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 Upload
    turi

  • View
    51

  • Download
    0

Embed Size (px)

DESCRIPTION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Contents. 1. 건물에너지 이슈 2. 고성능 건물 에너지 디자인 전략 3. 자연형 디자인 전략 4. 건물 외피 5. 기계 설비 6. 전력 설비 7. 창의적인 에너지 최적화 전략 8. 스마트 빌딩과 에너지 관리 시스템 9. HVAC 시스템의 오존파괴 물질 , 소화 물질 10. LEED-NC 와의 연계. 2 page.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Page 2: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Contents

1. 건물에너지 이슈

2. 고성능 건물 에너지 디자인 전략

3. 자연형 디자인 전략

4. 건물 외피

5. 기계 설비

6. 전력 설비

7. 창의적인 에너지 최적화 전략

8. 스마트 빌딩과 에너지 관리 시스템

9. HVAC 시스템의 오존파괴 물질 , 소화 물질

10. LEED-NC 와의 연계

2 page

Page 3: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에너지 소비 그린빌딩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환경에의 영향 미래의 고 에너지 비용

80 million building in USA : 1,000 billion BTU (2002)» Lighting (31%), heating (22%), cooling (18%)

Sulfur dioxide emission (47%), nitrogen oxide emission (22%) 18.4 million new homes, 21.5 billion ft2 commercial buildings :

2002~2010 미국 연방정부의 에너지 정책 : ‘Buildings for the 21st Century’

2010 년까지 에너지 소비량 감소 50% : 신축 주택 및 신축 상업용 건물 20% : 기존의 주택 및 상업용 건물

방법 기술 발전 (Technology breakthroughs) 건물 시뮬레이션 도구의 발전 (Better building tools and simulations) 시공기술의 발전 (Improved construction techniques) 거물주의 태도변화 (Whole scale shift in the attitude of building owners)

3 page

Building Energy Issues

Page 4: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그린빌딩 에너지 소비 감소 : ‘Factor 10’

Nominal U.S. commercial building : 292 Kwh/m2/year Typical green building : 146 Kwh/m2/year Factor 10 building : 29 Kwh/m2/year

4 page

Building Energy Issues

Page 5: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에너지 절약적 건물의 설계의 기본 절차

1. 건물 시뮬레이션 도구의 사용

2. 자연형 태양열 설계의 최적화

3. 건물외피 열성능의 극대화

4. 건물 내부 열부하의 최소화

5. 고효율 HVAC 시스템 채택

6. 재생가능 에너지 사용의 극대화

7. 창의적인 신기술의 도입 (e.g. ground –coupling, radiant cooling)

5 page

High-performance building energy design strategy

Page 6: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 건물설계의 초기단계에서 실행 : 건물형태 , 층수 및 건물방위 결정에

도움 디자이너의 직관적인 설계안에 대한 정량적 검토 가능

건물에너지 설계의 목표 설정 ASHRAE 90.1-1999 : Energy standard for buildings except low-rise residential

buildings

LEED-NC 2.1 채택한 문서 건물내외부 조명 , 건물외피의 단열성능 및 창문면적 , 냉난방 설비 및

급탕 설비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요구 성능을 명시함 .

6 page

High-performance building energy design strategy

Page 7: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ASHRAE 90.1-1999 에 부응하기 위한 방법1. 건물외피에 대한 규준 (Prescriptive building envelope option)

수직창 면적 : 벽체 면적의 50% 까지 허용 유리창의 최대 열관류율 및 태양열취득계수 (SHGC) 허용치 (U-factors :

0.29~1.27 ft2-◦F/BTU, SHGC : 0.14~) 창문과 출입문의 최대 허용 틈새바람량 (8.5 m3/hm2)

2. 건물외피의 보완 옵션 건물 외피 구성 요소중에서 어느 한 부분이 최소한의 규준을 준수하지 못할

경우 건물 외피의 다른 구성 요소의 성능을 향상시켜서 전체 외피의 열성능을 보완하게 함 .

