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2019. 12. 12 기술분석 2019-147 이 보고서는 코스닥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 확충을 위해 발간한 보고서입니다. 기술분석보고서 오이솔루션(138080) 하드웨어/IT장비 요약 기업현황 산업분석 기술분석 재무분석 주요 이슈 및 전망 작성기관 한국기업데이터(주) 정진호 전문위원 작 성 자 ■ 본 보고서는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통한 자본시장 혁신 방안」의 일환으로 코스닥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 확충을 위해,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의 후원을 받아 한국IR협의회가 기술신용 평가기관에 발주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 본 보고서는 투자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제공되는 것입니다. 또한 작성기관이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보고서를 활용한 어떠한 의사결정에 대해서도 본회와 작성기관은 일체의 책임을 지 지 않습니다. ■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에 대한 내용은 기술분석보고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투자자들은 기술분석보고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기술분석보고서는 발간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간 중이며, 현재 시점에서 해당기업이 속한 기술분석보고서가 미발간상태일 수 있습니다.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한국기업데이터(주)(TEL.062-380-0927, [email protected])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고성능, 고품질의 광 트랜시버 솔루션을 개발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 요약 영상 보러가기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2019. 12. 12기술분석 2019-147

이 보고서는 코스닥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 확충을 위해 발간한 보고서입니다.

기술분석보고서

오이솔루션(138080)

하드웨어/IT장비

요 약

기업현황

산업분석

기술분석

재무분석

주요 이슈 및 전망

작 성 기 관 한국기업데이터(주) 정진호 전문위원작 성 자

■ 본 보고서는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통한 자본시장 혁신 방안」의 일환으로 코스닥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 확충을 위해,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의 후원을 받아 한국IR협의회가 기술신용평가기관에 발주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 본 보고서는 투자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제공되는 것입니다. 또한 작성기관이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보고서를 활용한 어떠한 의사결정에 대해서도 본회와 작성기관은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에 대한 내용은 기술분석보고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투자자들은 기술분석보고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기술분석보고서는 발간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간 중이며, 현재 시점에서 해당기업이 속한 기술분석보고서가 미발간상태일 수 있습니다.

■ 본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한국기업데이터(주)(TEL.062-380-0927, [email protected])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고성능, 고품질의 광 트랜시버 솔루션을 개발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

요약 영상 보러가기

Page 2: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1

고성능, 고품질의 광 트랜시버 솔루션을 개발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

▶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는 광 트랜시버 국내 1위 업체

▶ 경쟁의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는 스마트 트랜시버 개발

▶ 5G 전환에 따라 매출 본격화

오이솔루션(138080)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는 광 트랜시버 국내 1위 업체

오이솔루션은 2003년 8월 설립되어 전

자, 전기, 정보통신 관련 제품의 연구개

발,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

고 있다.

오이솔루션은 도시지역 통신망 (MANs), Gigabit Ethernet 근거리 통

신망 (LANs), Storage Area 네트워크 (SANs), 수동 광통신망

(PONs), HD 비디오 전송을 포함한 유선 및 무선 통신 마켓에서 쓰이

는 고성능, 고품질의 광 트랜시버 솔루션을 최적가에 공급하고 있는 글

로벌 기업이다.

오이솔루션의 연결회사로는 2004년 10월 설립된 미국에 소재하는 자

회사인 OE Solutions America(OESA)와 2016년 5월에 일본 시장 공

략 확대를 위한 OE Solutions Japan(OESJ) 등을 두고 High-end 제

품과 신제품에 대한 대응 그리고 현지화를 통한 고객 밀착 영업을 통해

고객으로 하여금 대응능력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경쟁의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는 스마트 트랜시버 개발

오이솔루션은 2013년에 Aimvalley사와 공동개발한 스마트 트랜시버

(Smart SFP)를 출시했으며, 세계최초 독창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고 해

외 고객사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주요 고객사로는 Ciena,

CISCO, Nokia, Juniper 등이 있다.

[그림 1] 스마트 SFP를 이용한 네트워크 전송 간소화

출처 : 오이솔루션

시세정보(12/9)

현재가 50,800원

액면가 500원

시가총액 3,931억원

발행주식수 7,739,532주

52주 최고가 70,547원

52주 최저가 13,679원

60일 평균 거래대금 109억원

60일 평균 거래량 213,488주

외국인지분율 4.78%

주요주주 29.35%

투자지표 (억원, IFRS연결)

구분 2016 2017 2018

매출액 797.0 766.0 815.0

증감(%) 34.17 -3.92 6.41

영업이익 47 -19 2

이익률(%) 5.92 -2.50 0.29

순이익 61 -18 26

이익률(%) 7.69 -2.33 3.17

ROE(%) 11.69 -2.92 3.83

ROA(%) 7.44 -1.92 2.65

부채비율(%) 62.63 43.48 45.71

유보율(%) 1,946.87 1,579.95 1,604.01

EPS(원) 906 -245 326

BPS(원) 8,371 8,651 8,794

PER(배) 12.75 -46.19 50.96

PBR(배) 1.41 1.34 1.93

Page 3: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

오이솔루션의 스마트 트랜시버는 2017년부터 매출 본격화되어,

2018년에는 2배 이상 성장한 100억원을 상회하는 매출을 기록하

였으며, 스마트 트랜시버는 이종간 이동통신기술을 호환해 주는 효

과가 있어 시스템 비용 절감 차원에서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5G 전환에 따라 매출 본격화

광 트랜시버 시장은 5G와

IoT에 따른 데이터센터 수

요가 증가하면서 시장은 지

속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5G 전환에 따라 5G NR

CU&AAU, Small Cell 및

기타 기지국관련 장비 개체

수가 증가함에 따라 광 트

랜시버 수요도 동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제품 규격도

4G때 사용되는 2.5Gb/s에

서 5G에서는 10~25Gb/s로

상향됨에 따라 제품의 평균

단가도 상승효과가 있는 것

으로 파악된다.

오이솔루션은 국내 5G 투

자로 인하여 2019년 3분기

에 응용산업별로 Wireless

에서 87.7%의 매출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매출 비중이

81.3% 차지하고 있고 특히, 5G 타겟의 새로운 제품인 10Gb/s,

25Gb/s가 각각 59.4%, 27.1%로 매출이 구성되어 있다. 해외 5G

투자가 본격화 되는 시점에 해외 매출비중 상승이 기대된다.

[그림 2] 매출비중(3Q 2019)

출처 : 오이솔루션

Page 4: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3

Ⅰ. 기업현황

고성능, 고품질의

광 트랜시버

솔루션을 개발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

오이솔루션은 2003년 8월 설립되어 전자, 전기, 정보통신 관련 제품의 연구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14년 2월 코스닥시장에 등록하

였다.

오이솔루션은 도시지역 통신망(MANs), Gigabit Ethernet 근거리 통신망(LANs),

Storage Area 네트워크(SANs), 수동 광통신망(PONs), HD 비디오 전송을 포함한

유선 및 무선 통신 마켓에서 쓰이는 고성능, 고품질의 광 트랜시버 솔루션을 최적가

에 공급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2003년에 Bell Lab과 삼성전자 출신의 광 트랜시버 양산 전문가에 의해 창업된 오

이솔루션은 전 세계 주요 통신장비 제조기업들의 매우 중요한 공급 업체로서 자리잡

았으며, 우수한 기술력과 고객에 대한 열정을 가졌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기업이다.

현재, 오이솔루션은 대한민국 광주의 광산업 단지에 자리하고 있으며, 글로벌 최고

의 공급 업체에 걸 맞는 효율적인 광 트랜시버 개발과 고품질을 추구하는 제조의

장으로 거듭 발전하고 있다.

