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
KEEI 사우디아라비아 Country Profile Country Profile

KEEI c Ä · 2020. 1. 10. · KEEI c Ä : Country Profile À Ñ Ë ³ Country Profile KEEI K OREA E NERGY E CONOMICS I NSTITUTE c Ä Ä À Ñ Ë ³ Ý (D ô & r Ú 2 y I Ñ IUUQ XXX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KEEI

    사우디아라비아

    Country ProfileCountry Profile

    에너지경제연구원

    Country ProfileK

    EE

    I

    KK O R E A EE N E R G Y EE C O N O M I C S II N S T I T U T E

    사우디아라바아

    에너지경제연구원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665-1, (우)437-713전 화 : 031-420-2114팩 스 : 031-422-4958홈페이지 : http://www.keei.re.kr

    ̃`˘fi‚fi˙`•˛¨› ˇ˙¥` (» ¿ ) 2007.12.27 8:47 AM ˘ ` 1 ”æ ”æ (2285-3382-3)

  • - -i

    차 례

    Ⅰ. 국가 개관 ·······································································································1

    1. 일반사항 ···················································································································1

    2. 외교 ···························································································································5

    3. 한국과의 협력관계 ·································································································8

    Ⅱ. 경제 현황 ·····································································································11

    1. 국내 경제 ·············································································································11

    2. 국제 경제 ·············································································································17

    3. 주요 경제정책 이슈 ···························································································21

    Ⅲ. 에너지․자원 행정조직 및 정책 동향 ···················································23

    1. 에너지․자원 행정 조직 ·····················································································23

    2. 에너지자원 정책 ···································································································27

    3. 에너지자원 분야 국제 협력 현황 ·····································································32

    Ⅳ. 에너지자원 산업 현황 ···············································································34

    1. 에너지자원 기본통계 ···························································································34

    2. 석유산업 ·················································································································39

    3. 가스산업 ·················································································································56

    4. 전력산업 ···············································································································62

    5. 광물산업 ·················································································································69

    참고 문헌 ············································································································71

  • - -ii

    표 목 차

    사우디아라비아 국가 개요 ·············································································1

    사우디아라비아 경제 개요 ·············································································2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 및 환경개요 ···························································3

    한․사우디 주요 협정 ·····················································································9

    한․사우디 정치외교 관계 ·············································································9

    한․사우디 주요 인사교류 ···········································································10

    정부 간 협의 기구 및 친선단체 ·································································10

    주요 국내 경제지표 ·······················································································12

    8차 5개년 계획기간 중 분야별 투자계획 ·················································14

    경제도시 개발계획 총괄 ·············································································15

    주요 국제 경제자료 ·····················································································18

    한․사우디 교역 동향 ·················································································18

    한국의 사우디 원유 수입현황 ···································································19

    2005~2006년도 한국기업 수주실적 ···························································20

    사우디 수출입 주요 대상국 ·······································································21

    아람코 석유․가스유전 ···············································································35

    사우디 석유․가스전 개발현황 ·······························································36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 자원 현황(2005) ················································36

    사우디 주요 유전현황 ·················································································42

    아람코 상류부문 석유프로젝트(2011년까지) ··········································44

    사우디 석유․가스전(사우디-쿠웨이트 중립지역 포함) ·······················45

    석유 수출현황 ·······························································································48

    원유생산 및 정제능력 현황과 전망 ·······················································49

    사우디 정제시설 참여 업체현황 ·····························································49

    사우디 정제시설 현황(2005년) ································································50

    아람코의 주요 유전 증산 개발현황 ·························································53

  • - -iii

    Saudi Aramco의 해외 투자현황 ·······························································56

    사우디아라비아 천연가스자원 현황 ·························································58

    사우디아라비아 천연가스전 시추현황 ·····················································60

    유형 및 기간별 발전능력 확충 ·································································64

    송전선 확장 ···································································································64

    7개 생산 프로젝트 ·······················································································66

    SEC의 IPP(Independent Power Plant) 프로그램(2007년) ···················66

  • - -iv

    그 림 목 차

    [그림 1] 정부조직, 기능 및 권한 ················································································4

    [그림 2] 사우디아라비아 산업구조 ···········································································11

    [그림 3] 석유, 가스 산업 정부 조직체계 ································································23

    [그림 4] 석유, 가스자원 분포도 ················································································35

    [그림 5] OPEC의 석유매장량 비중 ··········································································36

    [그림 6] 에너지원별 소비현황 ···················································································37

    [그림 7] 부문별 에너지 소비 ·····················································································38

    [그림 8] 사우디아라비아 석유매장량 ·······································································39

    [그림 9] Ghawar, Safaniya 유전 ···············································································40

    [그림 10]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생산(2000~2015년) ················································41

    [그림 11] 사우디-쿠웨이트 중립지역 ········································································42

    [그림 12] 아람코 국내․외 운영시설 현황 ·····························································54

    [그림 13] 사우디아라비아 천연가스 매장량 ···························································57

    [그림 14] 가스 생산 공정 ···························································································62

    [그림 15] 사우디아라비아 전력생산량과 소비 ·······················································63

    [그림 16] GCC 국가 전력계통 연계 ·········································································68

    [그림 17] 주요 광물자원 분포도 ···············································································70

  • - 1-

    Ⅰ. 국가 개관

    1. 일반 사항

    □ 국가 개요

    사우디아라비아 국가 개요

    항 목 내 용

    국명 사우디아라비아 왕국(Kingdom of Saudi Arabia)

    수도 리야드(Riyadh)

    국토면적 약 215만 ㎢

    인구(‘06년) 약 2,363만 명(사우디인 1,725만 명, 외국인 638만 명)

    민족 아랍인(베두윈 27%, 기타 아랍정착민 73%)

    기후 고온 건조한 대륙성기후

    공식 언어 아랍어

    종교 이슬람교 - 대부분 순니파, 동부에 소수 시아파거주

    정부형태 이슬람군주국(정교일치의 국왕중심제)

    국가원수 Abdullah bin Abdul Aziz Al-Saudi 국왕

    의회없음. 의회와 유사한 기관으로 국정자문회의(Majlis As-Shura)

    설치운영

    사법제도코란 및 샤리아(이슬람법)가 재판의 기본, 3등급의 법원 및 사법

    감독위원회 설치

    군사제도 지원병제

  • - 2-

    □ 경 제

    사우디아라비아 경제 개요

    구 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p

    실질 GDP (10억 SR) 637.2 686.0 722.2 769.5 815.3f

    실질 성장률(%) 민간부문 성장률(%) 공공부문 성장률(%) 석유부문 성장률(%)