3. 에너지 비용 예산 (Energy cost budget method) 건물 디자인이 ASHRAE 90.1-1999 의 규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가함 . 건물외피와 건축설비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함 (HVAC, 급탕 , 전력 , 조명

설비 및 기타 설비 대상 )

7 page

High-performance building energy design strategy

Page 8: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건물 에너지 성능의 검증 The Intern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Protocol (IPMVP) 미국 에너지 성의 예산 지원에 의해 , 미국 , 카나다 , 멕시코의 전문가들이

참가하여 1996 년에 발표 (1997, 2000 년에 개정판 출판 ) 현존하는 방법 중 건물의 에너지 성능 , 급수시스템의 효율 및

재생가능에너지의 성능을 평가에 최선의 방법 제공 연료절약방법 , 물절약 방법 등 포함 .

8 page

High-performance building energy design strategy

Page 9: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그린빌딩 에너지 시스템 설계의 시발점

정의 : 건물의 냉난방 , 조명 및 환기를 자연광 , 바람 등 자연상태의 자원에

의존하도록 설계하는 것 . 외부로부터의 에너지를 고려하기 전에 먼저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는 것 . Randy Croxton : ‘default to nature’ : 자연형 에너지 개념에 입각하여

설계된 건물은 화석연료에 의한 에너지의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사용가능

2 가지 원칙 : 건물에너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 건물의 위치와 대지를 이용 건물 자체의 설계를 통한 에너지 절약 및 열성능 향상 ( 건물방위 ,

장단변비 , 열용량 , 개구부 면적 , 환기 등 )

9 page

Passive design strategy

Page 10: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자연형 디자인의 개발에 포함되어야할 요소

지역의 기후 (Local climate) 대지 조건 (Site condition) 건물 장단변 비 (Building aspect ratio) 건물 방위 (Building orientation) 건물 재료의 열용량 (Building massing) 건물 사용 스케쥴 (Building use) 자연채광 (Daylighting strategy) 건물 외피 (Building Envelope) 실내 발열 부하 (Internal loads) 환기 (Ventilation strategy)

10 page

Passive design strategy

Page 11: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건물의 형태 , 방위 및 열용량 (Shape, orientation and massing) 동서축으로 길게 ( 동서측 벽을 통한 태양열 취득을 최소화 가능 )

건물 장단변 비 (aspect ratio) 추운 지방에서는 1.0 에 가깝게 따뜻한 지방에서는 길고 좁게 자연형 디자인 전문가 들은 길고 좁은 건물을 선호

재료의 열용량 자연형 태양열 난방 ( 주간에 태양열을 축열할 수 있는 재료 선택 ) 덥고 습한 지역에서는 외피의 단열 강화 하고 열용량이 작은 재료 선택

11 page

Passive design strategy

Page 12: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자연채광 (Daylighting) 고성능 그린빌딩의 특징 중 하나 건물 사용자에 대한 물리적 , 심리적 혜택

판매시설 : 30~50% 매출 증가 학교 : 성적 20~26% 향상

Win-win situation : 저 에너지 비용과 성능향상 동시에 추구

고성능 건물의 생애주기 분석에서 생산성의 향상과 거주자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는 충분히 고려되고 있지 않음

주광의 효용성에 대한 주요 아이디어 창문에 충분한 자연광 유입되어야 함 가시광선 투과율 높은 유리 자연광량을 고려한 인공조명 제어 작업의 종류에 적합한 자연채광 조도 유지 건물의 각부위별 자연채광 효과 평가

12 page

Passive design strategy

Page 13: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13 page

Passive design strategy

Page 14: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자연형 환기 공기의 유동을 위해 외부 바람의 힘을 이용 연돌효과 이용 Case study : Jubilee campus of the Univ. of Nottingham

Designer : Sir Michael Hopkins and Partners

14 page

Passive design strategy

Page 15: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15 page

Passive design strategy

Page 16: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영국의 환기 설계 기준 : Chartered Institute of Building Services Engineers (CIBSE)

건물별 환기회수 Classroom : 2 to 4 air changes per hour Officers : 4 to 6 air changes per hour Theaters : 6 to 10 air changes per hour Storage area : 1 to 2 air changes per hour

16 page

Passive design strategy

Page 17: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건물외피를 통한 열관류량을 최소화 해야함 건물외피가 제어해야할 사항 :

태양열 취득량 열관류량 틈새바람에 의한 열 전달

건물외피 설계의 주안점 Wall systems Window selection Roof selection

17 page

Building envelope

Page 18: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외벽 설계 열관류율 최대 허용 열관류율 (U-values)(ASHRAE 90.1-1999)

