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
FreeNet Gateway 사용자 설명서 CC-Link Profibus DeviceNet CuNet EtherNet/IP EtherCAT Modbus TCP 한양시스템 (주) http://www.hysfa.com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FreeNet Gateway 사용자 설명서 CC-Link Profibus DeviceNet CuNet EtherNet/IP EtherCAT Modbus TCP

한양시스템 (주)

http://www.hysfa.com

Page 2: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제1장 개 요

1

1-1 개요 4

1-2 제품구성 6

1 전원 커넥터 6

2 필드버스 커넥터 7

3 이더넷 (시리얼) 커넥터 9

4 노드번호 설정 스위치 10

5 통신속도 설정 스위치 10

6 통신상태 표시 LED 11

7 USB 커넥터 13

8 IO 확장 커넥터 13

차 례

제2장 제품 사용법

2-1 제품설치 14

2-2 파라메터 설정 15

2-2-1 필드버스 파라메터 15

2-2-2 시리얼 파라메터 20

2-3 내부 메모리 구조 25

2-4 보조통신 (RS232/485/422) 26

2-4-1 ASCII 모드 26

2-4-2 마스터모드 (모드버스) 28

2-4-3 슬레이브 모드 (모드버스) 31

2-4-4 일반모드 33

Page 3: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2

3-1-2 설치작업 37

3-1-3 게이트웨이 SetUp 37

3-1-4 PLC SetUp 38

3-1-5 데이터 확인 41

3-2 Profibus-DP 사용법 43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2-5 데이터 확인 49

3-3 DeviceNet 사용법 51

3-3-1 메모리 구성 51

3-3-2 준비작업 52

3-3-3 설치작업 52

3-3-4 게이트웨이 SetUp 52

3-3-5 PLC 및 스캐너 모듈 SetUp 53

3-3-6 데이터 확인 57

3-4 EtherNet/IP SetUp 59

3-4-1 EtherNet/IP 개요 59

3-4-2 준비작업 60

3-4-3 설치작업 60

3-4-4 파라메터 설정 60

3-4-5 EtherNet/IP 스캐너 SetUp 61

3-4-6 데이터 확인 68

차 례

3-1 CC-Link 개요 35

3-1-1 준비작업 37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4: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

3-5 EtherCAT SetUp 70

3-5-1 EtherCAT 개요 70

3-5-2 준비작업 71

3-5-3 설치작업 71

3-5-4 게이트웨이 SetUp 71

3-5-5 데이터 확인 77

4-1 일반 사양 79

4-2 통신 사양 80

4-3 케이블 사양 82

제4장 제품사양

차 례

Page 5: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

프리넷게이트웨이(FreeNet GateWay: FNGW)는 CC-Link, Profibus, DeviceNet 및 EtherNet/IP, EtherCAT, Modbus TCP등 다양한 필드버스을 RS232/485/422와 같은 시리얼로 변환해주는 Fieldbus-to-Serial 게이트웨이와 이더넷을 CuNet으로 변환해주는 Ethernet-to-CuNet 게이트 웨이가 있습니다.

4

1-1 개 요

그림1-1. 프리넷 게이트웨이 개요도

FNGW

FNGW Master/Slave

HS-GW/CC, HS-GW/PB HS-GW/DB, HS-GW/EC HS-GW/EI, HS-GW/EM

CC-Link ProfibusDP DeviceNet ModbusTCP EtherNet/IP EtherCAT

ModbusTCP EtherNet/IP EtherCAT HS-GW/CuE

HS-GW/CuI HS-GW/CuM

RS-232 RS-485 RS422 USB

제1장 개 요

Page 6: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제1장 개 요

5

그림1-2. 프리넷 게이트웨이 품명

H S G W / C

표시기호

기호 구분

C

GW Gateway

입출력 크기

기호 구분

CC CC-Link

PB Profibus

DB DeviceNet

EI EtherNet/IP

주변장치

기호 구분

EM Modbus TCP

CuI EtherNet/IP to CuNet

CuE EtherCAT to CuNet

CuM Modbus TCP to CuNet

표시 기호

기호 구분

HS SERIES명

표1-1. 프리넷 게이트웨이 종류 및 사양

HS-GW/CC CC-Link

RS-485/422 or USB - Full Isolation - Modbus지원 - 최대통신 속도- 115Kbps

HS-GW/DB DeviceNet

HS-GW/EC

모델명 필드버스 종류 시리얼 사양

Profibus-DP HS-GW/PB

EtherCAT

HS-GW/EI EtherNet/IP

HS-GW/CuE EtherCAT

HS-GW/CuI

Modbus TCP HS-GW/EM

EtherNet/IP

프리넷 게이트웨이 종류

EC EtherCAT

HS-GW/CuM ModbusTCP

CuNet - Transformer Isolation - 통신속도: 3M/6M/12M지원 - Cycle Time(12M): 155uS - 최대 512Byte 메모리(데이터)공유

Page 7: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

입력전원은 내부에서 DC/DC로 절연되어 내부 전원으로 사용 됩니다. 공급전압은 24Vdc±10%이며, 소비 전류는 필드버스의 종류에 따라 유동적 입니다. (최소 0.7W ~ 최대 1.5W)

전원 커넥터 1

6

1-2 제품구성

1 전원 커넥터

4 노드번호설정 스위치

이더넷(시리얼) 커넥터 1) 3

통신상태표시 LED 6

IO확장 커넥터 8

5 통신속도설정 스위치

7 USB 커넥터 (뒷면에 위치)

주의사항 : 1) HYS-GW/CC,PB,DB 에서는 터미널 블럭 (DB5, 5.08mm)을 사용 합니다.

필드버스 커넥터 2

(옆면에 위치)

그림1-3. 프리넷 IO 마스터 제품구성

+24V

0V

FG 2

1

3

그림1-4. 프리넷 게이트웨이 전원 연결도

제1장 개 요

Page 8: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7

모델에 따라 필드버스, RS-485/422, CuNet 통신선이 연결 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연결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필드버스 커넥터 2

그림1-5. CC-Link 배선 (HS-GW/CC)

SLD

SD-(녹)

SD+(적)

그림1-6. Profibus-DP 배선 (HS-GW/PB)

DG

+5V(OUT)

2

1

3

4

5

SD-

SD+

SLD

그림1-7. DeviceNet 배선 (HS-GW/DB)

CANL(청)

DRAIN

CANH(백)

V+(적)

CANL

V+

2

1

3

4

5

DRAIN

CANH

V- V-(흑)

SLD

DG(황)

DB(백)

DA(청)

FG FG

SLD

DA

2

1

3

4

5

DG

DB 마

스터

장치

스터

장치

스터

장치

제1장 개 요

Page 9: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8

SD-

SD+

2

1

3

4

5

SD+

SD- SD-(녹)

SD+(적)

SLD SLD

그림1-8. CuNet 배선(HS-GW/CuI, CuE, CuM)

시리

얼 장

Z

A

2

1

3

4

5

Y

B

B(녹)

A(적)

SLD SLD

그림1-9. RS-485배선(HS-GW/EI, EC, EM)

시리

얼 장

Z

A

2

1

3

4

5

Y

B

Y(적)

A(적)

SLD SLD

그림1-10. RS-422배선(HS-GW/EI, EC, EM)

B(녹)

Z(녹)

제1장 개 요

CuN

et 장

(Maste

r/Sla

ve)

Page 10: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9

모델에 따라 이더넷 커넥터 (RJ45)나 터미널 블럭 (DB5, 5.08mm)이 될 수 있습니다. HS-GW/EI, EC, EM, CuE, CuI, CuM 에서는 RJ45 커넥터가 사용되고, HS-GW/CC, PB, DB 에서는 터미널 블럭이 사용 됩니다.

이더넷 (시리얼) 커넥터 3

1 8

Pin Signal

1 TD+ 2 TD- 3 4 -

RD+

5 - 6 RD- 7 - 8 -

그림1-11. EtherNet/IP 또는 ModbusTCP 배선 (HS-GW/EI, EM, CuM, CuI)

2 1 3 4 5

Pin Signal

1 A 2 B 3 4 Z

Y

5 SLD

그림1-13. HlsNet 배선 (HS-IOM/CC, PB, DB, RT)

제1장 개 요

1 8

Pin Signal

1 TD+ 2 TD- 3 4 -

RD+

5 - 6 RD- 7 - 8 -

그림1-12. EtherCAT배선(HS-GW/EC, CuE)

1 8

IN OUT

SLD

Z

Y

B

A

2

1

3

4

5

Z

Y

B

A

그림1-14. RS-422 배선

SLD

Z

Y

B

A

2

1

3

4

5

B

A

그림1-15. RS-485 배선

Page 11: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주의사항 노드번호 98과 99는 파라메터 설정모드를 결정 합니다. 게이트웨이 전원 인가 시 스위치 98 : (Rs-232/USB) 이더넷 파라메터 설정모드 스위치 99 : 시리얼 파라메터 설정모드

10

HS-GW/CC, PB, DB 에서는 필드버스의 노드번호 설정용으로 사용되고, 리얼타임 이더넷 HS-GW/EI, EC, EM, CuI, CuM, CuE 에서는 IP의 마지막자리 (4번째 자리) 설정용으로 사용 됩니다.

노드번호 설정 스위치 4

x10

x1

0 5

0 5

그림1-16. 노드번호 설정 스위치

표1-2. 노드번호 설정 범위

제품종류 노드번호 설정 범위

CC-Link 1 ~ 63

Profibus-DP 1 ~ 96

DeviceNet 1 ~ 63

Modbus 1 ~ 31

EtherNet/IP EtherCAT Modbus/TCP

0 ~ 96 IP = xx. yy. zz 0~96 (Default = 192.168.60.0~96)

리얼타임 이더넷를 사용하는 모델에서는 파라메터 설정용이나 CuNet속도 설정용으로 사용 됩니다.

통신속도 설정 스위치 5

0 5

그림1-17. 통신속도 설정 스위치

표1-3. 필드버스별 통신 속도

스위치값

0

1

2

3

CC-Link

156Kbps

625K

2.5M

5.0M

4

5

6

7

10M

8

9

Profibus

9.6K

93.76K

19.2K

500K

187.5K

Auto

1.5M

3.0M

12M

6.0M

DeviceNet

125K

500K

250K

Modbus

4.8K

19.2K

9.6K

57.6K

38.2K

115.2K

HLS/CuNet

12M

3M

6M

1.5M

제1장 개 요

Page 12: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

11

모델별 통신상태 표시 LED의 동작방법과 표시내용은 각 해당 필드버스 규격에 정의되어 있으며,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통신상태 표시 LED 6

LED1

I/O EtherNet/IP

LED3

LED2 LED4

HS-IOM/EI EtherNet/IP to HLS

X10

X1

HLS Speed

Node Addr.

