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 Upload
    ngobao

  • View
    216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생태유아교육연구

2008. 제7권 제1호 , 143 - 169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the Operation

of Art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유 수 경(Soo-Kyung Yu)* ․ 박 선 미(Sun-Mi Park)**

요 약18)19)

본 연구는 현재 유치원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활동에서 교사와 유아가 경

험하는 실제적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미술활동 운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 현상학적 기술이다. 본 연구의 유치원 미술활동 현상은 일과운영

시간동안 이루어지는 미술활동 운영의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관찰, 수업내용 녹화 및 전

사, 그리고 교사 개별면담을 통해 기록되었다. 분석결과, 현재의 유치원 미술활동의 운영

은 1) 활동 운영의 이중적 구조, 2) 모방을 통한 기술습득, 3) 활동 속에 내재된 암묵적

규칙, 4) 상투적인 공감, 5) 유아들이 주는 경이로운 선물 등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학급교사와 미술전담 교사간의 충분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

조의 마련 및 유아가 미술활동에 있어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하도록 배려하는 교

사의 반성과 역할 재고의 필요성, 그리고 유아의 표현활동이 의미 있는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사의 자질을 계발시키려는 노력 등 참다운 미술교육을 지향하기 위한

교사의 의식적인 인식제기가 요청된다.

주제어 미술활동(art activities), 유치원 교사(kindergarten teacher),

현상학적 접근(phenomenological approach)

* 울산과학대학 유아교육과 강사(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

Page 2: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44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Ⅰ. 서 론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잠재된 무의식의 세계에서 본능적으로 자기표현을 하게 되고

말을 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생각하는 것을 실현해 보이기 위해 자기의 개념을 몸

짓이나 대상물로 상징해 내고 모방이나 그림으로 사물을 묘사해 낸다(Piaget, 1950). 또

한 인간이 본능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러한 표현 욕구가 잘 배합되어야만 인간은 만족을

느낄 수 있으며 사회 과정에서의 적응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이승무, 1984). 이러한

측면에서 유아에게 있어 역시 미술활동은 본능적인 것이며 유아들은 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식을 배울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세상에 적응할 수 있는 방식을

배워나가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미술활동은 유아의 지적․정서적․신체적․창의적 발달을 통합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아교육의 중요한 부분이 된다. 그리고 언어와 사고 발달이 미숙한 유

아들은 미술활동에서의 다양하고 풍부한 재료와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로

이 표현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아들은 미술활동을 하고 싶다는 동

기를 유발하는 것에서부터 활동을 진행하는 과정, 그리고 활동을 마무리한 뒤에 느끼는

성취감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미술활동을 통한 기회와 경험은

유아가 직관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도우며 눈과 손의 협응 능력 향상 등과 같은 신

체적 발달을 도모하고 여러 가지 일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거나 자신의 활동, 이웃 동료

들의 활동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험을 통해 타인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

도록 한다(한국미술교육학회, 2004). 여기에 더하여 김병옥(1985), 김내선(1993), 이부

연(2000)은 미술교육이 자기표현의 방식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신체발달적인 측면에서

언어적인 자극 못지 않게 시각과 촉각을 통하여 여러 측면의 발달을 촉진시키며 유아들

의 감성을 발달시킬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미술교육은 유아와 현상적 세계간의 직접적인 연관을 보존하고 강화하고자 노력

하므로 이러한 현상은 유아로 하여금 감각적으로 지각된 세계와 맺는 관계를 사랑하도

록 한다. 그러한 만남들을 통해 유아들은 기쁨과 황홀을 경험하면서 스스로를 창조적이

고 유일한 존재로 평가하게 된다(한국미술교육학회, 2004). 즉 유아들은 미술을 통해

즐거움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삶의 질이 올

바른 의미에서 향상․유지되기 위해서는 그에 합당한 주관적인 경험과 객관적인 환경조

성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미술교육은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Page 3: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45

관심사들 중 하나로 부각되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김문환, 1995).

이러한 미술교육이 지니는 다양한 교육적․발달적 가치로 인해 현재 유치원 교육현장

에서 활발하게 도입․적용되고 있는 프로젝트 접근법,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이나 발

도르프교육 프로그램 등에서는 미술활동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교수활동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발도르프 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미술활동은 하루일과

운영에서 제공하는 많은 예술적 활동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 내에서도 미술활동은 매우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다. 미

술활동은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생활 영역과 모두 관련이 되지만 특

히 표현 생활 영역과 가장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으며 그 관련내용을 구체적으로 교육과

정의 내용 속에 제시하고 있다. 표현생활 영역은 유아들의 풍부한 감성과 상상력을 기

르고 자신이 느끼고 생각한 것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한 그 하위 영역의 목표로는 정서적 안정감과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고 자신의 생

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며 자연과 다양한 작품에 대하여 아름다

움을 느낄 수 있게 하도록 제안한다(교육부, 1998). 이처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표

현생활 영역의 목표는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많은 예술 활동 중에서도 미

술활동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가치를 통해 실현 될 수 있는 내용들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이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유아들의 미술활동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이상의 미술교

육이 지향하는 교육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가 행해지고 있는가?

미술교육의 교수법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아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미술교육학회(2004)에서도 유아 미술교육의 운영과 관

련하여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Open Curriculum)’, ‘탄력성 있는 교육집단(Open Organization)’,

‘트여진 인간관계(Open Human Relation)’, ‘열려있는 마음(Open mind)’ 등의 개념을 강

조하면서 미술교육에서의 유아 자발적 참여와 교사와 유아의 역동적 상호작용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열린교육의 실현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술활동 속에서의 교사와 유

아의 상호작용이 강조되어지는 것은 다양한 교육의 기본 요소들 중 유아들의 동기 유발

과 관련되어진 교사의 교수활동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어져야 함을 말해 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교육에 있어서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우리는 무엇을 배우는가 보다는 배우는 과정에서 유아

들이 어떤 질적인 경험을 하는가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현 시점에서는 어떠한 교

Page 4: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46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육형태 이든 교육의 재 여건 즉 시설․조직․학습 자료와 학습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영

역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한 효율적 개선이 요구되어진다고 할 수 있으며 결과보다는 교

육의 과정이 더욱 중시되는 미술교육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더욱 절실히 필요한 부분이

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많은 유아 미술활동과 관련된 연구들은 시설· 조직· 학습 자료와 학

습활동 중 어느 한 부분에 집중하여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그치고 있으며 미술활동

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에 집중하여 이루어

지고 있다(문은식, 2005; 신정숙, 2006; 원계선, 2000; 이영환․정남숙, 2000; 정미경,

2003). 예를 들어 신정숙(2006)과 원계선(2000)은 유아교육기관의 환경 구성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효과적인 미술활

동을 위한 환경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 구성과 함께 중요시

되어야 할 부분은 교육환경과 더불어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유아가 어떠한 형태로 교

육현장에서 만나 미술교육을 경험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 시대적 흐름에 적합한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형태의

현 교육현장에서의 미술활동 실제에 대한 이해와 반성을 기초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미

술교육의 방향을 재정립하는 것이 우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효과적인 미술활동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기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사․유아가 함께 참여하여 진행하는 미술활동 속에

서 교사와 유아가 어떠한 질적인 경험을 하는가에 주목해야 하며 이러한 부분에 초점을

맞춘 미술활동과 관련된 맥락적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고려한 총체적이면서도 집중적인

조명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유치원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활동에 대한 현상

학적 접근을 통하여 미술활동에서 교사와 유아가 어떠한 형태와 내용의 경험을 하고 있

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운영상의 특징과 그 의미를 도출해 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미술활동 운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Page 5: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47

Ⅱ. 현상학과 유아미술활동

현상의 기술은 어떠한 조직과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가장 중요

한 연구 활동이다(김영천, 1998).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실증주의 철학에 바탕

을 둔 양적 연구의 논리로 인하여 숫자가 배제된 형상의 심층적 기술과 표현은 오히려

비과학적이고 비객관적인 것으로 평가절하 되어왔다.