난방도일과 냉방도일에 따라서 규정

벽체 설계시 두가지 주요 고려 사항 외벽의 열용량 단열재의 설치

18 page

Building envelope

Page 19: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창문 설계

창문의 열성능

태양열취득계수 (Solar heat gain coefficient, SHGC) 창문의 위치 및 유리재료에 따라 다름 Value : 0~1 SHGC값이 작을 수록 창문을 통한 태양열 취득량 작아짐

가시광선투과율 (Visible Transmittance, VT) Value : 0~1 자연채광을 위해 높은 VT값 선택 전형적인 단층 투명유리 : 0.9 VT

The ratio of SHGC to VT (light-to-solar gain ration, LSG) 태양열을 차단하면서 가시광선을 투과 시키는 성능 LSG 가 높을수록 , 태양열 취득을 최소화 하면서 높은 자연채광 효과 기대

로이유리 (Low-e) 장파장 적외선 투과율을 5에서 10배 줄임 . 실내로부터 외부로의 장파장 적외선 투과를 차단 ( 난방에 유리 )

유리창은 일반벽체보다 열관류율 높으므로 면적 결정에 유의

19 page

Building envelope

Page 20: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지붕 설계

여름철 태양열 취득의 주 원인 : 단열과 색깔 선택 중요

반사율 (albedo) 이 높은 색을 채택

Solar Reflectance Index (SRI) New rating system : how hot materials are in the sun Light-colored shingle with a SRI of 54

54% of incidence solar energy would be reflected

20 page

Building envelope

Page 21: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21 page

Active mechanical systems

자연형 태양열 설계의 최적화 다음으로 , 건물의 내부 열부하를 최소화 해야함 .

건물 내부 발열부하의 주원인1) 재실자 – 대책없음2) 전기를 사용하는 설비 및 조명기구 – 기구효율을

높여서 발열 최소화

Page 22: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냉동기 건물 최대부하의 주 원인 냉동기 종류

Centrifugal, Screw, Scroll, Reciprocating

냉동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 California Title 24 Energy Efficiency Standards: Chiller plant

efficiency Direct digital control (DDC), water-cooled rotary screw

고효율 냉동설비의 설계 전략 1. 냉동기 효율 향상에 집중 2. 펌프 시스템의 효율 향상 3. 냉각탑의 용량 및 제어 4.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과 냉동기 제어를 연동 5. 냉동기의 시험운전

22 page

Active mechanical systems

Page 23: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공기 반송 설비

현대 건물에서 에너지 소비의 주 원인 (AHU, 전기모터 , 덕트 , 열교환기 , 제어기 등으로 구성 )

공기반송설비의 효율 증가를 위한 6가지 대안 (Greening Federal Facilities )

1. VAV systems ( 가변풍량 방식 ) 2. VAV diffusers ( 개별공조 ) 3. Low-pressure ductwork design (덕트단면 크게 , 팬 속도 감소 ) 4. Low-face velocity air handlers (AHU크기 증가 , 팬동력 감소 ) 5. Proper fan sizing and VFD motors (VFD: variable frequency

drive) 6. Displacement ventilation systems ( 바닥공조 )

23 page

Active mechanical systems

Page 24: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열회수 장치 (Energy recovery systems) Economizers ( 외기냉방 ): 외기를 도입하여 건물 냉방 열회수 환기 장치 (Energy recovery ventilators, ERV)

배기 (EA) 로 부터 열과 습기 회수하여 도입외기 (OA) 에 공급 환기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실내공기질 향상

24 page

Active mechanical systems

Page 25: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CO2 감지 환기

CO2 농도를 감지하여 재실인원 파악하고 필요한 양 만큼 외기 도입

25 page

Active mechanical systems

CO2 sensor kit

Duct mount type CO2 sensor for ventilation

Page 26: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급탕 설비 태양열 급탕설비 무수조 순간 온수기 (Tankless, Instantaneous water-heating

systems) 온수탱크 없으므로 열손실 없음 온수 사용시에만 에너지 사용

26 page

Active mechanical systems

Page 27: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조명 설비 형광등

형광등 직경 : T12 > T8 (89 lm/W) > T5 (93 lm/W) (T8 = 8/8 inches) CRI ( 연색지수 ): 최소 70, 80 이상 권장