HANYANG SYSTEM

0:12M 1:06M 2:03M

표1-4. 필드버스별 통신 속도

모델명 (필드버스)

CC-Link

(HS-GW/CC)

Profibus-DP

(HS-GW/PB)

DeviceNet

(HS-GW/DB)

LED 위치 LED 명칭 LED 색상 동 작 상 태

LED1

LED2

LED3

LRUN

LERR

COM

RED

GREEN 소등 : 1. 네트워크 준비중 2. 캐리어 감지 안됨 3. Timeout 4. 하드웨어 리셋 점등 : 정상적으로 데이터 교신 중

LED3

LED2

COM

NS

GREEN

소등 : 1. 정상 동작중 2. 하드웨어 리셋 점멸 : 동작중 스위치 값이 변화 됨 점등 : 1. CRC Error 2. 국번설정 오류 (정상 : 1~64) 3. Baud Rate 설정 오류 (정상 : 0~4)

보조통신 상태표시(RS-232/485/422) 소등 : 1. 게이트웨이 사용안함 2. 캐리어 감지 안됨 점등 : 1. 파라메터 미지정 2. CRC Error 3. Timeout 점등 : 데이터 링크 실행 중 (정상동작 중)

LED1 COM GREEN 점등 : 정상적으로 데이터 교신 중

점멸 (규칙적) : 1. 정지상태 2. 교신에러 점멸 (불규칙) : 파라메터 미지정 RED

GREEN

보조통신 상태표시(RS-232/485/422) 소등 : 1. 게이트웨이 사용안함 2. 캐리어 감지 안됨 점등 : 1. 파라메터 미지정 2. CRC Error 3. Timeout 점등 : 데이터 링크 실행 중 (정상동작 중)

LED1 MS GREEN 점등 : 정상상태

점등 : 회복 불능 에러 (하드웨어 결함/프로그램 정지 등) 점멸 : 회복 가능 에러 (노드번호 설정범위 초과. 중복설정) RED

GREEN

RED

LED3 COM

소등 : 교신 중 (Bus Online 상태) 점등 : 통신상태는 정상이나 교신이 없음

소등 : 심각한 에러 (노드중복, Bus Off 에러 등) 점등 : Timeout

그림1-18. 프리넷 IOM 윗면

GREEN

보조통신 상태표시(RS-232/485/422) 소등 : 1. 게이트웨이 사용안함 2. 캐리어 감지 안됨 점등 : 1. 파라메터 미지정 2. CRC Error 3. Timeout 점등 : 데이터 링크 실행 중 (정상동작 중)

제1장 개 요

Page 13: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12

표1-4. 필드버스별 통신 속도

모델명 (필드버스)

EtherNet/IP

(HS-GW/EI,CuI)

LED 위치 LED 명칭 LED 색상 동 작 상 태

LED3

LED4

MS

NS

LK

GREEN

RED

점등 : 회복 불능 상태 점멸 : 회복 가능 에러

점등 : Online 상태 점등 : IP또는 존재하나 컨넥션이 이루어지지 않음

소등 : IP 중복 점등 : Timeout

GREEN CuNet 상태표시 소등 : 준비전/정상상태 점멸 : 노드번호/통신속도 설정오류

점등 : 정상상태 점멸 : 파라메터 미지정 또는 오류 GREEN

RED

GREEN

보조통신 상태표시(RS-232/485/422) 소등 : 1. 게이트웨이 사용안함 2. 캐리어 감지 안됨 점등 : 1. 파라메터 미지정 2. CRC Error 3. Timeout 점등 : 데이터 링크 실행 중 (정상동작 중) LED1

COM

EtherCAT

(HS-GW/EC,CuE)

LED4 ERR RED

소등 : 에러없음 (No Error) 점멸 (규칙적) : 파라메터 설정 오류 점등 (1번씩) : 예상치 않은 상태변화 점등 (2번씩) : 모듈의 Watchdog Timeout 점등 : PDI Watchdog Timeout

GREEN

소등 : 초기화 상태 (INIT) 점멸 (규칙적) : 동작전 상태 (PRE-OPERATIONAL) 점등 (1번씩) : 안정동작 상태 (SAFE-OPERATIONAL) 점등 : 정상동작 상태 (OPERATIONAL)

LED3 RUN

LED1

COM GREEN

보조통신 상태표시(RS-232/485/422) 소등 : 1. 게이트웨이 사용안함 2. 캐리어 감지 안됨 점등 : 1. 파라메터 미지정 2. CRC Error 3. Timeout 점등 : 데이터 링크 실행 중 (정상동작 중)

LED3 RUN GREEN

소등 : Not Ready 점멸 (1Hz) : 파라메터 미지정 상태 점등 (5Hz) : 통신 대기상태 점등 : Online 상태

Modbus TCP

(HS-GW/MB,CuM)

LED4 ERR RED 소등 : 에러없음 (No Error) 점멸 (2Hz) : System Error 점등 : 통신에러

LED1 COM GREEN

보조통신 상태표시(RS-232/485/422) 소등 : 1. 게이트웨이 사용안함 2. 캐리어 감지 안됨 점등 : 1. 파라메터 미지정 2. CRC Error 3. Timeout 점등 : 데이터 링크 실행 중 (정상동작 중)

LED1 LK

제1장 개 요

LK GREEN CuNet 상태표시 소등 : 준비전/정상상태 점멸 : 노드번호/통신속도 설정오류

GREEN CuNet 상태표시 소등 : 준비전/정상상태 점멸 : 노드번호/통신속도 설정오류

Page 14: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

주의사항 : USB포트를 사용 할 것인지, 시리얼포트를 사용 할 것인지를 시리얼 파라메터에서 설정해야 합니다. 파라메터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통신포트를 변경하고 전원을 OFF/ON하면 기존의 통신포트는 사용 할 수 없게되며, 파라메터에서 설정한 통신포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13

파라메터를 설정 할 때, 또는 ③시리얼 커넥터를 대신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USB포트는 USB 시리얼 컨버터에 의하여 시리얼 통신을 USB로 변환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시리얼 커넥터나 USB커넥터 중 하나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USB 커넥터 7

그림1-19. 프리넷 게이트웨이 뒷면

입.출력 확장용이나, 사용자 지정용으로 사용 됩니다.

IO 확장 커넥터 8

그림1-20. 프리넷 게이트웨이 옆면

제1장 개 요

Page 15: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제품의 설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 합니다.

1) DIN레일에 제품을 고정 합니다.

2) 전원(24V DC)선을 연결 합니다.

3) 필드버스 통신선을 연결 합니다.

4) 보조통신을 연결합니다. (USB 또는 RS-232)

4) USB 사용시 전원을 인가하고 USB 드라이버를 설치 합니다.

6) 시리얼파라메터와 필드버스 파라메터를 설정 합니다.

1)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USB포트를 PC에 연결합니다. 2) 새하드웨어 발견 메시지가 표시되고 드라이버선택 메뉴가 표시 됩니다. 3) 자동검색을 선택 합니다 4) 정상으로 설치되면 아래와 같이 통신포트가 설정 됩니다. 참고사항 : USB 드라이버 다운로드 - http://www.ftdichip.com/Drivers/VCP.htm 드라이버 인스톨 가이드 - http://www.ftdichip.com/Support/Documents/InstallGuides.htm

14

2-1 제품설치

그림2-1. USB Serial Port 설치 완료 화면

제2장 제품 사용법

USB 설치

Page 16: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15

2-2 파라메터 설정

파라메터는 필드버스파라메터와 시리얼파라메터를 나누어 설정 합니다. 파라메터 설정모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노드번호설정 스위치를 98(필드버스파라메터) 또는 99(시리얼파라메터)에 맟추고, 시리얼포트나 USB포트를 통하여 파라메터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2-2-1 필드버스 파라메터

게이트웨이에서 마스터로 전송하는(마스터에서 수신하는) 데이터길이(바이트수)를 설정 합니다. (0 ~ 128)

Input Size

마스터에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데이터길이(바이트수)를 설정 합니다. (0~128)

Output Size

IP의 처음 3자리를 설정하며, 마지막 1자리는 10쪽 ④노드번호 설정 스위치와 같이 설정 합니다. 초기값 : 192.168.60.xx (여기서 xx는 스위치 값 입니다)

IP Address

제2장 제품 사용법

표2-1. 필드버스별 파라메터 구성

주 소 명 칭 Default 값 내 용

필드버스 입력 데이터의 Byte 수 (0~256) 0x400 Input Size 8

필드버스 출력 데이터의 Byte 수 (0~256) 0x401 Output Size 8

이더넷 IP 설정 * IP의 끝자리 (xx)는 로타리 스위치로 설정 0x402 ~ 0x405

IP Address

이더넷 NetMask 설정 0x406 ~ 0x409

NetMask 255.255.255.0

192.168.60.xx

이더넷 GateWay 설정 0x40a ~ 0x40d

GateWay 192.168.60.1

MAC 어드레서 설정 (6Byte) 0x40e ~ 0x413

MAC Address 00 00 00 00 00 00

시리얼 번호 설정 (4Byte) 0x414 ~ 0x417

Serial No 00 00 00 00 00 00

필드버스 TimeOut 값 설정 (10ms 간격) 0x418 ~ 0x419

WdgTime 1000

CC-Link Station Type (0 : Remote IO, 1: Remote Device) 0x41a CC-Type 0

CC-Link 점유국수 설정 (1~4) 0x41b CC-NoStation 1

CC-Link Version 설정 (0 : CCLINK_Version_1.1 : CCLINK_Version_2) 0x41c CC-LinkVer 0

CC-Link 확장 사이클 수 설정 (0-1, 1-2, 2-4, 3-8) 0x41d CC-ExtCycle 0

필드버스 파라메터 구성

Page 17: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16

이더넷의 NetMask. (초기값 : 255.255.255.0)

NetMask

이더넷의 GateWay. (초기값 : 192.168.60.1)

GateWay

이더넷의 MAC 어드레스. EtherCAT에서는 반드시 설정되어야 합니다. 초기값은 16진수 12자리 임의의 값 입니다. ( ex : 0x112233445566)

MAC Address

제품의 시리얼번호. (초기값 : 0x00000000)

Serial No

필드버스 TimeOut 값. 10ms 간격으로 0 ~ 0xFFFF까지 설정가능 합니다. 100보다 작으면 강제로 1000 (=10초)로 설정 됩니다. (초기값 : 1000 (10초))

WdgTime

CC-Link모드 설정. 0 : Remote IO모드, 1 : Remote Device 모드 (초기값 : 0)

CC-Type (CC-Link Station Type)

CC-Link 점유국수 설정. 설정범위 : 1 ~ 4 (초기값 : 1)

CC-NoStation

CC-Link Version 설정. 0 : Version 1, 1 : Version 2 (초기값 : 0)

CC-LinkVer (CC-Link Version)

CC-Link 확장 사이클수 설정. 0-1 / 1-2 / 2-4 / 3-8, (초기값 : 0)

CC-ExtCycle

제2장 제품 사용법

Page 18: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17

필드버스 파라메터 설정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USB를 PC에 연결 합니다.

2) 노드번호 설정 스위치를 98로 설정 합니다. (10쪽 ④노드번호 설정 스위치 참고)

3)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공급 합니다. (6쪽 ①전원 커넥터 참고)

4)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 (SerialCom)을 실행 합니다.

5) 시리얼터미널의 프로토콜을 아래와 같이 설정 합니다. - Data : 8 - Stop : 1 - Parity : None - Baud Rate : 19200 - Data Type : Send-ASCII, Receive-ASCII 6) Serial Port (COM1)을 선택하고 “Open”을 클릭 합니다.

7) Send창에 1을 입력하고 “Send”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 됩니다.

그림2-2. SerialCom 상의 필드버스 파라메터 설정 방법 1

5)

7) 6)

제2장 제품 사용법

필드버스 파라메터 설정

Page 19: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8) Send창에 2을 입력하고 “Send”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 됩니다.

9) Send창 오른쪽 “Clear”클릭하고, 파라메터 설정후 “Send”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 됩니다.

18

그림2-3. SerialCom 상의 필드버스 파라메터 설정 방법 2

그림2-4. SerialCom 상의 필드버스 파라메터 설정 방법 3

8)

9)

제2장 제품 사용법

Page 20: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10) 각 창에 오른쪽 “Clear”후 2를 입력하고 “Send”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표시 됩니다. [1] InPutSize → 00에서 [1] InPutSize → 16 [2] OutPutSize → 00에서 [2] OutPutSize → 16 [3] IP → 00000000에서 [3] IP → C0A83C00 로 설정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1) Send창 오른쪽 “Clear”후 3을 입력하고 “Send”을 클릭하면 셋업이 완료 됩니다. (위의 과정 없이 전원을 OFF해도 셋업 내용은 EEPROM에 저장 됩니다.)

19

그림2-5. SerialCom 상의 필드버스 파라메터 설정 방법 4

10)

제2장 제품 사용법

Page 21: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20

시리얼 모드(Serial_Mode) 1. ASC모드 마스터에서 필드버스로 송신한 데이터는 Fnet-GW에서 ASC값으로 변환되어 시리얼장치로 전송되고, 시리얼장치에서 전송한 ASC데이터는 Fnet-GW에서 HEX값으로 변환되어 필드버스을 통하여 마스터로 전송 됩니다. 2. 마스터 모드 이 모드에서, 마스터는 직접 시리얼장치의 데이터를 읽고/쓰기 할 수 있다. 이 때 Fnet-GW는 마스터 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그대로 시리얼장치로 전송하고, 시리얼장치에서 수신한 데이터는 Fnet-GW에서 마스터로 재전송 됩니다. 3. 슬레이브 모드 이 모드에서, 마스터는 시리얼장치와 관계없이 Fnet-GW와 통신을 하고, 시리얼장치에서는 마스터와 독립적으로 Fnet-GW의 입출력영역을 모드버스로 읽고/쓰기 합니다. 4. 일반모드 마스터에서 필드버스로 송신한 데이터가 그 대로 RS232/RS485을 통하여 시리얼 장치로 전송되고, 시리얼장치에서 RS232/RS485을 통하여 송신한 데이터는 그대로 필드버스로 변환되어 마스터로 전송 됩니다.