    0.13.82.4

    -8.5

    7.74.42.6

    18.6

    5.35.72.26.6

    6.56.67.16.1

    6.06.14.96.3

    명목 GDP (10억 SR) 707.1 804.6 938.8 1,160.7 1,319.7f

    1인당 GDP(SR) 32,821 36,608 41,688 50,292 55,848

    사우디인 1인당 GDP(SR)

    45,296 50,259 57,172 68,969 76,504

    총 인구(백만) 21.44 21.98 22.53 23.08 23.63

    사우디인 외국인

    15.615.83

    16.015.97

    16.426.11

    16.836.25

    17.256.38

    총 노동인구(천) 8,244.7 8,278.1 8,281.8 8,520.0 8,707.6

    사우디인 외국인 공공부문 민간부문

    3,108.15,136.61,053.47,191.3

    3,303.34,974.81,072.77,205.4

    3,536.34,745.51,105.47,176.4

    3,741.34,778.71,151.97,368.1

    4,017.44,690.21,193.37,514.3

    상품수출(FOB-10억 SR) 271.7 349.7 472.5 677.1 784.5

    석유(원유, 정제품) 기타(비석유)

    239.332.4

    308.541.1

    415.357.2

    604.772.4

    707.177.4

    상품수입(CIF-10억 SR) 121.1 138.4 167.8 222.8 250.2

    상품무역수지 (FOB-10억 SR)

    160.7 222.7 318.6 470.9 557.1

    경상수지(10억 SR) 44.5 105.2 194.7 337.7 357.7

    원유생산(백만 b/d) 7.1 8.4 8.9 9.5 9.1

    순공식외화자산 291.3 367.3 479.7 725.5 899.8

    환율(SR/US$) 3.75 3.75 3.75 3.75 3.75

    총고정자본형성(GFCF) 130.0 145.2 154.8 168.5 184.7fp: Preliminary estimates,

    f: forecasts

  • - 3-

    □ 에너지 및 환경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 및 환경개요

    항 목 내 용 항 목 내 용

    석유확인매장량

    (2007/1/1)

    2,598억 배럴

    (중립지역포함)

    전력생산용량

    (2004)29.1 GW

    석유생산량

    (2006)

    1,070만 b/d

    (원유 920만 b/d,

    NGLs 150만 b/d,

    기타 8만 b/d )

    전력생산량

    (2004)155.3 BkWh

    석유소비량

    (2006)210만 b/d

    총에너지소비

    (2004)6.1천조 Btu

    원유생산용량

    (2006/12)1,050~1,100만 b/d

    일인당총에너지

    소비량(2004)236.5백만 Btu

    잉여생산능력

    (2006/12)170만~220만 b/d

    에너지 집약도

    (2004)17,554 Btu

    원유정제용량

    (2007/1/1)210만 b/d

    에너지관련

    이산화탄소

    배출량(2003)

    365.1 MMT

    (세계 배출량의 1.3%)

    순 석유수출량

    2004 810만 b/d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2003)

    14.2 MT

    (미국은 20.2 MT)2005 860만 b/d

    2006 880만 b/d

    천연가스 매장량

    (2007/1/1)

    240 tcf

    (중립지역 포함)

    이산화탄소

    집약도(2003)1.05 MT

    천연가스

    생산량/소비량

    (2004)

    2.32 tcf 주요 환경문제

    사막화, 지하수원 고갈,

    관개용수 및 담수물 부족,

    기름유출로 인한 해안가

    오염

    총에너지생산

    (2004)21.2천조 Btu

  • - 4-

    □ 정부 형태

    ◦ 1992년 3월 제정 공포된 정부 기본조직에 관한 칙령에 의해 정치·종

    교일치의 절대군주국 형태의 정부를 운영함.

    ◦ 국왕은 입법·사법·행정의 3권을 행사하며, 종교의 수장을 겸하고 있음.

    [그림 1] 정부 조직 기능 및 권한

    □ 의회 및 정당

    ◦ 국민의 직접선거에 의한 의회나 정당은 없으나 1992년 3월 자문위

    원회법(Majlis Ash-Shura) 개정에 관한 칙령에 따라 국왕이 임명한

    90명의 위원으로 자문 위원회를 구성, 정부 주요 정책을 심의 권고

    함.(2005년 위원수를 150명으로 확대)

    ◦ 왕족으로 구성된 왕실위원회와 종교지도자 회의가 국왕 선출 등 국

    가의 중대사를 결정하는 데 큰 영향력을 발휘함.

  • - 5-

    □ 행 정

    ◦ 국왕은 왕실위원회와 국무회의를 주재, 국정을 총괄함.

    - 국무회의는 총리, 제 1 부총리 및 21개 부처 장관과 7명의 무임소

    장관 등 28명으로 구성되어 있음.

    - 현재 압둘라 국왕이 총리를 겸임하고 있고, 술탄 왕세제가 제 1 부

    총리 및 국방부장관직을 겸직하고 있으며, 내무부장관, 각 주지사

    등 군부 및 경찰을 포함한 주요 요직을 왕자들이 장악하고 있음.

    ◦ 각료 및 주요 군지도부는 왕이 직접 임명함.

    ◦ 지방행정조직은 사우디아라비아를 13개 주로 나누고 이들 13개 주

    의 주지사들은 거의 왕실에서 임명한 왕자들이 맡고 있음. 또한 각

    주에는 내무부 장관이 임명하는 정원 30명의 주 자문위원회가 있음.

    - 2005년 압둘라국왕의 정치개혁의 일환으로 사우디 역사상 최초로

    실시된 지방의회선거를 통해 동 12월에 178개의 지방의회

    (Municipality Council)가 구성됨.(각 지방의회는 선출직의원 592명

    과 임명직 592명으로 구성)

    ◦ 이 밖에 하지순례 및 희사를 담당하는 부처와 전국의 사원 및 이슬

    람 기관을 담당하는 부처 및 국민들로부터 세금이 아닌 성금을 거

    두는 쟈카트청 등을 두고 있음.