오이솔루션은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크게 개발기술본부와 제품전략영업본부, 재무기

획본부, 관리제조본부 등 총 4개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오이솔루션의 연구

소 조직인 개발기술본부는 Chip개발, OSA개발, 선행개발, 제품개발,

Tustin(OESA), Santa Babara(OESA)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업마케팅 관련

조직인 제품전략영업본부 산하에는 국내, 아시아, 중동 지역 영업을 담당하고 있는

영업팀, 사업을 총괄관리하며 개발과 양산 측면에서 제품전략을 수립 및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PM/제품전략팀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이솔루션의 사업품목인 광 트랜시버는 일반 대중에게 판매하는 소비재 시장과 달

리, 고객에 따라 커스터마이즈(Customize)되는 제품이면서도 기술적 부가 서비스가

함께 요구되는 B2B 비즈니스이다. 즉, 고객과의 기술적인 소통능력과 서비스 능력,

[그림 3] 조직도(2019년 4월 기준)

출처 : 오이솔루션

Page 5: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4

고객의 입장에서 판단하는 사업적인 관점이 영업의 성과를 내는데 매우 중요하며,

오이솔루션은 (1)고객과의 원활한 소통(영업부서), (2)고객에 필요한 기술지원(기

술지원부서), (3)장기적인 고객과의 신뢰구축(OE 브랜딩) 등을 차별화하여 영업에

임하고 있다. 또한, 오이솔루션은 단기적인 매출증대보다는 고객과 함께 하는 장기

적인 신뢰의 사업파트너로서의 위치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이솔루션의 연결회사로는 2004년 10월 설립된 미국에 소재하는 자회사인 OE

Solutions America(OESA)와 2016년 5월에 일본 시장 공략 확대 및 글로벌 기업

화의 발판으로 OE Solutions Japan(OESJ) 등이 있다. 특히, OESA는 북미/유럽의

해외 영업을 총괄하는 조직과 고난이도 선행기술을 개발하는 디자인센터를 두고 있

으며, OE Solutions Japan(OESJ)은 전 세계 어떤 시장보다도 품질을 중요시하는

일본통신 시장에서 High-end 제품과 신제품에 대한 대응 그리고 현지화를 통한

고객 밀착 영업을 통해 고객으로 하여금 대응능력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2019년 3분기 Taiwan 지사 설립을 통해 중국통신 시장 포로모션을 가속화 및 기

술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오이솔루션의 주요 주주로는 최대 주주인 박찬 부회장이 19.74%의 지분을 보유하

고 있고, 박용관 대표이사가 8.18%, 기타 5%미만 소액주주가 72.0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그림 4] 오이솔루션의 글로벌 영업조직 및 위치(2019년 8월 기준)

출처 : 오이솔루션

Page 6: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5

[표 1] 주요 주주현황(2018년 12월 31일 기준)

주주명 주식수(주) 지분율(%)

박찬 (보통)1,527,600 19.74

박환 (보통)109,072 1.41

박용관 (보통)632,778 8.18

오수영 (보통)6,459 0.08

유준상 (보통)112,168 1.45

성기호 (보통)112,168 1.45

이상호 (보통)78,266 1.01

권창순 (보통)62,300 0.80

기타 (보통)5,098,721 65,88

출처: 오이솔루션

광 트랜시버:

데이터 트래픽의

핵심 솔루션

광 트랜시버(Transceiver)는 광송신기를 뜻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와 수신

기를 뜻하는 리시버(Receiver)의 합성어로, 광전송시스템, 대용량 라우터 및 스위

치 등의 광통신장치에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꿔 광섬유를 매체로 송신하며, 송신

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다시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광송신과 광수신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을 말한다. 광송수신 모듈은 초창기 155M, 622M, 2.5 Gb/s SDH/SONET 시

스템에 사용되었을 때에는 광송신기와 광수신기가 분리되어 있는 구조였으나, 2000

년 이후에 들어서서 광송신기와 수신기가 하나의 패키지 안에 구현된 지금의 광 트

랜시버 모듈이 등장하였다.

또한, 광 트랜시버 모듈 업체를 중심으로 시스템 업체, 부품업체들이 모여 산업체

표준(MSA)을 정하면서 개발 비용과 시간 단축의 효과를 거두는 동시에, 기술면에

서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광 트랜시버의 발전 방향은 고속화,

소형화, 고성능화, 저가격화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림 5] 통신네트워크 내 광 트랜시버 응용 분야

출처 : 아이투자

Page 7: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6

오이솔루션의 주력사업 분야는 통신용 모듈(광 트랜시버)로서 주요 제품군은 아래

와 같다. 특히, 오이솔루션은 2013년에 Aimvalley사와 공동개발한 스마트 트랜시

버(Smart SFP)를 출시했으며, 스마트 트랜시버는 통신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기

능을 트랜시버에 탑재하여 저비용·고효율로 네트워크 전송이 가능한 제품으로 독

창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표 2] 주요제품 현황

사업부문

타입별 제품 용도 시장

통신용

모듈

BIDI,

DUPLEX

* 50G PAM4

* 25G Duplex SPF28

* 25G BiDi SPF28

* 10G SFP+

* 10G BiDi SFP+

* 5G BiDi SFP+

* 2.5G BiDi SFP+

* 2.5G C/DWDM SFP

Backhaul: 기지국,

중계기, RRHWireless

Backhaul(~20km)

* Smart_SFP(OAM)

* Smart_SFP(TSoP)

* 10G BiDi SFP+

* 10G C/DWDM SFP+

* 10G low power

X2-convertible

데이터센터,

사무실, 빌딩 등

Datacom(~2km)

* 10G_CWDM XFP

* 2.5G_C/DWDM SFP

* 10G_DWDM XFP

* Smart SFP

장거리망

Telecom(100km~)

* 10G BiDi SFP+

* 10G_DWDM_XFP

가정용 인터넷

FTTH(~20km)

출처: 오이솔루션

Page 8: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7

국내에서 현재 광 트랜시버를 생산하는 기업은 대력 10개사 정도이며, 7~8개의 해

외 경쟁사도 한국 시장에서 영업을 하고 있다고 한다. 광 트랜시버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7.3조원 수준이고, 오이솔루션은 글로벌 약 3% 수준의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자료 : Lightcounting_2019>

[표 3] 매출액 동향 (단위: 억원)

구분 Q2 2019 Q3 2019 증감률(%)

응용산업별

• Wireless 504.1 531.8 5.5

• Telecom/Datacom 20.5 25.9 26.3

• FTTH/MSO 35.4 48.5 37.0

지역별

• 국내 485.5 492.8 1.5

• 해외 74.5 113.4 52.2

해외매출비중 13.3% 18.7%

전송속도별

• 1.25Gbps 이하 14.3 15.0 4.9

• 2.5~4Gbps 59.4 53.0 -10.8

• 5~6Gbps 4.1 6.6 61.0

• 10Gbps 273.6 360.2 31.7

• 25Gbps 이상 198.5 360.2 31.7

• Smart SFP 9.9 6.6 -33.3

• 기타 (반제품) 0.2 0.8 300.0

총 계 560.0 606.2 8.2

※ 상기 실적은 별도 기준임. 출처: 오이솔루션

광 트랜시버 국내

1위 업체로

성장시킨 장본인

대표이사 박용관(1949년생, 남)은 최고경영자로서 2003년 오이솔루션을 공동

창립하여 현재까지 경영전반을 총괄하고 있으며, 이전에 NanoOpto

Corporation의 수석이사, Agere Systems의 이사 및 Lucent Technologies,

Bell Labs에서 기술 관리자를 역임한 바 있다.

오이솔루션의 대표이사는 서강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스탠포드대학

응용물리학과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동인은 Bell Labs에 있는 동안

1989년 최초로 1.7 Gb/s 360 km 코히어런트(Coherent) 통신에 대한 필드

시험을 성공시켰으며, 1994년 세계 최초로 10 Gb/s 필드 시험을 포함한 수많

은 기술적 목표를 달성하였다. 또한, 광통신 분야에서 12개의 특허와 100개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2004년 IEEE 회원과 1997년 OSA 회원으로 지명되었다.

Page 9: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8

Ⅱ. 산업분석

광산업의 특징 및

중요성

광산업은 과학적으로 규명된 빛의 고유한 성질을 이용하여 기술적으로 개발함

으로써 각종 첨단제품을 생산·판매하는 산업이다. 이러한 빛은 에너지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파동성·입자성이 있어 이를 통해 정보를 전송하여 광통신이

구현되고 있고, 정보의 저장 및 변환, 재료의 가공·측정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광산업은 빛을 생성하고, 제어하고,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소

자, 기기 및 시스템 산업을 총칭하는 지식기반사업이다. 최근에 많은 첨단제품

에 광부품과 소재가 사용되고 있듯이 광은 신제품을 위한 핵심요소로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광의 기술적 파급효과가 커서 여러 제품들의 혁신에 기여하고 있

음을 간접적으로 입증하는 것이다.