그러나 현상에 대한 기술은 분명 학문이 만들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는 중요한 연구

활동으로 알려지지 않은 현상들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이며 양적연구에서 보고되어지지 않는 교실 상황의 맥락적 요소들을 발견하게 해줌으로

써 앞으로의 유치원 현장에서의 미술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을 도울 수 있는 변인들을 탐

색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정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

Merleau-Ponty(1962)는 현상학적 접근은 구체적이고 생생한 일상 경험의 ‘사실성

(faciticity)’으로부터 출발하여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는 노력으로서

인간 현상의 본질을 가장 구체적인 일상의 실존(existence)적 모습 속에서 포착하고자

하는 입장을 취한다고 하였으며 이는 ‘실존은 본질에 선행한다.’는 사르트르의 현상학적

실존주의의 명제에서 단적으로 집약될 수 있다(유혜령, 1999, 재인용).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교육현상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듯이 단순한 한 두 개

의 변인으로서 이해되기보다는 다양한 관계요소들이 상호작용한 결과이기 때문에

(Eisner, 1992) 현상학적 관점을 통해 풀어내는 심층적 기술과 해석은 문제에 대한 근원

성을 찾고 현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적절한 방식이 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김춘화(2005)의 연구에 따르면 현상학적 접근의 연구에서는 현상이나 사물, 인물 등

대상의 각기 독특한 본질적 특성을 중요한 관심사로 다루며 많은 대상의 일반적인 경향

이 아니라 대상의 특수한 성격을 통찰하고 분석하여 그 의미를 찾으려 한다.

인간이 현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이론적인 구조를 갖고 그 현상을

이해하려하기 보다는 진행되는 과정을 직접 관찰하고 그것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하여

현상이 드러내는 맥락적인 특징들을 발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관

점에서 현상학은 근래 들어와서 교육철학 사조의 하나로서 뿐만 아니라 교육학 연구 방

법론으로서 응용되고 있는 것이다(김민활, 1987).

지금까지 유치원 미술활동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정은경(2002), 박소영(2002)등의 연

구와 같이 새로운 시대적 흐름에 부흥하는 새로운 미술교육의 방향을 이론적 고찰을 통

Page 6: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48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해 제시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최은식(2003), 김춘일(2004)등의 연구자들은 미술을

포함하는 좀 더 큰 맥락의 예술의 개념을 들어 예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관련하

여 연구를 진행한 바 있지만 이러한 연구들 또한 새로운 시대와 사조에 부흥하는 앞으

로의 예술교육의 나아갈 길과 방향 탐색해 보는 것만을 다루고 있을 뿐 현재의 현상을

중심으로 한 반성을 기점으로 하지 않는다는데 한계가 있다.

이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현장에서의 미술교육의 실천을 돕기 위해 이루

어진 김은경․변윤희․현은자(2004)의 연구, 변윤희․현은자(2005)의 연구들은 다채로운

학자들의 예술에 대한 개념과 예술교육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구성되어진 프로그램들

을 소개․개발․적용하고 유아들의 인지 능력 중 창의력과 정서 표현 능력 등의 향상을

살펴보는 연구들을 진행한바있으나 이들 연구들 또한 실제적인 수행과 관련되어진 프로

그램관련 내용들이 대부분이다.

미술교육은 지금까지 예술 활동의 하나로 예술가의 전유물로 간주되는 경향으로 인해

지적 발달과는 무관하거나 지적발달에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평가절하 됨으로써 학

교 교육에 있어 주변적 위치에 머물러 왔다(Eisner, 1995). 그러나 더 이상 미술교육은

예전의 미술교육의 개념과 같이 평가절하 되어서는 안 되며 시대적 흐름과 요구만 보아

도 매우 강조되어야 할 영역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미술교육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필요하여 이러한 시점에서 현

유치원 교육현장에서의 미술교육의 실제에 대한 이해와 실제를 바탕으로 한 반성은 매

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들은 현상학적 관점에서 볼 때 미술활동 운영의 실제를 현상

그 자체 안에서 충분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으며 특정한 심리학이나 사회학 등의 실증주

의 경험과학을 빌어서 해석하고자 하려는 경향을 띠므로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유수경, 2007). 이러한 실증주의 철학에 입각한 접근은 현상을 특정한 세계관 혹

은 진리관에 예속 시키려하는 경향을 띠므로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현상 그대로를 기

술하였다고 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를 통해 유치원에서의 미술활동 운영의 실제를 드러

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반성의 기틀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데 충

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반면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미술활동 운영 실제에 대한 이해는 유아의 미술활동을 자

연 그대로 면밀하게 관찰하고 그 성격 내지 특성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본질적 특성

을 발견하게 한다. 따라서 미술활동현상을 생생한 현실을 통해 파악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접근은 또한 활동운영을 살펴보는데 있어 인간과 인간, 인간

Page 7: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49

과 환경과의 관계가 가지는 속성에 대한 미시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연

구방법이 가지고 있는 내적인 과정을 기술하는 측면에서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직접

적인 행위자인 교사의 입장에서 진솔하게 현상을 이해하고 드러내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효과적인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실제를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주제와 현상학과의 만남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효과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연구 참여교사는 G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G유아

교육기관은 U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으로 일주일에 35분에서 45분 정도의 미술활동을

주당 2회 정도 일과운영에 포함하여 진행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 교사 4명의 개인변인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 참여 교사 개인변인

교사명 교육경력 담당학급 교사연령

A 7년 만 4세 28

B 4년 만 4세 26

C 4년 만 5세 25

D 3년 만 5세 27

2. 연구기간 및 연구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에 소요된 기간은 2006년 10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총 3개월이었

으며 유치원 일과운영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미술활동 운영의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 관

찰, 수업내용 녹화 및 전사, 교사 개별면담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미술활동은 유치원 일과운영에서 자유선택 활동의 하나로 유아들의 자율적인 운영에

Page 8: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50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의해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개별 유아에게 제공되어 질 수도 있으며 모든 유아와 교사가

함께 활동에 참여하는 소그룹 혹은 대그룹의 활동으로 유아들에게 제공되어 질 수도 있

다.

본 연구는 미술활동의 운영에 초점을 맞추어 운영과 관련하여 일어나게 되는 맥락적

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미술활동 중에서 표현생활 영역의 하

나로 교사에 의해 계획되고 유아들에게 제공 되어지는 미술활동만을 그 대상으로 하였

다.

수업 관찰 및 비디오 녹화는 교사와 유아의 미술활동 실제 상황을 수집하기 위해 이

루어졌으며 주된 대상은 미술활동에 참여하는 교사와 유아가 주된 대상이 되었다. 관찰

시 연구 보조원 1명을 동원하여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하고 관찰내용을 현장노트에 기록

하였다. 관찰내용은 관찰이 끝난 후 현장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와 함께 연구자 및

연구 보조원이 받은 현장의 인상 등을 첨가하여 서술 식으로 기록한 서술일지로 재조직

하였다. 1회 관찰 비디오 녹화시간은 35분 내지 45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4명의 교사가

각 4회씩 총 16회의 수업내용이 수집되었다.