    2. 외교

    □ 외교정책 기조

    ◦ 사우디아라비아는 주권존중, 독립, 내정 불간섭 원칙 하에서 모든

    국가들과 우호선린관계 유지, 상호협력 증진, 적대행위 금지 및 분

    쟁의 평화적 해결을 추구

  • - 6-

    □ 주요 외교 사안별 입장

    ◦ 걸프지역 안보체계

    -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GCC 6개국은 개별 회원국에 대한 침략

    을 GCC 전 회원국에 대한 침략으로 간주한다는 기본방침(1997년

    11월 Doha GCC 국방장관 회의 성명)하에 안보협력을 강화하고

    있음.

    ※ GCC (Gulf Cooperation Council) 걸프협력회의는 1981년 5월에 걸프만

    의 6개 아랍산유국이 역내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결성한 지역협력기구

    - 걸프지역 GCC 6개국 군사 공동조직인 ‘걸프방패군’의 본부를 사우

    디에 두고 있으나 병력 및 장비의 미비로 걸프 전체 방위조직으로

    는 미약한 상태임.

    ◦ 아랍 이스라엘 분쟁 (팔레스타인 입장 지지)

    - 1991년 10월부터 시작된 미국주도의 중동평화협상을 적극 지지하

    며, 미국과 긴밀한 협조 아래 다자간 협상 등에 참여한 바 있음.

    - 유엔 안보리 결의 242 및 338 에 근거한 아랍․이스라엘 분쟁 해결

    을 지지하며, ‘land for peace’ 원칙에 입각 모든 아랍점령지에서

    이스라엘이 철수할 것을 주장함.

    - 2002년 당시 왕세제였던 압둘라 국왕은 상기 내용을 골자로 한 아

    랍평화안(Arab Peace Initiative) 제시

    ◦ 테러문제

    - 2005년 2월 리야드에서 테러척결을 위한 ‘대테러국제회의’ 개최 등

    국제공조 노력 강화, 동 대테러국제회의에서 참가국들은 리야드 선

    언을 채택하고 압둘라 당시 왕세제가 제안한 ‘대테러 국제센터’ 설

    립을 결의

  • - 7-

    □ 대외 관계

    ◦ 중동 국가들과의 관계

    - 이슬람, 아랍 국가들과 전통적으로 우호관계를 형성하고 있음.

    - 이라크의 불안정한 사태로 인해 사우디 정세가 영향을 받을 것을

    우려하고 있으며, 이라크내 대미 항전세력에 사우디인들의 참여에

    대해 이들이 향후 주재국 안정에 위협요소가 될 것임을 경계함.

    - 또한 2003년 사담 후세인 정권 붕괴 이후 줄곧 이라크에서의 시아

    파 회교도의 영향력 증대에 우려를 표명해 온 바, 시아파 세력이

    이란과 연대할 경우에 자국 및 GCC 역내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음.

    ◦ 대미 관계

    - 9.11 테러 이후 양국 관계 악화가 우려되었으나, 이라크 전쟁을 포

    함한 미국이 요구하는 대테러 협력에 사우디가 전적으로 참여함으

    로써 양국 지도부간 관계가 좋은 상태임.

    - 특히 2003.5.12 리야드 테러 사건으로 Al-Qaeda 등 테러 단체들의

    표적이 사우디 정부로 전환됨으로써 사우디 정부는 대테러 관련 미

    국과의 협력에 매우 적극적인 자세로 변했음.

    ◦ 서방국가와의 관계

    - 거의 모든 서방국가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

    - 현 압둘라 국왕이 왕세제 시절인 2003년 9월 러시아를 방문함으로

    써 그 동안 정치이념 차이, 사우디의 구소련 당시 아프간 반군지원,

    체첸 반군지원 등으로 소원해진 양국관계가 개선되는 계기가 되었

    으며, 양국간 원유, 대테러 분야 협력관계를 구축함.

    ◦ 대 이스라엘 관계

    - 이스라엘을 적대시하며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많은 자금을 지원

    하고 있음.

  • - 8-

    - 2005년 12월 WTO 가입과 관련하여 표면적으로는 WTO 회원국인

    이스라엘과의 정상적인 무역거래관계를 부인하지 않고 있으나, 실

    제로는 적대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 대 아시아, 아프리카 관계

    - 압둘라 국왕 취임 이후 석유산업 의존을 탈피하기 위한 각종 개혁

    정책을 추진하고 ‘06년 1월 중국 등 아시아 5 개국을 순방하는 등

    대 아시아 외교를 강화하고 있음.

    3. 한국과의 협력관계

    □ 산업기술 및 투자협력관계

    ◦ 한-사우디는 산업구조의 경합도가 크지 않고 자본․기술 등 보완적

    요소를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 보유

    - 그러나 양국 간 문화적 차이, 사우디의 산업기반 취약 등으로 인해

    실질적 협력은 아직 활발하지 못한 상태

    ◦ 우리의 대 사우디 진출은 규제회피, 수주지원을 위한 소극적 투자가

    주류이고 자원개발시장 투자, 기술협력 등 분야는 극히 미약

    ◦ 사우디의 대한국 투자도 아직 탐색단계로서 Aramco사의 대 S-Oil투

    자를 제외하고는 소액 또는 포트폴리오형 투자 위주임.

    ※ 한-사우디간 투자 누계(순신고 기준)

    - 한 → 사우디 : 71건 $102백만(‘05.12)

    - 사우디 → 한 : 18건 $239백만(‘04.4 :1991년 Aramco의 S-oil 4억불

    투자 제외)

    ◦ 정부간 주요 협정체결 현황

  • - 9-

    한․사우디 주요협정

    체결일 협정 내용

    1974. 1. 19 한-사우디 경제기술협력협정(1975.1.19 발효)

    1974. 7. 5 한-사우디 문화협정(1975.8.4 발효)

    1976. 11.12 한-사우디 문화협정(1975.8.4 발효)

    1984. 10 감천항 개발차관 협정

    1990. 2.. 29 한-사우디 항공운수소득면세협정(1991.7.18 발효)

    1991. 1. 22 사우디에서의 한국의료단활동에 관한 협정(1991.2.23 발효)

    1997. 4. 23 한-사우디 교육교류약정

    2002. 4. 4 한-사우디 투자보장협정

    2007. 3. 24

    한-사우디 이중과세 방지협정

    한-사우디 고등교육 협력약정 (MOU)

    한-사우디 IT 협력약정 (MOU)

    출처: 외교통상부

    한․사우디 정치외교 관계

    1962. 10. 16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합의

    1973. 7. 9 駐사우디 대사관 개설

    1975. 4. 21 駐韓 사우디 대사관 개설

    - 사우디는 유엔, 비동맹기구 등 국제무대에서 평화통일 정책 등 우

    리의 입장을 적극 지지해온 주요 우방국 중의 하나이며, 우리에게

    제1위 원유 공급국으로서 중동지역 최대의 교역 대상국임.