광산업은 과거 국방산업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광산업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과거 국방 분야의 선도로부터 시작되어 전통적으로 국방이 강한 나라(미국, 러

시아, 중국, 독일 등)는 광기술 수준이 높은 광기술 선도국이라 할 수 있다. 최

근에는 IT환경 및 사회 환경 변화로 인해 통신 분야 등의 발전으로 민수 분야

가 선도하면서 디스플레이 및 조명 분야, 의료 산업 분야 등 산업 전반으로 확

대 및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향후 광제품 활용도는 더욱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광산업의 기술적 특징을 살펴보면, Grupp(1992)가 과학집약도가 가장 높은 분

야로 Laser, Laser medicine, Genetics & Pharmacy, Polyimides, Fuel

cells, 과학집약도가 평균 이상인 분야로 Optics, Image Transmission,

Sensors, Coating 등을 제시하였듯이 과학적 집중도가 매우 높은 과학기반산

업(Science-based Industry)이라 할 수 있다.

[그림 6] 광산업의 변천

출처 : 한국광산업진흥회

Page 10: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9

광산업의 기반은 물리학, 화학 등 자연과학 분야로 부전자공학, 소재공학, 화학

공학 등 응용학문까지 포괄하는 범위가 넓은 분야로 학제적인 연구가 강조되는

분야이다. 특히, 현재까지 산업 발전의 주축이던 기계, 전자, 화학 등 전통적인

기술기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첨단기술은 바로 광기술과의 융합이

라는 인식이 파급되어 여러 산업 분야에서 광기술의 도입과 응용이 경쟁적으로

전개되고 있어서 광산업은 다학제적(Multidiscipline) 분야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정보통신산업의 핵심이자 생명기술(BT), 나노기술(NT), 환경기술

(ET) 등 미래 유망 분야와 국방, 생산가공 및 측정 등 다양한 분야의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인류의 복지 증진과 지구환경에 기여하는 국가의 공통 자산이자

국내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기반 산업이다.

따라서, 광기술은 기초학문부터 응용학문까지 체계적인 기술축적을 기반으로 기

술인력의 질과 지속적·장기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한 과학기술 산업이며,

장기적으로 육성된 숙련 기술인력의 질과 수준이 높아야 경쟁력을 가지는 기술

산업이고, 타 산업에 비해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 새로운 기술의 창출이 끊임없

이 이루어져야 하는, 장기적인 계획과 투자가 요구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광기술은 디지털화가 발전하여 아날로그 방식에서 불가능했던 영상정보의

처리 및 변환, 대용량의 정보처리와 다른 기기와 결합이 가능하게 함에 따라 정

보화 시대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결정적인 수단으로 기여하며, 원재료나 인건비

의 비중을 최소화하고 기술정도에 따라 부가가치의 극대화가 가능한 산업이다.

광산업의 범위는 빛이 갖는 성질에 따라 빛의 파동성을 이용한 기술, 빛의 입자

성을 이용한 기술, 빛의 에너지 고출력성을 이용한 기술, 물질과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기술, 빛의 직진 및 굴절의 성질을 이용한 기술 등 다양한 응용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모든 분야이다. 특히, 광응용 기술은 첨단의 정밀광학, 디지

털 전자기술, 정밀기계 기술이 복합적으로 결합한 기술이므로 기술발전의 파급

효과가 매우 높은 첨단기술과 결합된 고부가가치 기술이다. 따라서 소수의 고급

인력과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에서도 세계시장을 주도할 수 있어 기술 중심의

전문화된 벤처·중소기업에 가장 적합한 분야이다.

일반적인 광산업의 분류는 광산업의 특성상 첨단 제품들로 구성되어 있어 한국

표준산업 분류에 그 기준 및 분류가 별도로 부여되지 않은 상황으로, 국내 산업

계 및 학계 등에서는 2000년도에 한국광산업진흥회에서 만든 광산업 분류표를

기준으로 총 6개의 분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 대분류는 각각의 제품 및 기술

을 중심으로 2~4개의 중분류로 구분되고 있다.

Page 11: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10

[표 4] 광산업의 6대 분류표와 국내 관련기업

범 위 주요품목 관련기업(예시)

광통신

광케이블 광섬유케이블 글로벌광통신

오이솔루션

동원시스템즈 등

광통신부품 ONU, 광증폭기, 송수신기

광통신시스템 광전송시스템, 광교환기

광정보기기

광기록 부품 광픽업, 광다이오드 아이엠,옵토웰

삼성전자,LG전자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등

광기록 매체 MOD, DVD, CD-ROM

광입출력 장치 스캐너, 레이저 프린터, 디스플레이

광정밀기기

레이저 발생기기 산업용 레이저, 레져용 레이저 화천기공

이오테크닉스

동우옵트론

광전자, 휴비츠

루트로닉,뷰웍스 등

정밀가공 절단·용접기, 마킹, 반도체가공기

광계측기기 광센서, 광계측기기

의료광학기기 레이저응용 치료기, 영상진단기

광원 및 광전소자

광원 산업용 광원, 고효율 광원 삼성전자,LG전자

LG이노텍,

한화/한화케미칼 등

광변환기기 태양전지, CCD

디스플레이소자 LCD, FED, PDP, LED

광소재 광소재 렌즈재료, 광섬유재료, 광촉매 삼성테크윈, SKC등

광학기기

화상기록재생 카메라, 복사기, 팩시밀리

삼성테크윈/전기

신도리코

LG전자,세코닉스 등

관측검사기기 쌍안경, 현미경, 야시경

광학부품 렌즈, 프리즘, 반사기

출처: 한국광산업진흥회

국내 광산업체의 시장창출 능력차원에서 분석해 보면, 국내 광산업은 그간

R&D중심의 지원정책으로 판로개척, 마케팅, 사업화 지원 등의 지원이 상대적

으로 부족하여 신시장 창출이나 과잉경쟁을 초래한 것으로 보이며, 기업들 사이

의 기술 협력 및 공동 마케팅 등의 상생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반적인 국내 산업의 고질적인 문제인 우수인재 영입과 관련해서는 일부 대기

업을 제외하고는 국내 광산업의 경우 낮은 급여문제 등으로 우수한 인재의 채

용이 사실상 어려우며, 생산인력의 채용에 있어서도 정착률이 낮은 실정으로 인

력 부족, 특히 숙련공 부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다. 또한, 시장 선순환 구조 측면에서는 국내 광산업은 부품산업 위주로 각각의

부품을 생산하여 업체별로 개별 마케팅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에 해

외 대기업들은 시스템에서부터 부품까지 수직 계열화를 통해 마케팅이 이루어

지고 있어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Page 12: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11

광산업의

발전방안

현대사회는 물질문명의 진보와 경제적 풍요로 인해 산업사회 이전의 의식주에

대한 기본적인 욕구는 경쟁심화에 따른 신시장 창출의 필요성과 기술혁신에 따

른 가능성 증대, 무엇보다도 소비자의 욕구/니즈의 향상이 이제 전혀 다른 차원

의 산업적 경제적 욕구로 변화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 편

리하고 즐거운 사회, 소통하여 감정을 공유하는 공감의 사회를 요구하고 있고,

사회와 연결되는 서비스나 기술이나 제품은 미래사회의 가장 유망한 산업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 니즈의 다양화 및 고도화를 해결하기 위

한 수단으로 광기술을 기반으로 한 융합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광산업은 특성상 ICT산업과의 융합이 가장 용이한 것으로 보이며, 그동안 광산

업과 자동차, 가전산업 등이 결합한 형태로 융합산업을 발굴하였고, 광역경제권

정책을 통해 조선산업으로 확장하였다. 또한 의료, 환경, 건설, 농수산 등 틈새

시장을 겨냥한 융합아이템 발굴도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국내 광산업이 보다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만물통신(IoE) 플랫폼,

감성형 단말기술, 지능형 ICT 융합모듈, 5세대(5G) 이동통신 등 핵심기술을

접목하여 광산업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킬 수 있는 광기반 융합기술 개발 및 틈

새시장 발굴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신산업을 도출해 낼 수 있다.

특히, 안전에 관련된 광기술 미래 유망 분야는 구조물진단, 식품안전, 교통안정,

재난관리 등이 있으며, 건강/생활 분야는 식물공장, 진단 및 수술, 광 의료기기,

바이오 로봇 등이 있고, 환경/에너지 분야는 광 감응기술, 에너지 저장/절감 기

술, 전력전송 분야, 환경모니터링 기술 등이며, 문화/삶의 질과 관련 분야는 유

비쿼터스, 사물인터넷, 디스플레이, 감성/방송조명 등이 미래 유망기술 및 시장

분야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광기반 신산업 분야를 첨단 인지-광융합 산업으

로 육성하여 국내 광산업의 구조 고도화, 기업의 핵심역량 강화, 광기업의 사업

화 실현을 통한 기술 경쟁력 제고 및 세계 시장 선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

다.