또한 행위 당사자인 교사들이 인식하는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실제를 알아보기 위하

여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은 구조화되지 않은 질문으로 각각의 교사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고 한 교사와 40분 내지 50분 정도 소요되었다. 활동에 참여하는 유아들을 대

상으로 한 면담의 경우 교사들의 면담내용과는 달리 유아들의 미술활동에 대한 느낌과

생각을 묻는 개방형 질문을 사전에 준비하여 반 구조화된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개별 유아 당 약 15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면담내용은 모두 녹음 및 전

사하였으며 녹화된 비디오 자료와 같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3.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 해석은 Moustakas(1994)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졌다(유수경, 2007, 재인용).

첫째, 일차적 해석의 단계로 미술활동 시간을 관찰 한 이후 관찰에 대한 연구자의 경

험을 연구 보조원과 함께 관찰일지를 바탕으로 미처 기록하지 못한 부분들을 삽입하고

연구자가 현장에서 느낀 인상 등을 첨가하여 매회의 관찰 내용을 세밀하게 기록하는 서

술일지를 작성해 봄으로써 연구자의 경험을 전체적으로 기술해 보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둘째, 미술활동에 대한 교사 면담전사내용에서 교사가 어떻게 미술활동 시간을 운영

Page 9: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51

하고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진술을 찾고 의미 있는 진술들을 나열하였으며(자료의 수

평화), 각각의 진술에 동등한 가치를 두어 다루고, 반복되거나 중복되지 않는 진술들을

범주화하였다. 범주화 과정에서 관찰에 참여했던 1명의 연구 보조원과 집중적으로 대화

를 함으로써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에서 벗어 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이러한 교사의 진술들을 의미 단위로 분류하고 이 단위들을 나열하며 나열된

의미 단위들을 각각의 세밀한 현상 서술과 함께 반복하여 검토하면서 미술활동 시간에

일어난 경험의 조직을 기술하였다.

넷째, 이렇게 조직된 기술을 반성하고 상상적 변형 또는 구조적 기술을 사용하여 있

을 수 있는 모든 의미와 다양한 관점들을 찾고, 미술 활동 운영과 관련된 현상에 대한

준거 틀을 다양화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러한 현상이 어떻게 경험되었는지 경험의 의

미와 본질에 대해 전반적으로 주제화하여 기술내용을 구성하였다.

다섯째, 지속된 반성의 과정을 거쳐 현상의 의미를 가장 민감하게 그리고 집약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의미단위를 선택하여 의미를 객관화하여 이를 잘 드러내 줄 수 있는 현

상을 추출하여 해석하였다.

여섯째, 관찰 경험과 대상 교사의 경험을 혼합하여 자료화된 텍스트의 의미에 대해

몰입과 거리두기를 반복함으로써 주관적인 해석을 가능한 한 배제하도록 기술하였다.

Ⅳ. 연구결과

1. 활동운영의 이중적 구조

본 연구자가 방문한 G유아교육기관의 경우 교사와의 면담을 통하여 미술활동을 운영

하는데 있어 담임교사가 운영하는 미술활동과 미술전담 선생님이 운영하는 미술활동 두

가지 형태로 운영되어져 두 가지 운영체제의 미술활동이 공존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현재 유치원에서의 이루어지는 미술활동이 다양한 특별활동

중 하나로 인식되어지기 시작하면서 대다수의 유치원들이 교육과정에 따른 수업운영 이

외에 별도의 시간을 마련하여 미술활동을 운영하게 됨으로써 나타난 결과로 이러한 이

중적 체제의 미술시간 운영 현상이 교사와 학부모들에게 공공연하면서도 일반적인 것으

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현 유치원 교육현장에서의 교사와 학부모의 미술교육에 대한 인

Page 10: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52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식 및 요구들이 맥락적 요소로 작용하여 나타난 미술활동 운영상의 독특한 특징 중 하

나라 볼 수 있을 것이다.

허명순(2007)의 연구에 의하면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통해 계층을 불문

하고 대다수의 학부모들이 유치원에서의 특별활동운영을 희망하고 있을 뿐 아니라 특별

활동이 기관 선정 시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지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며 더불어 이

러한 활동을 전담하는 전문교사가 유치원의 담임교사보다 바람직한 교육을 이끌어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부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학부모들의 인식과 요구로 인해 유치원에서의 특별활동 운영은

사립유치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인식들은 미술활동을 운영하는데 있어 이중적 구조를 낳게 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이중적 구조의 운영은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

동 중에서도 외국어 영역을 제외하고는 미술, 종이접기, 바이올린, 무용, 수영 등 표현

생활 영역의 부분과 관련되어 행해지는 경우가 많으며(허명순, 2007), 그 중에서도 탐

색이나 감상보다는 실제적인 유아의 수행과 관련되어지는 표현영역에서 두드러지게 나

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은 표현영역의 대표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는 미술

활동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을 낳게 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중적 운영 구조와 같은 현상을 드러내 주는 교사의 면담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 주로 얼마나 자주 미술활동을 운영하고 계시나요?

교 사: 일주일에 두 번 정도가 실시되어지는 것 같아요

그리고 저희 원에서는 따로 미술을 담당하시는 특별활동 선생님이 진행

하시는 특별 수업이 있어서 아이들은 저와 미술선생님 두 사람 모두에

게 수업을 받도록 되어 있어요.

연구자: 네 그렇다면 선생님이 운영하시는 수업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요?

교 사: 아무래도 저희들이 하는 수업과는 다른 점이 있어요.

저희처럼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한 미술

수업이 이루어지기보다는 새로운 기법을 배우는 것에 초점을 많이 두시

게 되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저희들이 일반적으로 하는 미술활동을 위한 도입이 없구요.

바로 작업에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은 거죠. 그리기 활동을 해서 아이

들의 생각을 이끌어 내는 것이 주목적이 되는 것은 아닌 것 같구요. 재

료를 주고 그것을 이용해서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친다고 할까요.

연구자: 그런 부분에서 그럼 또 다른 문제점들이 있을까요?

교 사: 그래서인지 미술작품들을 보면 아이들마다의 특징이 없는 경우가 대부

분이예요. 모두 똑 같죠.

(교사 B, 개인면담, 2006. 11.5)

Page 11: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53

교사 B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G유치원의 경우 미술활동 운영에 있어 명확한 이중

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원에 재원하고 있는 모든 아이들은 담임교사와 미술전담교

사, 두 사람의 교사와 함께 미술활동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중적 구조는 분명 담임

교사에게도 그리고 유아에게도 주체적으로 미술활동을 운영하고 참여하는데 방해하는

요인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음의 교사 면담에서 보다 명확히 살펴

볼 수 있다.

연구자: 그렇다면 미술전담 선생님이 계시는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교 사: 저희 원의 경우 제가 미술수업을 함께 진행해야 하는 입장이라 부담을

많이 가지게 되요. 아무래도 그 분들은 전공자시니까 우리하고는 좀 다

른 것 같기도 하구요 아마도 미술적인 표현을 하는데 있어서는 저보다

훨씬 나아보여서요.

연구자: 어떻게 운영되어지는 것이 효과적인 운영이 될 수 있을까요. 선생님께

서 바라시는 부분이 있다면?

교 사: 완전히 제가 미술활동을 하지 않거나 한 사람만 전담 할 수 있었으면 좋

겠어요.

두 사람이 모두 하는 건, 아이들에게 혼돈의 요소를 주는 것 같기도 하구요.

