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8

Kwang Soon Lee, Ph.D.s.kwma.kr/kwma/jiu/insight06.pdf · 사들에게 ‘맞춤교육’을 통해서 ‘맞춤선교’를 하기 위해서 ‘맞춤헌신’을 실 천하고 있다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copyright Ⓒ 2014The Juan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Publisher Kwang Soon Lee, Ph.D.Editor Kwang Seong Kim, Ph.D.

    Editorial StaffSuk-young Son

    11, Seokbawi-ro 74beon-gil, Nam-gu, Incheon, Korea, 402-835Tel 82-32-446-5200 Fax 82-32-428-9779E-mail [email protected]

    All rights reserved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or transmitted in any formor by any means without the prior written permission of the publisher.The only exceptions are brief quotation in printed review.

    Produced by RLC Research CenterFirst Printing February 28, 2014

    ISSN 2234-8387

    Printed in Republic of KOREA

  • 현장 선교사의선교학적 관찰(2)

  • 4 mission insight 6

    땅에 떨어진 꽃잎

    최근 우리나라에는 겨울과 봄과 여름이 함께 공존하고 있는 것 같다.

    겨울이 가기도 전에 꽃이 피고 또 눈이 오더니 갑자기 여름이 온 것같이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한다. 산과 언덕에는 개나리가 노랑 이불을 덮어 쓴

    것처럼 온통 노랑 옷을 입고 뽐내드니 살짝 지나간 봄비에 밤새 파란 속

    치마를 갈아입기도 했다. 철도 모르는 벚꽃은 하루가 다르게 활짝 피었

    다. 다른 꽃들도 샘이 나는지 곱게 꽃잎을 피웠다. 그런데 은 공놀이하는 아이들이 마구 짓밟아도 말이 없다. 제자리에서 꽃

    이 피었을 때만 꽃잎이 아니라 ‘땅에 떨어진 꽃잎’도 꽃잎이라는 것을 내

    가 잊었을 뿐이었다. 나는 강의실에서 수없이 강조해서 말했던 것을 기억

    한다. ‘지금 이 강의실에서 공부하는 여러분들의 뒤에는 훗날 수많은 사

    람들이 길∼게 줄 서 있는 것을 나는 보고 있다.’ 비록 공부는 다른 사람

    보다 뛰어나게 잘하지 못하고 목회 소명이나 선교 사명도 남다르지 못하

    고 그냥 ‘땅에 떨어진 꽃잎’처럼 다른 아이들이 던진 공에게 한방에 터지

    고 오고 가는 사람들의 발에 그냥 밟혀도 말 한마디 못하는 그 친구가 나

    의 제자였다. 그때에 나는 당연히 말했어야 했는데 ... ‘괜찮아! 하나님께

    서 우리 아버지야! 꿩은 못 잡아도 매는 매야! 포기하지는 말라! 꿈을 가

    발 간 사

  • 5발간사

    지라! 그러니∼ 힘을 내라!’고 가벼운 격려의 말 한마디라도 제대로 못해

    주었던 지난날의 사건들이 마치 ‘땅에 떨어진 꽃잎’처럼 알알이 생각난다.

    어느 저녁시간 교회에서 나의 특강이 끝나고 전혀 기대하지 못했던

    내가 가보지도 못한 아주 먼 나라에 가서 사역하고 있는 한 선교사가 나

    와서 선교보고를 하는데 ‘교수님이 앞에 계시니 많이 떨리네요. 교수님

    제가 떨고 있는 것이 보입니까?’라고 말하면서 오래 전에 학교 다닐 때

    선교현장실습을 함께 갔었던 이야기를 했다. 그 때에 지도교수였던 나의

    질문에 그 학생은 순진하고 자연스럽게 자기의 생각대로 대답했다고 한

    다. ‘저는 처음으로 해외여행을 하는 것이 너무 좋아서 왔습니다’라고 대

    답했다가 교수님께 크게 야단을 들었기 때문에 지금도 교수님 앞에서는

    떨린다고 말하며 ‘교수님도 기억하시나요?’라고 물었다. 그래서 그는 졸

    업 후에 그 실습 팀에서 자기가 가장 먼저 선교사로 아주 힘든 오지로 가

    서 20년이 넘도록 잘 감당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활짝 핀 꽃잎처럼 젊은

    신학도가 처음으로 비행기를 타고 해외로 나가는 것이 너무 신기하고 좋

    아서 선교현장실습에 함께 왔는데 지도교수는 제자의 마음에 아픔을 남

    겼구나 하는 미안함이 ‘땅에 떨어진 꽃잎’을 다시 손에 주어 담으면서 되

    새겼다.

  • 6 mission insight 6

    어느 주일아침 잊히지 않는 또 하나의 기억이 나의 마음에서 떠나지

    않는다. 주일예배를 마치고 온 교우들이 함께 식사를 하는데 40여년 만

    에 그가 어려서 유년 주일학교에 다녔던 한 중소기업 사장이 나를 만나보

    고 싶어서 찾아왔다. 나의 앞 자리에 앉아서 옛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는

    데 한 주일학교 교사인 여 집사가 나에게 와서 나의 등 뒤에 앉은 어린이

    두 형제를 소개하면서 ‘한 달에 한번정도 친척집에 왔다가 우리교회에 나

    오는데 오늘은 엄마까지 모시고 왔어요.’ 나는 그 집사에게 고맙다고 말

    을 했지만 그들에게 따뜻하게 손을 잡아주지 못하고 내 앞에 앉아서 계속

    이야기하는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나의 시선을 보냈다. 우리의 이야

    기를 끝내고 보니 나의 등 뒤에 앉았던 그 엄마와 두 아들은 이미 자리를

    떠나고 빈자리만 남아있었다. 나는 지금도 그 싱싱하고 꽃잎처럼 아름다

    운 어린 형제와 처음 교회를 찾아 온 엄마에게 서운함이 남아있지 않을까

    밤이 늦도록 생각했다. 또한 행여나 내가 ‘땅에 떨어진 꽃잎’을 쓸고 있는

    청소하는 아저씨의 손에 들린 빗자루가 되지 않았을까 나 자신을 되돌아

    보며 반성한다.

    주안대학원대학교(Juan International University, JIU)는 단일학과, 선교학

    (Intercultural Studies, ICS) 전공이 있다. JIU는 이미 선교 현장에서 사역하고

    있는 현역선교사들과 앞으로 선교에 헌신하기 위해서 준비하는 예비선교

  • 7발간사

    사들에게 ‘맞춤교육’을 통해서 ‘맞춤선교’를 하기 위해서 ‘맞춤헌신’을 실

    천하고 있다. 2011년에 개교한 주안대학원대학교는 4년째 7학기를 맞이

    한다. 지난 2013년 11월에는 처음으로 교육부감사를 받으므로 ‘교육과 학

    사운영’의 실제적인 평가를 통해서 ‘맞춤교육’의 새로운 틀을 보완하게 되

    었다. 학사운영의 활성화를 위해서 한국에서 예비선교사들을 위한 ‘맞춤

    교육’과 해외에서 사역하고 있는 현역선교사들을 위한 ‘맞춤교육’으로 나

    누어서 일반과정과 집중과정으로 ‘맞춤교육’을 실시했다. 매학기 세계적

    인 선교학자들을 강사로 모시고 철저하게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집중해

    서 최첨단의 교육 자재(資材)를 활용하면서 매우 보람된 ‘맞춤교육’의 실천

    이었다고 스스로 평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교육법과 규

    정에 따라 수정보완이 필요하여 선교사들을 일반과정으로 통합시켜서 학

    사를 운영하므로 또 다른 변화와 발전을 기대한다. 선교사들은 안식년을

    분기별로 나누어서 15주간씩 와서 수강과 연구를 겸하여 탁월한 연구논

    문과 학위논문을 쓸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만들어 가도록 하였다. 그렇

    지만 한국에서 지나가는 이 변화의 바람이 아무도 지나가지도 아니하는

    정글이나 어느 산기슭에서 홀로 작은 꽃을 피우며 열심히 공부하고 있던

    현장의 선교사들에게는 너무 가혹한 눈과 비가 썩긴 진눈개비가 되어 열

    매를 맺기도 전에 ‘땅에 떨어진 꽃잎’으로 날아가 버릴까 안타까운 마음이

    커져간다.

  • 8 mission insight 6

    주안대학원대학교는 ‘맞춤교육’의 열매로 석사학위 우수논문 두 편

    을 『미션인사이트』 제6집 현장 선교사의 선교학적 관찰 2(Missiological

    Observation II)로 출간하게 되어 학문적 보람이라고 자부한다. 석사학위

    논문을 먼저 책으로 펴내게 된 것은 ‘땅에 떨어진 꽃잎’ 하나라도 소중하

    게 간직하므로 후학들과 특히 선교현장에서 온갖 수고와 고생을 도리어

    감사와 영광으로 여기며 일생을 기꺼이 헌신하는 선교사들에게 작은 격

    려와 힘이 되리라는 기대와 속마음 때문이다. 또한 JIU는 새봄이 오면 새

    로운 ‘희망의 꽃잎’을 더 많이 더 아름답게 피우리라는 기대와 확신을 가

    진다.

    우리의 소망이나 기쁨이나 자랑의 면류관이 무엇이냐

    그가 강림하실 때 우리 주 예수 앞에 너희가 아니냐?

    너희는 우리의 영광이요 기쁨이라 (살전 2:19, 20)

  • 9

    For what is our hope, our joy, or the crown in which

    we will glory in the presence of our Lord Jesus when he comes?

    Is it not you?

    Indeed, you are our glory and joy.

    오직 하나님께 영광!

    총장 이광순

    주안대학원대학교

    발간사

  • 10 mission insight 6

    매년 회원 및 비회원 단체들의 협조를 받아 한국 선교사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KWMA는 2014년에도 어김없이 2013년 12월 말 한국 선

    교사 파송현황(Survey on Korean Missionaries in Numbers, 2013)을 발표했다.

    KMQ 2014년 봄호(통권 43호)에 게재된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3년 12월

    말 현재 한국 선교사는 169개국에 26,703명이 파송되어 사역하고 있다.

