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 : AEM001751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일시 : 2015년 4월 10일(금) 오후 18시

장소 : 경기문화재단 3층 다산흘

쐐 삐빼

도 삐삐삐삐

버 삐매매

이 삐삐삐

가 삐삐삐

짧 삐삐

AEM001751

경기학회(京離學會)

Page 2: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경기학호I<京議學會) 창립총회 호l순

1. 성원보고

2. 개호l

- 3. 임시의장 선출

4. 준비위원 소개 및 경과보고

5. 창립취지문 낭독 및 채택의 건

6. 호l척 채택의 건

7. 호l장 및 감사 선출

8. 신임 호l장 및 감사 인사말

9. 경기학호l 사업계획 확정의 건

10. 2015년도 수지예산 확정의 건

11. 펴l호l

12. 기념사진 촬영

Page 3: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경 ~1 학회 (京離學會) 창랩 취 ~1 륜

경기(京離)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 경기가 단지 왕성(王城)을 수

호하는 지역으로서의 의미인가 아니면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아우

르는 국가의 총체적 중심부를 말하는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은 이미 정

해졌다- 경기는 바로 국가와 사회 전체의 중심이자 근간의 땅이다.

그렇다면 해방 70주년을 맞이하는 2015년 대한민국에서 경기의 의

미는 과연 무엇인가? 분단된 조국의 허리로 슬픔을 머금고 있지만 남

과 복을 아우르며 통일을 지향하는 화쟁의 곳이요 미래 한반도를 세

계사의 주역으로 만들 희망의 곳이기도 하다.

이처럼 경기는 단순히 한반도의 가운데 있어 경기가 아닌 역사의 중

심 경기였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경기지역의 핏줄인 한강 유역의 진출

이 있었기에 가능했고, 고려와 조선의 건국 역시 경기지역으로부터 출

발했다.

경기는 사상과 문화의 출발이기도 하다. 한강과 연결되는 서해는 새

로운 학문이 교통하는 출발지이자 종착점이었다. 남양만 당성과 평택

만은 중국과의 소통의 공간으로 새 로운 문화를 받아들이 고 우리 의 문

화를 전파하는 곳이 었다.

고려 천태종은 불교 사상의 융합으로 세계사적인 불교사의 전개였다.

다양한 사상의 융합을 전통으로 하는 경기지역 특성으로 교관겸수(敎

觀暴修)의 천태학(天台學)이 태동되었다- 이러한 불교 사상의 통합은

우리 민족의 통합 사상의 근간을 이 루었고, 이 후 불교와 도교 그리 고

성 리 학까지 아우르는 고려 의 경 기 문화를 만들어 냈다.

조선시대에는 성리학이 바탕이 되고 화담 서경덕의 학문을 출발로 율

곡 이이에 이르러 경기지역의 독특한 경기학(京離學)이 성립되었다.

단순히 이기론(理氣論)으로 국한된 성리학이 아닌 인의(仁義)를 기반

으로 백성들의 참삶을 고민하고 이를 위해 실천하는 학문 사상으로 발

전하였다. 이것이 바로 경기 본연의 문화이자 경기학이다.

경세치용(經世致用)과 이용후생(利用 j享生) 그리고 실사구시(實事求

是)는 경기학의 자랑스러운 전통이었다. 시대의 현실을 고민하고 시대

에 대한 개혁과 변법(變法)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시대와 백성을 구

제하고자 했던 이들이 바로 경기학인(京離學人)들이었다. 경기학인들

은 단순히 한 분야로 치 우지 치 않고 유학과 상수학, 기 하학, 건축학 등

Page 4: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다양한 서구 학문의 실용지학을 포용하여 거시적 실학을 추구하였다.

그 성과로 경기지역의 문화는 조선 문화의 중심이었고, 동아시아 문화

를 선도하였다.

이에 우리는 경기학인들의 전통을 이은 볍고창신(法古創新)과 계지술

사(繼志述事)의 정신으로 21세기 신 설학(新實學)으로 경기학을 정립

하고자 한다.

모든 학제의 융합과 소통은 경기학 연구의 근간이 될 것이다. 독자적

인 학문의 중요성이 20세기 학문의 방향이자 성과였다면, 이제 21세기

는 전통의 경기학인들의 연구방법과 현대의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

학의 연구방법론이 통섭된 경기학으로 정립될 것이다.