[그림 7] 패러다임 변화: 융합을 통한 신사업 창출

출처 : 광주테크노파크(GJTP)

Page 13: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12

광 트랜시버의

주요 시장

무선이동통신(Wireless) 시장

무선이동통신 트랜시버 시장은 2019년 세계 시장이 약 5.5 천억원, 2020년 약

1조원 시장으로 추정되고 5G 서비스 제공으로 시장규모는 2019년~2024년 연

평균 20%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10 Gb/s·25 Gb/s급의 광 트랜시버 수

요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Telecom/Datacom 시장

Telecom 시장은 장거리 통신망으로 2019년 약 2조원으로 추정된다. 100

G/ps급의 트랜시버 수요 증가도 가속될 전망이다. Telecom 시장은 향후 수년

간 100 Gb/s 급 이상의 고속 트랜시버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Datacom 시장은 데이터센터, 기업내부망 등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이며, 세계시

장 규모는 2019년 약 3.9조원으로 추정된다. Datacom 시장은 향후 몇 년간

가장 큰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이다.

댁내가입자망(FTTH) 시장

구리선으로 되어 있는 전화망을 광케이블로 대체하는 FTTH 네트워크로 진화

되고 있으며, 세계시장 규모는 2019년 약 8.3천억원으로 추정된다. 특히

Netflix 등의 성장과 UHD급 Contents 확산으로 GIGA 인터넷의 필요성은 증

대되고 있다. 현재, 미국 및 일본은 기가인터넷 보급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가

인터넷의 광 트랜시버는 기존 1 Gb/s급에서 10 Gb/s급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

다.

[그림 8] Datacom 시장 예측

출처 : 오이솔루션, SK증권

Page 14: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13

[그림 9] 트랙픽 증가할 때 증설해야 할 광통신 핵심 제품(광 트랜시버)

출처 : 오이솔루션, 유진투자증권

광 트랜시버

시장동향

최근 광통신부품 시장의 핵심 화두는 모바일 서비스 확대에 따른 인터넷 데이

터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 관련 시장의 급속한 성장이라고 할 수 있

다. 특히, 데이터 전송의 대용량화에 따른 10 Gb/s 시장에서 100 Gb/s 시장

중심으로의 변화가 되고 있고 200Gb/s와 400Gb/s 시장의 성장이 예상이 되고

있어서 광통신부품 산업의 커다란 성장동력이 되고 있다. 광통신부품 전체 시장

규모는 2013년 68억 달러 규모에서 2019년 123억 달러 규모로 성장이 예상

되며, 이 중 Datacom 분야가 42억 달러로 연평균 16% 이상의 성장이 예상된

다.

2014년 100 Gb/s 광 트랜시버 기술을 전시한 해외업체는 Finisar, AVAGO를

포함하여 10개사 이상으로, 해외 선도업체들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 10 Gb/s 기술을 기본으로 10개의 채널을 구성하는 1세대 광 트랜시버인

CFP의 경우에는 2010년 초기 개발이 완료되었고, 이후 25 Gb/s 기술을 기반

으로 하는 2세대 광 트랜시버인 CFP2가 2013년을 기점으로 AVAGO,

Finisar, Oclaro, Oplink, Fujitsu 등의 선진업체들을 통해 개발되었다. 중국의

경우, Accelink, WTD 등을 중심으로 CFP가 상용화되어 있고, NeoPhotonics

에서는 CFP2 기술이 상용화되어 있다. 3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QSFP28

의 경우 Mellanox에 인수된 Kotura에 의해 2013년 전시된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2km 단거리 전송용 시제품을 필두로 주요 광통신부품업체들이 앞다투어

상용화를 진행하고 있다.

기술개발 동향과 함께 해외기업의 M&A(Mergers and Acquisitions)를 통한

수직계열화(Vertical Integration)도 최근 매우 두드러진 시장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광 트랜시버 선두업체들은 기업 M&A를 통한 대형화와 all in-house

체계 구축으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Page 15: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14

Photop, Oclaro Pump laser business, Marlow, Aegis 등을 인수하여 광통신

요소부품의 total solution을 갖추었던 세계 3위 업체인 II-VI가 세계 1위 업

체인 Finisar를 인수 합병하며 지속적인 성장하고 있는 대표 기업이며, 마찬가

지로 Lumentum도 M&A를 통해 2017년 Oclaro를 인수였고 세계 2위 업체로

도약하였다.

광통신부품업체 뿐만 아니라 대형 시스템회사들의 기업 인수도 매우 두드러진

현상이다. Huawei는 2012년 1월 실리콘 기반의 광소자 집적 전문 기업인 CIP

사를 인수하였으며, Cisco는 실리콘 포토닉스 전문 기업인 Lightwire를 2012

년에 인수하였다. 또한, Huawei에 이은 중국의 두번째 규모의 시스템회사인

ZTE는 2013년 EANTC(European Advanced Networking Test Center)에

서 100 Gb/s 광 트랜시버의 자체 공급 체계 구축 계획을 밝힘으로써, 글로벌

시스템업체의 핵심 부품 수급 경쟁과 이를 통한 경쟁사 견제 구도가 심화되고

있고, 이는 광통신부품 시장 생태계를 매우 복잡하게 교란시키고 있는 상황이

다.

또한, 앞서 언급한 CMOS 전문 기업인 Mellanox는 세계 최초로 실리콘 포토닉

스 기반의 QSFP28 모듈을 상용화한 Kotura를 2013년에 인수하여 인피니밴드

및 이더넷 제품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완성하였고, 광커넥터 전문 기업인 Molex

는 2011년 CMOS 포토닉스 전문 기업인 Luxtera를 인수하여 100G 인피니밴

드와 이더넷을 위한 AOC 기술을 확보하였다. 2019년 GPU 기업인 NVIDIA가

Mellanox를 인수하였고 데이터센터용 인피니벤드 솔루션을 갖추게 되었다.

한편, 국내 광 트랜시버 산업체는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Datacom 분야보다

Access 분야에 주력하여,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용 광 트랜

시버 등 무선 Backhaul 분야에서는 국내 기술이 선도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경쟁력은 당분간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중국업체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점차 약해지고 있으며, High-end 제품

인 10G와 25G급 시장에서 중국의 빠른 추격 및 추월이 예상되고 있다.

Datacom 및 Telecom 분야에서는 10G급 광 트랜시버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

하고 있으나 시장 점유율이 낮은 상황으로, 국내 산업체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

는 Access 분야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Datacom 시장으로의 진출이 필요하다.

Page 16: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15

Ⅲ. 기술분석

광 트랜시버란 광 트랜시버(Transceiver)는 광전송시스템, 대용량 라우터 및 스위치 등의 광

통신장치에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꿔 광섬유를 매체로 송신하며 송신된 광

신호를 수신하여 다시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광송신과 광수신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을 말한다.

광송수신 모듈은 초창기 155M, 622M, 2.5 Gb/s SDH/SONET 시스템에 사용

되었을 때에는 광송신기와 광수신기가 분리되어 있는 구조였으나, 2000년 이후

에 들어서서 광송신기와 수신기가 하나의 패키지 안에 구현된 지금의 광 트랜

시버 모듈이 등장하였다.

광 트랜시버는 송신 기능과 수신 기능을 하나로 결합한 Duplex형 트랜시버와

송신과 수신을 하나의 광선로로 처리할 수 있는 1 심선에 쌍방향 통신이 가능

한 Bi-directional 트랜시버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수동 광통신망

(Passive Optical Network)에 사용되는 광 트랜시버는 광통신망을 구현하는

기술 방식별로, 가입자와의 정보교환을 위한 전송 방식에 따라 ATM기반 PON

용 광 트랜시버(A-PON, B-PON, G-PON)와 이더넷 기반 PON용 광 트랜시

버(E-PON, CWDM-PON, DWDM-PON) 등으로 나눌 수 있다.

