질역량 육성 지원(제조/공정관리 지도, 교육 및 개선지원)

품질부적합사항 재발 방지를 위한 품질개선 활동 시행

신뢰성 있고 재미있는 방송 제작

쇼핑호스트의 엄격한 자질

정확한 상품정보의 명쾌한 전달

다양한 이벤트를 통한 보는 즐거움

*출처: 사업보고서

Page 14: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11

Ⅱ. 산업분석

통신 판매업 :

TV홈쇼핑 등

[표 6] 기타 통신 판매업

산업분류 코드 산업

47 소매업 ; 자동차 제외

479 무점포 소매업

4791 통신 판매업

47919 기타 통신 판매업

*출처: 한국신용정보원, 통계청, 한국기업데이터 재가공

통신 판매업 중 기타 통신 판매업은 온라인 통신망 이외의 기타 통신수단에 의하여

각종 상품을 소매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TV홈쇼핑 판매를 포함하여 우편 소매,

유선방송 홈쇼핑, 전화통신 소매, 카탈로그(상품 안내서)식 판매, 케이블방송 홈쇼

핑 소매, 통신 주문 송달 판매 등이 포함된다.

방송사업 규제 :

진입, 소유, 기술,

시청점유율, 내용

방송사업은 방송법 및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 동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등

으로 규제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입규제, 소유규제, 기술규제와 같은 사전규제

와 시청점유율 규제, 내용규제 등 사후규제로 구분할 수 있다.

(1) 진입규제 : 방송 사업자는 사업진출시 정부부처(방송통신위원회 및 과학기술정

보통신부)로부터 해당 방송사업의 종류에 따라 허가·승인·등록 등을 득해야 하고

특히 지상파방송사업자, 방송채널사용사업자, 플랫폼사업자(종합유선방송, 위성방

송, IPTV) 등은 일정기간마다 재허가 및 재승인을 받도록 함으로써 시장 진입 및

유지에 관해 규제를 받고 있다.

(2) 소유규제 :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전송망사업자

(NO), 위성방송사업자, 지상파방송사업자, IPTV 등은 시장점유율 또는 사업자수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범위를 초과하여 상호 겸영이 제한된다.

(3) 기술규제 : 방송사업자는 허가·승인·등록시 혹은 방송국 허가 시 과학기술정

보통신부로부터 기술에 관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

(4) 시청점유율 규제 : 방송사업자의 시청점유율(전체 텔레비전 방송에 대한 시청

자의 총 시청시간 중 특정 방송채널에 대한 시청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해당방송

사업자와 특수관계자 등의 시청점유율을 합산하여 100분의 30을 초과할 수 없다.

(5) 내용규제: 방송사업자는 방송 프로그램 형식에 관하여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방송프로그램 내용에 관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사후 심의 및 제재를 받는

다.

Page 15: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12

TV홈쇼핑 :

1995년 이수

성장 지속

TV홈쇼핑은 1995년 케이블TV 산업을 시작으로, 2002년 위성방송, 2009년

IPTV가 도입되었고, 유료방송 가입자수가 증가하면서 산업 규모가 확대되었다.

TV방송업계는 크게 프로그램공급자(PP)와 플랫폼사업자(종합유선/위성/IPTV 방

송사업자 등)로 구분 가능하며, 홈쇼핑사업자는 프로그램 공급자(PP)에 해당한다.

TV홈쇼핑은 상품에 대한 특징과 정보 등을 상세히 설명하는 프로그램을 플랫폼사

업자를 통해 유료방송가입자에게 송출하고, 시청자로부터 전화/모바일 등을 통해

주문 및 대금을 결제 받은 후 상품을 고객이 원하는 장소까지 배송해 주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국내 TV 홈쇼핑 산업은 유료방송가입자수의 증가와 함께 매년 성장을 거듭하였으

나 2000년대 중반부터 신규 가입자수의 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다소 정체되는 양

상을 보였다.

그러나 보험을 비롯하여 새로운 상품 카테고리를 발굴하고, 배송/사후관리 등 고객

서비스를 강화함으로써 정체기를 돌파할 수 있었고, 현재 TV홈쇼핑은 고객에게 신

뢰받는 성숙한 유통 채널로 자리 잡아 연 3%~5%대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

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중인 홈쇼핑 업체로는 동사를 비롯하여 ㈜씨제이이엔엠, 현대홈

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 홈&쇼핑, 그리고 아임쇼핑 총 7개사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의 양방향성을 활용한 T커머스가 활성화되고 있어 TV

홈쇼핑 시장에 새 국면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 TV홈쇼핑보다 상품 구색

이 더 다양하고, 방송시간의 제한 없이 구매가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해마다

빠른 속도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현재 동사를 비롯한 홈쇼핑 5개사와 KTH 등

비홈쇼핑 계열 5개사를 포함해 총 10개사가 사업을 운영 중에 있다.