제2장 제품 사용법

2-2-2 시리얼 파라메터

표2-2. 필드버스별 파라메터 구성

주 소 파라메터 명칭 Default 값 내 용

0 : ASC 1 : 모드버스 마스터 2 : 모드버스 슬레이브 3 : 일반모드 0x0480 Serial Mode 3

Node번호 (RS_485/422모드에서) 1~32 (0x1 ~ 0x20) 0x0481 Node_no 1

1~0 : Perity(0-No. 1-Even. 2-Odd) 2 : Data (0-8, 1-9) 3 : Stop (0-1, 1-2) 6-4 : Baud_Rate (0-4800, 1-9600, 2-19200, 4-57600, 5-115200) 7 : Flow_Control (0-No, 1-Yes)

0x0482 Serial_Parm

시리얼장치에서 수신 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데이터 수 (바이트 수) 0x0483 Max_Rx_Size 0x08

0x20

시리얼장치가 송신 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데이터 수 (바이트 수) 0x0484 Max_Tx_Size 0x08

0 : 사용안함, 1~0x7f : ASC 모드에서 Stat 문자 0x0485 Start_Char 0x00

시리얼 파라메터 구성

0 : 사용안함, 1~0x7f : ASC 모드에서 1번째 END 문자 0x0486 End_Char1 0x00

0 : 사용안함, 1~0x7f : ASC 모드에서 2번째 END 문자 0x0487 End_Char2 0x00

0 : No, 1 : LRC, 2 : CRC16 0x0488 CRC_Mode 0x00

0 : No, 1 : 16bit, 2 : 32bit 0x0489 Swap_Mode 0x00

10ms 간격 (1~255) 0x048a TimeOut 0x64

0 : 사용안함, 1 : 현재값 유지, 2 : 모두 0, 3 : 모두 1 0x048b Output_Fault _Auction

0x00

0 : USB, 1 : UART 0x048a Serial_Port 0x00

Page 22: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21

Node 번호 RS485/422모드에서 Node번호 설정을 하기 위하여 사용 됩니다. (1~32) Serial_Parm bit7 Flow Control: RS232에서 RTS/CTS 사용 유무 설정 (0: 사용안함, 1: 사용) bit6~4 Baud_Rate: 0- 4800, 1- 9600, 2- 19200, 3- 38400, 4- 57600, 5- 115200 bit3 Stop: Stop bit 길이(0- 1, 1- 2) bit2 Data: Data bit 길이(0- 8, 1- 9) bit1~0 Parity: 0- None, 1- Even, 2- Odd Max_Rx_Data 시리얼장치에서 수신 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데이터 크기 설정 설정범위: 0~240 Max_Tx_Data 시리얼장치가 송신 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데이터 크기 설정 설정범위: 0~240 Start-of-Text ASC모드에서 STX문자 설정 (1~127, 0 : STX문자 사용 안함) End-of-Text1 ASC모드에서 첫번째 ETX문자 설정 (1~127, 0 : ETX문자 사용 안함) End-of-Text2 ASC모드에서 두번째 ETX문자 설정 (1~127, 0: ETX문자 사용 안함) CRC_Mode 모든 모드에서 사용가능. ETX문자는 CRC에 포함되지 않음 (0 : CRC사용 안함, 1 : LRC(1byte), 2 : CRC16) Swap_Mode 0 : None, 1 : 16bit, 2 : 32bit TimeOut 시리얼통신 TimeOut 값. TimeOut값 = 설정값 *10mS (1~255, 0: 1Sec로 고정) Output_Fault_Action 0 : 사용안함, 1 : 현제값 유지, 2 : 모두 0, 3 : 모두 1 Serial_Port 0 : USB포트 사용, 1 : 시리얼포트 사용

제2장 제품 사용법

Page 23: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22

시리얼 파라메터 설정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USB를 PC에 연결 합니다.

2) 노드번호 설정 스위치를 98로 설정 합니다. (10쪽 ④노드번호 설정 스위치 참고)

3)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공급 합니다. (6쪽 ①전원 커넥터 참고)

4)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 (SerialCom)을 실행 합니다.

5) 시리얼터미널의 프로토콜을 아래와 같이 설정 합니다. - Data : 8 - Stop : 1 - Parity : None - Baud Rate : 19200 - Data Type : Send-ASCII, Receive-ASCII 6) Serial Port (COM1)을 선택하고 “Open”을 클릭 합니다.

7) Send창에 1을 입력하고 “Send”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 됩니다.

그림2-6. SerialCom 상의 시리얼 파라메터 설정 방법 1

5)

7) 6)

제2장 제품 사용법

시리얼 파라메터 설정

Page 24: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23

8) Send창에 2을 입력하고 “Send”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 됩니다.

9) Send창 오른쪽 “Clear”클릭하고, 파라메터 설정후 “Send”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 됩니다.

23

그림2-7. SerialCom 상의 시리얼 파라메터 설정 방법 2

그림2-8. SerialCom 상의 시리얼 파라메터 설정 방법 3

제2장 제품 사용법

8)

9)

Page 25: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24

제2장 제품 사용법

10) 각 창에 오른쪽 “Clear”후 2을 입력하고 “Send”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표시 됩니다. [1] Serial_Mode : 00 → 03 [2] Node_no : 00 → 02 [3] Serial Parameter : 00 → 40 [4] Max_Rx_Size : 00 → 08 [5] Max_Tx_Size : 00 → 08 [B] Modbus_TimeOut : 00 → 64로 설정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1) Send창 오른쪽 “Clear”후 3을 입력하고 “Send”을 클릭하면 셋업이 완료 됩니다. (위의 과정 없이 전원을 OFF해도 셋업 내용은 EEPROM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10)

그림2-9. SerialCom 상의 시리얼 파라메터 설정 방법 4

Page 26: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

25

2-3 내부 메모리 구조

프리넷게이트웨이의 내부 메모리 구조는 입.출력영역, 일반영역, 파라메터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입력영역은 필드버스 마스터에서 읽어가는 영역으로 시리얼장치에서 수신한 데이터는 이 영역을 경유하여 마스터에 전달 됩니다. 출력영역은 필드버스 마스터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 영역을 경유하여 시리얼장치로 데이터가 전송 됩니다. 일반영역은 마스터에서 읽고/쓰기 할 수 없으며, 시리얼장치에서 데이터 처리용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0x0000

0x00FF

Address

0x0100

0x01FF

0x03FF

0x0200

0x0400

0x047F

0x0480

0x04FF

0x0500

0x07FF

입력 영역 (256 Byte)

출력 영역 (256 Byte)

일반 데이터 영역 (256 Byte)

필드버스 파라메터

시리얼 파라메터

System 영역

Write Only

(RS232/495/422, CuNet)

시리

얼 장

치 또

CuN

et장

Read Only

(필드버스)

마스

터 장

치 (P

LC

또는

PLC

)

Read Only

Read/Write

그림2-10. 리모트 IO 마스터 내부 메모리 구조

제2장 제품 사용법

Page 27: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26

제2장 제품 사용법

보조통신에서 다음과 같은 4가지의 프로토콜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ASC 모드 - 마스터 모드(모드버스) : 게이트웨이(마스터) ↔ 시리얼장치(슬레이브) - 슬레이브 모드(모드버스) : 게이트웨이(슬레이브) ↔ 시리얼장치(마스터) - 일반모드

ASCII 모드는 마스터에서 필드버스를 통하여 게이트웨이에 HEX 데이터를 보내고, 게이트웨이는 마스터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ASC값으로 변환하여 시리얼 장치로 전송 합니다. 시리얼장치에서 게이트웨이로 전송한 ASC데이터는 Hex데이터로 변환되어 필드버스를 통하여 마스터로 전송 됩니다. 마스터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는 게이트웨이의 출력영역에 저장되고, 마스터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는 게이트웨이의 입력영역에 저장 됩니다. 입출력영역의 레코드번호는 마스터와 시리얼장치간의 동기화를 위하여 사용 됩니다. 입력영역의 레코드번호는 게이트웨이가 시리얼장치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 할 때마다 1씩 증가 시키며, 마스터는 이 레코드번호를 검사하여 변화가 있을 때만 데이터을 읽습니다. 출력영역의 레코드번호는 마스터가 새로운 데이터을 출력 할 때마다 1씩 증가시키고, 게이트웨이는 이 레코드번호를 검사하여, 변화가 있을 때만 출력영역의 데이터를 시리얼장치로 전송 됩니다. 입력영역의 Status는 게이트웨이와 시리얼장치간의 통신상태를 나타내며, 데이터길이는 시리얼장치에서 수신한 ASCII데이터를 HEX로 변환 했을 때의 길이 입니다. 출력영역의 데이터길이는 HEX 데이터길이 이며, 게이트웨이에의하여 ASC데이터 길이로 변환되어 시리얼장치로 전송 됩니다. STX(Start-of-Text)문자 및 EXT1,2(Terminator)문자는 파라메터로 설정하며, 0으로 설정하면 무시 됩니다.

2-4 보조통신 (RS232/485/422)

Address

0x0000

Data Name

Record Number

내 용

시리얼장치에서 Data를 수신 할 때마다 1씩 증가 됨 (0-255)

0x0001 Status 시리얼장치의 통신상태 (0:정상, 1:TimeOut, 2:데이터 에러 )

0x0002 Byte Length 데이터의 길 (시리얼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터 길이 : N)

0x0003 Data1 HEX Data

0x0004 Data2

0x0005 Data3

0x0002 + N

DataN

마스

터에

서 읽

기하

는 데

이터

시리

얼장

치에

서 수

신된

데이

(입력영역 구성)

Address

0x0100

Data Name

Record Number

내 용

마스터가 Data를 UpData 시킬 때 마다 1씩 증가 됨 (0-255)

0x0101 Byte Length

데이터의 길이 (시리얼장치로 전송 될 데이터 길이 : M)

0x0102 Data1

0x0103 Data2

HEX Data

0x0104 Data3

0x0101 + N

DataN 마

스터

에서

쓰기

하는

데이

시리

얼장

치로

전송

될 데

이터

(출력영역 구성)

그림2-11. 프리넷 GW ASCII 모드 입·출력 구성

2-4-1 ASCII 모드

Page 28: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27

데이터 읽고/쓰기

예제2) 시리얼장치에 데이터(12h,34h)를 보내면, 시리얼장치가 데이터(56h,78h,90h)으로 응답하고 STX/ETX가 추가되는 예 (시리얼 파라메터 “Start-Char”=02, “End1_Char”= 03으로 설정되어 있어야 함) 수신데이터 구조: STX(02h)+Length(30h+34h)+Data(31h+32h+33h+34h)+ETX(03h) 송신데이터 구조: STX(02h)+Length(30h+36h)+Data(35h+36h+37h+38h+39h+30h)+ETX(03h)

레코드번호(01h)+데이터길이(02h)+데이터 (12h+34h)

STX(02h)+데이터길이(30h+34h)+데이터(31h +32h+33h+34h)+ETX(03h)

레코드번호(02h)+Status(00h)+데이터길이(03h) + 데이터(56h+78h+90h)

STX(02h)+데이터길이(30h+36h)+데이터(35h+36h+37h+38h+39h+30h)+ETX(03h)

예제1) 시리얼장치에 데이터(12h,34h)를 보내면, 시리얼장치가 데이터(55h,AAh)으로 응답하는 경우 수신데이터 구조 : Length(30h+34h) + Data(31h+32h+33h+34h) 송신데이터 구조 : Length(30h+34h) + Data(35h+35h+41h+41h)

레코드번호(01h)+데이터길이(02h)+데이터(12h+34h)

마 스

데이터길이(30h+34h)+데이터(31h+32h+33h +34h)

게이

트웨

시리

얼장

레코드번호(02h)+Status(00h)+데이터길이(02) + 데이터(55h+AAh)

데이터길이(30h+34h)+데이터(35h+35h+41h +41h)