    이러한 통계는 대한민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열성적으로 많은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는 나라라는 자부심의 근거이지만 동시에 선교사에 대한 전

    문교육과 연장교육, 선교현장에 특성화된 교육이 시급하다는 지적의 근

    거가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현실을 반영하여 주안대학원대학교는 민족복음화와 세계

    선교를 위한 전문 선교지도자 양성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능력과 자격

    을 갖춘 맞춤교육을 실시하는 특성화된 교육기관으로 설립되었다. 특히

    충분한 선교현장 경험을 가지고 있는 현역 선교사를 대상으로 자신들이

    이미 확보한 다양한 선교관련 콘텐츠를 선교학이라는 학문적 틀로 정리

    하는 기회를 부여한다는 것은 단순한 선교사 연장교육을 넘어 선교현장

    과 학문의 만남이라는 커다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게 해 준다.

    주안대학원대학교가 선학협력(선교현장과 학문의 협력)의 모델을 만들기

    위해 2012년에 창간한 『미션인사이트』는 제1집으로 제1차 PCK 전교전략

    포럼 자료집을 발간하여 선교현장의 전략적 고민을 한국 교회와 선교학

    계에 소개한 이래, 한인디아스포라포럼(2012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자료집,

    편집의 글

  • 11

    PCKWM 세계여성선교사대회 기념 자료집, 유로비전포럼 자료집 등을

    차례로 발간하여 선교현장의 고민을 선교학적 탐구의 주제로 발전시키는

    의미있는 역할을 감당하였다. 특히 2013년에 발간한 『미션인사이트』 5집

    은 본교 박사과정(Ph.D.)에서 연구 중인 11명의 시니어 선교사들에게 선

    교학 주제 11가지를 제시하고 본인들의 관심영역과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각각 한 가지 주제를 선택하여 연구한 결과물인 11편의 논문을 수록하고

    있다. “현장 선교사의 선교학적 관찰(1)”이라는 부제를 달았던 것은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기대함이었다. 이제 그 두 번째 결과물로 본교 Th.M. 학

    위논문 가운데 본 시리즈의 편집방향에 맞는 우수한 논문 2편을 뽑아 『미

    션인사이트』 제6집으로 엮어낸다.

    조정희의 논문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은 지난 10년 동안 세계

    경제 판도 변화의 핵심이며 중국의 경제발전의 초석이었던 농촌출신 도

    시이주노동자(농민공)에 대한 선교학적 연구이다. 특히 필자는 10년간 중

    국 남부지역에서 공단사역을 감당한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발간

    된 다양한 농민공 연구 자료와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중국 전역에 적용할

    만한 선교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그가 결론부분에서 효과적인 농민

    공 선교를 위해 한국 선교사, 한국 교회 그리고 중국 내 한인교회가 해야

    할 일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안한 내용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중국이

    라는 선교현장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 전략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편집의 글

  • 12 mission insight 6

    조준형의 논문 “태국기독교단을 위한 맞춤전도훈련 연구: 전도개척훈

    련원을 중심으로”는 1986년 이후 줄곧 태국에서 사역해온 필자의 근 30

    년에 가까운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1956년부터 시작된 한국 교회의

    태국 선교는 1934년에 창립된 태국기독교단(The Church of Christ in Thailand,

    CCT)과의 에큐메니칼 선교 차원에서 철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진행

    되었다. 특히 1986년 10월 PCK(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와 CCT가

    교단 협력을 다시 시작하면서 1987년 6월에 협력선교사로 부임한 필자는

    교수사역과 교회지원사역을 담당하였고, 2006년 8월부터는 CCT 산하에

    설립된 전도개척훈련원 원장직을 겸임하게 되었다. 본고는 필자가 전도

    개척훈련원 원장으로 사역하면서 2008년 2월부터 2013년 3월까지 훈련

    한 5기까지의 훈련생에 대한 훈련과정과 성과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내용을 근거로 집필되었다. 특히 태국어와 영어로 된 자료를 직접 한국어

    로 번역하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경험과 수고를 통

    해 교재의 다변화와 교단 간 협력선교의 확대, 태국 성도의 눈높이에 맞

    추어 전환해야 할 교육 내용 등 실제적인 제안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특

    히 본교가 추구하는 맞춤 교육과 맞춤 선교에 근거하여 태국인의 성격에

    맞는 통전적인 맞춤전도훈련 방안을 제시하는 탁월함을 보여주었다. 이

    처럼 본 논문은 한국교회와 선교학계에 태국선교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을 뿐 아니라 태국 현지교회에도 소개되어 태국교회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13

    『미션인사이트』 제6집에서 가장 돋보이는 점은 현장 사역자들이 현장

    에서 실제 참여한 사역을 선교학이라는 학문적인 틀로 연구하여 완성한

    선교학석사 학위논문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의 농민공을 대상

    으로 하는 공장사역이나 태국의 전도개척훈련원 사역에 대해 사역 당사

    자들이 실제적인 경험과 학문적인 연구를 통해 구체적이고도 다양한 자

    료를 근거로 실천 가능한 선교전략을 제시한 것은 선교현장과 학문의 만

    남이 줄 수 있는 고귀한 성과가 될 것이다. 그리고 주안대학원대학교의

    설립취지에 대한 충실한 실천의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외 선

    교 지도자들과 현장 사역자들이 이 책을 통해서 폭넓은 경험과 사역의 공

    유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편집인 김광성

    주안대학원대학교 선교학 조교수

    편집의 글

  • 14 mission insight 6

    contents

    발간사 | 이광순(주안대학원대학교 총장) 4

    편집의 글 | 김광성(미션인사이트 편집인) 10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17

    Ⅰ. 서론

    A. 문제제기

    B. 연구목적

    C. 연구방법 및 범위

    D. 용어의 정의

    Ⅱ. 성경에 나타난 이주노동자 이해

    A. 구약성경에 나타난 이주노동자

    B. 신약성경에 나타난 이주노동자

    C. 선교 대상으로서 이주노동자

    Ⅲ. 중국 농민공의 현황과 선교적 과제

    A. 중국도시화에 따른 농민공 출현

    B. 농민공 현황

    C. 농민공의 문제점과 선교적 과제

    Ⅳ.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A. 농민공 가정교회 개척전략

    B. 쉼터를 통한 선교전략

    C. 농민공 자녀를 위한 기독교학교 설립을 통한 선교전략

    D. 상담사역을 통한 선교전략

    E. 사회적 기업형태의 비즈니스 선교전략

    F. 공단사역을 통한 선교전략

    Ⅵ. 결론

    A. 요약

    B. 제언

  • 15목차

    contents

    태국기독교단을 위한 맞춤전도훈련 연구:

    전도개척훈련원을 중심으로 | 조준형 139

    Ⅰ. 서론

    A. 동기: 맞춤전도훈련의 필요성

    B. 목적

    C.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Ⅱ. 성경에 나타난 ‘맞춤전도’의 모델

    A. 구약 성경에 나타난 ‘맞춤전도’의 모델

    B. 신약 성경에 나타난 ‘맞춤전도’의 모델

    C. 맞춤의 의미와 현장화(Contextualization)의 관계

    Ⅲ. 예수님의 맞춤전도훈련 연구

    A. 마가복음과 맞춤전도훈련의 연관성

    B. 예수님의 부르심은 제자됨과 사도됨

    C. 예수의 맞춤전도훈련; 마가복음 6장 7절-13절

    D. 전도훈련은 제자훈련

    Ⅳ. 실시한 전도훈련의 내용

    A. 일반적인 훈련 개요

    B. 전도 훈련 교과목

    C. 전도훈련의 꽃인 핵심적 복음의 내용

    D. 전도 실습과 전도 자료 만들기

    E. 전도훈련의 종합 통계

    Ⅴ. 전도훈련 평가

    A. 훈련생들의 전도훈련 평가

    B. 교회 지도자들의 평가와 제안

    C. 평가로 본 선교적 의의

    Ⅵ. 결론: 맞춤전도훈련을 위한 제안

    A. 요약

    B. 제안

  • 중국 농민공선교전략 연구

    조정희(주안대학원대학교 선교학전공)

    조정희 선교사는 상명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M.Div)와 주안대학원

    대학교(Th.M.)에서 수학하였고, 현재는 주안대학원대학교에서 선교학 박사과정(Ph.D.)

    재학 중이다. 동북아에서 1999년부터 PCK총회 파송선교사로 사역하고 있다.

  • 18 mission insight 6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조정희(주안대학원대학교 선교학전공)

    Ⅰ. 서 론

    A. 문제제기

    중국국가통계국이 올해 발표한 『中華人民共和國2011年國民經濟和社

    會發展統計公報, 2011년 중국도시발전보고서』에 의하면, 2011년 말 중국

    의 도시인구가 6억 9079만 명으로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

    년에 비해 4.2%가 늘어난 51.27%로 나타나 사상 처음으로 50%를 넘었다

    고 발표했다.1) 중국의 12차 5개년 경제개발 계획(12.5계획. 2011~2015년)에

    따르면 중국의 도시화율은 2015년까지 52%, 2030년까지 65%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예상보다 4년을 앞당긴 상황이 되었으며, 이 추

    세로 가게 될 때 21세기 중반에는 중국 총인구의 75%가 될 것이라는 예

    상2) 역시 뛰어 넘어설 것으로 추산할 수 있다.

    중국 도시화율이 이처럼 빨라지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 바로 농촌호

    구를 가진 이주노동자들 즉 농민공들이 도시로 대거 유입됐기 때문이다.

    1) “中華人民共和國2011年國民經濟和社會發展統計公報”, 中國國家統計局, 2012.2.22., http://www.stats.gov.cn/tjgb/ndtjgb/qgndtjgb/t20120222_402786440.htm, 2012년 9월 25

    일 접속.

    2) “중국 도시가정교회 개척 사역”, 실크로드 국제 선교회, 2010.3.5., http://forsim.org/bbs/board.php?bo_table=s0302&wr_id=8, 2012년 5월 3일 접속.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19

    중국 국가인구산아제한위원회가 2011년 10월 9일 발표한 『2011年中國

    流動人口發展報告, 중국유동인구발전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도시 인

    구는 앞으로 10년 동안 1억 명의 농민이 추가로 도시로 이주하여 2020년

    까지 8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됐다.3) 또한 중국국가통계국이 발표한

    『2011年我國農民工調査監測報告, 2011년 농민공조사보고』에 의하면 중

    국의 농민공 수는 2008년에 2억 2542명이었으나, 해마다 빠른 속도로 증

    가하여 지금은 2011년 말 2억 5278명에 이르게 되었다.4) 특히 최근 2년

    동안은 1년에 천만 명씩 농민공이 증가하고 있다.

    농민공은 지난 10년 동안 세계 경제판도 변화의 핵심이었다. 그 역학

    관계는 2001년 11월 11일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에서 시작됐다.