    - 양국 정상급 인사의 상호방문은 사우디-한국 우호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를 마련함.

  • - 10-

    한․사우디 주요 인사교류

    주요 인사교류

    사우디

    Abdullah 왕세제(현 국왕) 방한(1998)

    리야드 주지사 Salman 왕자 방한(1999)

    제 2부총리겸 국방․항공장관 Sultan 왕자(왕세제) 방한(2000)

    한 국

    이한동 국무총리 사우디 방문(2001)

    이해찬 국무총리 사우디 방문(2005.8, 2005.11)

    노무현 대통령 사우디 방문(2007.3)

    정부 간 협의 기구 및 친선 단체

    정부 간 협의 기구 및 친선 단체

    명 칭 현 황

    한국-사우디 공동위원회

    수석대표 한 국 : 통상교섭본부장 사우디 : 통상산업부장관

    2004. 6 제 13차 회의개최(Jeddah)

    한국-사우디 석유광물자원 협력위원회

    2005. 11 제 3차 회의개최

    사우디-한국 의원친선협회

    2004. 1 최초 결성2005. 6 재결성

    임 원 수 11명

    한국-사우디 의원친선협회

    2005.2 결성

    임 원 수 7명

    한국-사우디 민간경제협력위원회

    1998.11 결성

    설립목적양국간 민간경제교류 촉진, 통상․투자의 증대, 경제․기술협력 강화와 양국 기업간의 상호이해 및 친선도모

    위 원 장한 국 : 김선동 에쓰오일(주)회장사우디 : Al-Jeaisy 리야드 상공회의소 회장

    한국-사우디 친선협회

    사우디: 2003.12결성, 한국: 2004.6결성

    회 장한 국 : 이종천사우디 : 무함마드 오스만 아무르그룹회장

    출처: 외교통상부, 한-사우디 민간경제협력위원회

  • - 11-

    Ⅱ. 경제 현황

    ◦ 자원 국가의 특성상 석유, 가스 산업이 전체산업 생산의 46%를 차

    지하며 이슬람 성지순례 등으로 인한 관광 산업의 발달로 서비스업

    이 그 뒤를 이음.

    [그림 2] 사우디아라비아 산업구조

    1. 국내경제

    □ 고유가에 힘입어 2003년 이후 제 2의 경제도약

    ◦ 2001~2002년, 걸프전 발발 등 역내 정정불안 및 저유가의 여파로

    1% 미만의 저성장을 기록하였으나, 2003년 이후 역내 정치상황이

    안정되고 기록적인 고유가가 이어지면서 2005년까지 평균 6.5%이상

    의 고도성장을 기록한 바 있음.

    ◦ 2006년에는 4/4분기에 단행된 유가조정을 위한 자발적 석유감산으

    로 경제 성장률이 다소 둔화되어 4.2%의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추

    산됨.

  • - 12-

    주요 국내 경제지표

    구분 단위 2002 2003 2004 2005e 2006f

    GDP ⁇U$억 1,888 2,148 2,506 3,099 3,5231인당 GDP U$ 8,764 9,775 11,132 13,429 14,913

    경제성장률 % 1.1 7.7 5.3 6.5 4.2

    물가상승률 % 0.23 0.59 0.33 0.72 2.20

    재정수지/GDP

    % -2.9 4.5 11.4 18.8 20.3

    출처: EIU contry report 각호, 사우디 경제기획부(‘07년 4월통계), 한국수출입은행

    ◦ 다만, 비석유 민간부분은 정부의 대규모 투자와 지속적인 육성정책

    에 힘입어 6.3%의 성장을 기록하여 지난 5년간 동 부문 평균 성장

    률 4.7%를 크게 상회하였음.

    □ 재정수지 흑자 대폭 확대

    ◦ 2003년 $96억 규모 재정수지 흑자 전환이후, 2004년 $261억 흑자를

    기록한데 이어, 2005년에는 대규모 공공지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571억의 흑자를 기록하여, GDP 대비 비율은 18.8%로 확대됨.

    ◦ 2006년에도 4/4분기 단행된 석유 감산에도 불구하고 사우디 정부는

    $700억 내외의 사상 최대의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산됨.

    □ 물가안정

    ◦ 사우디 정부는 광범위한 보조금 지급을 통한 생필품 가격 조정, 외

    국인 근로자 유입을 통한 임금 인하 등의 요인에 힘입어, 2003년 이

    후의 고성장 속에서도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1%미만을 기록함.

    ◦ 이러한 물가 안정 요인에도 불구하고 2006년에는 경제 활황에 따른

    식음료품을 중심으로 한 소비 수요의 급격한 증가로 소비자 물가상

    승률은 2.2%를 기록, 비교적 급격한 상승세를 기록하였음.

  • - 13-

    □ 석유 의존적 경제구조

    ◦ 석유산업이 총 국가 GDP의 43%, 재정수입의 64%, 수출의 88%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국가 경제구조가 편중되어 있어 유가변동에

    따라 경기가 급격히 변동되는 석유 의존적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음.

    □ 중동의 정치, 경제 중심국

    ◦ 사우디아라비아는 2005년 말 기준, 전 세계 확인매장량의 22%, 3.8%

    에 달하는 2,642억 배럴의 석유(세계 1위)와 6조 9천억 ㎥의 천연가

    스(세계 4위)를 보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 에너지부국이며, 한반도의

    10배가 넘는 국토와 2,500만 명에 달하는 인구를 보유한 중동 정

    치․경제의 중심 국가임.

    □ 비석유부문 및 민간 부문 육성을 통한 고용 창출과 경제구조의

    탈석유화 도모

    ◦ 사우디 정부는 최근 유입된 막대한 오일머니를 기반으로 강력한 경

    제구조 다양화 정책을 펼치고 있음.

    ◦ 이러한 정책은 크게 5대 경제도시 개발, 석유화학산업 육성, 국영광

    물공사(Ma'adin) 중심의 광업개발, 기타 제조업 및 관광산업 등 민

    간 부문 육성을 통한 실업문제 해결 및 교육 프로그램 개혁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음.