경기학은 학문 사상만으로서의 경기학이 아닌 경기지역 공동체의 발

전과 미래 한반도의 통일, 아시아 평화를 위한 경기학이 될 것이다. 이

를 위해 시민과 더불어 지식을 나누고 지역을 위한 연구에 매진하고

자한다.

2015년 4월 10 일

경기학회 회원 일동(151 명)

~ 。d 경기대 김민서 수원문화원

강진갑 경기대 김보영 이화여대

강참구 연합뉴λ 김상헌 상명대

고봉균 디자인맴시 김선혜 역사문화콘텐大연구원

고재용 경기문화재연구원 김성환 경기도박물관

구본만 여주박물관 김세영 수원화성박물관

김교빈 호서대 7口I.:::'.:。느-λ「‘ 한국외국어대

김금향 건국대 김연권 경기대

김기봉 경기대 김영아 한신대

김나윤 경기도청 김영호 병학연구소

~~_!; ‘극1 한국외국어대 김영호 서울문화재단

김도환 한양대 7口I_。「 i己II 경희대

1?그 I~드그 I를工;= 한국문화정보원 김웅신 경기문화재연구원

김명우 전곡선사박물관 1?그I~λ i.1 경기신문

김민규 아주대 김재홍 한국문화유산연구원

키E그조 C>:z.. i쿄l 경기문화재단

1 ι

Page 5: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준권 경기도박물관 박현정 수원문화재단

김준혁 한신대 박환 수원대

김지욱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배은석 에코뮤지엄연구소

김진영 포천 문화정책 자문위원 백승국 인하대

김진형 고려대 석대권 대전보건대

김창현 한양대 성주현 청암대

김절중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손정훈 아주대

김태현 한국문화원연합회 송시연 중부일보

김해규 한광중학교 송인길 전성남시사편찬위원회

김해송 경기대 송재술 경기도 사이버도서관

김형목 독립기념관 신광절 한신대

김효정 굿게이 E 신장희 종로문화재단

남동걸 인천대 신혜경 경기대

남승균 인천대 심계진 한국콘텐大진흥원

남창근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심승구 한국체육대

라도삼 서울연구원 심준용 A&A문화연구소

류설아 경기일보 안숭범 건국대

문성진 경기도 양상훈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문현주 중국 자오주앙대학 양정석 수원대

문형순 경기문화재단 양훈도 한벗지역사회연구소

민성혜 광명향토문화연구소 언 규 아주대

박본수 경기문화재단 엄서호 경기대

박성진 서원연합회 여선영 전 성호박물관

박연규 경기대 오정심 한국외국어대

박영신 굿게이 E 우장문 대지중학교

박영우 경기대 유은종 경인일보

박종강 경기문화재단 윤승준 단국대

박준범 상명대 윤여빈 경기문화재단

박절하 고려대 윤유석 한국외국어대

박현모 여주대 윤종준 성남향토사연구소

- 4 -

Page 6: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이경모 수원문화재단 I。}더 「스응i 시 E송「}님 「}듣口를고J

이광희 전 경기문화재단 장승호 컬처앤로I

이규철 명지대 장예빚 아주대

이달호 수원화성연구소 장현희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동근 수원시 정다미 수원문화재단

이동범 컬처앤 정대훈 국사편찬위원회

이동인 수원학연구센터 정정숙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이동화 인천일보 정진각 안산학연구소

이민식 수원화성박물관 정춘옥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이상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학수 고구려연구재단

이성복 역사문화콘텐大연구원 조광연 경기문화재단

이성학 역사문화콘텐大연구원 조미순 불루앤시

이세나 성호기념관 조병택 경기문화재단

이수진 경기연구원 조성을 아주대

이영안 수원시정연구원 조준필 오산문화재단

이윤원 한국외국어대 주 혁 한양대

이재범 경기대 채치용 경기문화재단

이재영 한국외국어대 초|명환 강원대

이정일 화성박물관 초l자운 세명대

이정훈 경기연구원 초|지연 수원학연구센터

이준구 경기신문 최철회 광교박물관

이지원 역사문화콘텐大연구원 초|형국 중앙대

이지훈 경기문화재단 한동현 한국외국어대

이태호 이천시립박물관 한정민 수원문화재단

이태희 인천대 허미형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이학성 경기문화재단 허소정 한국외국어대