마 스

게이

트웨

시리

얼장

예제3) 시리얼장치에 데이터(12h,34h)를 보내면, 시리얼장치가 데이터(56h,78h)으로 응답하고, STX/ETX/CRC 가 추가되는 예 (시리얼파라메터 “Start-Char”=02, “End1_Char”=03, “CRC”=01) 수신데이터 구조: STX(02h)+Length(30h+34h)+Data(31h+32h+33h+34h)+*LRC(D0h)+ETX(03h) 송신데이터 구조: STX(02h)+Length(30h+36h)+Data(35h+36h+37h+38h)+LRC(C0h)+ETX(03h) *LRC = /(STX(02)+길이(30h+34h)+데이터(31h+32h+33h+34h)) + 1 = D0h (ETX는 제외 됨)

레코드번호(01h)+데이터길이(02h)+데이터(12h+34h)

STX(02) + 데이터길이(30+34) + 데이터(31+32 +33+34) + LRC(D0) + ETX(03)

레코드번호(02h)+Status(00h)+데이터길이(02h) +데이터(56h+78h)

STX(02h)+데이터길이(30h+34h)+데이터(35h+36h+37h+38h)+LRC(C0h)+ETX(03h) 마

스 터

게이

트웨

시리

얼장

제2장 제품 사용법

Page 29: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

마스터모드는 게이트웨이가 모드버스 마스터가 되고, 시리얼장치가 모드버스 슬레이브가 됩니다. 필드버스 마스터에서 전송 된 모드버스 데이터는 게이트웨이의 출력영역에 저장되고, 동시에 시리얼장치로 재전송 됩니다. 시리얼장치로부터 응답신호는 게이트웨이의 입력영역에 저장되고, 동시에 필드버스 마스터로 재전송 됩니다. 입출력영역의 레코드번호는 마스터와 시리얼장치간의 동기화를 위하여 사용 됩니다. 입력영역의 레코드번호는 게이트웨이가 시리얼장치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 할 때마다 1씩 증가 시키며, 출력영역의 레코드번호는 마스터가 새로운 데이터을 출력 할 때마다 1씩 증가 시킵니다. 입력영역의 Status는 게이트웨이와 시리얼장치간의 통신상태를 나타내며, 입출력영역의 길이는 모드버스 메세지 길이를 나타냅니다. 모드버스는 읽기(10h)와 쓰기(03h)만 지원 됩니다.

28

Address

0x0000

Data Name

Record Number

내 용

시리얼장치에서 Data를 수신 할 때마다 1씩 증가 됨 (0-255)

0x0001 Status 시리얼장치의 통신상태 (0 : 정상, 1 : TimeOut, 2 : 데이터 에러 )

0x0002 Length 모드버스 메시지의 바이트 수

마스

터에

서 읽

기하

는 데

이터

시리

얼장

치에

수신

된 데

이터

그림2-12. 프리넷 GW 입력영역구성 (데이터 쓰기·읽기)

(입력영역 구성 : 데이터 쓰기 요구에 대한 응답)

0x0003 Node_No 시리얼장치의 Node 번호

0x0004 Command 10h. Multiple register Write

0x0005 Reg_Addr_Lo Start Address Low Byte

0x0006 Reg_Addr_Hi Start Address High Byte

0x0007 Reg_Len_Lo Data Length Low Byte

0x0008 Reg_Len_Hi Data Length High Byte

Address

0x0000

Data Name

Record Number

내 용

시리얼장치에서 Data를 수신 할 때마다 1씩 증가 됨 (0-255)

0x0001 Status 시리얼장치의 통신상태 (0 : 정상, 1 : TimeOut, 2 : 데이터 에러 )

0x0002 Length 모드버스 메시지의 바이트 수

마스

터에

서 읽

기하

는 데

이터

시리

얼장

치에

수신

된 데

이터

(입력영역 구성 : 데이터 읽기 요구에 대한 응답)

0x0003 Node_No 시리얼장치의 Node 번호

0x0004 Command 03h. Multiple register read

0x0005 Byte Number Data의 Byte 수

0x0006 1st Data_Lo First Data Low Byte

0x0007 1st Data_Hi First Data High Byte

0x0008 2nd Data_Lo Second Data Low Byte

0x0007 2nd Data_Hi Second Data High Byte

0x0008 3rd Data_Lo Third Data Low Byte

0x0009 3rd Data_Hi Third Data High Byte

0x0009

제2장 제품 사용법

2-4-2 마스터모드 (모드버스)

Page 30: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29

그림2-13. 프리넷 GW 출력영역구성 (데이터 쓰기·읽기)

Address

0x0100

Data Name

Record Number

내 용

시리얼장치에서 Data를 UpDate 할 때마다 1씩 증가 됨 (0-255)

0x0101 Length 모드버스 메시지의 바이트 수

0x0102 Node_No 시리얼장치의 Node 번호

마스

터에

서 쓰

기하

는 데

이터

시리

얼장

치에

송신

될 데

이터

(출력영역 구성: 데이터 쓰기 요구)

0x0103 Command 10h. Multiple register read

0x0009

제2장 제품 사용법

0x0104 Reg_Addr_Lo Start Address Low Byte

0x0105 Reg_Addr_Hi Start Address High Byte

0x0106 Reg_Len_Lo Data Length Low Byte

0x0107 Reg_Len_Hi Data Length High Byte

0x0109 1st Data_Lo First Data Low Byte

0x010a 1st Data_Hi First Data High Byte

0x010b 2nd Data_Lo Second Data Low Byte

0x010c 2nd Data_Hi Second Data High Byte

0x0108 Byte Number Data Byte 수 (= Reg_Len x 2)

Address

0x0100

Data Name

Record Number

내 용

마스터에서 Data를 UpDate 할 때마다 1씩 증가 됨 (0-255)

0x0101 Length 모드버스 메시지의 바이트 수

0x0102 Node_No 시리얼장치의 Node 번호

마스

터에

서 쓰

기하

는 데

이터

시리

얼장

치에

송신

될 데

이터

(출력영역 구성: 데이터 읽기 요구)

0x0103 Command 03h. Multiple register read

0x0104 Reg_Addr_Lo Start Address Low Byte

0x0105 Reg_Addr_Hi Start Address High Byte

0x0106 Reg_Len_Lo Data Length Low Byte

0x0107 Reg_Len_Hi Data Length High Byte

Page 31: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0

제2장 제품 사용법

데이터 읽고/쓰기

예제1) 마스터에서 시리얼장치의 레지스터 1000h번지 부터 2Word(4byte)의 데이터 읽기 시리얼장치 노드번호: 3 읽기 할 데이터 값: 1000h(1234h), 1001h(5678h)

레코드번호(01h)+메세지길이(06h)+노드번호(03h)+Command(03h)+Addr_Lo(00h)+Addr_Hi(10h)+Length_Lo(02h)+Length_Hi(00h)

마 스

노드번호(03h)+Command(03h)+Addr_Lo(00h) +Addr_Hi(10h)+Length_Lo(02h)+Length_Hi (00h)

게이

트웨

시리

얼장

레코드번호(02h)+Status(00h)+메세지길이(07h) +노드번호(03h)+Command(03h)+Byte길이(04h)+Data1_Lo(34h)+Data1_Hi(12h)+Data2_Lo(78h)+Data2_Hi(56h)

노드번호(03h)+Command(03h)+Byte길이(04h) +Data1_Lo(34h)+Data1_Hi(12h)+Data2_Lo(78h)+Data2_Hi(56h)

예제2) 마스터에서 시리얼장치의 레지스터 2000h번지 부터 4Word(8byte)의 데이터 쓰기 시리얼장치 노드번호: 16 쓰기 할 데이터 값: 2000h(1122h),2001h(3344h),2002h(5566h),2003h(7788h)

레코드번호(01h)+메세지길이(0Fh)+노드번호(10h)+Command(10h)+Addr(00h+20h) +Length(04h+00h)+Byte길이(08h) +Data(22h+11h+44h+33h+66h+55h+88h+77h)

마 스

노드번호(10h)+Command(10h)+Addr(00h+20h) Length(04h+00h)+Byte길이(10h)+Data(22h+ 11h+44h+33h+66h+55h+88h+77h)

게이

트웨

시리

얼장

레코드번호(03h)+Status(00h)+메세지길이(06h) +노드번호(10h)+Command(10h)+Addr(00h+ 20h)+Length(04h+00h)

노드번호(10)+Command(10h)+Addr(00h+20h) +Length(04h+00h)

Page 32: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1

제2장 제품 사용법

예제1) 시리얼장치에서 게이트웨이 출력영역 100h번지부터 2Word(4byte) 읽기 읽기 할 데이터 값: 100h(34h), 101h(12h), 102h(78h), 103h(56h)

Command(03h)+Addr_Lo(00h)+Addr_Hi(01)+Length_Lo(02h)+ Length_Hi(00h)

게이

트웨

시리

얼장

Command(03h)+Byte길이(04h)+Data1_Lo(34h)+Data1_Hi(12h) +Data2_Lo(78h)+Data2_Hi(56h)

예제2) 시리얼장치에서 게이트웨이 입력영역 0000h번지부터 2Word(4byte) 쓰기 쓰기 할 데이터 값: 0000h(22h), 0001h(11h), 0002h(44h), 0003h(33h)

Command(10h)+Addr_Lo(00h)+Addr_Hi(00)+Length_Lo(02h)+Length _Hi(00h)+Byte길이(04h)+Data1_Lo(22h)+Data1_Hi(11h)+Data2_Lo(44h) +Data2_Hi(33h)

게이

트웨

시리

얼장

Command(10h)+Addr_Lo(00h)+Addr_Hi(00h)+Length_Lo(02h)+Length_Hi(00h)

슬레이브 모드는 마스터와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와 시리얼장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합니다. 마스터는 시리얼장치와 독립적으로 게이트웨이의 입출력영역에 데이터를 UpDate 시킴니다. 시리얼장치는 마스터와 독립적으로 게이트웨이의 입출력영역을 읽고/쓰기 할 수 있습니다. 시리얼장치는 게이트웨이의 입력영역를 읽고/쓰기 할 수 있으나 출력영역은 읽기만 가능 합니다. 지원되는 모드버스는 읽기(0x03)와 쓰기(0x10)가 사용 됩니다.

2-4-3 슬레이브 모드 (모드버스)

Address

0x0000

Data Name

Input0 (X00)

0x0001 Input1 (X01)

0x0002 Input2 (X02)

0x0003 Input3 (X03)

0x00FF

Input255 (X255)

(입력영역 구성)

Address

0x0100

Data Name

Output0 (Y00)

0x0101 Output1 (Y01)

0x0102 Output2 (Y02)

0x0103 Output3 (Y03)

0x01FF

Output255 (Y255)

(출력영역 구성)

Page 33: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2

제2장 제품 사용법

예제3) 시리얼장치에서 게이트웨이 입력영역 0020h번지부터 2Word(4byte) 쓰기 (CRC추가) 시리얼파라메터 “CRC” = 01h 쓰기 할 데이터 값: 0000h(22h), 0001h(11h), 0002h(44h), 0003h(33h)

Command(10h)+Addr_Lo(00h)+Addr_Hi(00)+Length_Lo(02h)+Length _Hi(00h)+Byte길이(04h)+Data1_Lo(22h)+Data1_Hi(11h)+Data2_Lo(44h) +Data2_Hi(33h) + *LRC(40h)

게이

트웨

시리

얼장

Command(10h)+Addr_Lo(00h)+Addr_Hi(00h)+Length_Lo(02h)+Length_Hi(00h)+LRC(EEh)

*LRC =/(10h+00h+00h+02h+00h+04h+22h+11h+44h+33h)+1 = 40h

Page 34: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3

3

일반모드는 게이트웨이의 가장 기본적인 모드로서, 필드버스 마스터에서 게이트웨이로 데이터를 송신하면 출력영역에 저장되고, 이 데이터는 다시 시리얼장치로 전송 됩니다. 시리얼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터는 게이트웨이의 입력영역에 저장되고 이 데이터는 다시 마스터로 전송됩니다. 마스터와 시리얼장치간의 동기화를 위하여 레코드번호를 사용 합니다. 입력영역의 레코드번호는 게이트웨이가 시리얼장치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 할 때마다 증가되며, 출력영역의 레코드번호는 마스터가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 할 때마다 1씩 증가 시킵니다. 각 영역의 데이터길이는 시리얼장치에서 송수신 할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그림2-14. 프리넷 GW 입력영역구성 (데이터 쓰기·읽기)