    이날 2억여 명의 노동인구가 세계의 시장경제체제에 새로 편입됐다. 브라

    질 인구와 맞먹는 규모다. 그 주역이 바로 중국 농민공이었다. 그들은 ‘세

    계 공장’을 돌렸고, 저가 제품은 세계 시장을 잠식했다.5) 이들의 값싼 노

    동력은 바로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를 세계시장에 쏟아낼 수 있

    는 원동력이 되었다. 풍부한 저임금 노동력을 제공한 이들이 노동집약적

    산업 발전의 일등공신이다. 중국 경제성장은 농민공이 있었기에 가능했

    고, 앞으로도 이들의 역할은 중국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농민공은 중국의 미래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집단이다.

    그러나 중국을 세계의 주역으로 만든 농민공은 시간이 흐를수록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었다. 농민공의 문제는 중국 사회시스템과 관련된

    사안이다. 호구(戶口·거주지 등록)제도가 핵심이다. 그들은 농촌에 거주지

    등록을 하고 있는 농민 신분이다. 아무리 도시 생활을 오래해도 농사꾼일

    3) 조용성, “중국 향후 10년 1억명 농민 도시로 이주”, 『아주경제』, 2011.10.10., http://www.ajnews.co.kr/kor/view.jsp?newsId=20111010000352, 2012년 5월 3일 접속.

    4) “2011年我國農民工調査監測報告”, 中國國家統計局, 2012.4.27., http://www.stats.gov.cn/tjfx/fxbg/t20120427_402801903.htm, 2012년 9월 27일 접속.

    5) 한우덕, “중국 농민공의 반란”, 『갤러리 CNN 뉴스』, 2011.6.18., http://gall.dcinside.com/news_new/700579, 2012년 9월 28일 접속.

  • 20 mission insight 6

    뿐이다. 그래서 이들은 주거, 의료, 교육 등 도시민이 받는 혜택을 받을

    수 없고 임금도 열악하다. 그 외의 여러 불공평한 환경이 농민공을 분노

    하게 만들게 있다. 그래서 최근 이들의 불만이 폭발하면서 중국정부의 관

    심을 유발하고 있다.

    농민공 문제는 더 이상 중국의 부분적인 문제가 아닌 사회의 가장 큰

    이슈중 하나가 되었다. 그렇다면 중국교회는 어떤가? 안타깝게도 농민공

    에 대한 이해나 대책이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선교사들 역시도

    농민공 선교와 연관된 일을 하는 자들이 거의 없다. 이제 우리는 ‘도시 속

    에 비도시인’이자 ‘2등급 시민’6)으로 각종 불이익과 불평등속에 놓인 농민

    공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또한 중국교회를 섬기는 한국선교

    사와 한국교회 역시 농민공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선교전략을 모색하

    고, 그들을 통전적으로 도울 방법을 강구해야 하는 것이다.

    중국은 변하고 있다. 그것도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다. 중국선교를 하

    려면 이 변화를 따라 잡아야 한다. 이전과 같이 한국선교사를 무조건적으

    로 환영하던 시대는 이제 지나갔다. 순수한 헌신만으로는 중국교회가 성

    장하여 중국 안에 기독교문화를 만들고, 사회 곳곳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

    고, 더 나아가 선교중국을 하는 데까지 성장하도록 도울 수가 없다. 선교

    사가 선교지에 대한 지식과 선교에 대한 이론이 수반되지 않은 열정 일변

    도의 선교를 하게 된다면,7) 중국교회를 도울 수 없다. 그것은 장님이 길

    을 인도하는 꼴이 되어 건강한 중국교회를 이룰 수 없을뿐더러 중국교회

    의 걸림돌이 된다.

    농민공 문제는 중국의 복음화를 꿈꾸는 우리에게 있어서 더 이상 소

    홀히 여길 문제가 아니다. 농민공에 대해 연구하고 전략을 세워 하나님

    의 심장으로 농민공들이 하나님의 자녀가 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그러

    6) Fei Ling Wang, Organizing Through Division and Exclusion China’s Hukou System,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5.

    7) 박창환, “바울의 선교 원칙”, 『교회와 신학』 제28집, 1996, 8.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21

    므로 지금 농민공의 상황을 최대한 정확하게 분석하고, 그 필요를 발견하

    며, 필요에 맞는 선교전략을 새롭게 개발해 나가야하는 것이다.

    B. 연구목적

    농민공 문제는 중국 최대 화두가 된 시점이지만, 중국교회조차도 농

    민공선교에 대한 이렇다 할 전략을 아직 세우지 못한 상태이다. 필자는

    몇 년 전까지 농민공들을 위한 선교사역을 펼치면서 얻게 된 경험을 바탕

    으로 몇 가지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어떤 전략은 필자가 경험한 것을

    제시하기도 하지만, 어떤 전략은 논문을 준비하면서 얻게 된 자료를 분석

    해서 새롭게 제시하는 전략도 있다. 아직 적용해보지 못한 전략인지라 그

    결과의 효율성은 알 수 없지만, 필요한 전략이라 여겨진다. 또한 전략 중

    에는 필자가 10년간의 경험을 통해 선교의 열매를 보게 된 공단사역전략

    에 대해서는 좀 더 자세히 소개함을 통해 이 전략이 중국 전체로 파급되

    기를 소망한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전략뿐 아니라 가능한 전

    략을 제시함으로 농민공선교의 길을 찾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소망한다.

    C. 연구방법 및 범위

    Ⅱ장에서 농민공(도시이주노동자)에 대한 신학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

    다. 효과적인 농민공 선교전략을 찾아나감에 있어서 성경만한 지침서는

    없다. 왜냐면 기독교 선교는 그 기초를 성경에 두기 때문이다. 우리는 오

    직 성경을 통해서만이 “구원에 이르는 지혜”(딤후 3:15)를 얻을 수 있으며

  • 22 mission insight 6

    선교의 동기, 목적, 전략 및 방법 등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8) 구약성경

    과 신약성경에 나타난 농민공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찾아보고, 농민공선

    교의 필요성을 성경 및 여러 신학자의 견해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중국 도시화의 진행에 따른 농민공의 출현에 대해 알아보

    고자 한다. 특히 최근에 1세대 농민공에서 세대교체가 되어 주류를 이루

    면서 현재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는 신세대 농민공문제를 함께 다

    루고자 한다. 또한 농민공의 현황을 중국국가통계국에서 조사하여 발표

    한 2011년 자료를 중심으로 2009년 자료와 비교하여 소개함으로 농민공

    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농민공이 안고 있는 다양한 문

    제들을 살펴보고, 이들의 문제를 다룸으로서 선교적 과제를 도출해보고

    자 한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현황을 중심으로 농민공 선교의 전략을

    세워보고자 한다. 중국에서 이루어지는 허다한 가정교회 개척 중에 현재

    농민공들만을 위한 가정교회 개척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 필요성과 방

    법을 전략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농민공들이 실직하였을 때 도울

    수 있는 쉼터제공을 통한 전략과 농민공 자녀들을 위한 기독교학교설립

    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농민공들의 특수상황에 대해 상담하고 도

    울 수 있는 상담사역을 통한 전략과 사회적 기업형태의 비즈니스 선교를

    통한 농민공 선교에 대해서도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 남

    부지역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농민공 밀집지역인 공단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단사역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중국의 전 지역에서 실시할 수 있도

    록 그 전략의 효율성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Ⅴ장에서는 결론적으로 앞장까지의 논의를 요약하고 평가하고자 한

    다. 마지막으로 농민공 선교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중국교회가

    해야 할 일과 한국선교사와 한국교회, 중국한인교회가 해야 할 일에 대해

    8) J. Herbert Kane, Christian Mission in Biblical Perspective, 이재범 역, 『선교 신학의 성서적 기초』, 서울: 도서출판나단, 1990, 16.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23

    제언하면서 이 논문을 마치고자 한다.

    D. 용어의 정의

    1. 농민공(農民工)

    농촌을 떠나 도시에서 일하는 중국의 빈곤층 노동자로서, 호적상으로

    는 농민의 신분이지만 실제로는 도시에 와서 노동자의 역할을 하는 사람

    을 말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도시이주노동자’이다. 중국은 1949년 신중

    국 건설 후 50년대 말에 발생한 3년간의 경제침체로 인한 식량부족 사태

    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와 농촌의 호적을 달리하는 이원적 정책을 펼쳐왔

    다. 1958년 공포된 ‘호구(戶口) 등기조례’는 모든 중국인을 출생지에서 발

    급하는 호구에 따라 농민과 도시민으로 구분해 이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금지했다. 그러나 1978년 덩샤오핑(鄧小平)이 개혁·개방 정책을 발표한

    이후 농민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쏟아져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

    직임은 1980년대 황하(黃河)의 탁류에 비유돼 ‘맹류(盲流)’로 불렸고, 90년

    대부터는 ‘농민공’으로 일컬어졌다.9)

    농민공의 도시 유입은 1992년 도시에서 식량 배급표(粮票)를 없애버리

    는 조치를 단행한 이후 본격적으로 심화되었다. 농민도 도시로 가서 일할

    수 있게 되었고 일을 통해 번 돈으로 식품과 생활필수품을 살 수 있게 된,

    이러한 조치 덕분에 도시로 유입된 농민공의 숫자가 크게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농민공의 평균 임금은 농민이라는 호적상의 제약 때문에 도시 노

    동자의 3분의 1 내지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중국 상품이 세계시장에서 가

    격 경쟁력을 지킬 수 있는 이면에는 이런 농민공의 희생이 있었던 것이다.

    남자 농민공들은 건설현장의 인부로, 여자 농민공들은 저임금의 공장

    9)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8351&mobile&categoryId=485, 2012년 10월 3일 접속.