수업을 하는데 있어 중점을 두는 부분이 다르다 보니까, 수업을 하면 아

이들도 어떻게 하는 것이 더 좋은 것인지 눈치를 보기도 하는 것 같구

요. 그런 부분이 느껴져요.

(교사 C, 개인면담, 2006. 11. 12)

유아 1: 이거 이렇게 하는 거 아니다. 틀렸다.

유아 2: 뭐.. 아니다. 이런 색으로 칠하면 안 된단 말이야

유아 1: 선생님 아니죠. 그렇게 안 해도 되죠. 선생님이 그렇게 안 해도 된다고

했다.

유아 2: 눈을 그리는데 분홍색으로 칠하면 어떻게..눈은 흰색이라고 하셨어.

동그랗게 이렇게 이렇게 그려야지.. 선생님 그린거 안 봤나?

유아 1: 난 안 봤는데...

(수업관찰, 2006. 11. 18)

교사 C는 미술전담교사와 함께 수업을 수행하는 이중적 구조는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

는데 있어 각기 다른 신념과 방식을 가지고 있음으로 해서 갈등을 유발하는 요소로 작

용하고 있음을 문제점으로 말하고 있었다. 교사 스스로 표현하는 기술적 측면에서 전담

교사 보다 떨어지는 능력을 가질 것이라 스스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수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

라 교사들은 교실에서 경험하게 되는 여러 사례들을 통해 아이들의 입장을 고려하더라

Page 12: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54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도 이러한 이중적 구조 속에서 미술활동이 진행되는 것이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부분에 대해 교사 스스로 의문을 가지고 있음을 면담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수업관찰 사례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아이들이 미술활동을 진

행하는 과정에서도 교사의 교수경험이 모든 아이들에게 제공되어 지지 않음으로써 그대

로 드러나고 있었다. 이처럼 유치원에서의 이중적 운영의 형태는 교사나 유아 모두의

입장을 고려해 볼 때 교사가 교수활동을 수행하고 유아들이 활동에 참여하는데 있어 갈

등을 유발하는 하나의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모든 미술활동을 미술교사가 전담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어

떠한 갈등도 유발하고 있지 않은가? 교사 A의 경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교 사: 예전에 제가 있었던 원에서는 미술선생님이 계셨어요. 담임교사의 입장

으로는 참 편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저희는 전혀 미술수업을 하지 않았

거든요. 수업에 대한 부담을 덜었어요. 그리고 환경구성도 도와주시

고... 유치원에서 미술과 관련된 부분들 그니깐 이 필요할 때면 상호 협

조가 잘 되어서 많이 도와주시고 그랬어요.

연구자: 그렇다면 그 전담 선생님들은 수업을 어떻게 준비하시나요?

교 사: 수업과 관련된 주제로 수업을 진행하기도 하고 어떤 때는 다른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하시기도 하는데 우선 주제에 따른 수업을 진행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지는 않아요. 왜냐면 미술 선생님께서 별도로 수업계

획안을 짜시고 저희가 주안을 짤 때 그 계획안을 받아서 계획안에 포함

시키는 방식으로 했는데 한자리에 앉아서 의논하는 형태가 아닌데다가

그 선생님께서는 주 3일만 출근을 하셔서.. 수업을 계획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은 좀 있었던 것 같아요. 하지만 수업에 대한 부담은 많이 없었어

요.

(교사 A, 개인면담, 2006. 11. 12)

A 교사의 면담내용을 통해 교사들은 이중적 구조일 경우라도 미술활동과 관련된 교수

활동이 자신의 교수활동과 명확하게 구분되어질 경우 자신의 수업에 대한 부담이 덜어

짐으로 인해서 교사 스스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A교사

의 면담내용에서 연구자는 또 다른 측면을 찾아 볼 수 있었는데 교사 스스로 문제의식

을 가지고 명확하게 의견을 드러내지는 않았으나 교사의 '한자리에 앉아서 의논하는 형

태가 아닌데다가 그 선생님께서는 주 3일만 출근을 하셔서.. 수업을 계획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은 좀 있었던 것 같아요' 와 같은 면담의 내용 속에서 연구자는 교사들이 전담교

사와 담임교사와의 충분한 의사소통의 부족으로 인해 수업계획안 작성 및 수업 진행을

Page 13: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55

하는 부분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충분히 계획되어지고 상호협의가 없이 이루어지는 미술활동과 같은 다양한 특

별활동 수업들은 유치원 운영상에 있어 이중적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운영을 담당하는

교사와 활동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유아 모두에게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 사실

이므로 이러한 측면들을 보완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들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2. 모방을 통한 기술습득

모방을 통한 기술습득이 미술활동 운영에 있어 하나의 교수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음

을 연구자는 수업 관찰을 통해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유치원의 아이들은 교사

에 의해 사전에 준비되어진 주간 활동 계획안에 포함된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 일

반적이다. 그러나 미술활동에 참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교육과정에 나타난 바와 같이

풍부한 감성과 심미감을 길러주는 것이며, 최성숙(1997)의 연구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

술을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인식하여 감수성을 증가시키고, 가치 있는 자아개념을 세워

줄 수 있도록 해주며, 자료의 질에 따라 감정을 표현하고 수용할 수 있는 태도의 조절

능력을 학습하도록 하며, 강렬하고 극단적인 감정들을 긍정적인 행동으로 전환하는 능

력을 키워주는 데 있다. 그러나 유치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미술활동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았을 때 앞서 제시된 미술활동의 목적을 성취해 나갈 수 있는 교수방법들로 활동

들이 계회하고 준비하고 실천하고 있는가? 이러한 반성은 교육현장에서 보다 더 나은

교육을 실천해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다음

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민들레반 아이들은 나무 꾸미기를 하고 있었다. 교실 앞 칠판에는 샘플 그림이

있었다. 아이들은 모두 그 그림을 그리고 있다. 똑 같다. 어떤 아이도 이 틀에서

그다지 벗어 나 있지 않다. 스케치북을 병풍모양으로 4부분으로 나누어 접은 뒤 왼

쪽부터 오른쪽으로 나무 네 그루를 그리고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나무를 그린다.

아이들에게 교사가 사전에 직접 그리거나 만든 것으로 보이는 샘플을 보여주

는 것은 다음 옆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도 볼 수 있었다. 진달래반 아이

들도 색종이를 이용해 꽃병을 만드는 수업을 하고 있었는데 마찬 기지로 교실 앞

면에는 선생님이 미리 만든 꽃병 작품이 걸려있다.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아이

들의 그림은 어느 것 하나 진행과정에 있어 차이나는 점을 찾을 수가 없다.

(연구자, 관찰기록지, 2006. 11. 11)

Page 14: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56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유아: 선생님 검지로 하는 거죠?

교사: 그래 선생님이 검지로 하는 것이 예쁘게 나온다고 했지? 맞아요

유아: 에

교사: 잘 봐 검지로 이렇게 인주를 찍어서 이렇게 이렇게 찍어 주는 거야(교사

시범을 보인다)

지로 꼭꼭 찍어서 여기 보이지 이렇게 꽃밭을 꾸미는 거야. 옷에 묻으면

인주가 잘 지워지지 않아요. 조심 조심!

(그리고 교사는 아이들이 진행하고 있는 작품 활동을 둘러보며 다닌다)

교사: 꼭꼭 더 눌러야지

잘 봐 이렇게 이렇게 현지하는 거 봐봐.. 현지는 잘 하고 있네....꼭꼭 저

렇게 눌러줘야해.

그렇게 누르지 않으면 그림이 나오지 않는단다.