2-4-4 일반모드

제2장 제품 사용법

Address

0x0000

Data Name

Record Number

내 용

시리얼장치에서 Data를 수신 할 때마다 1씩 증가 됨 (0-255)

0x0001 Status 시리얼장치의 통신상태 (0:정상, 1:TimeOut, 2:데이터 에러 )

0x0002 Byte Length 데이터의 길 (시리얼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터 길이 : N)

0x0003 Data1 HEX Data

0x0004 Data2

0x0005 Data3

0x0002 + N

DataN

마스

터에

서 읽

기하

는 데

이터

시리

얼장

치에

서 수

신된

데이

(입력영역 구성)

Address

0x100

Data Name

Record Number

내 용

마스터가 Data를 UpData 시킬 때 마다 1씩 증가 됨 (0-255)

0x101 Byte Length

데이터의 길이 (시리얼장치로 전송 될 데이터 길이 : M)

0x102 Data1

0x103 Data2

HEX Data

0x104 Data3

0x0002 + N

DataN 마

스터

에서

쓰기

하는

데이

시리

얼장

치로

전송

될 데

이터

(출력영역 구성)

Page 35: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4

제2장 제품 사용법

데이터 읽고/쓰기

예제1) 마스터에서 시리얼장치로 데이터[01h,02h,03h,04h] 4바이트를 송신하고, 시리얼장치에서 데이터[11h,22h,33h,44h,55h,66h] 6바이트를 수신하기

레코드번호(01h)+데이터길이(04h)+데이터(01h+02h+03h+04h)

마 스

게이

트웨

시리

얼장

레코드번호(02h)+Status(00h)+데이터길이(06h) +데이터(11h+22h+33h+44h+55h+66h)

데이터길이(06h)+데이터(11h+22h+33h+44h+55h+66h)

데이터길이(04h)+데이터(01h+02h+03h+04h)

예제2) 마스터에서 시리얼장치로 데이터[01h,02h,03h,04h] 4바이트를 송신하고, 시리얼장치에서 데이터[11h,22h,33h,44h,55h,66h] 6바이트를 수신하기(CRC 추가된 경우) 시리얼파라메터 “CRC” = 01h로 설정되어 있어야 함

레코드번호(01h)+데이터길이(04h)+데이터(01h+02h+03h+04h)

마 스

게이

트웨

시리

얼장

레코드번호(02h)+Status(00h)+데이터길이(06h) +데이터(11h+22h+33h+44h+55h+66h)

데이터길이(06h)+데이터(11h+22h+33h+44h+55h+66h)+LRC(95h)

데이터길이(04h)+데이터(01h+02h+03h+04h) + *LRC(F2h)

*LRC = /(04h+01h+02h+03h+04) +1 = F2h

예제3) 마스터에서 시리얼장치로 ASCII 데이터[02h,31h,32h,03h] 4바이트를 송신하고, 시리얼장치에서 ASCII 데이터[02h,41h,42h,43h,44h,03h] 6바이트를 수신하기 [02h,31h,32h,03h] = STX(02)+DATA(12)+EXT(03) [02h,41h,42h,43h,44h,03h]= STX(02)+Data(ABCD)+ETX(03)

레코드번호(01h)+데이터길이(04h)+데이터(02h+31h+32h+03h)

마 스

게이

트웨

시리

얼장

레코드번호(02h)+Status(00h)+데이터길이(06h) +데이터(02h+41h+42h+43h+44h+03h)

데이터길이(06h)+데이터(02h+41h+42h+43h+44h+03h)

데이터길이(04h)+데이터(02h+31h+32h+03h)

Page 36: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제3장 필드버스 SetUp

35

3-1 CC-Link 개요

CC-Link Version1일 때 게이트웨이의 입·출력 데이터 길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게이트웨이 입·출력 길이

1 ~ 12 byte

점유국수

1

Bit Data

4 byte

Word Data

8 byte

13 ~ 24 byte 2 8 byte 16 byte

25 ~ 36 byte 3 12 byte 24 byte

37 ~ 48 byte 4 16 byte 32 byte

표3-1. CC-Link Version1 입·출력 데이터 길이

확장 사이클 수 게이트웨이 입·출력 길이 점유국수 Bit Data Word Data

1 ~ 12 byte

13 ~ 24 byte

25 ~ 36 byte

37 ~ 48 byte

04 byte 8 byte

2 08 byte 16 byte

3 12 byte 24 byte

4 16 byte 32 byte

1

2

1 ~ 20 byte

21 ~ 44 byte

45 ~ 68 byte

69 ~ 92 byte

04 byte 16 byte

2 12 byte 32 byte

3 20 byte 48 byte

4 28 byte 64 byte

1

4

1 ~ 40 byte

41 ~ 88 byte

89 ~ 136 byte

137 ~ 184 byte

08 byte 32 byte

2 24 byte 64 byte

3 40 byte 96 byte

4 56 byte 128 byte

1

8

1 ~ 80 byte

81 ~ 176 byte

지원안됨

지원안됨

16 byte 64 byte

2 48 byte 128 byte

3 80 byte 192 byte

4 256 byte

1

표3-2. CC-Link Version2 입·출력 데이터 길이

CC-Link Version2일 때 게이트웨이의 입·출력 데이터 길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12 byte

1

Page 37: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6

PLC (Q06HCPU) 게이트웨이 (HS-GW/DB)

Input

X100-X10F

Hi_Byte

X110-X11F

D1000 D1001 D1002 D1003

Status Record_No Length 0x00

Data1 Data0 Data3 Data2 Data5 Data4 Data7 Data6

Lo_Byte

Output

Y100-Y10F

Hi_Byte

Y110-Y11F

D2000 D2001 D2002 D2003

Length Record_No Data1 Data0

Data3 Data2 Data5 Data4 Data7 Data6 Data9 Data8

Lo_Byte

Data Name Address

(입력영역 구성)

0x0000

0x0001

0x0002

0x0003

0x0004

0x0005

0x0006

0x0007

Record Number

Status

0x00

Byte_Length

Data0

Data1

Data2

Data3

Address

(출력영역 구성)

0x0100

0x0101

0x0102

0x0103

0x0104

시 리

얼 장

그림3-1. 미쓰비시 PLC와 게이트웨이 (HS-GW/DB)의 입·출력영역 구성도

CC-Link 마스터의 데이터는 게이트웨이의 입출력영역에 다음과 같이 연결 됩니다. (CC-Link Version : 1, 점유국수: 1, 확장사이클 : 0, CC-Link Type : 리모트 디바이스 보조통신 : 일반모드)

Data Name

Record Number

Byte_Length

Data0

Data1

Data2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38: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7

1) 하드웨어 - 컴퓨터 - PLC : Q06HCPU (미쓰비시) - CC-Link 마스터 : QJ61BT11N (미쓰비시) - 게이트웨이 : HS-GW/CC - USB케이블 - 전원공급기 : 24V DC / 0.5A 2) 소프트웨어 - GX-Developer (미쓰비시 PLC 소프트웨어) - 시리얼터미널 (SerlaiCom.exe www.hysfa.com 에서 다운로드)

3-1-1 준비작업

1) PLC 소프트웨어 설치(GX-Developer) 합니다. 2) PLC에 전원과 Setup 케이블(RS232)을 컴퓨터에 연결 합니다. 3) 게이트웨이에 전원 (24Vdc)을 연결 합니다.. 4) CC-Link마스터를 게이트웨이의 CC-Link 포트에 연결 합니다. 5) 게이트웨이의 USB포트를 PC에 연결 합니다.

3-1-2 설치작업

3-1-3 게이트웨이 SetUp

1) 프리넷 게이트웨이 노드번호 설정스위치를 99로 설정 합니다. 2)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공급 하고,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을 실행 합니다. 3) 시리얼 파라메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시리얼모드 : 일반모드, 통신속도 : 57600bps, 시리얼입출력크기 : 32Byte) [주의사항] 설정 완료후 프리넷 IO 마스터의 노드번호와 통신속도 스위치를 정상값으로 설정 합니다.

그림3-2. SerialCom을 이용한 게이트웨이 (HS-GW/CC) 파라메터 설정

제3장 필드버스 SetUp

통신속도 : 57600 Data : 8, Stop : 1, Stop : 1 Parity : None

시리얼모드[03] : 일반모드

시리얼 입출력크기 : 32Byte

Page 39: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8

3-1-4 PLC SetUp

4) 노드번호 설정스위치를 98로 설정 합니다. 5)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OFF/ON,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을 실행 합니다. 6) 필드버스 파라메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그림3-3. GX-Developer 프로젝트 새로 만들기

1) PC상에서 GX-Developer을 실행하고 프로젝트 → 프로젝트 새로 만들기 를 실행 합니다. (GX-Developer의 자세한 사용법은 PLC메뉴얼를 참고 하십시오)

그림3-4. GX-Developer CC-Link 창 생성

CC-Link Type : 리모트 디바이스 점유국수 : 1국 CC-Link 버전 : 1 확장싸이클 : 1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40: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9

2) GX Developer에서 파라메터 → 네트워크 파라메터 → CC-Link 를 선택하면 아래 화면이 표시 됩니다.

3) CC-Link 파라메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그림3-5. CC-Link 파라메터 값 설정1

그림3-6. CC-Link 파라메터 값 설정2

CC-Link입·출력 시작번지 지정

CC-Link Version1 선택

국 정보 선택

1장 선택

초기값 0000 으로 설정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41: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40

4) 설정이 완료되면 PLC쓰기로 파라메터를 저장 합니다.

5) 디바이스 일괄모니터를 선택하여 아래와 같이 만든다.

그림3-7. CC-Link 파라메터 값 설정2

CC-Link Type 설정 점유국수 설정

앞장의 CC-Link입·출력 시작번지 설정 값

[디바이스 일괄모니터] 아이콘

그림3-8. 디바이스 일괄 모니터 설정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42: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41

제3장 필드버스 SetUp

3

1) 게이트웨이 USB포트을 PC에 연결하고 시리얼터미널을 실행합니다.

2) 시리얼터미널에서 시리얼파라메터에서 설정한데로 프로토콜를 설정하고 Send창에 08+11+22+33+44+55+66+77+88을 입력하고 Send을 클릭합니다. (시리얼파라메터 : 시리얼모드[일반모드], Baudrate : [57600], Data : [8], Parity : [No] )

3-1-5 데이터 확인

데이터 길이[08] 시리얼장치에서 송신한 데이터 [11+22+33+44+55+66+77+ 88]

그림3-9. CC-Link 데이터값 확인

Status[00]+Record[01]

그림3-10. 디바이스 일괄 모니터 데이터 확인

0x00 + Length[08]

시리얼장치에서 수신한 데이터: Data0[11]+ Data1[22]+ Data2[33]+ Data3[44] +Data4[55]+ Data5[66]+ Data6[77]+ Data7[88]

Page 43: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42

5) [디바이스 일괄모니터] 아이콘을 선택하여 아래 창과 같이 정렬 합니다.