  • 24 mission insight 6

    에서 일하고 있다. 이들은 보통 쓰촨성(四川省), 후난성(湖南省), 허난성(河

    南省), 안휘성(安徽省), 장수성(江蘇省) 출신이다. 대다수의 농민공들은 베이

    징(北京), 상하이(上海), 선쩐(深 ) 등 연해 도시로 이주를 했으나, 최근에

    는 새로운 기회가 생기는 내륙지방으로 가는 경우가 많아졌다.10) 2011년

    말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농민공은 2억 5278만 명에 달하며,11) 2020년까

    지 현재 서유럽 인구 규모인 4억 여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12)

    중국국가통계국에서 매년 조사를 할 때에는, 크게 외지농민공(外出農

    民工)과 본지농민공(本地農民工)으로 구분하며, 외지농민공(外出農民工)은 부

    분이주농민공(住 中外出農民工)과 전가족이주농민공(擧家外出農民工)으로 구

    분한다.13)

    2. 동부지역, 중부지역, 서부지역14)

    농민공의 취업지역을 표현할 때, 중국을 크게 동부지역, 중부지역, 서

    부지역 3개로 구분해서 말한다.

    a) 동부지역(東部地域): 베이징(北京), 텐진(天津), 허베이(河北), 랴오닝(遼

    寧), 상하이(上海), 장수(江蘇), 저장(浙江), 푸젠(福建), 산동(山東), 광둥(廣東),

    10)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농민공, 2012년 10월 3일 접속.11) “2011年我國農民工調査監測報告”, 中國國家統計局, 2012.4.27., http://www.stats.gov.cn/

    tjfx/fxbg/t20120427_402801903.htm, 2012년 9월 27일 접속.12)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농민공.13) ① 외지농민공(外出農民工): 통계국에서 조사할 때, 호구가 있는 성(省)외의 지역에서 6

    개월 또 그 이상 일하는 농촌노동력.

    ② 본지농민공(本地農民工): 통계국에서 조사할 때, 호구가 있는 성(省)내의 지역에서 비

    농업활동에 6개월 또는 그 이상 일하는 노동력. ③ 부분이주농민공(住 中外出農民工): 가족의 전부가 아닌 일부(한명 이상)가 성(省)외

    의 지역에서 일하는 농촌노동력.

    ④ 전가족이주농민공(擧家外出農民工): 온 가족이 원래거주지를 떠나, 성(省)외의 지역에

    서 일하는 농촌노동력. “2011年我國農民工調査監測報告”, 中國國家統計局, 2012. 4.27., http://www.stats.gov.cn/tjfx/fxbg/t20120427_402801903.htm, 2012년 9월 27일 접속.

    14) 같은 곳.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25

    하이난(海南) 11개 성(省)내의 시(市)

    b) 중부지역(中部地域): 산시(山西), 지린(吉林), 헤이룡장(黑龍江), 안휘(安

    徽), 장시(江西), 허난(河南), 후베이(湖北), 후난(湖南) 8개 성(省)내의 시(市)와

    자치구(自治區)

    c) 서부지역(西部地域): 네이멍구( 蒙古), 광시(廣西), 총칭(重慶), 쓰촨(四

    川), 꾸이저우(貴州), 윈난(雲南), 시장(西藏), 산시(陝西), 간수(甘肅), 칭하이

    ( 海), 닝샤(寧夏), 신장(新疆) 12개 성(省)내의 시(市)와 자치구(自治區)

    d) 농민공의 취업지역은 동부 중부 서부 외에 0.3%의 농민공이 홍콩

    마카오 대만 지역과 국외에서 일하고 있다.

    Ⅱ. 성경에 나타난 이주노동자 이해

    중국의 농민공은 도시이주노동자로 호구(戶口)가 농촌이지만 도시로

    진출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마치 자신의 본토를 떠나 외국에 가서 살게

    되는 사람들과 비슷한 환경에 놓여있다. 몸은 도시로 나와 있지만 호구가

    농촌인 관계로 마치 외국에서 사는 사람들처럼 각종 혜택에서 제외되어

    지고, 경제적으로 빈곤층에 속한 자들이다.

    본 장에서는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에 나타난 이주자의 개념을 알아봄을

    통해서 성경에서 이들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살펴보려한다. 또한 농민

    공들을 어떤 선교적 관점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26 mission insight 6

    A. 구약성경에 나타난 이주노동자

    ‘이주자’에 대한 개념을 구약성경에서는 ‘게르(rg)’15)에 대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게르’의 의미를 살펴보고, ‘게르’가 될 수밖에 없었던 이

    유와 구약성경에서는 ‘게르’인 이주자들을 어떻게 대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 언어적 고찰

    콘겔(A. H. Conkel)은 ‘게르’를 “고향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살아가는 자

    들로, 땅을 소유하지 못한 자들이며, 자신의 주인과 보호자인 이스라엘

    백성들의 보살핌 가운데 있는 자들이다”라고 정의하였다.16) 김중은은 ‘게

    르’는 “이스라엘과 함께 거주하는 타국인을 지칭하는 것으로 그 땅에 정

    착하여 일정한 사회적, 법적 신분을 보장받은 외국인 영주권자이다”라고

    하였다.17) 왕대일은 ‘게르’는 “전쟁(사 16:4)이나 기근(룻 1:1), 전염병이나 피

    의 보복 등을 피해서 자기 마을, 부족을 떠나서 혼자 또는 가족과 함께 다

    른 거주지로 피신해서 체류하게 된 사람”을 일컫는 명칭이라고 하였다.

    ‘게르’는 어떤 연고도 없는 다른 곳에 가서 외지인으로 사는 사람이었다.

    이스라엘 백성이 아니면서도 그 사회에 정착해야 했기 때문에 다른 사람

    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가난한 계층에 속했다. 이런 의미에서 그는 ‘게르’

    를 ‘이주민’으로 번역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말하였다.18)

    정중호도 ‘게르’를 이주자, 이민자(immigrant)로 번역하는 것이 가장 합

    15) 구약에서 ‘게르’(rg)는 92번 사용된다.16) 김두선, “외국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태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

    학대학교 대학원, 2002, 18.17) 김중은, 『구약의 말씀과 현실』,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6, 468.18) 왕대일, “나그네(게르) - 구약신학적 이해”, 『신학사상』 113집, 한국신학연구소, 2001,

    102.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27

    당하다고 말한다.19) 그는 그의 책 『고대 이스라엘 사회의 ‘게르’에 관한 연

    구』에서 “개역성경은 ‘게르’를 ‘나그네’, ‘객’ 또는 ‘우거하는 자’ 그리고 ‘이

    방인’(렘 22:3)과 ‘타국인’ 혹은 ‘외인’(민 19:10)등으로 다양하게 번역한다. 현

    대어 번역은 ‘게르’를 ‘나그네’(sojourner)로 가장 많이 번역하는데, ‘게르’를

    여행자와 같은 개념으로 오해하게 할 수 있다.”20)고 말한다. 나동광은 ‘게

    르’를 본토인과 이방인의 중간적인 위치에 있으나 혈연과 지연에 의해 제

    공되는 혜택과는 무관하다는 의미에서 현대 언어로 영주권자에 비유한다

    고 말한다.21)

    ‘게르’는 남의 땅에 거주할 수 있는 자격이 없는 불법체류자였다. 그래

    서 ‘게르’는 순전히 자기가 은신처로 삼은 그 고장 사람들의 전반적인 돌

    봄과 베풂에 모든 것을 전적으로 위탁한 채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되는 사

    람들이었다(신 10:18; 렘 22:3). ‘게르’는 보호받아야 할 손님이고 보살펴줘야

    할 나그네이다(창 23:4; 룻 1:1; 삿 19:6; 출 22:20). ‘게르’는 사회적 약자일 뿐만

    아니라 특히 성문법정에서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없다는 부분에서 법률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자들이었다.

    이스라엘 공동체에는 ‘땅의 백성’을 구성하고 있는 자유로운 이스라엘

    사람들과, 율법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보호는 받지는 못하지만 대신에 손

    님 대접의 예절을 누릴 수 있는 장거리 여행객들 이외에, 팔레스틴에 정

    착하게 된 이방인들이 이스라엘 백성들 중에서 특수한 일부 공동체를 형

    성하고 있다. 여기서 ‘게르’는 본질적으로는 이방인을 말하나 자기를 수용

    해주고, 또 일정한 권리를 누리도록 허용해 주는 어느 다른 공동체 안에

    서 다소 영속적으로 살아가는 자들을 말한다.22)

    19) 정중호, “고대 이스라엘 사회의 게르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23권 1호, 대구: 계명대학교, 2004, 3.

    20) 위의 글, 512-513.21) 나동광, “나그네 신학의 기초”,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20집,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188.22) Roland de Vaux, Ancient Israel, Its Life and Institution, 이양구 역, 『구약시대의 생활풍습』,

  • 28 mission insight 6

    구약성경에서 ‘나그네’라는 말은 ‘게르’외에 ‘머물다, 거하다, 정착하

    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 ‘야사브’(bvy)에서 파생된 ‘토사브’(bvwt)라는 말이

    있다. ‘토사브’를 드보(Roland de Vaux)는 ‘게르’보다 사회와 종교면에서 덜

    동질화 되어 있으나(출 12:45), 자기 자신의 집이 없었고 다른 사람의 집에

    곁들여 사는 ‘체류자’(레 22:10)라고 정의하였다.23) 레위기에서 ‘토사브’는

    땅을 소유하지 못하는 사람들로 나타난다. 그래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토지를 영영히 팔지 말 것은 토지는 다 내 것임이라 너희는 나그네요,

    우거하는 자로서 나와 함께 있느니라”(레 25:23). “네 동족이 빈한하게 되

    어 빈손으로 네 곁에 있거든 너는 그를 도와 객이나 우거하는 자처럼 너

    와 함께 생활하게 하되”(레 25:35)라고 말한다.

    구약에 나타난 이주노동자에 대한 이해는 나그네에 해당하는 히브리

    어로 게르(rg)와 토샤브(bvwt), 야샵(bvy), 차르(rc), 노크리(yrkn) 등이 있

    다. 이 중 구약에서의 가장 중요한 나그네 개념은 ‘게르’이다. ‘게르’는 정

    치적, 경제적, 사회적 이유 때문에 자기 고장을 떠나 다른 고장으로 이주

    해 정착하게 된 자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주민으로 번역

    할 수 있다.