    □ 제 8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05~2009년)

    ◦ 신임 국왕은 중동지역 전쟁 발발 이후 눈에 띄게 퇴보한 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심각한 수준인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5년 11월 8차 경제개발 계획을 발표함.

    ◦ 동 계획에는 향후 5년간 연평균 4.6% 이상의 경제성장을 시현하고,

    실업률을 2004년 7%에서 2009년 2.8%로 낮춘다는 목표를 담고 있음.

  • - 14-

    ◦ 사우디의 실업률은 정부 공식통계(여성 제외)에 의하면 2005년 기준

    8% 대이나, 실제로는 남성의 경우 20~30%, 여성의 경우 10%만이

    일자리를 갖고 있는 심각한 상황으로 알려지고 있음.

    ◦ 사우디 정부발표에 의하면, 제 8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기간(2005~

    2009) 중 투자(공공 및 민간부문 포함) 금액은 총 $2,786억으로서 제

    7차 개발계획(2000~2004) 기간의 실제 투자금액 보다 56.6% 확대된

    계획임.

    - 이 중 원유 및 천연가스부문에 $332억, 정유 $32억, 석유화학 $271

    억, 전력, 가스 및 수처리 부문에 $554억 등 4대 플랜트 분야에

    $1,189억이 투자될 계획임.(7차 기간 대비 56.7% 증가)

    8차 5개년 계획기간 중 분야별 투자계획

    (단위: 억불)

    구 분7차(2000~2004년) 8차(2005~2009년) 증감률

    (%)금액 비중 금액 비중

    총계 1,779 100 2,786 100 56.6

    A.원유 및 천연가스 184 10.4 332 11.9 80.4

    B.비석유부분 1,595 89.6 2,454 88.1 53.9

    1.상품생산부분 739 41.5 1,170 42.1 58.9

    1.1.농림수산 50 2.8 87 3.1 72.9

    1.2.비석유광업 및 채석 4 0.2 9 0.3 150.0

    1.3.제조산업 251 14.1 477 17.1 90.1

    1.3.1.석유정제 24 1.3 332 1.2 36.0

    1.3.2.석유화학 139 7.8 271 9.7 95.2

    1.3.3.기타 제조산업 88 5.0 173 6.2 96.4

    1.4.전력, 가스 및 수처리 412 23.1 554 19.9 34.6

    1.5.건설 23 1.3 44 1.6 92.9

    2.서비스 분야 606 34.1 974 35.0 60.6

    2.1.유통 68 3.8 95 3.4 39.5

    2.2.교통 및 통신 66 3.7 121 4.3 83.4

    2.3.금융,보험,부동산 및 서비스

    445 25.0 700 25.1 57.5

    2.3.1.부동산서비스 389 21.8 606 21.7 56.0

    2.3.2.금융, 보험, 비즈니스 서비스

    56 3.1 94 3.4 68.1

    2.4.커뮤니티 및 개인서비스 28 1.6 57 2.1 106.7

    3.정부서비스 250 14.0 310 11.1 24.4

    출처: Ministry of Ecomony and Planning of Saudi Arabia

  • - 15-

    ◦ 5대 경제신도시 개발계획

    - 사우디 정부는 2005년 12월 홍해 연안의 항구도시인 Rabigh에 총

    $270억을 투자하여 King Abdullah Economic City라는 산업신도시

    개발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물류, 제조업 육성, 교육, 금융, 관광,

    지식 등 지역별 여건과 특색에 맞는 테마를 중심으로 총 5개의 경

    제 신도시 개발 계획을 발표함.

    - 외국인 투자 유치 확대를 통한 제조업 기반 확충 및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석유산업 위주의 산업을 다각화하는 등 미래 사우디 경

    제의 신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장기 전략의 일환임. 

    경제도시 개발계획

    프로젝트명칭

    (신도시명)

    King Abdullah Economic City

    (KAEC)

    Prince Abdul Aziz Ibn Musaed

    Economic City (PABMEC)

    Medinah Knowledge

    Economic City (MKEC)

    Jizan Economic City(JEC)

    위 치홍해 연안 Rabigh

    (Jeddah북부)북부 내륙의

    Hail홍해 연안 Medinah

    홍해 연안 Jizan(남부)

    총투자규모(US$억)

    260 80 70 76

    고용효과 100 만 3 만 2.5 만 50 만

    Developer EEC Rakisa Holding Savola MMC

    프로젝트발표

    2005.12 2006.6 2006.6 2006.11

    프로젝트기간

    10년(2009년 최초 입주

    예정)10년 계획   30년 계획

    주요 사업

    신항만 건설산업단지

    (petro-Rabigh)교육단지금융단지

    리조트/주거단지

    공항 및 철도건설

    농업 및 광업단지

    교육단지주거단지

    물류종합 센타

    KBI(knowledge Based

    Industry)IT산업단지

    의학.생명과학센타

    이슬람문화센타 

    농업 및 어업단지물류

    종합센타발전 .

    담수플랜트주거단지

    항만의 확장

    출처: KOTRA

  • - 16-

    □ 신규 프로젝트

    ◦ 석유화학, 발전 및 담수, 시멘트공장 등 각종 플랜트건설시장이 지

    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사우디는 담수 생산 공장 건설, 하수정화 처리시설 등 수자원 부문

    에 2024년까지 $463억을 투자할 계획임.

    - 담수 및 전력을 민간중심으로 생산하고 운영하는 독립 수력 프로젝

    트를 지속적으로 추진 계획

    ∙ 수력발전회사(담수청과 사우디전력회사 합작회사) 주관으로 사

    우디정부에서 40%의 재원을 부담하고, 60%의 재원은 민간부문

    이 담당하는 독립 프로젝트를 수행 중

    ◦ Jubail 및 Yanbu지역을 중심으로 석유화학공장 건설이 활발하게 추

    진되고 있으며, 2020년까지 SABIC과 민간 석유화학회사를 중심으로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을 위해 $1,400억을 투자할 계획

    ◦ 사우디는 2005년 12월 Rabigh지역(홍해연안 Jeddah 북부 150Km 지점

    위치)에 세계적 규모의 항만, 산업단지, 금융단지, 주택단지, 교육단

    지를 포괄하는 복합기능을 갖춘 「King Abdullah Economic City」

    건설계획(공사비 $267억 규모)을 발표, 향후 민자 유치를 통한 동 프

    로젝트 건설이 본격 추진될 것으로 예상됨.