(연구자, 수업관찰, 2006. 11. 11)

과연 아이들의 미술수업은 어떠한 형태로 진행되어지는 것이 옳은 것인가? 위 사례에

서도 드러나듯이 교사들은 대부분 미술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보기 그림을 아이들에

게 제시하거나 활동에 들어가기 전에 의례적으로 작품을 어떻게 만들어 가야 하는지에

대한 기술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유아들에게 설명을 하는 시간을 일부 할애하고 이

러한 설명시간이 끝이 나면 아이들이 교사의 활동을 모방하여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방

식으로 수업을 진행해 나가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가 수업에서 유아를 조력해 주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경우 '이렇

게 찍어 주는 거야....', '선생님이 어떻게 하는 거라고 했지..?', '○○이가 하는 것

봐봐'등의 발문들을 자주 사용함으로써 교사 자신이 제시한 방법대로 진행하지 않고 있

는 유아들의 자유로운 표현을 절제하거나 자신의 표현기법을 따를 것을 혹은 다른 또래

유아의 표현을 참고로 할 것을 강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의 미술지도를 하는데 있어서 그들에게 지시하는 것과 그들이 하는 대로 그대로

두는 것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교사의 역할 중의 하나이다(안은숙,

2003). 교사가 지나치게 간섭하고 지시하면 아동들은 그들 나름으로 창의적으로 생각할

기회를 빼앗길 뿐 아니라 아동 스스로의 경험이 되는 것을 막는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볼 때 교사들은 유아들이 기술적인 요소를 습득하는 것 이상의 자신의 내면세계에 대한

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미술교육에서 제시하는 ‘모방’

즉 ‘미메시스’는 사람으로 하여금 예술적인 표현행위를 보고 현재 표현되고 있는 것을 자

신의 이전 경험과 연관시켜 생각하도록 하는 것이다(Mcleish, 2001). 따라서 지금 유치

원 교육현상에서 이루어지는 효과적인 기술 습득으로 유도하기 위해 작품을 만들고 있

Page 15: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57

는 과정이 아닌 완성된 작품을 보기로 보여주는 행위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하기를 강요

하는 발문을 하는 것은 고경화(2004)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진정한 모방교육의 의

미와는 동떨어진 의미로 해석이 되어 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있어 진정한 의미의 미메시스가 유아미술교육에서 작용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적절한

미술활동 수행능력과 발문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3. 활동 속에 내재된 암묵적 규칙

연구자는 연구기간동안 유치원에서의 미술활동과 관련하여 수업을 관찰하고 교사들과

의 면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미술활동 속에서 교사-유아 관계 속에는 표면적으로 매

시간마다 드러내거나 직접적으로 강요하지 않더라도 교사의 발문 속에서 유아가 지켜야

할 규칙들이 암묵적 규칙으로 내재되어 강요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암묵적 규칙 지식은 개인이 의도적으로 노력하는 것도 아니고 그 과정의 결과로 무엇

이 처리된 것인지 자각 또는 의식하지 못하지만 과제의 수행에서 어떤 과정에 의해 영

향을 받는다는 정보처리 모형에서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었다(Cleeremans, 1997:

Greenwald, 1992). 이러한 지식은 명시적 지식으로만 설명되지 않는 인간의 행동 즉 초

논리적인(arational)측면을 설명해 주는데 기여한다(이순묵․차경호, 2000)

교사들이 유아들에게 제공하는 발문의 많은 부분은 이러한 암묵적 지식을 내재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내용의 발문이 아닌 교사의 표정, 눈빛, 행동

을 통해 활동에 필요한 순서와 규칙을 암묵적으로 드러내고 이를 통해 유아들은 활동의

순서를 교사의 별도의 발문과 지시가 없이도 몸으로 체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는 아이들의 미술활동을 지켜보고 있다.

한 아이가 활동을 마치고 교사에게 다가온다.

유아: 선생님 저 다 했어요. 정리할까요?

교사: 그래 정리하자.

활동을 마친 다른 한 아이가 다른 친구들 곁으로 다가간다. 교사가 말한다.

교사: 친구들 방해하지 말고..

다 한 친구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유아: 동화책을 보거나 교구활동을 해야 해요.

교사: 그래 친구들 활동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하자.

(연구자, 수업관찰, 2006, 12, 23)

Page 16: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58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위 사례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교사는 유아에게 어떠한 행동을 직접적으로 지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유아들은 그림을 완성하고 나면 이후에 해야 하는 일에 대해 정확히 숙

지하고 교사에게 자신의 다음 행동을 확답 받고자 질문을 한다. 마찬가지로 활동이 마

쳐진 이후 다른 친구들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용하게 다른 활동에 임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교사에게 직접적으로 지시 받지 않았다. 그러나 이미 학급의 아이들은

교사가 ‘정리하자’, ‘다 했니?’, ‘다 한 사람은 무엇을 해야 할까?’, ‘○○야’ 등의 발문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도 활동에서 지켜져야 할 일과 다음에 이루어져야 할 행동들에 대한

지시적 내용을 감지하고 실천에 옮기는 경우도 흔히 발생하고 있었다.

미술활동은 음악활동 혹은 신체표현활동과 같이 예술 활동의 일환이다. 예술 활동은

인간의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드러내는 하나의 행동양식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일정한 일의 순서와 원칙에 따라 유아 모두에게 획일적으로 이루

어져야 함을 강요하는 것은 예술 활동을 운영하는 효과적인 방식이라고 볼 수 없을 것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흔히 교육현장에서는 많은 유아 수와 협소한 교육환경을 이유

로 위와 같은 경우의 사례를 관찰할 수 있으며 연구를 위해 관찰한 G유치원 또한 연구

자의 수업관찰일지에서 많은 부분 이러한 형태의 운영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아래의 사

례의 경우도 미술활동 운영에 있어서의 부정적인 측면을 드러내 주고 있다.

교사는 유아의 그리기 활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았다. 처음에 활동을

설명하는 것 이외에 별 다른 발문을 시도하는 모습을 보이지도 않았다. 처음활동

이 전개되기 이전 도입 부분에 있어서는 작품의 표현과 아이들의 경험을 연결시

켜주기 위한 아이들의 경험을 회상하는 것을 자극하는 내용의 발문들을 시도하

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추후 활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아이들의 사고를

촉진하는 다른 발문들을 시도하지 않았다.

단지 ○○야! ○○는 얼른 하세요. 등의 말을 건네며 유아의 이름을 부르는 것

으로 아이들이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시킨다. 아이들은 자신의 이

름이 불러짐과 동시에 하던 일을 멈추고 작업에 몰두한다.

(연구자, 관찰기록지, 2006. 12. 11)

위의 사례에서도 드러나고 있는 바와 같이 교사들은 유아들로 하여금 활동참여를 촉

구하거나 활동과 관계된 통제를 가하기 위하여 주의 환기와 활동 촉구의 의미를 담은 '

유아의 이름 부르기', '목소리 톤 올리기', '활동의 순서 묻기' 등의 발문들을 사용하

고 있음이 드러났으며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위의 사례와 같은

현상들의 원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age 17: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59

사실 미술활동은 완성품 결과물이 있는 활동이 대부분이예요.

그런데 사실 결과물이 있다는 것은 그것을 학부모님께 활동의 결과물로 제시

를 해야 한다는 부담을 함께 느끼는 것과 연결이 되는 부분 이예요. 그래서 반드

시 시간 내에 완성을 해야 한다는 부담을 가지게 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그렇다

보니까 아이들이 작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작품에 손을 대어 도와주는 경우도 생

기게 되고 그렇다 보니까 아이들이 마음껏 표현할 수 있도록 넉넉하게 기다려주

지도 못하는 것 같고........