ATM-PON은 아웃사이드 플랜트(Outside Plant)의 장비 구축비용을 광 분배

기로 대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TM 기반의 품질 및 대역

폭 확장, 에러발생률 저하, 거리 확장 등 광가입자 망 구성에 적합하고 다양한

기술적, 경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림 10] 광 트랜시버의 분류

출처 : 광주전략산업기획단

Page 17: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16

Ethernet-PON은 ATM-PON 표준이 비디오 전송능력의 부족과 불충분한 대

역폭 그리고 복잡도와 비용적인 면에서 광가입자망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

는 Alloptic사와 같은 몇몇 회사를 중심으로 시작된 것으로, 고속 이더넷, 기가

비트 이더넷, 10기가비트 이더넷으로 기술발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특

히 IP 트래픽을 전달하는 데는 ATM-PON 보다 더 경제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광 트랜시버는 전송 시스템의 가격과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으로 현재 10

Gb/s급의 제품이 시장에서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40 Gb/s급 제품은 대용량

데이터 센터와 백본 네트워크에서 초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단계에 와 있으

며, 이더넷 표준화가 완료되는 2010년 이후에 본격적으로 시장이 확대될 전망

이다. 100 Gb/s급 광 트랜시버는 효율적인 광전송을 위한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는 단계로 이더넷 용도의 경우 병렬(Parallel) 전송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광 트랜시버와 관련된 표준으로는 동기식 전송 네트워크와 DWDM/ROADM 네

트워크로 이루어진 텔레콤 분야에 있어서는 ITU-T, Telcordia, OIF 규격이

있으며, 이더넷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콤 분야에 있어서는 IEEE 802.3 규격

이 대표적이다. 또한, 광 트랜시버 모듈 업체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MSA 형

태의 산업체 표준이 존재한다. ITU-T, IEEE와 같은 국제 표준 규격의 경우,

주로 광학적 특성 및 지터와 관련된 규격을 다루고 있으며, 산업체 표준의 경우

모듈의 물리적 규격, 전기적 규격, 운용 및 관리 측면의 규격 등 보다 더 상세

한 사항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특히, 광 트랜시버 모듈 업체를 중심으로 시스템 업체, 부품업체들이 모여 산업

체 표준(MSA, Multi Source Agreement)을 정하면서 개발 비용과 시간 단축

의 효과를 거두는 동시에, 기술면에서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

한 광 트랜시버의 발전방향은 고속화, 소형화, 고성능화, 저가격화로 요약할 수

있다.

광 트랜시버

요소기술

광송수신기 기술은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고,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

하는 과정에 필요한 부품과 관련된 기술로, 광 트랜시버 종류에 따라 실제 구현

방법은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LD 전류, 광출력 제어 및 안정화 기술, LD

온도 제어 및 안정화 기술, 파장 가변 기술, 광변조기 바이어스 안정화 기술, 광

간섭계 제어 기술, 수신 광 전력 감시 기술, APD 바이어스 제어 기술 등이 있다.

LD의 경우 전류 대 출력 함수 그래프의 기울기가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고온

으로 올라갈수록 동일한 광출력을 얻기 위한 전류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Page 18: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17

따라서, 온도 변화와 상관없이 광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광출력을

모니터링하여 전류의 양을 조절해야 한다. 또한, 소광비(ER, Extinction Ratio)

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도 필요하다. DWDM/ROADM 광전달망에서 사

용되는 광 트랜시버의 경우에는 파장의 안정도가 특히 중요하고, 위상을 변조하

는 광 트랜시버의 경우에는 광변조기의 바이어스와 광간섭계를 최적화해야 한다.

광 트랜시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진화 방향은 고속화와 소형화이다. 따라서, 많

은 소형부품이 집적화되어 있는 PCB 상에서 고속 전기신호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SI, PI 분석이 필요조건이 되었으며, EMI를 고려한 PCB 설계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DWDM용 XFP 트랜시버의 경우를 예로 들면, 손가락 두 마디 정도의 PCB 상

에 10 Gb/s 속도의 전기 신호가 흘러 다니는 가운데, 2V 이상의 전압으로

EML을 구동하고, 온도 안정화를 위한 TEC 회로가 내장되며, 필요에 따라

30V 전압으로 APD 바이어스를 공급하여야 하고, 여기에 모든 부품들을 감시,

제어하기 위한 회로들이 배치된다. 보드 상에는 송수신 데이터 경로와 관련된

아날로그 신호와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관련된 디지털 신호가 혼재하며, 송신부

와 수신부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송신 신호가 수신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상황

이다. 이 모든 기능이 70°C 이상 온도에서도 정상 동작을 해야 하므로 광 트

랜시버 PCB를 설계하는데는 전문적인 지식과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광 트랜시버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컨트롤러

를 이용한 제어 및 운용 기술이 필요하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광 트랜시버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최적 값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한

다. 각 광 트랜시버 MSA별로 운용을 위한 management 규격이 있어 이를 만

족해야 한다. 또한, 보드가 소형화되기 때문에 가능한 부품 수를 줄이고 동일한

기능을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자 하는 기술은 시험 기술이다. 광 트랜시버의 기능 및 성

능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광통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에서부터 응용 분야에 따

른 ITU-T, IEEE, Telcordia, MSA 등의 표준 규격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광 트랜시버가 사용될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잘 알고 있어

야 한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개발 인력 외에 전문적인 시험 인력이 별도

로 필요하다. 또한, 양산 단계에서는 많은 시험 항목들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데

이터베이스화 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여러 개의 광 트랜시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Page 19: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18

[표 5] 광 트랜시버 주요 시험 항목 및 관련 표준

구 분 주요시험항목 관련 표준

Optical

specifications

• Wavelength, transmit power, SMSR,

ER, path penalty, eye mask, receiver

sensitivity, stressed receiver

sensitivity, overload, etc.

• ITU-T G.959.1, G.698.1(SDH, OTN)

• IEEE 802.3ae(10GbE)

• GR-253-CORE(SONET)

Electrical

performance

• Crosstalk between TX and RX,

asynchronous test

• High speed signal characteristics,

low speed signal timing

• Optical transceiver MSAs

Jitter

measurement• Jitter generation, tolerance, transfer

• ITU-T G.783(SDH)

• ITU-T G.8251(OTN)

• IEEE 802.3ae(10GbE)

• GR-253-CORE(SONET)

Regulatory• EMI & ESD

• Laser eye safety etc.

• JEDECJESD22-A114-B(EMI)

• EN61000-4-2(ESD)

출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트랜시버 종류 광 트랜시버는 크게 형태별로 전송보드(채널보드)에 납땜 형식으로 고정시킨

SFF(Small Form Factor) 트랜시버와 SFF Hot-Pluggable로 패키징(모듈화)

된 소형 광 트랜시버인 SFP(Small Form factor Pluggable) 트랜시버로 구분

할 수 있다. 또한, SFP와 동일한 크기로 10 Gb/s 이상의 광 모듈인

SFP+(Small Form factor Pluggable plus) 트랜시버가 있다. 이외에도

XFP(10 Gb/s Small Form-factor Pluggable), CFP(40G/100G

Form-factor Pluggable) 등의 모듈이 있다.

SFP 트랜시버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탈-부착이 가능하고 외형적으로

INF-8074 규격을 따르며, SFP+ 트랜시버는 기존 XFP와 동일한

SFF-8431/8432 규격을 따른다.

[그림 11] 광 트랜시버의 형태별 분류

출처 : ㈜라이트론

Page 20: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19

광 트랜시버의

애플리케이션

무선 프런트홀

프런트홀 네트워크는 중앙 집중식 베이스 밴드 컨트롤러와 원격 셀 사이트에

설치된 독립형 무선 헤드로 구성된 다양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아키

텍처와 함께 배치된다. BBU (BaseBand Unit)와 RU (Remote Unit)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광섬유 기반의 이동식 프런트홀이 도입되었다. 전력 및 공간

비용을 줄이기 위해 이동통신 사업자는 많은 무선장치의 베이스 밴드가 중앙

집중화되는 중앙 집중식 RAN 및 Cloud-RAN을 구현해냈다. 5G가 도입됨에

따라 무선 인프라에서 광섬유 연결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속도는 더욱 빨

라졌다.

따라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대역폭

의 증가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옥외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는 고품질

광 트랜시버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

다. 오이솔루션은 오리지널 RAN 아키

텍쳐 및 최근 4G LTE 네트워크를 위

한 모바일 프런트홀 광학 분야의 선구

자 역할을 10년 이상 수행해 왔으며,

특히 환경적으로 강화된 WDM 솔루션

과 단일 광섬유 양방향 (BiDi) 솔루션

은 보다 효율적인 프런트홀 아키텍처

를 위한 핵심 제품이 되었다.