온라인쇼핑 산업

: 두자릿수 성장

한편, 온라인쇼핑몰은 PC/모바일 매체를 통해 수백만 가지에 이르는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사업으로,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편의성이 높고, 타 유통업태 대비

합리적인 가격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온라인쇼핑 산업은 1990년대 중반 형성된 이후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온라인쇼핑시장 거래액은 111조 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22.6%의

성장률을 보였고, 그 중 모바일 쇼핑의 거래액은 69조 원(전년대비 +32%)으로,

온라인쇼핑 거래액 전체의 62%를 차지하였다. 모바일 쇼핑의 성장은 향후에도 지

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바일 선두를 잡기 위한 사업자간 경쟁도 더욱 심화될 것으

로 예상된다.

* 자료 : 통계청 온라인쇼핑 동향조사-온라인쇼핑몰 판매매체별/상품군별 거래액,

2019.02.01 발표

Page 16: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13

국내외 시장여건

: 경쟁 심화

현재 국내 홈쇼핑 시장은 동사와 (주)씨제이이엔엠 2개의 선발업체와 2001년 방

송을 시작한 후발 3사(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 그리고 2012년 1월 방

송을 시작한 홈&쇼핑과 2015년 7월 론칭한 아임쇼핑 총 7개사가 경쟁하고 있다.

경쟁 격화와 이에 따른 시장의 불확실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TV홈쇼핑 사업은 온라

인 소매의 플랫폼으로서 확고한 위치를 구축해왔다. TV홈쇼핑에서 확보한 소비자

의 신뢰와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는 인터넷 쇼핑, 카탈로그 판매를 포함한 온라인

쇼핑의 확고한 사업 초석이 되고 있다.

또한 배송, 결제시스템의 편의성과 상품, 고객 관련 정보는 온라인 쇼핑사업의 근

간이 되고 있다. 실제 홈쇼핑 사업자들은 TV홈쇼핑을 기반으로 온라인쇼핑몰 등의

멀티채널 매출 비중을 확대하여 주력사업부문으로 육성시켜 왔다.

모바일

커머스(M-comme

rce)

모바일 쇼핑 활성화로 시장 참여업체가 증가하고 취급 품목이 다양화되면서, 온·

오프라인 커머스의 경계도 사라지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기기를 통한 상거

래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내 모바일 커머스 시장 규모는 2012년 1조 8,200억 원에서 2016년 35조

5,850억 원으로 110.8%씩 증가하였으며, 2016년 이후에는 연평균 10.76%의 성

장률을 보이면서 2021년에는 59조 3,135억 원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

된다.(한국신용정보원 자료 참조)

모바일 쇼핑 시장의 규모는 TV홈쇼핑, 소셜쇼핑, 마트몰, 백화점 상품판매, 인터넷

쇼핑, 인터넷 서점, 면세점몰 등과 중개몰인 오픈마켓 등의 매체별로 급속히 증가

하고 있다.

[그림 13] 모바일 커머스 국내 시장 규모

*출처: 한국신용정보원, 한국 온라인쇼핑협회, KT경제경영연구소

또한, 세계 모바일 커머스 시장의 전체 규모는 2015년 기준으로 2,227억 달러에

달하며, 2020년까지 연평균 34.5%의 성장률로 9,802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신용정보원 자료 참조)

Page 17: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14

[그림 14] 모바일 커머스 세계 시장 규모

*출처: 한국신용정보원, TECHNAVIO, GLOBAL M-COMMERCE MARKET 2016-2020

모바일 커머스 산업의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요소는 상점(온, 오프라인) 밖에서의

인지(Awareness Outside Store), 상점(온, 오프라인) 내에서 검색 및 선택

(In-store Search/Selection), 구매(Purchase), 고객 서비스(Customer Service)

기반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림 15] 모바일 커머스 산업 가치사슬

*출처: 한국신용정보원

시장점유율 1위 동사는 상품 소싱 능력, 체계적 물류시스템, 축적된 양질의 DB를 바탕으로 카탈로

그, 온라인쇼핑몰, 모바일 커머스, IPTV 등의 매체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며 성장

을 지속하고 있다.