    2. 구약성경의 근거

    ‘게르’가 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 이유는 경제적

    인 이유이다.24) 아브라함이나 야곱도 기근 때문에 애굽에서 ‘게르’로 지냈

    다.25) 엘리멜렉이 가족들을 이끌고 모압으로 가서 ‘게르’로 살고(룻 1:1), 엘

    리야도 기근 때 사렙다의 과부에게 ‘게르’로 머물렀다(왕상 17:20). 엘리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51.23) Roland de Vaux, Ancient Israel, 이양구 역, 『구약시대의 사회풍습』, 서울: 기독정문사,

    1992, 141-142.24) 이태훈, “구약의 외국인 복지”, 『구약논단』 제14권 1호 통권27집, 한국신학연구소, 2008,

    79.25) 서인석, 『성서의 가난한 사람들』, 서울: 분도출판사, 2000, 71.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29

    는 수넴 여인과 가족을 기근에 대비해 비옥한 블레셋 땅으로 가서 ‘게르’

    로 머물게 하고(왕하 8:1), 이삭도 기근 때 그랄의 아비말렉에게서 ‘게르’로

    머문다(창 26:3).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게르’로 머물게 된 것도 기근

    때문이었다(창 47:4; 비교 창 12:10). 기근은 가난을 불러오고 가난은 일거리

    를 찾아 다른 고장으로 떠나가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왕대일은 ‘게르’가 되는 이유를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관찰한다.26) 그는 농경사회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노동력의 필요에 의

    해 ‘게르’가 생기는 한 원인이 되었다고 한다. “너희의 집에 머무는 게르

    (rg)”(출 22:1;23:9,12)가 바로 이런 범주에 속하는 일꾼이었다. ‘게르’는 보다

    나은 삶의 환경이나 노동시장을 찾아가 잉여 노동력을 제공하는 “이주노

    동자”들이었다. 한편 기근이나 전쟁 등 다양한 이유로 농촌에서 땅을 잃

    어버린 농민들은 도시로 찾아가 품꾼(일용노동자)으로 일하기도 했다. 이러

    한 사회·경제적 구조가 ‘게르’를 발생시키는 한 원인이 된다.27)

    ‘게르’가 되는 두 번째 이유는 정치·군사적인 요인을 들 수 있다. 앗

    수르의 침공으로 인한 이스라엘의 멸망과 유배, 그리고 바벨론의 침공

    과 유다의 멸망, 그 후에 이어지는 70여년 간의 바벨론 포로기와 귀환은

    정치·군사적인 정복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이주였다. 이것은 다른 요인

    과는 다르게 방대한 규모의 본인들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이루어진 것이

    다.28) 전쟁은 사람들을 땅이나 집 등 재산을 파괴하여 고향을 떠나 다른

    곳에서 ‘게르’로 살게 만든다. 모압이 멸망하여 유다와 에돔에 ‘게르’로 거

    하게 되는 것도 전쟁 때문이다(사 16:4). 에브라임, 므낫세, 시므온 등 북이

    스라엘의 사람들이 하나님이 아사왕과 함께 하심을 보고 유다로 넘어와

    그들 중에 ‘게르’로 살게 되는데, 아사왕은 그들을 베냐민 지파와 함께 유

    다의 백성으로 받아들인다(대하 15:9).

    26) 왕대일, “나그네(게르)-구약신학적 이해”, 106.27) 한동구, “나그네살이 인생과 자손의 약속(창16장)”, 『구약논단』 13집, 2007, 221-223.28) 외국인근로자선교후원회 엮음, 『외국인 근로자 선교와 신학』, 서울: 한들출판사, 2005, 12.

  • 30 mission insight 6

    앗수르의 침입으로 사마리아가 멸망한 후 남쪽 유다에 엄청난 난민

    들이 유입되었다. 이런 피난민이 유다에 ‘게르’를 양산하는 계기가 되었

    다.29) 기원전 8세기의 한 세기 동안 예루살렘의 거주 지역이 거의 두 배로

    불어났는데, 한동구는 이것을 북 이스라엘의 멸망으로 인한 피난민의 대

    량유입 때문이라고 설명한다(대하 30:25-26 참조).30) 역대하 30장 25절은 히

    스기야가 지킨 유월절에 참석한 사람들 중에 “이스라엘 땅에서 와서 유다

    에 거주하는 게르(rg)들”을 언급하는데, 아마도 이스라엘에서 내려온 피

    난민들을 가리키는 말로 본다.31) 이스라엘을 멸망시킨 앗수르의 정복 정

    책이 패망한 나라의 국민들을 집단으로 다른 나라로 이주시키는 것이었

    기 때문에, 이스라엘에서 더욱 대량 난민이 발생했을 것이다. 왕대일은

    북에서 내려온 난민 외에도 유다왕 히스기야가 앗수르에 반기를 들었던

    까닭에 앗수르왕 산헤립의 유다 침공으로 인해 유다 난민들까지 예루살

    렘에 몰려들어 급격하게 수가 늘었던 것이라고 설명한다.32)

    애굽에서 억압을 받았던 히브리인들은 모두가 나그네였으며, 상당한

    지위에 있었던 바벨론 포로들까지 고레스의 칙령에서 나그네로 언급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슥 4:1). 또한 레위인들(신 18:6; 삿 17:7)과 레갑인들(렘

    35:7), 에브라임 지파(삿 19:16)도 나그네 용어인 ‘게르’가 사용되었다.33) 따

    라서 개인이나 집단, 민족에게 있어서 기근이나 전쟁의 발생, 혹은 직무

    수행을 목적으로 이주할 경우 나그네가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9) 드보는 이스라엘에서 내려온 피난민이 혈통이나 문화가 자기들과 같기 때문에 북에서 내려온 ‘게르’들을 사회로 받아들이기 쉬웠고, 이런 경험이 외국에서 온 ‘게르’들을 사회

    에서 쉽게 받아들이는 동인이 되었다고 말한다. Roland de Vaux, 『구약시대의 사회풍습』, 126.

    30) 한동구, “나그네살이 인생과 자손의 약속(창16장)”, 220.31) 위의 글, 220-221.32) 왕대일은 예루살렘의 인구가 8세기 중엽 7,500명에서 8세기 말에는 25,000명으로 급격

    하게 증가하였다고 말한다. 왕대일, “나그네(게르)-구약신학적 이해”, 109-110.33) 나동광, “나그네 신학의 기초”, 195.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31

    이스라엘 백성들이 ‘게르’를 대하는 태도를 볼 때 그들이 이스라엘 백

    성과 동일한 삶의 위치를 가지고 있었음을 반영해 준다.34) ‘게르’는 이스

    라엘 회중 안에서 불편함 없이 살 수 있었고 정해진 법적 신분과 지위를

    보장받았다. 또한 ‘게르’도 하나님의 백성으로 선포되었고, 이스라엘이

    결코 ‘게르’를 압박해서도 안 되며, 국가 흥망성쇠의 주역들로 등장하기

    도 한다. 이는 외국인만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불 수 없고, 어원적으로 구

    약의 나그네가 현지 주민들의 보호를 받지 않으면 목숨을 유지하기 불가

    능한 ‘외지인’을 가리킨다.35) 따라서 ‘게르’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이유

    때문에 본토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곳으로부터 떠나서 다른 지역으로 이

    주해 정착하게 된 자들을 일컫는다. 이스라엘의 이주역사에서도 알 수 있

    듯이, ‘게르’의 대표적인 인물에는 헤브론의 아브라함(창 23:4), 미디안 광

    야의 모세(출 2:22; 18:3), 모압땅의 엘리멜렉과 그 가족(룻 1:1), 베냐민 땅을

    은신처로 삼은 에브라임 사람(삿 19:6)등이다. 또 가뭄을 피하여 애굽으로

    피난 갔고, 바로의 초대를 받아서 정착하여 살게 된 야곱의 후손들도 역

    시 애굽 땅의 ‘게르’였다(출 2:20; 23:9; 레 19:34; 신 10:19).36)

    가나안 정착 이전의 이스라엘 시대의 특성을 살펴보면, 개인보다 단

    체 혹은 무리가 더 중요했는데, 이는 생활환경이 사막이기에 일치단결은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의 생존여부는 개인의 사

    유재산이 아니고 자신이 속한 무리와 얼마나 강한 유대를 맺고 있느냐에

    달려있는 것이었다. 또 이 사회의 기본단위는 가족으로서, 가장은 자신

    의 가족에 입양한 자, 몸 붙여 사는 사람들을 보호하고, 이주자와 나그네

    들도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었다. 따라서 이 사회에서는 공동과업, 공동

    소유의 생활양식과 사회 조직 안에서 사회 계층의 차이는 있을 수가 없었

    34) 조일래, “재 한국 필리핀의 근로자를 위한 선교전략에 관한 연구”, 미간행박사학위논문, 풀러신학대학교 대학원, 2004, 38.

    35) 왕대일, “나그네(게르) - 구약신학적 이해”, 102.36) 외국인근로자선교후원회 엮음, 『외국인 근로자 선교와 신학』, 130-134.

  • 32 mission insight 6

    다. 이 시대의 비참과 빈곤, 착취의 희생물이 되는 가난한 이들은 개인의

    안정을 전적으로 보장하는 가족과의 유대가 끊긴 자들인 것이다.37) 따라

    서 구약에서는 압박과 착취의 대상이 되기 쉬운 고아, 과부와 더불어 이

    주자로서의 이방인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으며, ‘게르’는 주로 친절을 베풀

    어야 할 대상으로 가난한 자와 연결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약성경

    에서는 ‘게르’를 괴롭히거나 학대하는 일을 금하는데, ‘괴롭히다’라는 동사

    는 강자가 약자에게 경제적으로 착취하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경제적으

    로 약자의 범주에 속하는 인물들은 객, 고아, 과부, 빈자, 노예 등이다.38)

    하나님은 세상을 구원하시기 위해 이스라엘을 제사장 나라로 삼으셨

    다.39) 구약에서의 이스라엘의 위치와 역할을 통해 이주노동자 앞에서 우

    리들의 역할과 태도를 점검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주노동자에게 구원의

    보편성을 제시하고, 복음전파의 책임을 부여받은 사명자로서의 역할이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다.

    B. 신약성경에 나타난 이주노동자

    신약성경에서 나타난 이주자로서의 ‘나그네’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나그네 이해와 그들을 대한 방식을 연구하고, 서신서의

    ‘나그네 접대’와 관련된 말씀을 통해서 이주자들을 어떻게 대해야하는지

    살펴본다.

    1. 언어적 고찰

    구약에서 나그네(이주민)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신약에서 그리스도인의

    37) 서인석, 『성서의 가난한 사람들』, 19-30.38) 위의 글, 70-71.39) 김지남, “국내 이주노동자 선교 전략”,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08, 15.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33

    삶과 집단의 성격을 나타내는 데 사용 되었다(눅 24:38; 행 7:6; 엡 2:19; 벧전

    2:11). 칠십인역에서 집을 떠나 나그네로 살아가는 자들을 언급하기 위해

    ‘파로이코스’(πάροικος), ‘파로이케오’(παροίκέω)라는 단어를 사용하였고 하

    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을 표현할 때도 동일하게 사용되었다.40)

    ‘파로이코스’는 고향을 떠나 집 없이 떠돌아 다니는 나그네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행 7:29). ‘파로이코스’는 ‘외국인’ 혹은 ‘외인’이란 의미를 일

    차적으로 가지고 있는 단어이다.41) 이 단어는 그리스-로마 사회에서 외

    국인, 집 떠난 자, 또는 그가 거주하는 지역의 사람들과 언어, 문화, 종

    교, 관습 등이 다른 뿌리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42) 또한 ‘낯선’ ‘기

    이한’ ‘외국인의’ ‘다른’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제자리를 떠난 사람들,

    기이하고 의심스러운 모습을 한 낯선 사람들과 관련지어 쓰였다.