오이솔루션은 C-RAN 프런트홀 네트

워크를 중심으로 무선망 적용을 위한

우수한 광 트랜시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5G 프런트홀에 필수적인

CPRI / OBSAI 및 앞으로 다가올 eCPRI 규격을 지원하는 전체 제품 포트폴리

오를 보유하고 있다. 가장 성공적인 제품은 고온에서 동작이 가능한 CWDM 및

DWDM 트랜시버, 그리고 고링크 버짓을 지원하는 BIDI 트랜시버이다. 오이솔

루션은 1.25 Gb/s~10 Gb/s (CPRI-2~CPRI-8)의 다중 CPRI 규격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무선통신용 CPRI-10 규격을 만족하는 25 Gb/s

광 트랜시버를 개발하여 5G 네트워크에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고정 광대역

주거 및 상업 환경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컴퓨팅, 4K TV 및 온

라인 게임을 통해 요구되는 대역폭 수요의 증가는 통신 사업자가 고정 광대역

및 액세스 네트워크의 용량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계속해서 통신 장비 및 기

술에 투자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PON(수동 광 액세스), 이더넷 액세스 및 케

이블(DOCSIS 및 CATV / HFC)과 같은 기술이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에도 많

[그림 12] 무선 프런트홀

출처 : 오이솔루션

Page 21: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0

이 사용되고 있다. 레거시 비대칭(고 대역폭 다운 스트림 및 저 대역폭 업스트

림)에서 더 많은 대칭 대역폭 사용으로 트래픽 사용 패턴을 변경하는 것, 또한

서비스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와 시장의 역학 관계를 지

원하기 위해 장비사업자는 1G 및

10G 데이터 속도에서 PON, EPON

및 이더넷 기술의 다양한 조합과 같은

고급 액세스 기술을 찾고 있다. 무선

및 셀룰러 확장을 위한 백홀

(backhauling) 기술로 케이블 및

PON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실외 배치 및 상업적 사용 사례가 증

가하는 경우에도 산업 온도와 같은 환

경적으로 까다로운 조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원격 PHY(RPHY), 원격

OLT(ROLT) 및 PON Extender와

같은 고급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토폴로지와 결합된 신기술이 널리 보급되어

이더넷, DWDM, CWDM 및 “이더넷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광 트

랜시버 PON OLT는 이러한 새로운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오이솔루션은 1G/ 10G OLT, 10G ONU, GBE-ONU, WDM-OLT 및

CWDM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PON 제품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고정

광대역 및 케이블 액세스 시장의 새로운 니즈(Needs)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동작 온도(C-temp, I-Temp 및 “I-Temp 이상”)가 다른 다양한 DWDM

XFP, SFP, SFP+ 광 트랜시버를 제공하고 있고, Bi-di 광 트랜시버를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동사 제품은 전 세계에 설치되어

주거용 및 상업용, 라이브 광대역 및 액세스 네트워크에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및 상호 연결

데이터는 소비자 및 기업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확장되는 기반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엔터테인먼트의 스트림밍과 인터넷을 통해 완료된 작업들은 오늘날 우

리를 연결하는 모든 계층의 네트워크에서 대역폭 사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

다. 이것은 차례로 광섬유 및 송수신기로 연결된 스위치 및 서비스와 같은 네트

워크 장치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의 원인이 된다. 이는 대역폭 확장형 아키텍처에

서 볼 수 있으며, 전통적으로 에지로 푸시된 네트워크의 애그리게이션 레이어로

제한된다. 사용자가 데스크탑 컴퓨터나 스마트 폰으로 기가비트를 요구할 때

WDM, 고속 bit-rate 인터페이스와 같은 기술이 필요하고, 단일 광섬유 연결은

[그림 13] 고정 광대역

출처 : 오이솔루션

Page 22: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21

중앙 사무실을 넘어 최종 사용자와 가까운 실외 환경으로 확장되어 높은 유비

쿼터스 대역폭을 제공한다.

광 트랜시버는 전송되는 비트 당 비용

을 최소화하고 광섬유 스펙트럼을 활

용하여 대역폭을 증가함으로서 네트워

크에서의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다양

한 형태의 WDM 제품은 많은 경우 비

표준 파장을 사용하여 기존의 섬유에

비해 용량을 최적화하는데, 단일 광섬

유 전송을 사용하면 섬유가 부족할 때

양방향 연결이 가능하다. 높은 링크

버짓에 상응하는 긴 링크 범위는 앰프

(증폭기)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

감하지만 데이터 속도가 올라가는 것

과 동시에 더 높은 요구사항의 트랜시

버를 요구하게 된다. 또한, 전화국 및

제어된 환경 이외 외부로 영역을 확장할 경우 광 트랜시버는 -40도부터 90도

이상의 온도 범위에서도 동작해야 하는 또 다른 과제를 더하게 된다.

오이솔루션은 다양한 표준 규격 및 맞춤형 트랜시버를 통해 더욱 엄격하고 광

케이블이 부족한 네트워크 에지 쪽으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

히 표준 제품을 고객사에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고객의 까다로운 요구사항

(특수한 파장, 높은 링크 버짓, 양방향 통신, 극한 동작 온도 등)을 만족하는

제품도 함께 공급하고 있다.

네트워크 향상

통신사는 레거시 네트워크를 패킷 기반 네트워크 솔루션으로 신속하게 통합하

고 있다. 그러나,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및 임대 회선의

TDM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존재하며, 이로 인해서 통신사는 차세대 패킷

네트워크 솔루션을 구축하는 동시에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기존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있다. 가상회선망기술(Pseudo Wire Technology)은 패킷 네트워

크를 통해 TDM 신호를 전송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채널

수를 위해 만들어진 장비의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오이솔루션은 플러그형 송수신기 모듈에 다양한 형태의 가상 회선을 구현함으

로써 레거시 TDM에서 패킷 네트워크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는 광범위한

Smart SFP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광 트랜시버는 E1/T1, T3

또는 OC-3/12/48 SONET/SDH 신호를 패킷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이것은 통

신사업자에게 비용 효율적인 대안을 제시해 준다. 패킷 카드를 통한 전용 TDM

[그림 14] 전송 및 상호 연결

출처 : 오이솔루션

Page 23: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2

으로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새로

운 장비를 설치하는 대신 TDM 서비

스가 요구되는 라우터 또는 패킷 스위

치에 플러그 앤 플레이 Smart SFP를

간단하게 추가할 수 있다.

보통, 기존 PDH 또는 SONET/SDH

서비스를 패킷 네트워크에 추가하는

작업은 두 단계가 있다. 먼저 패킷 네

트워크에서 지점 간 서비스를 제공하

고, 둘째, 각 종단에 스마트 SFP를 삽

입하는 것과 함께 동작한다. 이는 기

존 기지국에서 신뢰성 높은 지점 간

E1 서비스를 설정하는 것만큼이나 간

단하다.

오이솔루션은 다른 솔루션으로 네트워크 향상을 위해 비용 및 공간에 효율적인

광 트랜시버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레이어 2 및 레이어 3에서의 서비스

보증, 즉 OAM 기능은 물론 동선(구리) 상에서 SyncE(이더넷 동기화)의 네트

워크 타이밍도 제공한다. 이미 많은 고객이 낮은 소비전력, 간편함 및 소형화와

같은 Smart SFP의 이점을 누리고 있으며, CAPEX 및 OPEX에 대해 절감 효

과도 얻고 있다.

[그림 15] 네트워크 향상

출처 : 오이솔루션

선도기업 수준의

R&D 인력 및

기술력 확보

광통신망의 전 분야에 걸쳐서 많은 광 트랜시버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며, 망 끝에는 스마트 기기들이 대부분 무선으로 망에 연결되기

때문에 무선망의 확충이 각 망 사업자들에게는 큰 숙제이다. 네트워크 분야에서

도 기존의 SONET/SDH 방식에서 이더넷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이런 변화는

기존의 SONET/SDH 망과 이더넷 망의 연동 문제와 고객에게 전달되는 데이터

의 품질을 보장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오이솔루션은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송신과 수신에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 광학패키징, 회로 및 기구 등 광 트랜시버 설계 제조에 필요한 핵심기술

을 수직 계열화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2019년 4월 1일 기준으로 동사의 연

구소 조직은 Chip개발, OSA개발, 선행개발, 제품개발, Tustin(OESA)로 구성

되어 있다.

Page 24: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23

[표 6] 주요 연구개발 실적

제품군 제품명 제품설명 및 연구결과

OSA

25G DFB TOSA(IT),

ROSA 개발

1) Uncooled DFB TO-can구조로 28Gbps까지 구현

가능함.

2) CWDM구동 경쟁력 확보함.

25G EML BOSA(IT)

개발

1) Cooled EML Box Package구조로 28Gbps까지 구현

가능함.

2) APD PD 적용함.

25G EML LWDM

TOSA(IT) 개발

1) Cooled EML Box Package구조로 28Gbps까지 구현

가능함.