그림3-11. 디바이스 일괄 모니터 데이터 확인

데이터 길이[08]+레코드번호[01]

Data1[12]+ Data0[34]

Data3[56]+Data2[78]+Data5[9A]+Data4[BC] +Data7[DE]+Data6[F0]

그림3-12. SerialCom Data 확인

데이터 길이[08] PLC에서 수신 한 데이터: Data0[34]+ Data1[12]+ Data2[78]+ Data3[56] +Data4[BC]+ Data5[9A]+ Data6[F0]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44: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43

3-2 Profibus-DP 사용법

3-2-1 메모리 맵

다음 예제는 Profibus-DP Master(CIFX50-DP/DPM)와 게이트웨이(HS-GW/PB)을 사용한 경우의 메모리 구성도 입니다. (Input_Size : 16, Output_Size : 16, 보조통신 : 일반모드)

그림3-13. Profibus-DP Master (CIFX50-DP/DPM)와 게이트웨이 (HS-GW/PB)의 메모리 구성도

Profibus-DP Master (CIFX50-DP/DPM)

게이트웨이 (HS-GW/PB)

시 리

얼 장

Input

Input0 byte

Input1 byte

Input2 byte

Input3 byte

Input4 byte

Input15 byte

Output

Output0 byte

Output1 byte

Output2 byte

Output3 byte

Output4 byte

Output15 byte

Address

(입력영역 구성)

0x0000

0x0001

0x0002

0x0003

0x0004

0x0005

0x000F

Address

(출력영역 구성)

0x0100

0x0101

0x0102

0x0103

0x0104

0x010F

제3장 필드버스 SetUp

Data Name

Record Number

Status

0x00

Byte_Length

Data0

Data1

Data11

Data Name

Record Number

Status

0x00

Byte_Length

Data0

Data13

Page 45: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44

1) 하드웨어 - 컴퓨터 - Profibus-DP Master : CIFX50-DP/DPM (힐셔) - 게이트웨이 : HS-GW/PB - USB 및 이더넷 케이블 - 전원공급기 : 24V DC / 0.5A 2) 소프트웨어 - Syscon 소프트웨어 (CIFX50-DP 구입시 CD에 있습니다.) - EDS File : HS-GW/PB.GDS - 시리얼터미널 (SerlaiCom.exe www.hysfa.com 에서 다운로드)

3-2-2 준비작업

1) 컴퓨터에 Profibus-DP 마스터카드 장착 합니다. 2) 컴퓨터에 Syscon 소프트웨어를 설치 합니다. 3) 마스터카드와 게이트웨이를 Profibus 통신선과 연결 합니다. 4) 게이트웨이의 USB포트를 PC에 연결 합니다.

3-2-3 설치작업

그림3-14. SerialCom을 이용한 게이트웨이 (HS-GW/PB) 파라메터 설정

3-2-4 게이트웨이 SetUp

1) 노드번호 설정스위치를 99로 설정 합니다. 2)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공급하고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을 실행 합니다. 3) 시리얼 파라메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시리얼모드: 일반모드, 통신속도:57600bps, 시리얼입출력크기: 32Byte)

제3장 필드버스 SetUp

통신속도 : 57600 Data : 8, Stop : 1, Stop : 1 Parity : None

시리얼모드[03] : 일반모드

시리얼 입출력크기 : 32Byte

Page 46: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45

제3장 필드버스 SetUp

4) 노드번호 설정스위치를 98로 설정 합니다. 5)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OFF/ON,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을 실행 합니다. 6) 필드버스 파라메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주의)파라메터 설정이 완료 된 후, 노드번호와 통신속도 스위치를 정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bus-DP Master SetUp

7) PC상에서 SYCON.net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 납니다.

Input Size: 0x10(16byte) Output Size: 0x10(16byte)

그림3-16. SYSCON.net 실행 화면

그림3-15. SerialCom을 이용한 게이트웨이 (HS-GW/PB) 파라메터 설정

Page 47: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46

제3장 필드버스 SetUp

8) 오른쪽 메뉴에서 Profibus DPV0 → Master → CIFX DP.DPM을 드래그하여 아래와 같이 중앙의 선에 위치 시킵니다.

9) CIFX_DP_DPM 더블클릭 → Device selection: suitable only → Scan을 하면 아래 화면이 표시 됩니다. 주의사항: Firmware Download가 안되어 있으면 Download하여야 함

그림3-17. SYSCON.net의 CIFX_DP/DPM 아이콘 위치 시키는 방법

그림3-18. SYSCON.net의 CIFX_DP/DPM 설정

여기를 더블클릭하여 아래 화면으로 이동

여기 체크 → Apply → OK

Page 48: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47

그림3-19. Syscon GDS파일, 아이콘 등록

그림3-20. 네트워크 설정

10) 다음과 같이 GDS파일과 아이콘을 등록 합니다 (HS-GW/PB.GDS, HS-GW/PB.ico)

11) 게이트웨이 전원과 Profibus의 배선상태 및 노드번호와 통신속도(자동설정:5)스위치를 설정 합니다. 12)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공급 합니다. 13) CIFX_DP_DPM[CIFX DP/DPM]<1>(#1) 클릭 → 우클릭 → Network Scan을 실행 합니다.

GDS파일 등록 후 → 아이콘 → 우클릭 → Network Scan

FN-GWPB2S.GDS 파일 열기 FN-GW-ICO.ico 파일 열기

① Use vender DTMs if available선택 ② Create Devices 실행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49: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48

14) CIFX_DP_DPM[CIFX DP/DPM]<1>(#1) 클릭 → 우클릭 → Download을 실행합니다.

15) CIFX_DP_DPM[CIFX DP/DPM]<1>(#1)아이콘을 더블 클릭하면 다음화면이 표시 됩니다.

그림3-21. CIFX_DP_DPM[CIFX DP/DPM]<1>(#1) Download 실행

아이콘 → 우클릭 → Download 실행

그림3-22. CIFX_DP_DPM[CIFX DP/DPM] 아이콘 클릭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50: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49

그림3-24. CIFX_DP_DPM[CIFX DP/DPM] IO Monitor 실행 화면

제3장 필드버스 SetUp

3-2-5 데이터 확인

1) 게이트웨이 USB포트를 PC에 연결하고 시리얼터미널을 실행합니다. 2) CIFX_DP_DPM아이콘 → 우크릭 → Diagnostic → IO Monitor를 실행 합니다. 3) 시리얼터미널 시리얼 파라메터에서 설정 한데로 프로토콜 설정하고 Send창에 03+12+22+33+44+55+66+77+88을 입력하고 Send을 클릭합니다. (시리얼모드 : 일반모드, Baudrate : 57600)

그림3-23. SerialCom 으로 Data 송신

데이터 길이[08] 시리얼장치의 송신 데이터 [11+22+33+44+55+66+77+88]

레코드 번호 [03]

통신상태 [00] 데이터길이[08]

항상[00] 수신 데이터[11+22+33+44+55+66+77+88]

Page 51: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50

그림3-26. SerialCom 으로 데이터 수신 확인

그림3-25. CIFX_DP_DPM IO Monitor에 데이터 송신

제3장 필드버스 SetUp

4) CIFX_DP_DPM아이콘 → 우클릭 → Diagnostic → IO Monitor의 Output data창에 02+08+12+34+56+78+9A+BC+DE+F0을 입력하고 Update을 클릭 합니다.

데이터길이[08] 필드버스 송신 데이터 [11+22+33+44+55+66+77+88]

레코드번호[02]

데이터 길이[08] 수신 데이터 [12+34+56+78+9A+BC+DE+F0]

Page 52: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51

3-3 DeviceNet 사용법

3-3-1 메모리 구성

옴론 PLC (CJ1G-CPU44H)와 디바이스넷 스캔어 모듈 (DRM21)을 사용한 경우의 메모리 구성도 (Input_Size = 16, Output_Size = 16으로 설정 됩니다.)

CJ1G-CPU44H

Input

CIO3300

Hi_Byte

CIO3301

Status Record_No Length 0x00

Lo_Byte

CIO3302 Data1 Dtata0

Not used Data12 CIO3307

Output

CIO3200 CIO3201 CIO3202

CIO3207

시 리

얼 장

Address

(입력영역 구성)

0x0000

0x0001

0x0002

0x0003

0x0004

0x0005

0x000F

게이트웨이(HS-IGW/DB)

Address

(출력영역 구성)

0x0100

0x0101

0x0102

0x0103

0x0104

0x010F

그림3-27. PLC (CJ1G-CPU44H)와 디바이스넷 스캔어 모듈 (DRM21) 메모리 구성도

제3장 필드버스 SetUp

Data3 Data2 Data5 Data4

Status Record_No Data1 Data0 Data3 Data2

Data14 Data13

Data5 Data4

Data Name

Record Number

Status

0x00

Byte_Length

Data0

Data1

Data Name

Record Number

Byte_Length

Data0

Data1

Data2

Data11

Data13

Page 53: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52

1) 하드웨어 - 컴퓨터 - PLC : CJ1G-CPU44H (옴론) - 디바이스넷 스캐너 모듈 : DRM21 (옴론) - 게이트웨이 : HYS-GW/DB - USB 및 이더넷 케이블 - 전원공급기 : 24V DC / 0.5A 2) 소프트웨어 - CX-Programmer, CX-Integrator (옴론 PLC 소프트웨어) - EDS File : HS-GW/DB.EDS - 시리얼터미널 (SerlaiCom.exe www.hysfa.com 에서 다운로드)

3-3-2 준비작업

1) 옴론 PLC 소프트웨어 (CX_Programmer 및 CX-Integrator)를 설치 합니다. (OMRON CXONE에는 CX Programmer 와 CX Integrator가 통합되어 있습니다.) 2) PLC에 전원과 Setup 케이블(RS232)을 컴퓨터에 연결 합니다. 3) FNIOM와 FNIO의 전원(24V DC)및 통신선 (HLS)을 연결 합니다. 4) 디바이스넷 스캔어 모듈과 게이트웨이의 디바이스넷 포트를 통신선으로 연결 합니다. 5) 게이트웨이의 USB포트를 PC에 연결 합니다.

3-3-3 설치작업

3-3-4 게이트웨이 SetUp

1) 프리넷 게이트웨이 노드번호 설정스위치를 98로 설정 합니다. 2)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공급하고,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을 실행 합니다. 3) 시리얼 파라메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시리얼모드: 일반모드, 통신속도 : 57600bps, 시리얼입출력크기 : 32Byte)

그림3-28. SerialCom을 이용한 게이트웨이 파라메터 설정

제3장 필드버스 SetUp

통신속도 : 57600 Data : 8, Stop : 1, Stop : 1 Parity : None

시리얼모드[03] : 일반모드

시리얼 입출력크기 : 32Byte

Page 54: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53

4) 노드번호 설정스위치를 98로 설정 합니다. 5)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OFF/ON,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을 실행 합니다. 6) 필드버스 파라메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필드버스 I/O길이: InPutSize=16, OutPutSize : 16)

그림3-29. SerialCom 필드버스 파라메터 설정

1) PC상에서 CX-Programmer을 실행하면 다음 화면이 표시 됩니다. (CX-Programmer의 자세한 사용법은 PLC메뉴얼을 참고 하십시오)

그림3-30. CX-Programmer 실행 화면

제3장 필드버스 SetUp

3-3-5 PLC 및 스캐너 모듈 SetUp

Page 55: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54

그림4-22. CIFX_DP_DPM[CIFX DP/DPM]과 FNIOM의 연결 상태 표시

6) PLC와 연결된 상태에서 DeviceNet[CJ1W-DRM21] → 우클릭 → Connect → Network1 → Transfer를 실행하면 아래 화면이 표시 됩니다.

2) CX-Programmer에서 SetUp이 완료되면 CX-Integrator을 실행 합니다 3) 스캐너노드번호 : 1, 게이트웨이 노드번호 : 3, 통신속도:500Kbps으로 설정 합니다. 4) Network → Auto Online → COM1 → Connect으로 PLC와 연결 합니다. 5) Tools → EDS file → Install → HSY-GW/DB.EDS → 열기로 EDS file을 등록 합니다.

⑤ Tolls → EDS File → Install → FN-GWDB2S → 열기

⑥ PLC와 연결된 상태에서 DeviceNet → 우클릭 → Connect → NetworkName : Network1 → Transfer 실행

그림3-31. EDS 파일 등록 방법 및 네트워크 실행 방법

CJ1W-DRM21 더블클릭 → Download → 예(Y) → 예(Y) → 예(Y) → 확인

그림3-32. CIFX_DP_DPM[CIFX DP/DPM]과 게이트웨이 연결 상태 표시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56: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55

그림3-33. CIFX_DP_DPM[CIFX DP/DPM] IO Monitor 실행 화면

8) CX-Integrateor와 PLC의 연결을 해제 합니다.

7) CJ1W-DRM21 더블클릭 → Download → 예(Y) → 예(Y) → 예(Y) → 확인을 실행 합니다.

Download → 예(Y) → 예(Y) → 예(Y) → 확인

그림3-34. CX-Integrator의 Online 해제 방법

Work Online 아이콘 클릭 → Online OFF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57: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56

10) 모니터 모드로 설정한 후, 메모리 모니터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9) 다시 CX-Programmer화면으로 이동하여 Online을 연결 합니다.

그림3-35. CX-Integrator의 Online 연결 방법

① Work Online 아이콘 클릭 → Online 연결

③ 메모리 더블클릭 → 그림4-24. 화면 표시

② PLC를 모니터 모드로 설정

그림3-36. CX-Integrator의 모니터 모드 설정 과정과 메모리 모니터 화면 1

① 모니터 메모리 영역 (CIO)을 선택 합니다.