이헌재 경기도박물관 허종은 성균관대

임영상 한국외대 허현태 수원시정연구원

임학순 카톨릭대 홍인국 한국고전국역원

장남호 경기대 황금희 궁궐연구원

R 니

Page 7: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경기학호l 참립 준비 경과보고

1. 경기학호l 창립 호l원 전체모임 보고

경기학호l 창립 호l원 1차 모임

일시 : 2014. 12. 15(월) 19시 ‘ 12 명 참석

논의사항

1) 회원의 구성 원칙

2) 학회 창립의 목적 및 필요성

3) 학회 활동의 방향성 및 연구 범위

4) 준비 모임의 운영 방법

경기학호| 창립 호l원 2차 모임

일시 : 2015. 1. 19(월) 19시 - 41명 참석

워크삽

1) 이지훈(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경기학 관련 사업 흐름과 성과

2) 이정훈(경기연구원) GRI으l 연구와 경기학

논의사항

1) 창립준비위원장 선출

경기학호l 창립 호l원 3차 모임

일시 : 2015. 2. 9(월) 19시 - 32 명 참석

워크삽

1) 최성환(수원학연구센터) 경기학의 지향에 대한 단상

-조선시대 이후 경기의 위상 변천과 관련하여

2) 오정심(한국외국어대학교) 경기학 연구 방향

3) 심준용(A&A문화연구소) 경기학 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검토

- 6 -

Page 8: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논의사항

1) 창립준비위원회 구성

2) 창립 일정 논의

3) 창립 학술대회 일정 및 준비 논의

경기학호l 창립 호l원 4차 모임

일시 : 2015. 3. 9(월) 19시 - 35 명 참석

워크삽

이동화(인천일보) 언론인이 본 경기학

- 경기 600년(경기 천년)의 역사문화콘텐츠 이야기

논의사항

1) 창립 준비를 위한 역할 분담

2) 창립 학술대회 일정 및 형식 논의

- 7 -

Page 9: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2. 경기학호l 창립준비위원회 보고

- 창립준비위원회 명단

- 위원장 : 강진갑(경기대)

- 위 원 : 김상헌(상명대) 김준혁(한신대) 김지욱(경기문화재단)

김진형(고려대) 박환(수원대) 신광철(한신대)

심승구(한국체육대) 심준용 (A&A문화연구소)

양정석(수원대) 윤여빈(실학박물관) 이달호(수원화성연구소)

이동화(인천일보) 이수진(경기연구원) 임영상(한국외국어대)

최지연(수원시정연구원) 황금흐|(궁궐문화원)

- 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임예옥(경기대)

경기학호l 창립준비위원회 1차 호l의

일시 : 2015. 2. 3(화) 19시 - 6명 참석

논의사항

1) 창립준비위원회 구성 및 역할 논의

2) 준비위원회 운영 체계 논의

경기학호l 창립준비위원회 2차 호l의

일시 : 2015. 2. 16(월) 19시 - 8명 참석

논의사항

1) 창립 종회 준비를 위한 역할 분담

2) 창립 학술대회 일정 및 준비 논의

경기학호l 창립준비위원회 3차 호l의

일시 : 2015. 3. 9(월) 15시 - 5 명 참석

논의사항

1) 경기학회 창립 회원 4차 모임 준비

n 。

Page 10: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경기학호l 창립준비위원 호l칙검토 간담회

일시 : 2015. 3. 23(월) 19시 - 6명 참석

논의사항

1) 회척 및 제 규정 초안 검토

- 경기학호l 창립준비위원회 4차 호l의

일시 : 2015. 4. 2(월) 19시 - 9명 참석

논의사항

1) 회척 초안 검토

2) 참립 취지문 작성 논의

3) 임원 구성안 논의

4) 학회 사업 계획안 및 수지 예산안 논의

5) 창립 준비를 위한 전반적 검토 및 실무 준비 논의

- 9 -

Page 11: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경기학회(京離學會) 회착

제 1장총칙

제 1조(명칭) 본회는 경기학회라 칭한다.

제 2조(목적) 경기학회는 경기도의 뿌리와 정체성, 경기 지역사회의 현재와 미래를

통합 학문 관점에서 연구하여 경기학을 정립하고 지역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 3조(위치) 본회의 위치는 회장의 근무지로 한다.

제4조(사업) 본회는 경기학과 지역학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시행한다.

1. 연구

2. 교육

3. 정책 개발

4. 출판

5. 각종 학술 행사 개최

6. 유관 사업의 기획, 개발, 자문, 용역 수행

7. 기타 본회의 목적에 부합하는 사업

제 2장회원

제5조(자격) 본회의 회원은 본회의 목적에 찬동하는 자로서 규정된 회비를 납부하

고 입회원서를 제출하여 운영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자로 한다.