    □ 사우디아라비아 중장기 투자계획

    ◦ 사우디 정부는 다음과 같이 향후 15년간 약 $7,000억 규모의 중장기

    투자계획 발표

    - 사회인프라 구축 : $1,407억

    - 석유화학부문 개발 : $920억

    - 전력 및 수자원 개발 : $1,780억

    - 통신부문 : $600억

  • - 17-

    - 관광부문 : $533억

    - 천연가스 개발 : $500억

    - 농업부문 개발 : $283억

    - 정보기술(IT) : $107억

    - 교육분야 : $100억

    2. 국제경제

    □ 경상수지 흑자 확대

    ◦ 2003년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경상수지 흑자폭은 2006

    년에도 석유 중심의 상품수출이 전년대비 18.9% 증가하였으며,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은 29.9%에 달함.

    ◦ 사우디 수출의 87%가 석유제품에 편중되어 있으며, 2007년 유가 안

    정기조가 예상되는 가운데 사우디의 경상수지 흑자폭은 다소 축소

    될 것으로 예상됨.

    □ 외채상환 부담 낮은 편

    ◦ 외자도입을 동반한 대규모 공공 인프라 건설프로젝트의 수행으로

    사우디의 외채규모는 다소 늘어났으나, 동시에 대외투자자산 규모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어 상환 불능 위험은 매우 낮은 편임.

    ◦ 2006년 사우디 외채상환 비율(D.S.R.) : 2% 수준

    - 중앙은행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SAMA(Saudi Arabian Monetary

    Agency)는 2006년 말 기준 대외투자자산은 $2,220억에 달해 사상

    최고를 기록하였다고 발표한 바 있음.

  • - 18-

    주요 국제 경제자료

    (단위 : $백만, %)

    구분 2002 2003 2004 2005 2006f

    경상수지 11,873 28,048 51,926 87,132 102,700

    경상수지/GDP 6.3 13.1 20.7 28.2 29.9

    상품수지 42,840 59,376 84,948 123,308 142,400

    수출 72,464 93,244 125,998 174,635 199,100

    수입 29,624 33,868 41,050 51,327 56,700

    외환보유액 16,715 17,662 23,273 24,074 25,971

    총외채잔액 23,380 34,960 28,500 30,000 46,600

    총외채잔액/GDP

    12.4 11.6 11.4 9.7 13.4

    D.S.R.(외채상환비율)

    3.4 2.5 2.0 2.0 2.0

    출처: EIU country report 각호, 한국수출입은행

    □ 한․사우디 교역동향

    ◦ 2006년 대 사우디아라비아 수출은 42.3% 늘어난 $29억 7,830만, 수

    입은 27.6% 늘어난 $205억 5,211만을 기록, 무역 수지 적자는 $175

    억 7,381만으로 전년보다 적자폭이 25.4% 증가함.

    - 총 교역량은 $235억 3,000만으로 29.3% 증가

    한․사우디 교역 동향

    (단위 : $100만, %)

    구분2004년 2005년 2006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교역 13,508 26.5 18,199 34.7 23,530 29.3

    수출 1,708 21.2 2,093 22.5 2,978 42.3

    수입 11,800 27.3 16,106 36.5 20,552 27.6

    수지 -10,092 -28.4 -14,013 -38.8 -17,573 -25.4

    출처: KITA 한국무역통계

  • - 19-

    ◦ 대 사우디 수출은 2003년 이후 연속 두 자리 수 증가세를 유지

    2002년까지의 부진에서 탈피, 2006년에는 40%대의 높은 신장세를

    기록함.

    - 이는 원화강세에 따른 가격 경쟁력 약화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오일

    머니 유입에 따른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 활성화와 함께 자동차를

    중심으로 하는 주력 수출상품의 수출 호조에 기인함.

    - 우리나라는 원유 수입의 30% 정도를 사우디에 의존하고 있는 바,

    사우디는 걸프전·이라크전 등과 같은 국제석유위기 발생 시 우리가

    원유를 조달할 수 있는 제1위의 전략적 공급원임.

    한국의 사우디 원유수입현황

    구  분 2002 2003 2004 2005 2006

    전체물량(백만배럴) 791 805 826 843 884

    금액($백만) 19,173 23,132 29,873 42,461 55,888

    사우디

    물량(백만배럴)(비중)

    241 (30.5%)

    262 (31.1%)

    254 (31.8%)

    242 (29.6%)

    279(31.1%)

    금액($백만) 5,840 7,470 9,091 13,246 17,461

    출처: 청와대 브리핑, 외교부

    ◦ 건설수주

    - 1985년까지 매년 $10~50억 수준의 대규모 건설 수주를 하였으나,

    1986년 이후 $1~5억으로 급격히 감소

    - 2000~2003년간 수주실적은 다소 저조하였으나, 2004년부터 고유가

    지속에 따른 사우디의 원유세입 증가로 건설·플랜트 분야 수주가

    급신장 추세

    ※ 최근 수주실적 : 2000년($0.9억), 2001년($3.7억), 2002년($0.9억), 2003

    년($1.2억), 2004년($5.3억), 2005년($12.4억), 2006년($36.2억)

  • - 20-

    - 현재 현대건설, 대림산업, 삼성 엔지니어링,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등 5개 건설회사가 진출하여 수주 교섭

    2005~2006년도 한국기업 수주실적

    년도 업체명 공사명수주금액(백만불)

    2005년

    삼성 엔지니어링 Sharq사 에틸렌․글리콜플랜트 354

    삼성 엔지니어링NPPC사 폴리프로필렌/탈수소처리 플랜트 488

    현대건설 GCC 연결 송전공사등 3건 197

    기타 201

    계 1,240

    2006년

    삼성 엔지니어링 Tasnee 에탄/프로판플랜트 881

    삼성 엔지니어링 Ibn Zahr 폴리프로필렌 Ⅲ 프로젝트-PP

    302

    대림산업 알-와하 프로판 탈수소 공장 및 폴리프로필렌 공장

    308

    두산 중공업 쇼아이바 담수 발전 프로젝트 849

    현대건설 Shuqaiq Kudmi 간 송전선 등 3건 280

    현대건설 쿠레이스 육상 유전시설 공사 777

    현대 중공업 Shaybah 가스터빈 발전소 164

    기타 63

    계 3,624

    출처: 청와대 브리핑, 외교부

    □ 사우디의 주요 교역 대상국

    ◦ 최근 수년간 미국, 일본, 영국과의 교역비중이 감소한 반면, 중국과

    의 교역은 성장 추세임.