    ‘외국인 나그네’에 해당되는 헬라어 ‘알로게네스’(άλλοΥενης)는 ‘다른 종

    족에 속하는’이라는 뜻이고, ‘알로트리오스’(άλλοτριος)는 ‘다른 것에 속하

    는’이라는 뜻이다. 또한 ‘엑세노스’(έξενος)는 ‘외국인 나그네’, ‘외국인 체류

    자’라는 뜻으로 ‘게르’와는 구별되는데,43) 자신의 본래의 고국과의 유대를

    끊지 않고서 상업가나 여행자나 군인으로서 일시적으로 이스라엘과 접촉

    을 갖는 사람을 가리킨다.

    나그네의 개념을 여러 가지 유형44)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특히 사회

    적 유형으로 사회적 구조적 모순에서 고통을 받는 자들을 의미할 때 이주

    노동자의 개념으로 이해 할 수 있다.

    40) K. I. Schmidt and M. A. Schmidt, R. Meyer, “πάροικος,” TDNT, 1967, 41-53, 842-848.41) 외국인근로자선교후원회 엮음, 『외국인 근로자 선교와 신학』, 169-172.42) 박경미, “신약성서에 나타나는 ‘외국인’개념과 초대 기독교인의 자기의식의 표지로서의

    ‘외국인’”, 『신학사상』 제113집, 2001, 125.43) 권병학, “한국내 외국인 노동자 선교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

    학교, 1996, 19.44) 나동광은 나그네의 개념을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첫째, 시간적인 나그네 유형.

    둘째, 공간적인 유형. 셋째, 문학적 유형. 넷째, 사회적 유형. 다섯째, 순례적 혹은 종교

    적 유형이다. 나동광, “나그네 신학의 기초”, 189.

  • 34 mission insight 6

    2. 신약성경의 근거

    신약성경에 나타난 일반적인 나그네 접대에 대해서 살펴보면, 예수

    께서는 나그네에게 무제한적이고도 무조건적인 사랑으로 대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누가복음 10장 25-37절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통

    해 “누가 강도 만난 사람의 이웃이냐?”는 질문을 던지면서, 우리 주변에

    서 볼 수 있는 나그네의 이웃이 되어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풀어야 함을

    가르친다. 또한 예수께서는 세리의 집에 머무르는 낯선 손님(눅 1:9-10)이

    셨고, 유대 지방을 돌아다니는 동안 낯선 자로 여겨졌다. 그래서 마태복

    음 25장에서 예수께서는 스스로가 나그네 되었다고 말씀하고 계신다(마

    25:35,38,43,44).

    또 이런 ‘나그네 접대’에 대해 바울은 ‘나그네 접대(롬 12:13)는 형제 사

    랑(롬 12:10)의 표현’이라고 하였고,45) 베드로전서 4장 8-9절에서는 ‘뜨거운

    사랑의 힘은 나그네 접대에서 충분하게 나타난다’고 보며, 히브리서 13장

    1-2절에서는 ‘나그네 접대가 형제사랑과는 서로 뗄 수 없는 것’으로 말하

    며, 이는 기본적으로 나그네 접대에는 경계가 없었으며 모든 사람들을 향

    해야 했다.

    다음으로, 신약성경에서는 이주자에 대해서 ‘이웃사랑’에서 ‘하나님의

    가족’으로 확대해서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부터 너희가 외인도 아

    니요 손도 아니요 오직 성도들과 동일한 시민이요 하나님의 권속이라”(엡

    2:19). ‘하나님의 권속’은 ‘하나님의 가족’이라는 뜻으로, 한때는 나그네였

    었지만 이제는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 모두 하나님의 자녀이며, 가족이 되

    었다는 것을 의미한다.46) 따라서 신약성경은 이주자에 대해서 ‘우리의 이

    웃’으로 그리고 한걸음 더 나아가서 하나님의 가족의 구성원으로 말하고

    있다. 이처럼 성경은 분명히 이주자를 우리가 사랑해야 될 우리의 이웃이

    45) J. Bosch David, Transforming Mission: Paradigm Shifts in Theology of Mission, 김명길·장훈태 역, 『변화하고 있는 선교』,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135-137.

    46) 외국인근로자선교후원회 엮음, 『외국인 근로자 선교와 신학』, 170.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35

    며,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우리와 같은 존귀한 사람이여, 더 나아

    가 하나님의 가족임을 우리에게 가르쳐준다.

    또 성경 전체를 통틀어 이주노동자에 대한 성경의 이해는 바로 ‘하나

    님의 사랑’이다. 선교는 바로 이러한 하나님의 사랑에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약자이며, 빈민인 이주노동자에 대해 우리는 우리의 이웃

    으로, 더 나아가 하나님의 가족으로 그들을 사랑해야 한다.47)

    C. 선교 대상으로서 이주노동자

    선교 대상인 이주노동자들을 향해 우리 기독교인들은 어떻게 반응해야

    할 것인가? 성경에서 말하는 그들의 형편을 살펴보며, 그들을 어떻게 대해

    야 할지 신학자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성경의 원리를 찾아보고자 한다.

    1. 도시이주자 선교의 필요성

    영국의 역사학자인 토인비(Arnold J. Toynbee)는 도시화에 대하여 말

    하기를,48) “미래는 세계가 하나의 거대한 도시가 될 것이다”라고 하였

    다. 지금 전 세계는 도시화 되어 간다. 1800년대에 세계 인구 5%가 도

    시에 살았다. 1900년에는 그 수치가 14%로 증가했다. 1950년에는 28%

    로 증가했으며, 2002년에는 세계인구의 48%에 달하는 30억 인구가 도

    시에 살고 있으며,49) 국제통화기금(IMF)의 계간지 ‘금융과 발전(Finance &

    47) 최지마, “외국 노동자 선교방안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7, 15.

    48) “한국교회의 도시 선교론”, 2000.11., http://kcm.co.kr/mission/2000/2000-11.htm, 2012년 10월 8일 접속.

    49) 도시는 흔히 대규모 인구 집적지로 간주 되지만 그러한 상식적인 규정이 아니라 좀 더 엄밀하게 말하면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고대 로마인들은 하나의 무리로 정착지를 형성한

    사람들의 공동체를 civitas라고 했는데, 그것은 영어 단어 city의 어원이 되었다. 또한 사람들이 형성한 물리적인 장소를 urb로 일컬었으며, 그것은 urban의 어원이 되었다. 그러한 어원들에서 추론해 본다면 도시는 단순한 인구 집적지가 아니라 관계로 결속된 인간

  • 36 mission insight 6

    Development: F&D)’에 따르면 세계의 도시 인구는 2008년에 농촌 인구를

    사상 처음으로 추월하여 50%를 넘어섰으며, 2030년에는 도시화 비율이

    더 높아져 60%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한다.50)

    1989년 마닐라에서 열렸던 제2차 로잔대회에서 도시 분과 위원장을

    담당하였던 레이 바키(Ray Bakke)는 전 세계적인 도시화를 영적인 시각에

    서 바라볼 때 ‘하나님께서 세계를 흔들고 계신다’고 할 수 있으며, 하나님

    께서는 모든 족속을 우리가 있는 대도시로 이끌고 계시다는 것이 사실이

    라고 주장하였다. 당시 발표된 마닐라선언문에는 지금 현재 “세계 역사상

    가장 커다란 이주”가 벌어지고 있으며 선교계는 이에 시급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언급되어 있다.51) 도시 선교학자인 로저 그린웨이(Roger S. Greeway)

    는 20세기 교회의 주요한 선교와 선교형태는 온 세상 끝까지 선교사를 파

    송하고 복음을 전파하는 주로 나가는 형태였지만 21세기를 맞이하는 지

    금은 세상의 끝이 도시로 오고 있다고 주장하였다.52) 그리하여 도시선교

    가인 비브 그릭(Viv Grigg)은 미전도 종족 선교 운동에 뒤이은 선교의 제4

    운동은 도시선교라고까지 주장하고 있다.53)

    공동체이자 특정 장소를 가리킨다. 성경에서 등장하는 도시들은 넒은 의미에서 선교와

    관련된다. 선교가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펼쳐지는 것이라면 소돔과 고모라에서 의인을

    찾았던 것은 바로 그 도시들을 구원하려는 선교적 의도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구원계획이 가장 명확하게 펼쳐졌던 사례는 요나의 니느웨 선교로 보여 진다. 니느웨는

    이방의 도시였지만 하나님의 구원계획은 요나를 통해 이방도시까지 전개되었다. 그리고

    도시 전체가 회개하고 하나님께 돌아온 것으로서 구약성경에서 성공적인 도시 선교의 사

    례로 볼 수 있다. 신약 성경의 도시들은 로마제국 치하에 있었다. 예루살렘이나 시리아와

    안디옥 그리고 바울이 들렸던 다메섹, 에베소, 고린도, 로마, 아테네 등은 모두 로마 제국

    의 통치하에 있거나 식민 도시들이었다. 바울은 로마 제국의 도시 선교사였다. 이광순·

    이향순, “도시의 발달과 도시선교”, 『선교와 신학』 제10집, 2002 12월, 18-21. 50) 김재홍, “IMF-2008년 세계 인구 절반이 도시인”, 『한겨레뉴스』, 2007.10.7., http://www.