[표 7] 시장점유율 추이(IFRS 별도기준)

단위 : 억 원, %

구분 2018년 2017년 2016년

GS홈쇼핑 42,780 21.1 39,222 20.8 36,696 21.1

현대홈쇼핑 37,208 18.5 36,271 19.2 34,980 20.1

CJ ENM 40,171 20.0 37,438 19.8 31,610 18.2

롯데홈쇼핑 38,903 19.4 34,935 18.5 32,000 18.4

홈앤쇼핑 22,431 11.2 21,517 11.4 20,110 11.6

NS쇼핑 13,406 6.6 13,690 7.2 13,330 7.7

공영홈쇼핑 6,372 3.2 5,828 3.1 5,057 2.9

*출처: 각사 별도기준 취급액 발표 자료, 한국온라인쇼핑협회(KOLSA)자료, 지에스홈쇼핑 사업보고서

Page 18: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15

Ⅲ. 기술분석

티커머스(T-Com

merce)

홈쇼핑이 미리 정해진 상품을 방송하고, 그 상품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고 판매

하는 것에 반해, 티커머스는 소비자가 관심 있는 상품을 찾아서 쇼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티커머스(T-Commerce)는 TV와 Commerce가 결합된 단어로, 양방향 서비스 제

공이 가능한 데이터방송 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TV를 통해 물건을 구매하는 상

거래 서비스를 의미한다.

티커머스는 기존 홈쇼핑이 가지고 있는 매체 신뢰도를 바탕으로, 인터넷 쇼핑이 가

지고 있는 사용자 편리성, 상품의 다양성 그리고 소비자 맞춤형 속성을 결합한 새

로운 상거래 서비스로 성장하고 있다.

티커머스는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방송 사업자를 중심으로 제품을 판매

하고자 하는 티커머스 사업자와 결제기관, 그리고 구매한 제품이 안전하게 구매자

에게 전달될 수 있는 배송 사업자와 협력이 필요하다. 티커머스는 기존 TV홈쇼핑

의 구매단계를 보다 단축시켜서 소비자들이 구매 충동 발생 이후에 구매율을 증가

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림 16] 티커머스 서비스 프로세스

*출처: 한국신용정보원, KT경제경영연구소

TV를 이용한 커머스인 티커머스는 TV홈쇼핑, 인터넷 상거래보다 진화된 커머스

Page 19: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16

플랫폼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된다. 또한, N-Screen 기술의 발전으로 모바일 TV

를 이용한 티커머스의 확장이 예상되며, 기술적 제약이 많은 TV 환경보다는 기술

적으로 유연한 환경을 가진 모바일 TV에서 다양한 형태의 티커머스 기술발전이 기

대된다.

* N-Screen :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영화, 음악 등)를 N개의 기기에서 ‘연

속적으로’ 즐길 수 있는 기술(또는 서비스)을 말함.(N은 또한 네트워크

(Network)를 의미하기도 함.)

모바일

커머스(M-Comm

erce)

이커머스가 PC 기반의 웹 사이트를 통한 오픈 마켓의 확산, 정보기반 소비라는 커

머스로의 진화였다면, 스마트 기기와 소셜 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커머스

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물고 쇼핑에서 유통, 마케팅까지 아우르는 커머

스로 진화하고 있다.

모바일 커머스란 스마트폰, 개인 정보 단말기, 기타 이동전화 등을 이용한 은행 업

무, 지불 업무, 티켓 업무와 같은 서비스를 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무선 데이터 장

비를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상품 등을 교환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모바일 커머스는 모바일 기기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위치기반 서비스와

개인화 및 즉시성에 의한 실시간 쇼핑이 가능하다.

모바일 커머스의 대표적인 프로세스인 One-stop 프로세스가 구현될 경우, 소비자

는 보다 편리하게 커머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품 선정 :

신상품 평가

위원회

동사는 공정한 상품 선정을 위하여 신상품 평가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다.

신상품 평가 위원회는 내부 평가위원 4명, 외부 평가위원 12명으로 구성되고,

신상품 평가 위원회의 내부 평가위원은 상품전략팀 담당자, 상품 PD, 심의 담

당자, 품질안전 담당자로 구성된다. 신상품 평가 위원회의 외부 평가위원은 각

상품그룹별(패션군, 토탈패션군, 리빙군)로 공모를 통해 선발한 고객 4명으로

구성하여, 총 평가위원은 12명으로 한다.