저116조(분류)

1. 정회원 : 경기학을 연구하거나 연구하고자 하는 회원

2. 기관회원 : 도서관, 단체, 기관 등의 회원

3. 특별회원 : 본회의 설립 목적에 찬동하여 본회의 사업을 돕는 개인 및 기관

4. 학생회원 : 학부 및 석사과정 재학 중인 회원

제7조(의무) 본회 회원은 회칙 및 각종 규정을 준수하고 본회의 학술활동과 본회에

서 정한 사업에 적극 참여하며 정해진 회비를 납부할 의무를 진다.

제 8조(권리) 본회 회원은 본회의 모든 행사와 사업에 참여할 수 있고 학회지에 투

고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r

제 9조(제명) 본회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본회의 목적에 위반하는 행위를 했을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제명할 수 있다.

- 10 -

Page 12: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액수는 이사회에서 정한다. 제 10조(회비) 회비의

교육위원회,

일반 이사를 두며, 집행

있다.

출판위원회,

‘사”수

이!둑Z

제3장 임원

제 11조(구성) 본회는 다음의 임원을 둔다.

1. 회장 : 1 인

2. 부회장 : 10 인 내외

3. 감사 : 2인

4. 위원장: 편집위원회, 학술연구위원회, 연구윤리위원회,

정책위원회를 포함하여 필요한 위원장을 둔다,

5. 이사 : 집행 이사 위원회 이사, 분과 이사, 지역

이사는 총무, 홍보, 정보, 대외 협력, 산학 이사 등을

제 12조(선출)

1. 회장과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하고 부회장과 이사는 회장이 총회의 임명한다.

2. 총회 개최일 2개월 이전에 정회원의 자격을 획득한 회원만이 의결에 참여할 수

있다.

동의를 얻어

제 13조(임기)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보궐 임원의 임기는 잔여기간

으로한다.

보고

제 14조(임무) 각 임원의 임무는 다음과 같다.

1. 회장: 본회를 대표하고 총회, 이사회, 운영위원회의 의장이 된다. 2. 부회장: 회장을 보좌하며 회장이 유고한 때 회장의 직무를 대행한다. 3. 감사: 본회의 회무 및 회계를 감사하며 매년 1회 이상 감사결과를 총회에

한다.

4. 위 원장: 각 위 원회 활동을 총괄한다.

5. 이사: 총회와 이사회에서 위임한 업무를 담당한다.

제4장 고문 및 자문위원

제 15조(고문)

1. 본회의 목적에 찬동하는 사람으로서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회 저명 인사와 본회 에 크게 공헌한 사람을 고문으로 추대할 수 있다.

2. 고문의 선임은 이사회의 의결에 따른다.

지식이 있거나, 본회와 협력이

있다.

제 16조(자문위원)

1. 본회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해당 분야 전문 가능한 기관 단체 관계자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할 수

- 11 -

Page 13: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2. 자문위원의 위촉은 이사회의 의결에 따른다.

제5장총회

제 17조(구성 및 소집) 총회의 구성과 소집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총회는 출석 회원으로 성립한다.

2. 정기총회는 매년 1회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임시총회는 회원 3분의 1 이상이나 임원 과반수의 요청이 있을 때 또는 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회장의 소집으로 개최한다.

4. 총회는 회장과 감사의 선출, 사업 및 활동 계획, 예산 편성 및 결산, 회칙의 개

정, 기타 중요 안건을 심의 의결한다.

제6장 이사회

제 18조(구성 및 기능) 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이사회는 회장, 부회장, 각 위원회 위원장, 이사로 구성하며 회장이 그 의장이

된다.

2. 이사회는 필요시에 회장이 소집한다.

3. 이사회는 회원의 징계, 회칙에 규정된 업무와 본회 제반 사업을 협의, 의결한다.

4. 이사회의 소집이 어려울 경우 회장, 부회장, 각 위원회 위원장, 집행 이사로 구

성된 운영위원회가 이사회를 대신할 수 있다.

제7장 위원회

제 19조(위원회의 설치)

1. 본회에는 편집위원회와 학술연구위원회, 연구윤리위원회, 출판위원회, 교육위원

회와 정책위원회를 둔다.

2.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새로운 위원회를 둘 수 있다.

3. 위원회는 위원장과 위원, 이사로 구성한다.