    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unit/241134.html, 2012년 10월 8일 접속.51) Ray Bakke, The Urban Christian, Downers Grove: IVP, 1987, 28.52) “관문도시 선교의 쟁점과 전략적 중요성”, 2007.10.1., http://blog.naver.com/

    yakob91/130022904077, 2012년 6월 5일 접속.53) 여기서 제4운동이란 해안선선교, 내지선교, 미전도 종족 선교시대이후에 전개될 새로운

    주도적 선교운동이라는 의미이다.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37

    도날드 맥가브란(Donald A. McGavran)이 시골 지역으로부터 도시로 새

    로 이주해 온 사람들은 복음에 대해 상당히 수용적이라고 지적한 것54)처

    럼, 이런 변화는 복음에 대한 수용성까지도 포함한다고 보아 교회성장과

    선교적 관점에서 도시이주자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또한

    효과적인 도시 선교를 위해 피터 와그너(C. Peter Wagner)는 이주자 사역을

    특별히 고려할 것을 명시했다.55) 특히 비브 그리그는 도시 무단 정착자들

    이야말로 국제적으로 복음에 대해 가장 수용적인 문화적 블록이라고 보

    았다.56)

    더 나은 생활과 발전된 자신을 꿈꾸는 도시이주민들은 ‘밀접한 혈연관

    계’와 ‘강한 연대의식’으로 인하여 변화를 쉽게 허용하지 않는 시골을 떠

    나,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과 구조를 가진 도시 속에서 다소 자유로운 사

    회적 역학관계를 가지며, 감시구조 없이 개인적인 생활과 문화적 자유와

    다양성이 있는 도시 생활에 적응해 간다. 그러나 도시에 이주함으로 소수

    그룹이 되어버린 사람들은 경제, 법, 정치, 사회 등 영역에서 여러 종류의

    긴장과 차별을 경험하게 된다. 도시이주자의 장밋빛 꿈은 종종 악몽과 같

    은 도시의 현실로 인해 깨어질 때가 많다. 도시의 실제 모습은 시골을 떠

    날 때 흔히 상상하는 것과 많이 다르다. 끔찍할 정도로 만연한 도시의 빈

    곤 현상은 도시를 불평등과 박탈의 장소로 낙인찍히게 만드는 것 같다.

    많은 도시 분석가들은 메가시티의 문제로부터 거대한 위기를 목격한다.57)

    도시이주자 선교란 이주자들과 함께 살아가며, 그들의 고통에 함께

    동참하며, 그들이 도시에서 잘 정착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54) Donald A. McGavran, Understanding Church Growth, Grand Rapids: Eerdmans, 1980, 326. 재인용.

    55) C. Peter Wagner, Frontiers in Missionary Strategy, Chicago: Moody, 1971, 180-181. 재인용.56) Vig Grigg, “Squatters: The Most Responsive Unreached Bloc”, Urban Mission 6, 1989, 43.

    재인용.

    57) Edward L. Glaeser, Triumph of The City, 이진원 역, 『도시의 승리』, 서울: 해냄출판사, 2011, 138.

  • 38 mission insight 6

    부터 출발되는 것이다. 또한 그들에게 하나님의 나라, 하나님의 형상, 하

    나님의 자녀임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며, 창조주 하나님과 화목을 이루는

    길이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인 것과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만이 진리

    임을 전함으로써, 종국적으로 도시이주자 자신이 하나님을 경외하며 예

    배하는 자로 세워지도록 섬기는 모든 제도적·사회적·문화적·인적·

    영적·물질적 노력을 포함하는 총체적인(holistic)것을 의미한다.58)

    2. 이주노동자 선교의 필요성

    어떤 힘이 농촌의 가난한 사람들을 도시로 끌어 오는 것일까? 무엇보

    다도 그들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서 도시로 향한다. 인생이 나아질 것이라

    는 기대를 가진 농민공들을 끌어들이기 때문에 도시는 농민공들로 점차

    채워지고 있다. 도시의 높은 인구 밀도는 거래를 용이하게 해준다. 즉,

    시장을 만들 수 있게 해준다.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시장은 노동시장이

    다. 농민공들은 자신들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돈을 벌기위해 도시로 몰려

    드는 것이다.

    농민공들은 도시로 나오게 될 때, 도시빈민계층에 소속될 가능성이 높

    다.59) 2007년 전 세계 도시거주 빈민인구60)는 10억 명을 넘어섰고, 2020

    년에는 13억 9천 명에 도달할 수 있다고 유엔은 전망했다.61) 2002년 도시

    58) 정미경, “다문화사회를 향한 한국 기독교 이주민 선교의 방향과 과제”,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 대학원, 2010, 26.

    59) 필자는 농민공을 빈민계층에 포함시킨다. 물론 일부 농민공들은 빈민계층이라고 보기 어렵다. 기술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도시 대졸자보다도 높은 급여를 받기도 하고 개인

    사업의 경우에도 대부분 어렵지만 성공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하지만 대다수는 재정

    적 어려움에 처해있으며, 그들의 수입 대다분을 가족이 거주하는 농촌으로 송금하다 보

    면, 그들의 도시생활은 빈곤층과 비슷한 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60) 도시빈민은 도시화와 산업화의 과정에서 발생한 가난한 사람, 즉 사회구조 속에서 빈민으로 남을 수밖에 없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안태환, 『도시의 이해』, 대구: 대구대학교 출

    판부, 1998, 260-262.61) 김재홍, “IMF-2008년 세계 인구 절반이 도시인”, 『한겨레뉴스』, 2007.10.7., http://www.

    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unit/241134.html, 2012년 10월 8일 접속.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39

    빈민인구는 30억 인구 가운데 거의 50%에 육박하여 14억 9천만 명이며,

    2025년에는 도시 인구 46억 가운데 3분의 2에 해당하는 30억 명이 도시

    빈민이 될 것으로 보기도 한다.62) 도시화 된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이 시

    점에 도시가 지구상에서 영원히 사라지기 전까지는 도시화는 계속해서

    신속하게 진행되어 갈 것이다. 현재 세계 인구의 50%이상이 도시지역에

    거주하며, 그 가운데 1/3이상 과반수가 빈곤층인 것으로 본다.63) 더불어

    도시빈민은 급증할 수밖에 없으며, 도시교회는 빈민계층에 포함되는 농

    민공에 대해 선교적 사명을 깨닫고 적절한 선교적 방법을 찾는 것이 시급

    한 과제가 되어 버렸다.

    그린웨이는 중상층 기독교인들이 가난한 자들에 대하여 원칙적인 대

    화만 하는 것을 볼 때마다 좌절감을 느낀다고 하였다.64) 특히, 북미 지역

    의 중산층 기독교인들이 빈민들을 향하는 태도에 매우 심각한 우려를 하

    고 있다. 반면에 어떤 교회 진영에서는 교회가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가

    난한 자들을 위해서 더욱 관심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것 또

    한 위험한 신호인데, 최근에 이러한 종교적이며 사회적인 나르시시즘

    (narcissism)이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65) 찰스 트라우만(Charles Troutman)

    62) David B. Barret & Todd M. Johnson, “Annual Statistical Table on Global Mission: 2002”, IBMR, January, 23.

    63) 전 세계인구 가운데 도시에 사는 사람이 2008년 말을 기점으로 과반수를 넘어섰다. 이러한 현상 속에는 어두운 그림자도 갖고 있는데 도시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빈민촌(슬럼)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이다. “World Reaches Urban Tipping Point”, 2007.10. 4., http://www.imf.org/external/pubs/ft/survey/so/2007/RES104A.htm, 2012년 10월 8일 접속.

    64) Roger S. Greenway, Cities: Missions' New Frontier, 박보경 역, 『도시 선교의 새로운 개척지』,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4, 213.

    65) 로저 그린웨이(Roger S. Greenway)는 1983년 12월 샌프란시스코에서 “그리스도와 도시”라는 대회를 IVP의 후원으로 열게 되었을 때 깨닫게 되었다. 약 1,000명의 젊은이들이 모였는데 많은 사람들이 강연자와 워크샾의 리더들이 주장하는 전인적 사역에 대하

    여 매우 깊은 감동을 받았다. 그러나 그때 매우 힘든 일이 생겼는데, 실제로 도시 사역

    에 대한 53개의 다른 강의가 준비되어 있었는데 그 중에서 16개가 관심이 없는 고로 취소가 되었다. 대부분 취소된 과목들은 도시의 사회문제였다. 예를 들어 실직 문제, 이민

    자 문제, 노인문제, 알콜 중독자와 마약중독자 문제, 도시빈민문제, 종족차별과 그 결과

  • 40 mission insight 6

    은 “기독교인들이 가난한 사람들의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성경적이기 매

    우 어렵다”고 말한 반면에 토마스 행크(Thomas Hank)는 “가난을 이해할 수

    도 없고 또한 가난의 주된 원인이 게으름이나 저개발이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억압이라는 사실을 알지도 못한다.”라고 지적했다.66)

    구약성경에서는 가난에 대한 언급이 많다. 구약성경에 나오는 ‘가난

    함’이라고 하는 단어를 연구해보면, 그 뜻이 우리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포괄적이다.67) 신약성경에서는 무엇보다도 예수께서 친히 복음

    이 우선적으로 가난한 자들을 위한 좋은 소식임을 밝히셨다. 누가복음 4

    장 18~19절에 보면,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 나를 보내사 포로 된 자

    에게 자유를, 눈 먼 자에게 다시 보게 함을 전파하며 눌린 자를 자유롭게

    하고, 주의 은혜의 해를 전파하게 하려 하심이라 하였더라”고 나와 있다.

    예수께서는 하나님 나라의 사역은 복음을 선포하고 받아들이는 것으로

    시작하지만 말씀 선포, 치유와 구출, 정의와 선행을 다 포함하는 총체적

    인 사역이라고 선언하시면서, 가난한 자들에게 자신의 사역을 집중하셨

    다.68)

    우리가 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것은 농촌에서 돈을 벌기 위해 도시

    로 이주한 가난한 사람들, 특히 농민공들은 복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집

    단이라는 것이다. 그들이 거하는 지역은 폐쇄된 농촌 촌락이나 고립된 중

    의 문제, 도시건강문제와 공공복지문제 등이었다. 나르시시즘이란 자기 자신을 사랑하

    고, 자아도취나 자의식 과잉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말이다. San Francisco A. M., Inter Varsity's Conference on Christ and the City, December 27, 1983.

    66) Charles Troutman, God So Loved the Third World: The Bible, the Reformation and liberation Theologies, Maryknoll, NY: Orbis, 1983.

    67) ‘가난’에 대한 히브리어의 뜻을 아래의 글에서 참조. “Thailand Report: Christian Witness to the Urban Poor”, Lausanne Occasional Papers 22, Wheaton,Ⅱ: Lausanne Committee for World Evangelization, 1980, 22-35.

    68) 복음서에서 예수께서 동정을 나타내신 사람들은 사회에서 버림받은 사람들(가난한자, 병든 자, 눈먼 자, 문둥병자, 여자, 어린아이, 창녀, 세리)이었다.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41

    산층 지역보다 더 복음에 잘 반응한다. 농민공들의 가난함은 복음에 긍정

    적인 반응을 하도록 만든다.