광섬유 조명 (Fiber-optic lighting) 광원에서 발생된 자외선과 적외선을 제외하고 가시광선 만을 전달 할 수

있으므로 판매시설이나 미술관 조명에 유리

발광 다이오드 조명 (LED lights) 수명이 길고 견고함 백열전구 수명의 20배 , 형광전구의 수명의 2-3배 전력소모량 적다 현재 건물 조명용으로 개발이 활발

27 page

Electrical power systems

Page 28: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조명 제어 조명 제어의 2 가지 기본 기능

1. 재실자를 감지하여 점멸 제어 (on/off) 2. 자연채광 조도의 부족 분을 보상하기 위하여 디밍 또는 On/Off

자연채광과 연동하여 제어할 경우 전기에너지 소비 50% 감소 가능

자연채광 연동한 인공 조명 제어 1. 조광제어 (Dimming)

2. 점멸제어 (Switching)

28 page

Electrical power systems

Page 29: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전기 모터 현대 건물에서 중요한 장치

팬 , 펌프 , 엘리베이터 등 작동

에너지 절약적 모터 구입을 위한 3가지 중요한 요소 1. 모터의 성능은 다양 (Nameplate 에 효율과 테스트 기준을 명시토록 함 ) 2. 전부하 (full load) 상태에서 모터의 성능 최대 발휘 3. 에너지 비용 높고 , 연간 사용 시간 많을 수록 고효율 모터 사용해야 함

29 page

Electrical power systems

Page 30: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복새 냉방 (Radiant cooling ) 냉수를 이용하여 천장 , 벽 또는 바닥을 차갑게 함

3 형식 : 1. Concrete core: plastic tubes are buried in concrete floor and ceiling slab 2. Metal panels: metal tubes are connected to aluminum panels 3. Cooling grids: plastic tubes are embedded in plaster or gypsum

5 가지 설계 지침 : 1. 건물 외피의 기밀성 유지 2. 도입외기는 실내로 공급하기 전에 제습 3. 넓은 면을 이용 4. 결로 문제 유발하지 않기 위해 냉방과 난방 온도 설정을 신중하게 5. 공급 냉수의 온도가 실내 공기의 노점온도에 가깝게 차가울 때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수량 조절 밸브를

작동 시킨다 .

30 page

Innovative energy optimization strategies

Page 31: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지열 이용 (Ground coupling)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 간접 방식 )

수평 배관

수직배관

외기 도입 덕트 또는 냉수 코일을 지중에 설치 ( 직접 방식 )

지하수를 복사 냉방에 이용

잘 설계된 지열이용 HVAC 설비는 장치의 용량 , 덕트크기 및 공조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음 .

31 page

Innovative energy optimization strategies

Page 32: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재생가능 에너지 시스템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BIPV) Wind energy Biomass energy

Biomass: Any plant-derived organic matter available on renewable basis

32 page

Innovative energy optimization strategies

연료 전지 (Fuel cells) Reformer is used to process

nonhydrogen fuels to extract the hydrogen 3 factors for most building applications

Reformer that extracts hydrogen from the natural gas or LPG

Fuel cell that changes the hydrogen to electricity Power conditioner that converts the fuel

cell electricity to the type and quality of power for use in the building

Page 33: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Computer with software that controls energy-consuming equipment to ensure the building

operat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Smart buildings uses the concept of information exchange to provide a work environment that is

productive and flexible

Building systems typically found in a smart building Fiber-optics capability

Built-in wiring for internet access

Wiring for high-speed network

Satellite accessibility

High-tech, energy-efficient HVAC system

Automatic on/off sensor in the lighting system

Computerized/interactive building directory

33 page

Smart buildings and energy management systems

Page 34: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HCFC refrigerants HFC-143a chillers replaces CFC-11 chillers

HFC-143 a has smaller molecular mass so that overall product size

also can be reduced including pipes of chiller

Halon replacement in fire protection systems Water mist, inert gases, carbon dioxide, halocarbones, and mixtures

of halocarbons are on the market to replace the Halon 1301

34 page

Ozone-depleting chemicals in HVAC&R and fire suppression

Page 35: Summary of ‘Sustainable Construction’ Chapter Seven : Energy and Atmosphere

EA prerequisites

1. Fundamental building systems commissioning

2. Minimum energy performance

EA credits

1. Optimize energy performance

2. Renewable energy

3. Additional commissioning

4. Ozone protection

5.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6. Green power

35 page

Connection to LEED-NC: Energy & Atmosphere (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