  • - 21-

    사우디 수출입 주요 대상국

    순위 주요 수출국 US$(백만) 순위 주요 수입국 US$(백만)

    1 일본 28,151 1 미국 8,786

    2 미국 27,929 2 일본 5,357

    3 한국 15,296 3 독일 4,863

    4 중국 10,804 4 중국 4,405

    5 인도 10,728 5 영국 2,784

    6 싱가포르 9,462 6 이탈리아 2,258

    7 타이완 6,497 7 한국 2,170

    8 네덜란드 6,481 8 프랑스 2,050

    9 이탈리아 5,371 9 인도 1,835

    10 바레인 4,969 10 호주 1,672

    출처: Ministry of Economiy and Planning 통계(‘05년)

    3. 주요 경제정책 이슈

    □ 산업인력 자국화(Saudization) 정책

    ◦ 1970년도 경제개발 초기단계부터 숙련인력 부족으로 외국 인력에

    대부분 의존해 왔으며 1990년대 초반부터 외국인력(2006년 말 기준

    약 700만 명 추정)을 사우디 인력으로 대체하기 위해 기업의 사우디

    인 고용 의무제를 도입 시행함.

    ◦ 모든 민간 기업에 대한 사우디인 의무고용비율 75% 및 일부 업종

    (보석 소매업, 400평방미터 미만 야채상점)의 외국인 고용을 금지함.

    ◦ 2006년 4월 1일 이후 일부 직종에 대해 사우디인 의무고용 비율을

    10%로 축소

    - 적용대상 직종은 제과점, 약국, 주유소업, 안경점, 양복점, 대장간,

    목공소, 알루미늄 작업, 기계 작업, 자동차 정비업, 제약업 등으로

    노동부가 상기 직종에 적합한 사우디인 채용이 현실적으로 곤란하

    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주들의 건의를 수용한 것임.

  • - 22-

    - 2005년 9월 노동법 개정시(2006.4.23 발효) 의무고용비율을 75%로

    상향조정하되 사우디인으로 대체하기 곤란한 사업장에 대해서는

    일시적으로 노동부장관이 동 비율을 낮춰 적용할 수 있도록 함.

    □ SABIC, 향후 3~4년 동안 $280억 차입예정

    ◦ SABIC사는 석유화학플랜트 건설 및 외국 석유화학회사 인수 등의

    사업 확장을 위해 향후 3~4년 동안 $280억 규모를 차입 예정임.

    - Standard & Poor's 사의 신용평가 전문가는 차입금 증가에도 불구

    하고, 현재 신용평가등급인 A+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

    석함.

    □ 2020년까지 관광부문의 GDP기여율(현재 6%)을 16%로 확대 예정

    ◦ 최고관광위원회 Salman 사무총장은 관광부문이 현재 GDP의

    6%($146억)를 기여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16%로 확대해 나갈 방

    침이라고 발표함.

    - 동 위원회는 관광 진흥을 위해 18개의 Tour Operator에게 면허를

    발급할 예정이며, 호텔 객수를 대폭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발표함.

    □ 각료회의, 중장기 IT개발계획 승인

    ◦ 각료회의는 사우디를 지식기반사회 및 디지털사회로 발전시키기 위

    한 중장기 IT개발계획을 승인하고, 통신 및 IT산업을 중점적으로 육

    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함.

    - 장기적으로 모든 부문에 e-service를 제공할 계획이며, 단기적으로

    정보통신기술개발 5개년 계획을 실행할 것임.

  • - 23-

    Ⅲ. 에너지․자원 행정조직 및 정책 동향

    1. 에너지․자원 행정 조직

    ◦ 사우디아라비아는 최고석유광물회의(Supreme Council for Petroleum

    and Mineral Affairs, SCPM)에서 에너지 관련 정책을 결정하여 석

    유광물부는 이를 집행하고, 석유부문은 Saudi Aramco, 광물부문은

    Ma'adin, 석유화학부문은 SABIC이 나누어서 관장하고 있음.

    □ 석유광물부(Ministry of Petroleum and Mineral Resources)

    ◦ 1960년 설립

    ◦ 석유, 가스, 광물자원 관련 정책담당

    ◦ 장관 : H.E. Ali Ibrahim Al-Naimi

    ◦ 석유, 가스 정부 조직체계

    - 최고석유광물회의는 사우디 석유․가스 정책을 결정하는 기관으로

    Saudi Aramco의 권한 중 프로젝트 심사, 정책 수립 등의 기능을

    이관하여 옴.

    ∙ 2000년 1월 설치되어 Abdullah 국왕이 의장이며 석유장관, Saudi

    Aramco 사장 등 석유 및 경제 각료 등 11명의 위원으로 구성

    [그림 3] 석유, 가스 산업 정부 조직체계

  • - 24-

    - 석유광물부(Ministry of Petroleum and Mineral Resources)는

    SCPM에서 결정된 정책과 석유관련 법률을 집행하며 대외적으로는

    OPEC 등의 업무 수행

    ∙ 현 장관은 1995년 9월 취임한 Abdullah Ali al-Naimi로 그 이전

    에는 Saudi Aramco 사장 역임

    □ 수자원 전력부(Ministry of Water & Electricity)

    ◦ 2003년 설립

    ◦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자원(담수, 하수처리) 관련 정책 담당

    ◦ 장관 : Abdullah bin Abdulrahman Al-Hasin

    ◦ 수자원 전력부 산하기관

    - General Directorate of Water in Riyadh Region

    http:// www.mow.gov.sa

    - General Directorate of Water in Almadinah al munawarah

    http://www.mwa.gov.sa

    - General Directorate of Water in A'sir

    http://www.masslaha.gov.sa

    - General Directorate of Water in Alqassim

    http://www.gassimwater.gov.sa

    - SEC(Saudi Arabia Electricity Co)

    http://www.se.com.sa

    - SWCC(Saline Water Conversion Corporation)

    http://www.swcc.gov.sa

  • - 25-

    □ 에너지산업 관련기관

    ◦ SAGIA (Saudi Arabian General Investment Authority)

    - 특별투자유치 기구로 2000년 설립되어 이후 외국인 투자 유치 노력

    가속화

    - SAGIA 설립 이후 외국기업에 최고 49%까지 부과하던 법인세율을

    35%로 인하함.