② 시작 주소 : 3200으로 설정 합니다.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58: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57

1) 게이트웨이 USB포트를 PC에 연결하고 시리얼터미널을 실행합니다.

2) 시리얼터미널에서 시리얼파 라메터에서 설정한데로 프로토콜을 설정하고 Send창에 08+11+22+33+44+55+66+77+88을 입력하고 Send을 클릭합니다. (시리얼 파라메터 : 시리얼모드[일반모드], Baudrate[57600], Data[8], Parity[No] )

3-3-6 데이터 확인

제3장 필드버스 SetUp

그림3-37. SerialCom Data 확인

데이터 길이[08] PLC에서 수신 한 데이터: Data0[34]+ Data1[12]+ Data2[78]+ Data3[56] +Data4[BC]+ Data5[9A]+ Data6[F0]

그림3-38. PLC 데이터 수신 확인

통신상태[00]+레코드번호[01]

데이터 길이[08] + 00

Data1[22]+Data0[11]+Data3[44]+Data2[33] +Data5[66]+Data4[55]+Data7[88]+Data6[77]

Page 59: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58

제3장 필드버스 SetUp

그림3-41. SerialCom Data 확인

그림3-40. PLC 데이터 수신 확인

Data0[1234]+Data1[5678]+Data2[9ABC]+Data3[DEF0]

데이터 길이[08]+레코드번호[01]

데이터 길이[08] Data0_Lo[34]+Data0_Hi[12]+Data1_Lo[78]+Data1_Hi[56] +Data2_Lo[BC]+Data2_Hi[9A]+Data3_Lo[F0]+Data3_Hi[DE]

Page 60: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59

3-4 EtherNet/IP SetUp

3-4-1 EtherNet/IP 개요

EtherNet/IP Scaner의 데이터는 게이트웨이의 입출력영역에 다음과 같이 연결 됩니다. (I/O Size가 16이고, 보조통신이“일반모드”일때의 메모리 구성도)

그림3-42. EtherNet/IP Scanner와 게이트웨이 (HS-GW/EI) 입·출력영역 구성도

EtherNet/IP Scanner FNIOM (HS-IOM/EP)

시 리

얼 장

Input

Input0 byte

Input1 byte

Input2 byte

Input3 byte

Input4 byte

Input15 byte

Output

Output0 byte

Output1 byte

Output2 byte

Output3 byte

Output4 byte

Output15 byte

Address

(입력영역 구성)

0x0000

0x0001

0x0002

0x0003

0x0004

0x0005

0x000F

(출력영역 구성)

제3장 필드버스 SetUp

Data Name

Record Number

Status

0x00

Byte_Length

Data0

Data1

Data11

Address

0x0100

0x0101

0x0102

0x0103

0x0104

0x010F

Data Name

Record Number

Byte_Length

Data0

Data1

Data2

Data13

Page 61: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60

1) 하드웨어 - 컴퓨터: - EtherNet/IP Scanner : CIFX50_RE (힐셔) - 게이트웨이 : HS-GW/EI - USB및 이더넷 케이블 - 전원공급기 : 24V DC / 0.5A 2) 소프트웨어 - Syscon 소프트웨어 (Scanner구입시 CD에 있습니다.) - 시리얼터미널 (SerlaiCom.EXE www.hysfa.com 에서 다운로드)

3-4-2 준비작업

1) 이더넷카드(CIFX50_RE)를 컴퓨터에 장착하고 드라이버 및 Syscon소프트웨어 설치 합니다. 2) 게이트웨이에 전원 (24V DC)을 연결 합니다. 4) 게이트웨이 이더넷포트와 이더넷카드를 이더넷케이블(1:1)로 연결 합니다. 5) 게이트웨이의 USB포트를 PC에 연결 합니다.

3-4-3 설치작업

3-4-4 파라메터 설정

1) 프리넷 게이트웨이 노드번호 설정스위치를 99로 설정 합니다. 2)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공급 하고,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을 실행 합니다. 3) 시리얼 파라메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시리얼모드 : 일반모드, 통신속도 : 57600bps, 시리얼입출력크기 : 32Byte)

제3장 필드버스 SetUp

통신속도 : 57600 Data : 8, Stop : 1, Stop : 1 Parity : None

시리얼모드[03] : 일반모드

시리얼 입출력크기 : 32Byte

그림3-43. SerialCom을 이용한 게이트웨이 파라메터 설정

주의사항 : MAC Address가 반드시 설정되어야 합니다.

Page 62: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61

3-4-5 EtherNet/IP 스캐너 SetUp

그림3-44. Serialcom 으로 필드버스 파라메터 설정

1) PC상에서 SYCON.net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 납니다.

그림3-45. SYSCON.net 실행 화면

4) 노드번호 설정스위치를 98로 설정 합니다. 5)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OFF/ON,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을 실행 합니다. 6) 필드버스 파라메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필드버스 I/O길이 : 16, IP : 192.168.60.00, NETMASK : 255.255.255.00)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63: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62

3) EtherNet/IP → Slave → ENIP Generic Adapter을 드래그하여 CIFX_RE_EIM의 선에 위치 시킵니다.

2) 오른쪽 메뉴에서 EtherNet/IP → Master → CIFX_RE/EIM을 드래그하여 중앙의 선에 위치 시킵니다.

제3장 필드버스 SetUp

그림3-46. SYSCON.net의 CIFX_RE/EIM 아이콘 위치 시키는 방법

그림3-47. SYSCON.net의 ENIP Generic Adapter 아이콘 위치 시키는 방법

Page 64: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63

6) Configuration->Network Settings->IP 설정 -> Apply를 실행 합니다. (에제에서 IP는 192.168.60.1로 설정함)

그림3-49. ENIP Generic Adatper의 Description 설정 방법

4) 중앙의 CIFX_RE/EIM<192.168.10.1>(#1) 아이콘을 더블크릭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 됩니다. 여기서 CIFX 50-RE를 Check하고 Apply버튼을 클릭합니다. 5) Settings->Firmware Download->Browse->cifxeim.NXF을 선택하고 Download버튼을 클릭합니다. 주의사항 : Download는 최초 Setup시 한번만 실행하면 됩니다.

제3장 필드버스 SetUp

그림3-48. CIFX_RE/EIM의 Scanlist IP 설정 방법

Page 65: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64

8) 메인화면에서 Generic_Adapter[ENIP Generic Adaper] 아이콘을 더블클릭하고 Configuration → General → Description : → HS-GW/EI → Apply를 실행 합니다.

제3장 필드버스 SetUp

7) Configuration → Scanlist → IP 설정 → Apply → OK를 실행 합니다. 주의사항 : 여기서 설정된 IP는 게이트웨이IP를 의미하며, 게이트웨이의 IP 처름 3자리(192.168.60)는 파라메터로 설정되고,나머지 한 자리(.3)는 노드번호설정 스위치로 설정 함니다.

그림3-50. CIFX_RE/EIM의 Scanlist IP 설정 방법

그림3-51. ENIP Generic Adatper의 Description 설정 방법

HS-IOM/EP

Page 66: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65

10) Configuration → Connection → Connection:Connect1, Transport type : Exclusive-Owner Originator to Target(type : MULTICAST, format : 32-bit run/idle header) Target to Originator(type : POINT2POINT, format : 23-bit run/idle header) ->Apply

9) Configuration → Electronic Keying → Keying method : Custom keying, minor revision : 1 major revision : 1, product code : 203, product type : 12, vendor : 942 → Apply을 실행 합니다.

제3장 필드버스 SetUp

그림3-52. ENIP Generic Adaper의 Custom keying 설정 방법

그림3-53. ENIP Generic Adapter의 Connection 설정 방법

Page 67: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66

12) CIFX_RE_EIM[CIFX_RE/EIM]<192.168.60.1>(#1) 아이콘 클릭 → Device(메인화면상단) → Download → 예(Y)을 실행 합니다.

11) Configuration → Assembly → Instance ID[IN : 101, OUT : 100], Data Length[IN : 16, OUT : 16] → Apply → OK을 실행 합니다.

제3장 필드버스 SetUp

그림3-54. ENIP Generic Adapter의 Assembly Instance ID 및 Data Length 설정 방법

그림3-55. CIFX_RE/EIM의 Device Download 방법

Page 68: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67

14) CIFX_RE_EIM[CIFX_RE/EIM]<192.168.60.1>(#1) 아이콘 클릭 → Device → Disconnect 15) CIFX_RE_EIM[CIFX_RE/EIM]<192.168.60.1>(#1) 아이콘 클릭 → 마우스 우클릭 → Network Scan 16) CIFX_RE_EIM[CIFX_RE/EIM]<192.168.60.1>(#1) 아이콘 클릭 → 마우스 우클릭 → Diagnostic

제3장 필드버스 SetUp

그림3-56. CIFX_RE/EIM의 설정 완료시 정상적 출력 화면

정상적으로 설정이 완료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

Page 69: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68

제3장 필드버스 SetUp

1) 게이트웨이 USB포트를 PC에 연결하고 시리얼터미널을 실행합니다. 2) CIFX_RE_EIM → Diagnostic → IO Monitor을 실행 합니다.

3) 시리얼터미널에서 시리얼파라메터에서 설정한데로 프로토콜을 설정하고 Send창에 03+12+22+33을 입력하고 Send을 클릭 합니다. (시리얼모드 : 일반모드, Baudrate:37600으로 가정하면 [03]은 데이터 길이, [11+22+33]은 데이터가 됩니다.)

3-4-6 데이터 확인

레코드번호

레코드번호

시리얼장치에서 수신한 데이터

그림3-57. SerialCom으로 데이터 전송

그림3-58. Syscon에서 데이터 수신 확인

Page 70: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69

제3장 필드버스 SetUp

4) CIFX_RE_EIM → Diagnostic → IO Monitor의 Output data창에 01+08+55+AA+12+34+56+78+9A+BC을 입력하고 Update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레코드번호[01], 데이터길이[08], 데이터[55+AA+12+34+56+78+9A+BC]을 나타냅니다.)

그림3-60. SerialCom 으로 수신 Data 확인

데이터 길이 필드버스로 수신 한 데이터

그림3-59. CIFX_RE/EIM의 IO Monitor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레코드 번호 데이터 길이 시리얼장치로 전송 할 데이터

Page 71: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70

3-5 EtherCAT SetUp

3-5-1 EtherCAT개요

EtherCAT Master의 데이터는 게이트웨이의 입·출력영역에 다음과 같이 연결 됩니다. (I/O Size : 16이고, 보조통신이 “일반모드”일때의 메모리 구성도)

그림3-61. EtherCAT Master와 게이트웨이 HS-GW/EC)의 입·출력영역 구성도

EtherCAT Master 게이트웨이(HS-GW/EC)

시 리

얼 장

Input

Input0 byte

Input1 byte

Input2 byte

Input3 byte

Input4 byte

Input15 byte

Output

Output0 byte

Output1 byte

Output2 byte

Output3 byte

Output4 byte

Output15 byte

(입력영역 구성)

(출력영역 구성)

제3장 필드버스 SetUp

Address

0x0000

0x0001

0x0002

0x0003

0x0004

0x0005

0x000F

Data Name

Record Number

Status

0x00

Byte_Length

Data0

Data1

Data11

Address

0x0100

0x0101

0x0102

0x0103

0x0104

0x010F

Data Name

Record Number

Byte_Length

Data0

Data1

Data2

Data13

Page 72: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71

1) 하드웨어 - 컴퓨터 - EtherCAT Master : CIFX50-RE (힐셔) - 게이트웨이 : HS-GW/EC - USB및 이더넷 케이블 - 전원공급기 : 24V DC / 0.5A 2) 소프트웨어 - Syscon 소프트웨어 (CIFX50-RE구입시 CD에 있습니다.) - 시리얼터미널 (SerlaiCom.EXE www.hysfa.com 에서 다운로드) - EDS File (HS-IOM/EP.xml www.hysfa.com 에서 다운로드)

3-5-2 준비작업

1) 이더넷카드 (CIFX50-RE)를 컴퓨터에 장착하고 드라이버 및 Syscon 소프트웨어 설치 합니다. 2) 게이트웨이 (HS-GW/EC)의 전원(24V DC)을 연결 합니다. 3) 게이트웨이 이더넷 포트(IN포트)와 EtherCAT M/S(OUT포트)를 이더넷케이블(1:1)로 연결 합니다. 4) 게이트웨이의 USB포트를 PC에 연결 합니다.