2) IT (-40~85℃)조건에서 LWDM구동 경쟁력 확보함.

트랜시버

10Gbps PON OLT

Type4 IT 개발

(High link budget)

1) High Rink budget TriSA를 적용한 Transceiver.

2) 옥외에 설치되는 network 망에 적용 가능함.

25G SFP28 TDM LR

개발

DML을 사용한 transceiver 모듈로 25Gbps 신호를

10km 전송 가능함.

25G SFP28 BiDi LR

개발

1270nm/1330nm DML을 사용한 Bi-directional

transceiver 모듈로 25Gbps 신호를 10km 전송 가능함.

25G SFP28 BiDi

ER-lite 개발

LWDM 6파장 EML을 사용한 Duplex transceiver

모듈로 25Gbps 신호를 30km 전송 가능함.

25G SFP28 Duplex

LWDM ER-lite 개발

LWDM 6파장 EML을 사용한 Duplex transceiver

모듈로 25Gbps 신호를 30km 전송 가능함.

QSFP28 LR4 개발

1) 4 optical channel을 모듈 내에서 광다중화하여, 단일

fiber를 통하여 100Gbps (4x 25Gbps) 신호를

전송하는 모듈.

2) 옥외에 설치되는 network 망에 적용 가능함.

출처: 오이솔루션

한편, 오이솔루션은 특허권 35건, 상표권 2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업 초기부터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특허등록 등을 통해 보유기술을 보호하고 있고, 핵

심 특허를 활용하여 관련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개량기술에 대한 지속적

인 특허 출원 및 등록을 통하여 타사의 기술 진입에 대한 장벽 구축을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오이솔루션은 주력사업과 관련하여 다수의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어 핵심기술

의 보호, 판매와 관련된 사업 보완적 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보유 지

식재산권의 효과를 모방하기는 어렵고 실제 매출에 기여하고 있는바, 사업성 측면에

서도 효과성이 있는 지식재산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Page 25: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4

[표 7] 주요 지식재산권 보유현황

구 분 등록(출원)번호 발명의 명칭

특허 10-0572867 열 방출이 우수한 광 트랜시버특허 10-0848136 광모듈의 양방향 트랜시버특허 10-1027146 광통신용 양방향 트랜시버특허 10-1043798 PIN 호환성을 갖는 HDTV용 광 트랜시버특허 10-1053169 SiOB를 이용한 TO CAN 평행광 패키지특허 10-1127633 반사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구조를 갖는 양방향 광 서브

어셈블리특허 10-1286262 단일 파장을 이용한 광 송수신기특허 10-1362122 초고속 광 송수신 모듈특허 10-1426252 스마트 트랜시버의 가변파장 송신기의 파장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특허 10-1513372 이득 또는 트랜스컨덕턴스를 조절하는 광통신 수신기특허 10-1513373 직류 오프셋을 보상하는 광통신 수신기특허 10-1527484 체적 브래그 격자 및 이의 제조방법특허 10-1541972 광통신 수신기, 이에 사용되는 과전류 보상 회로 및 칩특허 10-1576936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특허 10-1576937 광 트랜시버특허 US 2005/0117848 AI 플랫폼에 이용되는 정렬 광통신 모듈(미국)특허 US 2012/0148257 AI 단일 파장을 이용한 광트랜시버(미국)특허 ZL 2001 1 0312285.9 반사노이즈를 감소시키는 구조를 갖는 양방향 광서브

어셈블리(중국)출처: 오이솔루션

Page 26: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25

Ⅳ. 재무분석

전방 산업의 투자

확대 및 지속적인

수주 확보에 따른

흑자전환

2018년도 기준 전기 대비 6.36% 매출성장 및 원가율 감소 등으로 영업이익 및 당

기순이익 흑자전환 하였다. 이는 주력 사업부문인 광트랜시버의 지속적인 수주에 기

인하고 있다. 특히 2019년 3분기 누적매출이 전년 매출의 약 2배에 달하고 있는

등 매출신장세가 강하게 유지되고 있다.

5G 특수가 계속되고 있는 등 영업환경이 양호하여 동사의 2019년 4분기 매출도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표 8] 사업부문별 매출액 및 비중 (주요사업중심으로 작성 : IFRS 개별기준)

(단위: 백만원)

구 분 2019년 9월 2018년 9월 2018년 2017년

제조내수 133,928 18,717 29,111 17,721

수출 26,007 38,246 52,276 58,801

소계 159,935 56,963 81,387 76,522

상품 내수 100 12 12 13

수출 - 3 7 -

소계 100 15 19 13

용역 내수 - - - -

수출 - - - -

소계 - - - -

기타 내수 - - - -

수출 - - - -

소계 - - - -

내수합계 134,028 18,729 29,123 17,734

수출합계 26,007 38,249 52,283 58,801

매출합계 160,035 56,978 81,406 76,535

출처: 분기보고서

큰 폭의 매출성장,

흑자전환 및

우수한

재무안정성

2019년 9월말 현재 매출실적은 주력 광트랜시버의 수주 호조로 전년 동기대비 약

280.87% 매출 증가하는 등 큰 폭의 매출성장을 시현하였다. 매출신장에 따른 수익

성 개선 효과로 전년까지 적자를 보였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흑자로 전환되는 등

수익성 개선된 측면이 있으며 2019. 9월말 기준 영업이익률(29.18%) 수준 감안

시 양호한 수익구조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채비율이 양호한 수준(약 50% 내외)에서 안정되고 있어, 재무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Page 27: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6

[표 9] 주요 재무현황 (주요사업중심으로 작성 : IFRS 개별기준)(단위: 백만원)

구 분 2019년 9월 2018년 9월 2018년 2017년

매출액 160,035 56,978 81,406 76,535

영업이익 46,703 (1,498) 364 (2,553)

당기순이익 37,646 515 2,641 (2,338)

영업이익률(%) 29.18% -2.63% 0.45% -3.34%

순이익률(%) 23.52% 0.90% 3.24% -3.05%

부채비율(%) 40.60% 50.52% 48.11% 45.42%

출처: 분기보고서

증권사 투자의견 [표 10] 증권사 투자의견

작성기관 투자의견 목표주가 작성일

한화투자증권

Buy(유지) 68,000 2019.11.13

‧ 광트랜시버 제조업체로 국내 시장점유율 1위 업체임.

‧ 3분기에도 수익성 개선은 지속

Page 28: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27

Ⅴ. 주요 이슈 및 전망

5G 이제 시작된

시장: 국내 5G

Infra 구축에 따른

매출성장 기대

5G는 “5세대”를 의미하는 차세대 모바일 통신 표준으로, 현행 LTE 표준(4G)을

대체할 것이다. 그 이전의 표준은 UMTS(3G)와 GSM(2G)였다. 5G는 초당 최대

10기가바이트의 높은 대역폭과 극히 낮은 응답 시간을 달성하여 훨씬 빠른 전송 속

도를 제공한다. 또한 이전 표준 대비 1비트를 전송하는데 천분의 일의 전력만을 소

모하여 데이터 전송에 훨씬 더 적은 전력을 필요로 한다.

초고속 5G 모바일 무선 표준은 연결된 기가비트 사회로 가기 위한 토대이다. 특히

지속적으로 데이터 교환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들이 활성화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시티의 경우, 5G로 운전자에게 도로 혼잡이나 사고 지점 뿐만 아니라 무료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은 서로 통신할 수 있고 인프라 와도

통신할 수 있다. 고도로 자동화된 주행을 위해서는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자동차의 새로운 기능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모바일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몇 초 안에 수행할 수 있다.

인더스트리 4.0은 5G의 또 다른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이다. 가치 사슬 및 공급 사슬

을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광범위한 생산 시스템의 센서 모니터링 및 로봇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서, 인더스트리 4.0은 효과적인 통신을 필요로 한다.

[그림 16] 국내 5G 커버리지 현황

출처 : KT, SKT, LG U+

Page 29: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28

초고속 모바일 통신은 더 개인적이고 유연하며 자유로운 미디어 사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콘서트나 축구 경기를 예로 들 수 있는데, 행사장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동시에 모바일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관객들은 실시간으로 이벤트에 참여하면서

스마트폰의 4K/8K 수퍼 HD로 다양한 각도에서 공연이나 경기를 즐길 수 있다. 5G

는 LTE보다 100배 더 큰 데이터 용량과 1000배 이상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거의 알아차릴 수 없을 정도의 지연시간으로 번개처럼 빠른 응답이 가능

하고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한다. 이처럼 놀라운 향상은 4가지 혁신 기술의 결과이다.