    중국도시교회는 가난한 사람들69)인 농민공들을 지속적으로 돌보아야

    할 의무가 있다. 가난한 사람들을 보살피기는 하지만 예수 그리스도에 대

    한 기쁜 소식을 들려주지 않고 무심히 지나친다면, 교회의 소명을 다하지

    못한 것이다. 반면에 가난한 사람들에게 복음을 외치면서도 가난한 사람

    들의 처참한 형편을 돌아보지 않는다면 그것 역시 예수 그리스도께서 맡

    기신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이다.70) 마태복음 25장 31절~46절의 양과 염

    소의 비유를 통해 기독교인이라면 예수 그리스도를 섬기듯이 주변의 가

    난한 자들을 마땅히 섬겨야하는 것임을 말씀하고 있다. “이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하지 아니한 것이 곧 내게 하지 아니한 것이니라”(마 25:45)는

    말씀을 통해 교회가 농민공들을 돕지 않는다면 그것은 교회의 사명을 제

    대로 감당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선교방법론적으로 볼 때에도 그들을 대할 때 함께 일하고 살아

    가는 가족의 개념이 아닌 시혜와 동정의 대상인 ‘불쌍한 타자’로 대하게

    된다면, 선교의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71) 예수께서는 가난한

    자들 가운데 가난한 한 사람으로 사셨다. 도시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삶

    을 본받아 가난한 가운데 고통당하는 농민공들을 가족으로 대해야 하며,

    그들에게 전인적이고 총체적인 방법으로 선교해야 할 것이다.

    69) 가난한 사람들의 심각한 수준은 실직과 저임금의 문제이며, 이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로는 비인간적인 환경과 도시 슬럼화와 기본적인 음식의 부족과 위생문제, 의료시설과 어

    린이들을 위한 교육 등이다.

    70) Frank Damazio, Developing The Prophetic Ministry, 최종훈 역, 『지역사회를 바꾸는 도시목회』, 서울: 베다니출판사, 2002, 236-237.

    71) 한건수, “타자 만들기: 한국사회와 이주노동자의 재현”, 『비교문화연구』 제9집 2호, 2003, 181-183.

  • 42 mission insight 6

    Ⅲ. 중국 농민공의 현황과 선교적 과제

    농민공 문제는 해를 거듭할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2년 동안 농

    민공들의 도시 정착률이 높아지면서 농민공 가운데 40세 이상이 2009년

    에 16.1%였으나, 2011년은 38.3%로 증가한 것72)을 볼 수 있다. 물론 외

    지농민공(外出農民工)73)의 경우 아직도 40세 이하가 81.8%로 주류를 이루

    고 있지만, 본지농민공(本地農民工)의 경우 40세 이상이 60.4%를 차지하면

    서 농민공의 가정이 도시에 정착하는 추세이다, 신세대 농민공74)의 경우

    는 더더욱 고향으로 돌아갈 의사가 없다. 도시에 있지만 도시인으로 살지

    못하는 농민공들은 경제적으로는 가난하고, 사회적으로는 수많은 혜택에

    서 제외되어지고 불이익과 무시를 견디며 살아가고 있다.

    본 장에서는 농민공의 현 상황을 자세히 살펴보고, 선교적 과제를 찾

    아가려고 한다. 먼저 중국의 도시화에 따라 농민공이 출현하게 된 경위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현재 농민공문제의 최전선에 서있는 신세대 농민

    공의 문제도 함께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중국국가통계국이 농민공에 대

    72) “2011年我國農民工調査監測報告”, 中國國家統計局, 2012.4.27., http://www.stats.gov.cn/tjfx/fxbg/t20120427_402801903.htm, 2012년 9월 27일 접속.

    73) Ⅰ. 서론 D. 용어의 정의 참조.74) 1980년-90년 이후 출생한 2세대 농민공, 중국에서는 新生代農民工으로 불리고 있다. 중

    화전국총공회(ACFTU)는 2010년 3월부터 5월까지 연구조사팀을 조직하여 랴오닝(遼寧), 광둥(廣東), 푸젠(福建), 산둥(山東), 쓰촨(四川) 등의 지역에서 청년 농민공을 대상

    으로 중국의 신세대 농민공에 관한 연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신세대

    농민공이라 불리우는 2세대 농민공은 ‘1980년대 이후에 출생한 16세 이상의 비농업분야에 종사하는 농업호구 인구’로 정의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들 농민공 중에서 젊은 신생

    대(新生代, 필자는 ‘신세대 농민공’이라 번역하겠다.) 농민공 계층이 중국 정부의 큰 관심

    을 받고 있다. “중국 신세대 농민공의 현황과 특징”, 『국제노동동향』 438호, 2010.6.29., http://www.koilaf.org/KFkor_new/korNationnews/bbs_read_dis.php?board_no=7711, 2012년 9월 27일 접속.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43

    해 올해 발표한 『2011年我國農民工調査監測報告, 2011년 농민공조사보

    고』를 통해 농민공의 현상황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농민공의

    총체적인 문제점을 정리함으로 선교적 과제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A. 중국도시화에 따른 농민공 출현

    중국은 현재 세계 도시화의 최선두를 달리고 있다. 봇물 터지듯 쏟아

    지는 농민공의 도시로의 이주는 향후 도시화의 정도를 가늠하게 해준다.

    도시화를 주도하는 농민공들이 도시에 출현 하게 된 원인과 특징, 그 중

    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최근 3년 전부터 핫이슈로 대두된 신세대

    농민공의 특징과 직업관념, 그들이 가진 갈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중국의 도시화

    지금 세계는 전례 없는 속도로 도시화되고 있다. 세계의 도시 비율

    은 1950년 28.3%에서 2010년에는 50%로 확대되었다.75) 뿐만 아니라 미

    국 소재 글로벌 미래연구 싱크탱크76)인 밀레니엄프로젝트(The Millennium

    Project/(사)유엔미래포럼)는 2009년 7월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세계미래학

    회 연례 컨퍼런스에서 ‘15대 지구적 도전과제’ 및 ‘미래사회 변화 동인’에

    대한 자체 연구 성과를 발표했는데, 앞으로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인구

    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50년에는 세계 총인구가 91억 5천만 명에 이

    를 전망이며, 특히 도시화의 진행으로 2030년 총인구의 80%가 도시 거

    75) “1991~2009년 기간 세계의 도시화 연구: 체계적인 연구 검토”, 2012.6.9., http://blog.naver.com/twkim2004?Redirect=Log&logNo=70139908016, 2012년 10월 17일 접속.

    76) 1996년에 NGO로 창립된 대표적인 글로벌 미래연구 싱크탱크는 현재 미국 워싱턴에 소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40개의 지부를 통해 다양한 연구 경험을 배경으로 하는 전세계 3,000여명 회원과 2만명 준회원의 학자 및 전문가와 네트워크 형성 중이다. 한국지부는 유엔미래포럼이다.

  • 44 mission insight 6

    주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했다.77)

    세계 도시화를 이끄는 중국의 거대한 인구 때문에, 세계인은 중국 도

    시화의 엄청난 효과를 체감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중국은 도시화 속도면

    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세계 경제성장의 동력일 뿐 아니라 세

    계 도시화의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구나 개혁정책의 효과로 도시화

    가 빨라지고 있다.78)

    중국의 도시화 과정은 길고도 더디게 진행됐다. 1000년부터 1820년

    까지 중국의 도시화율은 3.0~3.8%였고, 1890년에는 4.4%가 됐다. 이는

    도시화율이 1820년에 12%였다가 1890년에 30%를 웃도는 수준으로 상

    승한 유럽과 비교하면 엄청나게 느린 속도였다. 1970년대 초부터 개혁

    과 개방 정책이 시작될 때까지 도시화에는 전혀 진전이 없었고, 도시화율

    은 2.0%선에 머물러 있었다. 세계의 도시화는 가속화되고 중국의 도시화

    는 더디게 진행되던 1970년부터 1980년까지 연평균 도시 인구 증가율은

    2.87%를 기록했다. 1975년 당시 도시에 거주한 인구는 17.4%에 불과했

    다. 이는 세계 평균인 37.9%보다 20.5%가 낮은 수준이었다. 중화인민공

    화국이 성립79)된 후에도 도시화가 더딘 이유는, 마오쩌뚱 정부가 주장한

    중국의 도시화 정책은 거대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소형 도시의

    확대 증가였기 때문이다.80) 그렇기 때문에 1966년 이후 문화대혁명 때는

    농민이 도시유입을 철저하게 통제하기도 하였다.81) 중국의 도시발전과

    77) “미리가본 2019년-유엔미래보고서”, 2010.7.31.,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11&dirId=11&docId=1335013&qb=66+466as6rCA67O4IDIwMTnrhYQt7Jyg7JeU66+4656Y67O06rOg7ISc&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1, 2012년 6월 25일 접속.

    78) 후안강, 이은주 역, 『2020년 중국』, 서울: 21세기북스, 2011, 148.79) 1949년 10월 1일 베이징 20만 군중이 천안문광장에서 창립 행사를 하였다. 이날 중앙

    인민정부주석 마오쩌둥 주석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 정식성립”이라고 선언하

    였다.

    80) 후자오량, 윤영도 역, 『중국 경제 지리를 읽는다』, 서울: Humanist, 2005, 315.81) 이민자, “중국 농민공과 호적제도 간의 모순”, 『한국정치학회보』 32권 1호, 2005, 247.

  • 중국 농민공 선교전략 연구 ◆ 조정희 45

    도시화는 정체 상태, 심지어는 ‘역방향 도시화’가 진행되기도 했으나,82)

    개혁개방 이후 시장경제 요소가 확대되면서 도시발전과 도시화가 급속하

    게 진행되고 있다.

    개혁개방 정책의 실시로 인하여 1978년부터 중국의 도시화가 가속화

    됐다.83) 1980년부터 2000년까지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 비율이 16.8%로

    증가의 단계로 진입했다. 도시인구가 늘어난 이유는 이들이 주로 농촌지

    역에서 왔기 때문이다. 농업부(Ministry of Agriculture)에 따르면 1982년부

    터 2000년까지 2억 675만 명의 농촌 인구가 도시로 이동했다고 한다. 이

    는 전체 도시 인구의 45%에 해당하며 새로 증가한 도시 인구의 84.6%에

    해당하는 것이다. 같은 기간에 도시로 이동한 농촌 노동자 수는 1억 960

    만 명으로 이는 전체 도시 노동자 수의 45.8%에 해당하며 새로 증가한 도

    시 노동자 수의 94.3%에 해당하는 것이다.84)

    이 기간에 이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