Page 20: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17

[표 8] 신상품 평가 기준(각 항목당 5점 만점, 전체 평균 3점 이상시 가결)

구분 평가자세부평가기준

5점 4점 3점 2점 1점

내부 평가단

PD

소구 포인트 차별성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상품 판매력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품질안전관련 법 적합성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사용 안전성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심의심의 적합성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대외 이슈 여부(낮은 Risk)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상품전략가격 경쟁력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수수료율 적절성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외부 평가단

디자인 우수성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구매의사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가격 경쟁력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기능성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시장 트랜드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출처: 지에스홈쇼핑(상품선정 및 방송편성 기준과 절차)

Open Innovation

교육

동사는 직원의 창의성과 혁신성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동사가 시행하고 있는 Open Innovation 교육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법인

GSL Labs에서 진행되는 교육으로 고객을 직접 만나고 새로운 Idea를 구체화하여

테스트하는 혁신 프로세스이다. 동사의 교육은 단순히 강의/전달식이 아니라 직원

들이 스스로 문제와 교육 내용을 정의하고 업무에 적용하여 동사만의 방법론을 만

들어가고 있다.

서비스 및 시스템

개발 지속

동사는 1995년 10월 국내 최초로 24시간 TV홈쇼핑을 방송한 이후 시스템 및 서

비스 개발 또는 개선 지속하고 있는바, 2014년 이후 주요 실적으로는 2014년 비

주얼ARS 서비스 및 세계로 배송 서비스 개시, 2016년 업계 최초 360도

VR(Virtual Reality) 영상 홈쇼핑 방송에 활용, 2018년 공정방송센터 신설 등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 개발을 통하여 동사는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바, 최근 주요 실적으로는 2015년 제20회 한국유통대상 대통령상 수상, 2016

년 동반성장위원회로부터 <우수기업 표창> 수상, 국가고객만족도(NCSI) 홈쇼핑 부

Page 21: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18

문 1위, 방송통신위원회 ‘2015 방송평가’ 홈쇼핑 부문 1위, 2017년 ‘2016 방

송평가’ 홈쇼핑 부문 1위(방송통신위원회), 소비자중심경영(CCM) 인증(공정거래

위원회, 한국소비자원), 2018년 홈쇼핑업계 최초 동반성장지수 3년 연속 우수 등

급 획득 등이 있다.

지식재산권 및

기술개발실적

보유

[표 9] 주요 지식재산권 보유현황

권리권자 구분 등록번호 발명의 명칭

㈜지에스홈쇼핑

특허권 10-1232818 홈쇼핑 데이터 방송의 카테고리별 상품 분류 방법

특허권 10-0920647 과열방지 온도조절 회로 및 그 방법

특허권 10-1669760 쇼핑몰 서버, 배송업체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디자인권 30-0726031 화상디자인이 표시된 텔레비전 수상기

상표권 40-1469647 THE HOUSE

*출처: 특허청, 한국기업데이터(재가공)

동사는 TV홈쇼핑에 접목 가능한 AI 주문 및 결제, 챗봇 같은 첨단 기술 도입 등을

통하여 기술개발 지속하고 있고 현재는 특허권 3건, 디자인권 5건, 상표권 145건

의 지식재산권(2019년 11월 11일 기준)을 보유하고 있어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사업 보완적 수준은 충분하다.

주요 보유 기술 :

특허번호

10-1232818

동 기술은 홈쇼핑 데이터 방송의 카테고리별 상품 분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TV

화면상에 방송편성표, 히트상품, 카테고리별 상품 및 이벤트 상품 메뉴를 포함하는

홈쇼핑 방송의 메인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각 메뉴를 갖는 메인 메

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카테고리별 상품 메뉴가 선택되면 카테고리별 분류 목

록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등으로 구성된다.

동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TV로 홈쇼핑 방송을 보면서 원하는 상품을 검색할 경

우에 각 상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놓고 각 상품마다 상품개요, 상세정보 및

상품평을 화면상에 구비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보다 편리하게

상품을 고를 수 있다.