5G에서 광 트랜시버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5G의 서비스는 초저지연, 초고속 및

초연결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5G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자율주행차, 원격

의료 및 디지털 헬스케어 등은 초저지연 서비스가 중요하다.

오이솔루션은 5G 통신망 설비 투자에 따라 향후에는 매출액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4G LTE의 광 트랜시버는 2.5 Gb/s 제품이 주력이었으나 5G에서는 25 Gb/s가 주

력제품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5G의 광 트랜시버는 사용량도 많아지고 판매단

가도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5G에서는 기지국, RRH, 중계기 및 스몰셀의 설치

가 늘어나기 때문에 광 트랜시버의 사용량도 그 만큼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5G 서비스에서 오이솔루션의 10 Gb/s, 25Gb/s, 50Gb/s 급의 트랜시버 수요가 증

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통신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기능을 트랜시버에 탑재

하여 저비용·고효율 네트워크 구축을 가능하게 한 제품인 Smart 트랜시버가

2017년부터 본격적인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고, 지속적인 매출성장이 기대되고 있

다. 현재, 오이솔루션은 우리나라에 이어서 미국, 일본 등에 통신장비용 고사양 트

랜시버 승인시험을 진행 중에 있다.

[그림 17] 5G 네트워크 구축

출처 : 오이솔루션

Page 30: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29

Ⅵ. 별첨

· 기업개요

기 업 명 (주)오이솔루션 대 표 자 박용관

본 사 주 소 (61080) 광주 북구 첨단연신로30번길 53 (연제동)

전 화 번 호 062-960-5252 팩 스 번 호 062-960-5258

설 립 일 자 2003년 08월 07일 홈 페 이 지 www.oesolutions.com

사 업 자 번 호 409-81-76875 법인 (주민 )번호 200111-0180384

기 업 규 모 중기업 기 업 형 태 코스닥시장

업 종 분 류(C26410)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제조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통신 및 방송 장비 제조업

경 영 규 모(단위: 백만 원)

결산일 총자산 납입자본금 자기자본 매출액 순이익

2018-12-31 97,783 3,870 66,022 81,406 2,641

사업부문 주요제품(상품) 매출구성비(%)

통신용 모듈 광 트랜시버 외 100.0

· 직원 현황

기준일자 사무직 기술직 연구직 생산/기능직 기타 합계

2019-10-31 69명 35명 0명 143명 247명

· 주요 관계기업

기업명 대표자 사업자번호 관계내용

OE Solutions America, Inc.동사가 OE Solutions America, Inc.의 지분을

100% 소유

OE Solutions Japan Co.,Ltd.동사가 OE Solutions Japan Co.,Ltd.의 지분

을 100% 소유

Page 31: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30

· 주요연혁

2003-08 전자, 전기 정보통신 관련 제품의 연구개발 및 용역 등을 목적으로 공동대표이사 박용관, 추안구에 의해

광주 북구 본촌동 459-3 소재에서 (주)오이솔루션 설립(납입자본금 300백만원)

2004-05 기업부설연구소 인정(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41534)

2004-11 본점을 광주 북구 대촌동 958-3 (도로명주소 등기: 광주 북구 첨단과기로333)로 이전

2010-05 주식액면분할(1,000원 → 500원)

2012-05 지식경제부 World Class 300 기업 지정

2012-07 부품소재전문기업확인(유효기간: ~2015.7.30/지식경제부)

2013-10 글로벌전문 후보기업 지정

2014-02 코스닥 상장

2014-03 신사옥 건설 착공

2014-04 IP스타기업 지정 확인

2014-06 제 100-2호 첨단기술기업 재지정(미래창조과학부)

2014-07 기술혁신상(글로벌 리더 기술부문)Lightwave Innovation Awards(라이트웨이브 이노베이션 어워드)

2014-09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유효기간: ~2017.9.18)

2014-12 제51회 무역의 날 삼천만불 수출의 탑 수상, 대한민국 ICT 대상 "디바이스부문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우수상"

본점을 광주 북구 첨단연신로30번길 53 (연제동)로 이전

공장등록(유선 통신장비 제조업-26410)

2015-01 명품강소기업 인증(유효기간: ~17.12.31/광주광역시)

2015-03 Lightwave Innovation Awards(라이트웨이브 이노베이션 어워드)-CSC Lambdarich Transceiver

2015-07 포브스 '아시아 200대 유망 중소기업' 선정

2015-12 제 2015-00343호_직무발명보상우수기업 인증(특허청장)

2016-0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패밀리기업 지정(유효기간: ~2016.12.31)

2016-04 첨단기술기업 지정(유효기간: ~2018.06.28)

2017-12 공동대표규정 폐지에 의한 공동대표이사 추안구, 박용관 사임, 단독대표이사 박용관 체제로 전환

2018-07 기술역량 우수기업 인증서 [한국기업데이터(주)]

우수기술: 광통신용 양방향 트랜시버 제조기술

2018-09 제100-4호_첨단기술기업 지정서 재인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10 'R6041-2732호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Inno-Biz) 재인증(중소기업벤처부)'

2019-01 경영진 변동 : 대표이사 박용관, Suyama Shigeki → 김명석

2019-02 제 20190101903호 벤처기업확인서 재인증 (기술보증기금)

Page 32: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31

· 재무상태표(단위: 백만 원, 개별, K-IFRS연결)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유동자산 52,923 57,246 57,027

현금 및 현금성자산 9,270 21,923 11,073

매출채권 23,348 14,976 19,374

재고자산 17,662 18,839 19,739

비유동자산 37,004 38,809 42,125

투자자산

유형자산 30,010 29,596 30,476

무형자산 777 766 782

자산총계 89,927 96,055 99,152

유동부채 28,434 24,807 25,369

매입채무 4,120 948 1,740

유동차입부채 24,314 23,859 23,629

단기차입금 20,000 20,000 19,400

사채

유동성장기부채

비유동부채 6,198 4,302 5,736

장기차입부채

사채

장기차입금 200

부채총계 34,632 29,109 31,105

지배회사지분 55,294 66,946 68,047

자본금 2,589 3,869 3,869

소수주주지분

자본총계 55,294 66,946 68,047

Page 33: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기술분석보고서

32

· 손익계산서(단위: 백만 원, 개별, K-IFRS연결)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매출액 79,719 76,593 81,504

매출원가 53,089 53,973 54,106

매출총이익(손실) 26,630 22,620 27,398

판매비와관리비 21,909 24,537 27,165

급여 5,394 5,389 5,378

감가상각비 246 242 254

무형자산상각비 90 114 109

경상개발비 11,668 13,278 13,396

영업이익(손실) 4,721 -1,917 233

영업외수익 3,578 543 2,211

영업외비용 2,224 2,413 494

이자비용 357 481 477

법인세차감전순손익 6,075 -3,787 1,950

법인세비용 -51 -2,001 -632

계속사업이익(손실) 6,127 -1,785 2,583

중단사업이익(손실)

당기순이익(순손실) 6,127 -1,785 2,583

지배회사지분순손익

소수주주지분순손익

Page 34: 오이솔루션(138080) - ssl.pstatic.net

오이솔루션(138080)

33

· 현금흐름표(단위: 백만 원, 개별, K-IFRS연결)

구분 2016년 2017년 2018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712 4,071 1,141

당기순이익(손실) 6,127 -1,785 2,583

현금의 유출이 없는 비용 7,396 9,188 8,236

퇴직급여 1,405 1,460 1,331

유형자산 등 상각비 3,654 4,474 4,693

무형자산 상각비 90 114 109

현금의 유입이 없는 수익 1,095 2,497 1,518

자산부채의 변동 -17,140 -835 -8,160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10,272 4,292 -3,435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6,556 -2,668 -2,377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1,349 304 -128

퇴직금의 지급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7,913 -4,339 -11,090

투자활동 현금유입 1,604 4,567 8,991 장단기투자자산 등 감소 유무형자산의 감소 투자활동 현금유출 9,517 8,906 20,081 장단기투자자산 등 증가 유무형자산의 증가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6,542 13,685 -1,026 재무활동 현금유입 11,000 14,348 200 장단기차입금 증가 사채 증가 자본조정의 증가 재무활동 현금유출 4,457 663 1,226 장단기차입금 감소 사채 감소 유동성장기부채의 감소 이익잉여금 감소현금의 증가(감소) -5,857 12,652 -10,850 기초현금 15,127 9,270 21,923 기말현금 9,270 21,923 11,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