(교사 C, 개인면담, 2006. 12. 17)

면담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미술활동을 진행하는데 있어 교사들이 경험하는 이러한

작품을 완성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오는 부담은 교실상황에서 활동이 진행되어지는데 있

어 유아들의 자유로운 표현들을 억제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또 다른

부정적 측면을 유발하는 커다란 원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수경․이연선․손유진(2007)은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을 분석

한 결과 교사들이 유아들에게 활동을 안내하고 제시하고자 할 때 유아들의 의견을 묻거

나 아이들과 함께 규칙을 정하기보다는 교사가 의도한 활동이 진행되는 것에 더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아들의 행동을 다양한 측면에서 통제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교사가 효율적인 활동 진행을 위해 발문을 통해 일방적으로 활동의 순서나 내용을

통제하고 있다는 것으로 이와 같은 현상은 이야기 나누기 시간 뿐 아니라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했던 유아미술활동 속에서도 어김없이 교사들에 의해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상투적인 공감

미술은 한 교과목으로서의 미술교육뿐만 아니라 모든 교과내용을 통합하여 미술활동

을 통해 즐거운 상황에서 기능적이고 의미 있는 지식의 개념을 형성하도록 도울 수 있

는 기능할 할 수 있다(윤현숙, 2005). 뿐만 아니라 미술활동은 주변세계에 대한 느낌이

나 생각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이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념을 구체화하고 관련지식

을 통합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김정아, 2003). 이러한 미술활동의 기능과 역할을 생

각해 볼 때 미술활동 시간을 통해 일어나는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은 유아로 하여금

주변세계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매개

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현과 김연안(2003)도 미술활동이 창의력 신장에 도움이 되고 있음

Page 18: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60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을 밝히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자발적인 미술활동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풍부한 자료와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할 뿐 아니라 교사의 수용적인 자세

와 칭찬과 격려가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 반드시 갖추어져야 하는 전제 조건이

되어야 함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는 교사들과의 면담과 수업관찰을 통해 현재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활동 운영은 교사의 수용적인 자세와 칭찬 격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와 활동수행을 위한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의 부 적절성, 개별 활동 결과물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교사들의 심리적인 부담감,

이를 지원해 주기 위한 보조교자 지원체제의 미비 등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미술활동 운영 중에 일어나야 할 유아들에

대한 수용적인 자세와 칭찬 혹은 격려의 발문이 상투적인 공감의 말 - 예를 들면, ‘잘했

구나, 정리하자’, ‘예쁘네 진짜 잘했다.’, ‘그래 멋진데..’, ‘뭘 그렸지?’, ‘그랬구나.’ - 다

시 말하면 ‘일차적 반응’ 혹은 ‘수동적인 호응해주기’와 같은 형태의 발문의 단계에 머무

르게 됨으로써 유아의 확산적 사고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발문의 단계로 나아가지 못함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의 사례는 그러한 예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들이라 볼

수 있다.

유아들이 색종이를 이용하여 눈이 오는 날을 표현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유아: 선생님 다 했어요 눈이 많이 와서 눈사람을 만들고 싶어요. 그래서 눈사람

을 그렸어요

교사: 그래 그랬구나.

교사: 정리하자.

(연구자 수업관찰사례 2006, 10. 24)

교사들은 이처럼 아이들이 눈이 오는 날을 표현하고 교사 앞으로 다가와서 자발적으

로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시도하려하는 유아의 경우에도 ‘그래 그랬구나.. 정리

하자’라는 말로 일관되게 상황을 종료시킬 뿐 유아의 사고와 경험을 확장시키려 노력하

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활동결과물을 완성하고 말없이 작품을 내미는 유아에게도 흔히 교사들은

‘무엇을 그렸니?’, ‘이건 뭐야?’등의 1차적인 질문을 제시할 뿐 다음의 단계로 유아들의

사고를 확장시키고자 하는 추가적인 발문을 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이지 않고 차단시키

는 경우 또한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는 분명 미술활동과 같은 표현생활을 지도하는데

Page 19: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61

있어 유아들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방적인 분위기를 조

성할 것을 강조하는 것을(교육부, 1999) 강조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내용에도 위배되는

부적절한 교수행동임이 틀림없을 것이다.

윤현영(2000)의 연구에 의하면 공감이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교육활동 중

정의적인 측면과 신체적인 면에서의 발달을 돕는 생활지도를 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

을 하는 교사의 조력행동이라 볼 수 있으며 따라서 교사의 공감은 유아의 인지적· 정의

적 측면에서의 발달을 촉진시켜주는 중요한 매개수단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공감과

관련하여 Matcus(1979), Eisenberg(1980) 등도 유아의 친사회적 능력의 하나인 협동심

과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일 뿐 아니라 유아의 도덕성 발달과

정서적 안정, 과거 상처의 치유 등을 위해 간과되어서는 안 되는 부분임을 주장하고 있

다. 따라서 미술활동 중에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상투적인 공감은 추후 유아들이 긍정적

인 사회관계를 형성하는데 있어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육과정

에서 제시하는 효율적 미술활동 운영의 기분 운영방침에도 위배하는 것으로 활동운영에

서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유아들의 활동에 대한 적절하고도 진심 어린 교사

의 공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반성하고 개선해 나가고자 하는 노력을 통하여

효율적 미술활동 운영을 위한 개방적이면서도 수용적인 발문, 확산적이면서도 진심 어

린 공감이 담긴 발문을 구사할 수 있는 교사의 자질을 갖추어 나가야 할 것이다.

5. 유아들이 주는 경이로움의 선물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되어지는 미술활동 시간은 교사들에게 유아들로 하여금 경이로

움을 선물 받는 시간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술활동은 다른 활동에 비해 많은 부분 유아들이 직접 활동에 참여 실제 활동을 수

행하는 주체로 임하게 되는 부분이 많은 활동이다. 따라서 인지적인 요소들이 강조되는

다른 영역보다는 아이들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주어

지게 되며 이러한 창의적인 표현들 속에서 교사들은 경이로움이라는 선물을 유아로부터

받게 되는 것이다.

아무래도 어른들은 정해진 고정관념 같은 것들이 많이 있잖아요. 그런데 아이

들은 아무래도 그런 것에서 자유로운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러한 부분을 그리기 활

동을 통해 많은 부분 끌어 낼 수 있는 것 같기도 하구요. 그래서 그리기 활동을

하다보면 저도 아이들에게 깜짝 놀라는 경우가 많이 있구요 그리고 아이들이 이

Page 20: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62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런 생각을 하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 오히려 아이들에게 많은 정보를 얻는 측

면이 있어요.

(교사 D, 개인면담, 2006. 11. 15)

사실 참 반성을 많이 합니다. 분명 수업진행을 통해서 아이들에게 깜짝 놀라게

되는 부분이 정말 많구요. 저는 언젠가 우리 반 아이가 그린 그림을 보고 너무너

무 신기해서 옆 반 선생님께 가져가서 막 자랑을 한 적도 있어요.

선생님도 보셨죠? 얼마 전 아이들과 꽃병 만들기 활동을 했잖아요. 사실... 저

도 그 수업을 하고 선생님과 면담을 하는 과정에서 많은 부분 반성을 하게 된 부

분도 있었는데 그때 ○○라는 아이가 그린 그림은 제가 많은 부분 표현의 방법을

지시했지만 물을 뿌린 후 공중에 떠 있는 물방울을 그렸다며 꽃병 주의를 자신의

생각대로 꾸며준 아이를 보며 참 신기했던 .....