Page 22: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19

[그림 17] 기술 개요

*출처: 특허청, 한국기업데이터 재가공

소비자 중심 경영

: CCM 인증 획득

동사는 소비자의 목소리를 가장 먼저 듣고, 나누고, 공감하는 CCM 인증기업으로

서, 대표이사와 임직원의 소비자권익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상품과 서비스 수준

을 소비자 관점으로 끊임없이 개선함으로써 대내ᆞ외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동사는 ‘소비자분쟁해결기준’ 보다 소비자에게 유리한 ‘CS처리지침

및 고객서비스 정책’을 마련해 소비자 권익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협

력사와 상생경영을 통해 소비자 권익증진 협업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영세기업

의 창의∙혁신적인 상품 발굴을 확대해 중소기업 성장의 사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동사는 고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맞춘 스마트한 서비스들을 시행하고

있다. 배송원의 정보와 현재 위치, 도착 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라이브

(LIVE) 배송 서비스’, 16개 지자체와 협력해 전국 277개 무인택배 보관함에서

상품을 받아볼 수 있는 ‘안심택배 서비스’ 가까운 GS25와 CU 편의점에서 24시

간 상품을 받고 반품할 수 있는 ‘편의점 픽업 서비스’, ‘편의점 반품 서비스’

를 실시 중이며 다양한 결제 수단을 도입해 결제 편의성도 지속 개선하고 있다.

* CCM(소비자 중심 경영 인증제도, Consumer Centered Management) 인증은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에서 주관한다. 기업의 모든 경영 활동이 소비자 중

심으로 이뤄지고 지속해서 개선하는지를 평가하고, 2년을 주기로 재인증을 진행하

고 있다.

Page 23: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0

Ⅳ. 재무분석

사업구조 다변화

: 매출액 개선

기대

동사의 2018년 상품매출은 1,96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5% 증가하였으며,

유무형 상품매출 등을 통한 수수료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7% 감소하여 전체 매

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하였다.

또한, 동사는 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IPTV 채널 선점 등을 통하여 T커머스와 모바

일쇼핑 부분에서 매출액 개선 기대된다.

[표 10] 사업부문별 매출액 및 비중(IFRS 연결기준)

(단위 : 백만 원, %)

구분2019년 3분기 2018 3분기 2018년 2017년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상품

매출

수출 7,733 0.87 13,466 1.70 17,382 1.6 19,175 1.8

내수 245,966 27.63 104,972 13.17 178,931 16.2 105,490 9.7

수출 - - - - - - - -수수료

매출 내수 520,718 58.51 555,027 69.68 748,568 67.8 785,212 72.3

수출 121 0.01 46 0.00 69 0.0 605 0.0기타

매출 내수 115,436 12.98 123,067 15.45 159,444 14.4 175,806 16.2

합계수출 7,853 0.88 13,512 1.70 17,451 1.6 19,780 1.8

내수 882,120 99.12 783,066 98.30 1,086,943 98.4 1,066,508 98.2

*출처: 사업보고서, 분기보고서, 한국기업데이터 재가공

[표 11] 세부 사업부문별 매출액 및 비중(IFRS 연결기준)

(단위 : 백만 원)

구분 TV쇼핑 모바일 인터넷 카탈로그 기타 합계

상품

매출

2018년 69,393 88,454 5,779 17 32,670 196,313

2017년 45,115 37,806 3,177 27 38,539 124,665

2018년 358,971 307,676 39,784 9,853 32,283 748,568수수

료매

출액 2017년 410,011 264,629 46,927 10,737 52,908 785,212

2018년 135,973 53 9,314 10,858 3,315 159,513기타

매출

액 2017년 132,482 78 7,509 11,399 24,944 176,411

2018년 564,338 396,183 54,877 20,728 68,269 1,104,394총매출 2017년 587,608 302,513 57,613 22,163 116,391 1,086,288

영업

이익

2018년 72,197 50,685 7,021 2,652 4,276 136,937

2017년 80,733 41,563 7,916 3,045 8,036 141,293

*출처: 사업보고서, 한국기업데이터 재가공

Page 24: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21

재무현황 :

전략적 사업

확장으로 수익성

개선 기대

동사는 광고 및 비디오 커머스 부문 모두 개선되고 있고, 수익성이 높은 CPS 광고

모델의 이익 기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동사는 지분 투자 등으로 고객사와 견고

한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동반 성장 모델을 통한 사업력을 강화하고 있다.

동사는 2017년 7월에 Global Fashion Distribution SA를 청산하고, 동사의 사업

과 시너지를 못내고 있던 자회사 에이플러스비를 2018년 3월 전략적 투자자 스타

일쉐어에 매각하였다. 이후, 라이프스타일 사업 확장을 위해 ㈜텐바이텐을 인수하

는 등 전략적 사업 확장 및 다각화를 지속하고 있다.