제 20조(편집위원회) 편집위원장은 회장이 임명하며 편집위원회에 관한 사항은 별도

의 “편집위원회 및 《경기학 연구》 간행 규정”을 따른다.

제 21조(학술연구위원회)

1. 학술 활동의 진작과 학술 교류의 활성화를 위해 학술연구위원회를 둔다.

2. 학술위원회의 위원장과 위원, 이사는 회장이 임명한다.

제 22조(연구윤리위원회) 연구윤리위원에 관한 사항은 별도의 “경기학회 연구윤리

규정”에 따른다.

- 12 -

Page 14: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제 23조(출판위원회)

1. 도서 발간을 주관하는 출판위원회를 둔다.

2. 출판위원회의 위원장과 위원, 이사는 회장이 임명한다.

제 24조(교육위원회)

1. 교육을 기획하고 연구, 개발하는 교육위원회를 둔다.

2. 교육위원회의 위원장과 위원, 이사는 회장이 임명한다.

제 25조(정책위원회)

1. 정책 개발과 연구를 위해 정책위원회를 둔다.

2. 정책위원회의 위원장과 위원, 이사는 회장이 임명한다.

제9장분과

제26조(분과의 구성과 운영)

1. 다양한 학문 전공자로 구성된 학회의 성격을 감안하여 학문 분야별 분과를 구성

할수 있다.

2. 분과는 5명 이상 회원들의 자치운영을 원칙으로 하고, 분과를 대표하는 분과 이

사는 분과 회원의 제청으로 회장이 임명한다.

제10장 지부

제 27조(지부 구성과 운영)

1. 지역에는 지부를 둘 수 있다.

2. 지부는 5명 이상 회원들의 자치운영을 원칙으로 하고, 지역 이사는 지부 회원의

제청으로 회장이 임명한다.

제 11장 재정

제28조(재정) 본회의 재정은 회원의 연회비와 특별 회비, 찬조금 및 연구 지원비,

기타 수입으로 한다. 단 연회비는 평생 회비로 대신할 수 있으며 회비 금액은 이사

회에서 정한다.

제 29조(회계연도) 본회의 회계연도는 매년 1월 l일부터 그 해 12월 말일까지로 한

다.

제 30조(자산의 처분) 본회를 해산할 때의 자산 처리는 총회의 결정에 따른다.

- 13 -

Page 15: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부칙

1. 본 회칙은 2015년 4월 10일부터 시행한다.

2. 본 회칙의 개정은 이사회 또는 회원 3분의 1이상의 요구에 따라 발의할 수 있으

며, 총회에서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3. 본 회칙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관례에 따른다.

- 14 -

Page 16: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경기학호l 사업 계획

본 사업 계획은 중장기적인 목표를 제시한 사업계획임

1. 학호l지 l경기학 연구I 발간

가. 한국 연구 재단 등재지를 목표로 편집, 심사

- 서적 및 전자 출판 형태 병행하여 회원에게 제공

2. 솥L .. ι 느i 를룰

가. 학술 행사

- 학회 정기 학술대회l 학술세미나. 정책토론회

나. 내 책, 내 논문을

- 회원이 출판한 책을

이야기하는 서펑 모임

이야기하고 서펑하는 모임.

- 박사 논문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모임.

다. 대학원생 학술 발표회

-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발표.

라. 산학협력 발표회

- 산학 협력 콘텐츠를 발표하고 정보를 공유하며I 토론하는 학술 모임

3. 교육

가. 대학 교육과의 연계

- 경기지역학 강좌 연구I 개발

- 경기도와 협력하여 경기도내 대학에 경기학 강좌 개설 추진

- 경기도 내 시I 군 단위의 지역학 강좌 연구l 분석.

나. 강화

- 경기학 강좌 개설

4. 출판

가. 전문 연구서 발간

나. 대중서 발간

- 15 -

Page 17: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5. 대중화 사업 가. 경기천년 강화

미넉

A 하「

7/ 켜。

여 하

계”

여]

궤께 미大

연 송

과 방

=--I

“문

tl

시」

나 -

6. 정보화 사업

가. 홈페이지 운영

- 홈 페이지 개설하여 경기학호| 및 경기학 관련 정보 제공

** 2015년 경기학회 수지예산(안)은 별첩자료로 배포 **

- 16 -

Page 18: 3녕 ~1 확효1 (京離學屬) 훨l랩 총효1 - Library...-실무간사 : 고봉균(디자인맙시) 김승수(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김선혀|(경기문화재단) 이지원(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경가학회(京體學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