(교사 B, 개인면담, 2006. 11. 15)

교사의 면담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교사들은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에서의 미술활동

의 효과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제반 여건으로 인하여 아이들에게 충분

한 기다림으로 창의적인 표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에 대해 스스로

반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는 자신의 교직생활을 영위해 나가는데 있어 활동을 통해 아이들의 성장을 보고

느낄 때 가장 보람을 느낀다고 말한다(이경민, 2002). 따라서 유아들의 활동을 통해 교

사들이 경험하게 되는 경이로움의 선물은 교사의 교직생활을 지속하게 하는 중요한 원

동력이 되어 질 뿐 아니라 앞으로의 보다 나은 교수활동을 진행하기 위한 자신의 교수

행동에 대한 반성을 촉진하게 한다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Ⅴ. 나오며: 참다운 미술활동 운영을 위한 반성적 소고

유치원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미술활동의 운영과정 전반을 현상학적으로 고찰한

결과, 그 속에서 교사와 유아가 경험한 미술활동의 의미는 다음의 5가지 양상으로 드러

났다. 미술활동 운영과 관련하여 우선 담임교사와 미술전담교사의 이중적 구조로 인해

교사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미술활동에서 주로 나타난 교수방식은

모방을 통한 기법이나 기교의 습득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 속에는

교사의 발문을 통해 암묵적 규칙이 내재되어 있어서 유아의 자유로운 표현을 제한하는

요소도 작용하고 있었으며 미술활동을 통해 얻어진 유아의 결과물에 대해서도 교사와

관련되어진 유치원의 제반 여건들로 인해 인위적이고 습관적인 반응 및 피드백을 보이

Page 21: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63

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미술활동은 다른 어떤 활동 보다 그 활동 자체가 지

니는 특성으로 인해 유아의 창의적 표현이 발휘되는 시간이며 이렇게 얻어진 유아의 결

과물들은 때때로 교사로 하여금 유아의 감성과 표현력에 대한 경이로움을 느끼게 함으

로써 자신의 교수활동을 반성하도록 하는 의미 있는 장이 될 뿐 아니라 자신의 교직생

활을 지속시키는데 커다란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활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결과

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미술활동 운영의 이중적 구조에서 오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학급

교사와 미술전담 교사간의 충분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마련이 필요하다.

많은 원에서 특별활동의 일부로 미술활동을 일주일에 2번 내지 3번 실시하고 있는 반면

학급교사에 의해 운영되는 미술활동은 하루 일과 운영의 일부로 교육과정에 통합되어

있다. 이런 식의 운영은 교육과정의 계획 및 통합적 운영에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술전담 교사와 학급교사의 협력 체제를 구성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료교사협의회에 미술전담교사가 참여하여 재료

의 선정이나 기법, 아이디어, 이론 등을 제안할 수 있고 교육과정 계획을 함께 함으로

써 미술활동이 단순한 특별활동이 아닌 통합적인 활동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

한 미술교사의 역할은 레지오 에밀리아 유아교육 과정에서의 아뜰리에리스타(atelierista)

의 역할과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기관에서 아뜰리에리스타는

전문적인 미술교육을 받은 교사로서 아뜰리에를 책임지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개발과 기

록 작업을 하는 학급교사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Edwards, Gandini & Forman,

1993). 이와 같은 협력은 학급교사의 미술에 대한 전문성 부족에서 오는 부담감을 상쇄

시킬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 통합되어 질적으로 보다 나은 미술활동을 유아에게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미술활동이 기법이나 기교의 습득으로 끝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활동

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능과 기법을 그대로 복사하는 모방이 아니라 활동을 하면서

스스로 느끼는 여러 가지 감각과 지각을 통한 창조적 미메시스를 추구해야 한다. 유아

의 미술지도를 하는데 있어서 그들에게 지시하는 것과 그들이 하는 대로 그대로 두는

것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교사의 역할 중의 하나이다(안은숙, 1998).

교사가 지나치게 간섭하고 지시하면 아동들은 그들 나름으로 창의적으로 생각할 기회를

빼앗길 뿐 아니라 아동 스스로의 경험이 되는 것을 막는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볼 때

Page 22: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64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교사들은 유아들이 기술적인 요소를 습득하는 것 이상의 자신의 내면세계에 대한 표현

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미술교육에서 제시하는 ‘모방’ 즉

‘미메시스’는 사람으로 하여금 예술적인 표현행위를 보고 현재 표현되고 있는 것을 자신

의 이전 경험과 연관시켜 생각하도록 하는 것이다(Mcleish, 2001). 현재 많은 유치원 교

육현상에서 이루어지는 효과적인 기술 습득으로 유도하기 위해 작품을 만들고 있는 과

정이 아닌 완성된 작품을 보기로 보여주는 행위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하기를 강요하는

발문을 하는 것은 고경화(2004)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진정한 모방교육의 의미와는

동떨어진 의미로 해석이 되어 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있어

진정한 의미의 미메시스가 유아미술교육에서 작용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적절한 미술활

동 수행능력과 발문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활동 속에 내재된 암묵적 규칙이 교사와 유아간에 존재함을 인식하고 유아가

자유로운 표현을 하면서 미술활동에 있어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하도록 동기부여

를 해야 한다. 대개 유치원에서 행해지는 미술활동의 순서는 ‘활동→정리→다른 선택활

동’을 따른다. 이는 정해진 시간 내에 활동을 하여 그 결과물을 산출해야 한다는 교사들

이 가진 부담감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교사는 미술활동의 교육적 가치는 결과가

아닌 그 과정에서 파생하는 것임을 깨달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아가 자신감을 가지

고 자기 내면의 감성과 창조성을 마음껏 발현할 수 있도록 모든 과정에 걸쳐 교사의 통

제와 지시를 최소화하려는 태도가 뒷받침되어져야 하겠다.

넷째, 결과 중심의 평가에 귀속된 상투적인 공감의 표현에서 벗어나 과정 하나 하나

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주도적이고 내재적인 표현활동을 격려할 수 있는 발문을 하려는

교사의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국내에서 이루어진 다수의 연구들이 미술활동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간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러한 언어적 상호작용

이 유아의 표현활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김정아, 2001; 성은영,

2006; 정미경, 2003). 교사의 발문에 따른 유아의 사고변화를 연구한 성은영(2006)의 연

구에서는 교사의 효과적인 발문의 수행이 유아로 하여금 사물이 지닌 속성을 이해하게

하고 그에 따른 결과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자발적으로 결과를 예측할

수 있고 이전에 알고 있는 지식들과 적절하게 연결되어짐으로써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

시하는데 있어서도 뛰어난 능력을 보이게 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김정아

(2001)의 연구에서도 미술활동에서 탐색활동을 촉진하는 교사의 발문이 유아의 그림 표

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다른 어떤 영역보다 이

러한 측면의 적절한 교수지원이 요구되는 미술활동의 경우 현상에서 드러나는 교사들의

Page 23: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65

상투적인 공감은 효과적인 미술활동을 운영하는데 있어 저해요소가 될 뿐 아니라 시급

히 개선되어져야 할 부분임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유아들이 미술활동의 창작 과정이나 결과물에서 보여주는 경이로움을 통해

교사는 자신의 교수방식을 되돌아보고 유아의 표현활동이 의미 있는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질을 계발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들은

교사의 교직생활을 지속시키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박소영(1990)은 미술교사의 바람직한 자질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학생 개개인에 대한

존중의 마음과 개개인의 개성과 창의력을 인정할 수 있는 인격적 소양의 품성적 자질을

중요한 하나의 요소로 꼽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임남숙(1999)도 이러한 부분의 소양

을 길러주기 위한 미술교과에서의 교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강조하

고 있다.