한편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경기불황 예상으로 2019년 3/4분기 수익성이 전년동기

대비 다소 저하되었고, 사업자 간의(티커머스 포함) IPTV 내 송출수수료 경쟁도

지속되고 있으나, 동사는 온라인몰 서비스 부분에서 수위를 유지하고 있고, 중국,

인도, 러시아 등의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등 해외사업 확대를 통해 성장동력 확보하

고 있는 점 감안시 향후 재무구조 및 실적 개선 기대된다.

[표 12] 주요 재무현황(IFRS 연결기준)

구분2019년 3분기 2018년 3분기 2018년 2017년

금액 금액 금액 금액

매출액 889,973 796,578 1,104,394 1,086,288

영업이익 91,151 94,662 136,829 141,293

당기순이익 78,387 102,207 133,937 102,719

영업이익률(%) 10.24% 11.88% 12.38% 13.00%

순이익률(%) 8.80% 12.83% 12.12% 9.45%

부채비율(%) 25.95% 27.49% 27.91% 33.96%

(단위: 백만 원)

*출처: 사업보고서, 분기보고서

증권사 투자의견[표 13] 증권사 투자의견

작성기관 투자의견 목표주가 작성일

NH투자증권

BUY 200,000 2019년 10월 16일

온라인 고성장과 배당 매력도 부각

현대차투자증권

BUY 213,000 2019년 10월 02일

T커머스와 모바일쇼핑의 고성장 지속

Page 25: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2

Ⅴ. 주요 이슈 및 전망

TV홈쇼핑 :

법률/규정 등에

의한 규제

TV쇼핑 방송프로그램 사업자는 사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방송법"에 의거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의 승인을 얻어야 하고, TV쇼핑 방송프로그램 사업자는 "상품소개 및

판매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에 따라 심의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인터넷쇼핑몰 영업을 위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 소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

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통신판매업 신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전기통

신사업법"에 의거 부가통신사업 신고를 해야 한다.

상품판매와 관련하여 표시광고 및 소비자보호에 있어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

률,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대규모유통업법에서의 거래 공

정화에 관한 법률,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식품위생법, 개인정보보호법, 소비자기본법 등 관련 법규의 제한을 받고 있다.

한편, 2018년 5월 규제 완화로 T커머스의 케이블 방송사 송출 채널이 확대됨에

따라 향후 T커머스와 모바일쇼핑 부분의 잠재 수요도 커질 전망이다. 이에 동사는

단독 상품 및 브랜드 론칭 등 MD 강화, 흥미와 스토리가 있는 콘텐츠 프로그램 제

공, IPTV 채널 선점 등을 통해 T커머스와 모바일쇼핑 부분의 성장세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TV홈쇼핑과

납품업자 :

상생협력

홈쇼핑 시장의 불공정한 관행을 개선하고,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 및 상생환경 조성

을 위해 TV홈쇼핑 업체와 납품업자간의 상생을 위한 협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2019년 6월 27일(목)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한국TV홈쇼핑협회 회장을 비

롯한 7개 홈쇼핑사업자 및 협력사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TV홈쇼핑사업자와 납

품업자 간 상생협력 선포식’이 개최되었다.

[그림 18] TV홈쇼핑사업자와 납품업자 간 상생협력 선포식

*출처: 방통위공식블로그, 네이버

Page 26: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23

또한 2019년 7월 1일부터 사전제작영상물 제작비용 분담 기준이 시행되면서 약

350여 개의 납품업체에게 실질적인 혜택(2018년 기준 연간 약 5억8천만 원)이

돌아갈 것으로 기대되는 등 TV홈쇼핑 업체와 협력사의 상생 및 발전을 위한 제도

적 개선이 지속되고 있다.

소비자 만족

시스템 필요 :

고객관리정책

구축

TV홈쇼핑 업계의 품질 및 사후관리, 허위 및 과장광고, 계약 불이행 등 소비자가

격는 갖가지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과 국민권익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TV홈쇼핑 관련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3천건이 넘고, 그중 품질 및 사후관리 관련 신청건이 약 1,25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에 동사는 상품개발에서부터 주문, 물류, 배송, 사후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프로세

스와 시스템을 혁신하여 100%의 고객만족을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주요정

책으로는 24시간 무료 콜센터 운영, 선환불 서비스 등이 있다.