3-5-3 설치작업

3-5-4 게이트웨이 SetUp

1) 프리넷 게이트웨이 노드번호 설정스위치를 99로 설정 합니다. 2)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공급 하고,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을 실행 합니다. 3) 시리얼 파라메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시리얼모드: 일반모드, 통신속도:57600bps, 시리얼입출력크기: 32Byte)

제3장 필드버스 SetUp

통신속도 : 57600 Data : 8, Stop : 1, Stop : 1 Parity : None

시리얼모드[03] : 일반모드

시리얼 입출력크기 : 32Byte

그림3-62. SerialCom을 이용한 게이트웨이 파라메터 설정

Page 73: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72

그림3-63. Serialcom 으로 필드버스 파라메터 설정

4) 노드번호 설정스위치를 98로 설정 합니다. 5) 게이트웨이에 전원을 OFF/ON, PC상에서 시리얼터미널을 실행 합니다. 6) 필드버스 파라메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필드버스 I/O길이: 1 6, IP : 192.168.60.00, NETMASK : 255.255.255.00)

제3장 필드버스 SetUp

EtherCAT Master SetUp

7) PC상에서 SYCON.net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 납니다.

그림3-64. SYSCON.net 실행 화면

Page 74: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73

그림3-65. SYSCON.net의 CIFX_RE/ECM 아이콘 위치 시키는 방법

9) CIFX_RE_ECM아이콘 더블클릭 → Device selection : all → Scan을 하면 아래 화면이 표시 됩니다.

그림6-66. CIFX_RE/ECM의 Firmware Download 방법

8) 오른쪽 메뉴에서 EtherCAT → Master → CIFX_RE/ECM을 드래그하여 아래와 같이 중앙의 선에 위치 시킵니다.

제3장 필드버스 SetUp

여기를 더블클릭하여 아래 화면으로 이동

Check → Apply 후 Firmware Download로 이동

Page 75: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74

제3장 필드버스 SetUp

10) EtherCAT Master에 Firmware Download를 합니다. (Master 구입시 CD에 있습니다.) 11) Firmware Download는 최초 Setup시 한번 만 합니다.

그림3-67. CIFX_RE/ECM의 Firmware Download 방법

다운로드 실행 후 OK버튼을 클릭 합니다.

12) 메인화면 → Network → Import Device Description → EtherCAT(*.xml) : HS-IOM/EC.xml → 열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SetUp시 한 번만 등록 합니다.)

그림3-68. CIFX_RE/ECM의 HS-IOM/EC.xml 파일 등록 방법

정상적으로 등록되면 제품명이 표시 됩니다.

.xml 파일을 찾아 열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Page 76: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75

그림4-49. CIFX_RE/ECM의 Downlad 방법

제3장 필드버스 SetUp

13) 메인화면 → CIFX_RE_ECM[CIFX RE/ECM]<>(#1) 아이콘 클릭 → 마우스 우클릭 → Network Scan → 예(Y) (주의사항 : 이때 게이트웨이 전원과 이더넷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14) Creation Mode : Use vendor DTMs if available → Create Devices

그림3-69. CIFX_RE/ECM 설정 완료시 정상적 출력 화면

Use vendors DTMs if available 선택 후 Create Device 클릭 합니다

Use vendor DTMs if available

그림3-70. CIFX_RE/ECM의 Downlad 방법

15) 메인화면 → CIFX_RE_ECM[CIFX RE/ECM]<>(#1) 아이콘 클릭 → 마우스 우클릭 → Download → 예(Y)

Page 77: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76

제3장 필드버스 SetUp

16) 메인화면 → CIFX_RE_ECM[CIFX RE/ECM]<>(#1) 아이콘을 더블클릭 합니다.

그림3-71. CIFX_RE/ECM의 설정 완료시 정상적 출력 화면

정상적으로 설정이 완료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

IO Monitor를 클릭하면 다음 화면이 표시 됩니다.

Page 78: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77

1) 게이트웨이 USB포트를 PC에 연결하고 시리얼터미널을 실행합니다. 2) CIFX_RE_EIM → Diagnostic → IO Monitor을 실행 합니다. 3) 시리얼터미널에서 시리얼파라메터에서 설정한데로 프로토콜을 설정하고 Send창에 03+12+22+33을 입력하고 Send을 클릭합니다. (시리얼모드 : 일반모드, Baudrate : 37600으로 가정하면 [03]은 데이터길이, [11+22+33]은 데이터가 됩니다.

3-5-5 데이터 확인

데이터길이

데이터

그림3-72. Serialcom 으로 송신할 데이터

그림3-73. Syscon에서 데이터 수신 확인

레코드번호[05]

보조통신상태[00]

시리얼장치에서 수신한 데이터 [03 11 22 33]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79: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78

4) CIFX_RE_EIM → Diagnostic → IO Monitor의 Output data창에 01+08+55+AA+12+34+56+78+9A+BC을 입력하고 Update를 클릭합니다. (여기서 레코드번호[01], 데이터길이[08], 데이터[55+AA+12+34+56+78+9A+BC]을 나타냅니다.)

레코드번호[05] Update 할 때

마다 증가 시킴

데이터 길이

전송 할 데이터

그림3-74. Syscon에서 송신 할 데이터 설정

그림3-75. Serialcom 으로 수신 된 데이터

데이터길이 수신 된 데이터

제3장 필드버스 SetUp

Page 80: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4-1 일반 사양

79

표4-1. HS-GW 일반 사양

항 목 내 용

통신모듈 전원 21.6V DC ~ 26.4V DC

통신모듈 소비전류 80mA(24Vdc 기준)

통신 전원 12V DC ~ 30V DC (20mA이하)

보관 온도 -25 ~ +75

사용 온도 -10 ~ +65

취급 방식 35mm DIN Track

ECM EN61000-6-2, EN61000-4 시험 규격 준수

내 노이즈 ±AC 1200V (방향과 임펄스 노이즈)

사용 습도 5 ~ 85% RH

제품 사이즈 (mm) 60 x 60 x 45

항 목

CE EMC시험 규격 기준

시험 규격 기준

이슬이 맺히지 않을 것

DeviceNet, ProfibusDP

제4장 사양

Page 81: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80

4-2 통신 사양

표4-2. HS-GW 일반 사양

항 목 사 양

TCP/IP, UDP/IP, TCP

입출력모드 : 64점Byte 게이트웨이 모드 :128Byte

Eth

erN

et/

IP

EtherNet/IP

10Mbps / 100Mbps 통신속도

최대 전송 데이터

프로토콜

지원 필드버스

10M / 5M / 2.5M / 625K / 156K

RX, RY : 32점(4Byte) 최대 점유국수 : 4국

입출력모드 : 64점Byte 게이트웨이 모드 :128Byte

32

통신 속도

최대 전송 거리

CC

-Lin

k

156Kbps 625Kbps 2.5Mbps 5Mbps 10Mbps

1200m 900m 400m 160m 100m

통신속도

1국당 링크점수

최대 전송 데이터

최대 접속대수

전송거리 (전용 케이블 사용시)

Pro

fibus

최대 전송 데이터

최대 접속대수

1국당 링크점수 12M / 6M / 3M / 1.5M / 0.5M / 187.5K / 93.76K / 19.2K / 9.6K

입출력모드 : 64점Byte 게이트웨이 모드 :128Byte

63

통신 속도

최대 전송 거리

93.75Kbps 187.5Kbps 500Kbps 1.5Mbps 12Mbps

1200m 1000m 400m 200m 100m

전송거리 (전용 케이블 사용시)

126K / 250K / 500K (AutoBaud)

입출력모드 : 64점Byte 게이트웨이 모드 :128Byte

63

CSMA / NBA, Exp / Poll / COS / Cyclic

통신 속도

최대 전송 거리

Devic

eN

et

125Kbps 250Kbps 500Kbps

1200m 1000m 400m

통신속도

최대 전송 데이터

최대 점속대수

통신 방식

전송거리 (전용 케이블 사용시)

10Mbps / 100Mbps 통신속도

최대 전송 데이터 입출력모드 : 64점Byte 게이트웨이 모드 :128Byte

TCP/IP, UDP/IP 프로토콜

EtherCAT 지원 필드버스 Eth

erN

et/

IP

제4장 사양

Page 82: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각 필드버스에 대한 참고자료는 다음 홈페이지를 이용 하십시오. - CC-Link : www.cc-link.org - Profibus : www.profibus.org / www.pfofibus.or.kr - DeviceNet,EtherNet/IP : www.odva.org / www.odva.or.kg - EtherCAT : www.ethercat.org - Modbus : www.modbus.org

81

표4-2. HS-GW 일반 사양

항 목 사 양

115.2Kbps / 57.6Kbps / 38.4Kbps / 19.2Kbps / 9.6Kbps

RS-485/4

22 통신속도

입·출력모드 : 64Byte 게이트웨이 모드 : 128Byte 최대 전송 데이터

32 최대 접속대수

1.2Km (at 9.6Kbps) 최대 전송거리

Modbus, RTU 통신포맷

115.2Kbps / 57.6Kbps / 38.4Kbps / 19.2Kbps / 9.6Kbps 통신속도

입력모드 : 256Byte 출력모드 : 256Byte 최대 전송 데이터

1 Start Bit

7 ~ 8 Data Bit

Even / Odd / None Parity Bit

1 ~ 2 Stop Bit

15m 최대 전송거리

RTS / CTS 지원 기 타

RS-232/U

SB

제4장 사양

Page 83: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3

필드버스의 케이블은, 필드버스 전용 케이블을 사용 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도표에 있는 내용을 참고하여 특성에 맞는 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케이블 선정이 잘못 되었을 경우에는 통신이 불안정하고 원거리 통신이 안 될 수 있습니다. EtherNet/IP나 EtherCAT는 일반적인 이더넷 케이블을 그대로 사용 합니다. 다음은 전용 케이블 사양입니다.

4-3 케이블 사양

항 목 사 양 케이블 구조 (구성)

실드부착 트위스트 케이블 케이블 종류

37.8Ω/Km 도체저항 (20)

1.0MΩ .Km 이상 절연저항

DC 500V 1분 내전압

60nF/Km이하 정전용량 (1KHz)

CC

-Lin

k

특성 임피던스 1MHz : 110 ± 15Ω 5MHz : 110 ± 15Ω

DG

DA

DB

접지선

드레인선

알루미늄 테이프

차폐

시스

드레인선

녹 적

SD- SD+

접지선

알루미늄 테이프

차폐

시스 실드부착 트위스트 케이블 케이블 종류

도체저항 (20) 110Ω/Km

1.0MΩ .Km 이상 절연저항

1500V 내전압

30nF/Km 정전용량 (1KHz)

Pro

fibusD

P

3~20MHz : 150 ±15Ω 특성 임피던스

82

실드부착 트위스트 케이블 케이블 종류

45Ω/Km 도체저항 (20)

1.0MΩ .Km 이상 절연저항

2000V 내전압

39.8nF/Km 정전용량 (1KHz)

Devic

eN

et

120Ω 특성 임피던스

드레인선

V-(검)

CANH (백)

알루미늄 테이프

브레이드 실드

시스

V+(빨)

CANL (청)

표4-3. 필드버스 전용 케이블 종류

제4장 사양

Page 84: FreeNet Gateway - hysfa.comhysfa.com/img/img_file/bmb-29.pdf · 2015. 12. 22. · 3-2-1 메모리 맵 43 3-2-2 준비작업 44 3-2-3 설치작업 44 3-2-4 게이트웨이 SetUp 44

83

* RS-485/422는 특별히 정해진 전용 케이블은 없으나 Profibus와 같은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Profibus용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이에 준하는 케이블 사용을 권장 합니다.

항 목 사 양 케이블 구조 (구성)

표4-3. 필드버스 전용 케이블 종류

드레인선

SD- SD+

접지선

알루미늄 테이프

차폐

시스 실드부착 트위스트 케이블 케이블 종류

도체저항 (20) 60Ω/Km 이하

1.0MΩ .Km 이상 절연저항

1500V 내전압

50nF/Km 이하 정전용량 (1KHz) * R

S-485/4

22

120Ω 특성 임피던스

제4장 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