따라서 교사들이 유아의 미술활동 속에서 선물 받게 되는 유아에 대한 경이로움을 존

중하고 인정할 뿐 아니라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적절한 공감적 반응을 할 수 있는 자질을

키워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구축 및 교사의 재교육 기회 마련 등 지원체제가 필요하다.

분석적 연구들이 가지는 문제점은 ‘총체성’의 결여이다(유한구 외, 1997). 이제까지의

많은 미술활동과 관련된 연구들은 미술활동 운영 실태,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 미술

활동의 효과 등 미술활동과 관련되어진 어느 한 측면에서 파악하는 데에만 힘썼을 뿐

미술활동을 이루는 많은 요소들이 서로 어떻게 관련을 맺어 총체적인 활동을 이루게 되

는가 하는 문제는 상대적으로 등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활

동은 낱낱의 분석적 연구에서 밝혀 낸 것들을 단순히 한 데에 묶어 놓은 것 이상의 총

체적 의미를 담고 운영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시도한 현상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미술활동에 대한 접근은 이러한 총체적인 의미에서의 활동에 대한 운영 실제를

알아보는데 그 의미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본 연구는 현상학적 관점에서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활동의 현상

을 총체적으로 바라봄으로써 운영실제와 관련하여 간과해서는 안 되는 몇 가지 중요한

의미로 집약하여 드러내고 있으나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들

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현상들

을 현장에서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효율적 운영을 할 수 있는 보

다 구체적인 방향과 내용을 제시해 줄 수 있는 후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24: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66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참 고 문 헌

고경화(2004). 미메시스와 유아의 모방교육을 위한 그 의미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69-85.

고현․김연안(2003). 유아의 미술 활동을 통한 창의력 신장. 문화연구, 8, 121-134.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김내선(1993). 유아미술교육 재료의 사용실태와 그 개선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동구(1998). 교육학 교육론의 현상학적 접근.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논총, 2,

23-40.

김문환(1995). 삶의 질과 미술교육. 교육월보, 164, 32-35.

김민활(1987). 교육학 연구에서의 현상학적 접근. 제주교육대학교 논문집, 17, 43-75.

김병옥(1985). 미적 정조육성을 위한 조형표현지도. 예술교육과 창조, 209-210.

김영천(1998).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김은경(1992). 새로운 예술교육 개선방안 연구. 상명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

43-64.

김정아(2001). 교사의 탐색질문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교육연구,

4, 69-82.

김춘일(2004). 예술영재에 대한 인식의 문제와 개선. 조형교육, 24, 31-53.

김춘화(2005). 유아의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대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소영(1990). 중학교 미술교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변윤희․현은자(2004).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

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4(5), 311-335.

변윤희․현은자(2004). 유아 창의성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유

아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5), 271-301.

문은식(2005). 통합적 미술감상 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

지, 26(5), 233-244.

성은영(2006). 반성적 사고 중심의 발문개선 교사교육 과정에 나타난 교사의 발문변화와

교육적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26(6), 59-81.

신정숙(2006).·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미술 교육의 운영 실태: 경기도 유치원 보육시설

사설 미술학원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age 25: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67

안은숙(1998). 유아 미술지도를 위한 연구. 경원전문대학논문집, 20, 491-505.

원계선(2000). 유아교육기관의 미술교육 실태 조사: 환경구성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

구, 3(1), 61-81.

유수경(2007). 유악교육기관에서의 이야기나누기시간의 의미. 아동학회지, 28(3), 267-

286.

유수경․이연선․손유진(2007). 이야기나누기시간동안 교사-유아의 담화 속에 나타난 교

사의 수업유지 전략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249-272.

유혜령(1999). 소수민족 유아의 유치원 생활 경험: 현상학적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2(2), 139-169.

윤현영(2000). 상담교사와 일반교사의 공감능력과 공감반응 수준의 비교 연구. 교육발전

논총, 21(1), 193-210.

윤현숙(2005). 유아를 위한 균형적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이경민(2002). 유치원 교사의 생애에 대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22(3), 95-114.

이부연(2000). 21세기 미술교육의 방향. 조형교육, 16, 245-251

이순묵․차경호(2000). 실용지능과 묵시지의 혼동. 한국심리학회지, 19(1), 29-59.

이승무(1984). 아동화 발달단계에 있어서 선의 성격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영환․정남숙(2000). 미술의 기본요소에 기초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2), 57-96.

임남숙(1999). 미술교과에서의 초등교사 자질 향상을 위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연

구. 한독 교육학연구, 4(1), 129-147.

정미경(2003). 미술작품과 자연물을 활용한 통합감상법이 유아의 색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7(1), 113-119.

정은경(2002). 유아기 예술교육의 재이해를 위한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29-148.

최성숙(1997). 유아기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경남전문대학논문집, 25(1), 493-510.

최은식(2003). 지식기반 사회 학교 예술교육의 인식론 및 실천론적 가능성 탐색. 음악교

육연구, 24, 145-161.

한국미술교육학회(2004). 유아미술교육학. 서울: 학문사.

허명순(2007).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에 대한 사회계층별 부모 인식. 경성대학교대학

Page 26: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168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원 석사학위논문.

홍용희(2000). 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과 유아학급에서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교육

과학연구, 31(3), 1-9.

Cleermans, A.(1997). Principles for implicit learning. In D. Berry(Ed.).

Delamont, S.(1978). Sociology and the classroom. Nafferton: Bemrose Press.

Edwards, C., Gandini, L., & Forman, G. (Eds.)(1993).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The Reggio Emilia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Norwood,

New Jerse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Greenward, A.(1992). New look 3: Unconscious cognition reclaomed. America

Psychologist. 47, 766-779.

Piaget, J.(1950). The psychologie of intelligence. New York : Harcourt.

Eigenberg, N., & Lennon, R.(1980). Altruism and assessment of empathy in the

preschool years. Child Development, 51, 552-557.

Eisner, E. W. (1995). 학문기초 미술교육운동. 김인용, 김대현(공역). 서울: 학지사.

Husser, E.(1970). The Idea of Phenomenology. Hague: Martinus Nijhoff.

Marcus, Rm Tellen, S., & Roke, E. Jr.(1979). Relation between cooperation and

empathy in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5(3), 346-347.

Mcleish, k.(2001). 아리스토텔레스. (장영란 역), 서울: 궁리출판. (원저 1998 출판).

Moustakas, C. E.(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lif.

: Sage.

Page 27: R û B| C a 3` · ")2( *'Cp g 6Te X}Eæ|§· ÿ é O~ %Î Ó/ [6¥¥eà ! (D7!G YD7gÈEg;) < p ")2D7pÒ '? ȧç ÂgÉé`µ dË _[¾ 'íf# _!·È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169

Abstract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the Operation

of Art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Soo-Kyung Yu ․ Sun-Mi Park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explore the meaning of art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Thorough this, we aimed to provide the framework for effective operation

of art activities. The data was collected by participants' observation, video-recording, and

individual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ings of operating art activities

were revealed as follows: 1) a dual structure in the operation of activities 2) the

acquisition of skills through imitation of teacher's technique 3) tacit rules embedded in

the activities 4) the expression of conventional sympathy 5) admirable presents from

children. Thus,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to reflect and

reconsider their roles in the art activities, and develop their abilities and qualities that

lead children's expressional activities to meaningful experiences during art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