[표 14] 동사 주요 고객관리정책

내용 비고

24시간 콜센터 080 무료전화 운영 단, 모바일, 인터넷 1899 유료 운영

고객의 소리(VOC)를 다양한 경로로 취합하여 방송/상품/서비스 개선 팩스, 전화, 인터넷, 모바일 등

30일 내 교환반품 가능 단, 일부상품 제외

선환불 서비스 일부 상품은 후환불

판매상품에 따라 적립금, 무이자할부 등을 지원

구매상품의 배송예정일 사전고지를 통한 배송서비스 개선

전담 배송서비스를 통한 고객 접점 서비스 차별화 사전통화 후 배송, 실시간 택배 위치 서비스 제공

판매상품 하자발생 시 리콜서비스

각종 사은품 제공 및 다양한 이벤트를 통한 보는 즐거움

시청을 원하는 방송에 대해 방송 30분 전 Push 또는 LMS로 방송시간을 알려주는 방송알림 서비스 제공

모바일 App. / 인터넷쇼핑몰에서 실시간 TV쇼핑 방송 동영상, 다양한 쿠폰할인 혜택, 문화공연 이벤트 및 App. Push이메일을 통한 일대일 마케팅 제공

모바일 App. / 인터넷쇼핑몰 우수고객 프로그램인 인터넷 리얼 멤버쉽 운영

인터넷 VIP 고객을 위한 1:1 채팅 서비스 제공

고객구매성향에 따른 차별화된 카탈로그 발송 및 다양한 프로모션 혜택 제공

카탈로그 최우수 고객을 위한 로열티프로그램 DM 리얼 멤버쉽 운영

ARS를 통해 고객이 직접 반품, 취소 요청할 수 있도록 편의 제공

주문완료/배송출발안내 등 주요 정보성 메시지 카카오톡 안내 서비스 제공

*출처: 지에스홈쇼핑

Page 27: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4

Ⅵ. 별첨

· 기업개요

기 업 명 ㈜지에스홈쇼핑(028150) 대 표 자 허 태 수

본 사 주 소 (0728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 75(문래동 6가)

전 화 번 호 02-2007-4153 팩 스 번 호 02-2007-0271

개업/설립일자 1994년 12월 23일 홈 페 이 지 http://company.gsshop.com

사 업 자 번 호 117-81-13253 법인(주민)번호 110111-1111444

기 업 규 모 대기업 기 업 형 태 코스닥 시장

업 종 분 류(G47919) 기타 통신 판매업

도매 및 소매업 > 무점포 소매업 > 통신 판매업 > 기타 통신 판매업

경 영 규 모(단위: 백만 원)

결산일 총자산 납입자본금 자기자본 매출액 순이익

2018-12-31 1,393,131 32,823 1,089,170 1,104,394 133,937

사업부문 주요제품매출구성비(연결기준)

TV쇼핑

가전제품, 의류 및 패션 등

51.1%

모바일 35.9%

인터넷 4.9%

카탈로그 카탈로그 1.9%

기타(콜센터사업) 고객응대 서비스 6.2%

· 직원현황

기준일자 사무/관리 영업 기타 합계

2019-09-30 551명 530명 - 1,081명

· 사업부문별 주요기술현황

사업부문 주요(핵심) 기술

TV쇼핑 신상품 개발, 브랜드 육성

모바일 모바일 쇼핑에 적합한 판매방식 및 상품차별화

인터넷 TV쇼핑과 시너지 강화

카탈로그 고객데이터 베이스 기반 상품 개발

기타(콜센터사업) Contact Center Infra 구축

Page 28: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25

· 주요연혁

1994-12 (주)한국홈쇼핑 법인설립(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20)

1995-08 국내 최초 시험방송 개시

1995-10 국내 최초 24시간 TV홈쇼핑 방송

1997-03 (주) LG홈쇼핑으로 상호변경

1998-04 인터넷 쇼핑몰(www.lghs.co.kr) 개설

2000-01 코스닥 등록

2000-05 인터넷 쇼핑몰 오픈

2002-03 스카이라이프 위성방송 송출 개시

2005-03 T-Commerce (상품판매형 데이터방송 채널 사용) 사업권 획득

2005-04 GS홈쇼핑으로 사명 변경

2006-04 (주)강남케이블TV 계열회사 편입 → 2007.3 (주)GS강남방송으로 상호 변경

2008-10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IPTV) 콘텐츠사업 승인 및 홈쇼핑 실시간 방송 송출

2009-11 통합브랜드 GS SHOP(지에스샵) 출범. TV/인터넷/카탈로그/T커머스 사업 브랜드 통합

2011-12 (주)디앤샵 흡수합병

2013-05 (주)에이플러스비 인수

2013-08 (주)텐바이텐 인수

2014-4 비주얼ARS 서비스 개시

2014-11 '세계로 배송 서비스’ 개시

2015-02 모바일GS샵 종합인터넷몰 최초 2000만 다운로드 돌파

2015-07 T커머스 채널 <GS MY SHOP> 개국

2015-10 <GS SHOP 라이브배송서비스> 오픈

2016-05 업계 최초 360도 VR(Virtual Reality) 영상 홈쇼핑 방송에 활용

2016-12국가고객만족도(NCSI) 홈쇼핑 부문 1위방송통신위원회 ‘2015 방송평가’ 홈쇼핑 부문1위

2017-03 홈쇼핑업계 최초 <전문무역상사> 지정(산업통상자원부, 한국무역협회)

2017-12<2016 방송평가> 홈쇼핑 부문 1위(방송통신위원회)소비자중심경영(CCM) 인증(공정거래위원회, 한국소비자원)

2018-04 공정방송센터 신설

2018-06 홈쇼핑업계 최초 동반성장지수 3년 연속 우수 등급 획득

· 조직도

Page 29: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6

· 재무상태표(단위 : 백만 원, K-IFRS연결)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유동자산 837,444 754,967 732,523

현금 및 현금성자산 176,557 192,243 193,533

매출채권 54,492 72,968 74,693

재고자산 12,304 26,765 28,976

비유동자산 521,990 670,187 659,608

투자자산 1,705 1,659 4,258

유형자산 205,402 222,321 240,774

무형자산 39,130 30,938 24,067

자산총계 1,359,434 1,425,154 1,393,131

유동부채 373,268 350,669 296,667

매입채무 등 262,030 231,361 205,661

유동비금융부채 76,980 89,152 75,661

당기법인세부채 24,489 27,353 14,455

유동충당부채 9,768 2,803 890

비유동부채 10,587 10,610 7,294

장기매입채무 등 749 768 941

퇴직급여부채 4,353 4,139 3,783

비유동금융부채 3,247 3,059 -

비유동충당부채 2,239 2,644 2,571

부채총계 383,855 361,279 303,961

지배회사지분 974,673 1,063,149 1,088,385

자본금 32,813 32,813 32,813

소수주주지분 906 727 785

자본총계 975,579 1,063,876 1,089,170

자산/부채/자본 비교 부채비율/유보율/PER 변화 추이

Page 30: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지에스홈쇼핑(028150)

27

· 손익계산서(단위 : 백만 원, K-IFRS연결)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매출액 1,097,765 1,086,288 1,104,394

매출원가 141,528 115,636 302,917

매출총이익(손실) 956,237 970,652 801,477

판매비와관리비 829,841 829,359 664,648

급여 88,839 85,860 81,173

감가상각비 12,249 11,652 10,206

무형자산상각비 11,826 10,110 8,054

영업이익(손실) 126,396 141,293 136,829

기타수익 573 2,094 528

기타비용 6,247 4,174 6,569

금융수익 24,069 14,313 40,200

금융비용 2,753 844 2,596

관계기업투자손익 -3,353 -9,554 10,428

법인세차감전순손익 138,685 143,128 178,820

법인세비용 32,879 40,409 44,883

계속사업이익(손실) 105,806 102,719 133,937

당기순이익(순손실) 105,806 102,719 133,937

지배회사지분순손익 105,750 102,903 134,002

소수주주지분순손익 56 -184 -65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 추이 증가율/이익률 변화 추이

Page 31: GS홈쇼핑(028150) 소매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8

· 현금흐름표(단위 : 백만 원, K-IFRS연결)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92,201 70,981 45,767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201,820 104,466 78,124

법인세 납부 -27,690 -46,201 -47,388

이자의 수입 13,228 12,660 12,549

이자의 지급 - - -

배당의 수취 4,843 56 2,48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54,870 -62,291 47,657

투자활동 현금유입 1,009,853 1,057,866 818,355

장단기투자자산등 감소 991,145 1,054,857 790,224

유무형자산의 감소 102 1,017 1,284

투자활동 현금유출 1,164,723 1,120,157 770,698

장단기투자자산등 증가 923,972 943,370 688,859

유무형자산의 증가 27,387 69,592 40,218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8,077 7,439 -92,018

재무활동 현금유입 3,000 88,040 -

상환우선주부채의 증가 3,000 - -

자기주식의 처분 - 88,040 -

재무활동 현금유출 18,783 37,898 50,999

자기주식의취득 18,783 37,898 50,999

배당금지급 -32,294 -42,703 -41,018

현금의 증가(감소) -10,810 15,685 1,290

기초현금 187,367 176,557 192,242

기말현금 176,557 192,242 193,533

현금흐름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