    ◦ Saudi Arabian Oil Company(Saudi Aramco)

    - 사우디 정부를 대신하여 사우디 석유산업의 상․하류부문의 모든

    조업을 독점적으로 운영하는 국영회사로 사우디 정부가 100% 지분

    소유

    - 1988년 이후 산유국 메이저사를 목표로 해외 하류 부문에 진출, 미

    국 Texaco와 합작으로 Star Enterprise와 Shell Oil의 미국 동부 해

    안 및 멕시코 해안 지역 하류부문을 통합함.

    - 사우디 내 320개의 자원 매장지를 총괄 관리하고 있으며, 전 세계

    의 원활한 자원수급을 목표로 7개국 12개의 지사를 운영하고 있음.

    - 발전역사

    ∙ 1933년  Saudi Aramco의 전신인 California Arabian Standard

    Oil Co. (CASOC) 설립

    ∙ 1937년 모기업인 Standard Oil of California(후 Chevron)가

    Texaco에게 CASOC 지분 50%를 동양 판매시장의 일부와 교환

    ∙ 1944년 Standard Oil of New Jersey(Exxon의 전신) 및 Socony

    Vacuum(Mobil의 전신)이 CASOC에 출자

    ∙ 1973년 사우디 정부가 Aramco의 지분 25%를 매수했고 계속적

    으로 60%까지 지분을 확대하여 1980년 완전 국유화함으로서

    Chevron, Texaco, Exxon, Mobil은 기술 및 관리․운영 지원

  • - 26-

    ∙ 1988년 Saudi Aramco를 설립(11월 8일)하여 Petromin이 담당하

    던 Aramco의 자산을 관리․운영하게 됨(미국 4개사의 지원은

    동일 적용)

    ◦ Aramco Gulf Operations Company(AGOC)

    - Saudi Aramco의 자회사로 중립 지대 해상 자원개발 담당

    ◦ SABIC(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 아람코와 함께 사우디의 대표기업인 SABIC은 중동 최대, 세계 유

    수의 석유화학회사로 현재 4,900만 톤인 석유화학 제품 생산능력을

    ‘12년까지 8,000만 톤으로 증대시킨다는 목표로 대규모 석유화학

    프로젝트를 발주하고 있음.

    - 특히 하류부문의 생산능력 발전을 위해 외국기업의 합작투자 유치

    에 노력하고 있음.

    - 사우디 국내에 18개의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2년도 ‘사우

    디 유럽’ 지사를 네덜란드와 독일에 설치하여 유럽 현지에서도 석

    유화학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 SABIC은 정부의 지분소유 비중이 70%, 일반기업이 30%로 공기업

    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

    ◦ Ma'adin(Saudi Arabia Mining Company)

    - 1997년 초 자본금 $10.7억으로 설립되어 광업 분야 개발 추진

    - 최고경제회의에서 2004년 5월 민영화를 승인함.

    ◦ SEC(Saudi Arabia Electricity Co)

    - 동부․서부․남부․중부 전력청 및 종합전기회사, 6개 지역의 소규

    모 발전소를 SEC로 통합(2000년 4월)하여 전력 생산

    ◦ ECRA(Electricity & Co-Generation Regulatory Authority)

  • - 27-

    - 2004년 7월 설립되었음.

    - 사우디아라비아 전력규제기관(Saudi Electricity Regulatory Authority)

    을 신설(2001년 11월)하여 주기적으로 발전․송배전 비용 검토, 전

    력거래가격 결정, 전력 프로젝트 및 민간투자 승인, 전력서비스 기

    술․회계기준 결정

    - 전력발전분야 외 담수화 분야를 추가하여 전력규제기관(SERA)을

    통합하며 ECRA로 명칭변경

    ◦ SWCC(Saline Water Conversion Corporation)

    - SWCC는 공기업으로 사우디의 수자원 및 전력자원 확보를 위해 담

    수, 송수 및 전력 생산 관련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2. 에너지자원 정책

    ⃞ 목표 및 전략

    ◦ 사우디는 경제의 석유의존도(재정수입의 약 80% 차지)가 높아 유가

    의 안정을 통한 국가재정의 안정을 추구함.

    - 정책기조 : 세계석유시장에 석유를 충분히 공급하고, 유가를 적정수

    준으로 유지하여 장기적인 석유판매수입 극대화

    - 기본적으로 세계시장에서 에너지원으로서 원유의 점유율 하락을

    방지하고 자국의 점유율 확보를 추구

    - 생산국과 소비국의 이해를 조화시킬 수 있는 적정유가를 유지하고

    잉여 생산능력 확보를 통한 증산여력 확보

    ※ 유가폭등 → 소비위축 → 공급초과 → 유가폭락 → 산유국의 재투자

    곤란 → 공급부족의 악순환 방지

    - 효과적이고 경쟁력을 가진 국가 석유산업 육성

  • - 28-

    ◦ 사우디는 경제의 석유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석유화학제품 산업육성,

    비석유 지하자원 개발에 경제정책의 우선권을 부여하고 있음.

    □ 석유․가스 부문

    ◦ 석유소비국 및 비 OPEC 산유국과의 협력을 추진하여 적정 공급량

    을 조정함.

    ◦ 사우디 최고석유광물회의는 2000년 8월 다음과 같은 석유정책을 발

    표함.

    - 석유시장 안정화를 위한 OPEC내외 산유국과의 협조

    - 장기적인 석유수입 극대화

    - 세계 에너지 소비 중 높은 석유소비비중 유지 및 자국산 원유의 시

    장점유율 제고

    - 잉여 생산능력 확보를 통한 증산 여력 확보

    ◦ 사우디는 80년대 중반 유가 폭락 전까지는 공급조절자(Swing Producer)

    로서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이후 그 역할을 포기함.

    - 1981년 최대생산량은 1,000만 b/d였으나 공급조절자로서 자국 석

    유생산량을 축소하면서 1983년 이후 재정 및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

    - 1985년 후반기부터는 산유량 증대에 의한 공급 과잉을 초래하여 공

    급조절자 역할을 포기하였음. 이는 다른 OPEC 국가에 영향을 미쳐

    1986년 중반 $10/b까지 유가하락 요인으로 작용함.

    ◦ 사우디는 최소 2000년 이후 시행 중인 OPEC 유가밴드제($22-28/b)

    를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생산량을 감축하는 정책을 추진

    ◦ 원유생산능력을 확대하여 향후 50년 동안 1,500만 배럴의 생산능력을

    유지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신규 유전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

  • - 29-

    - 8차 5개년 개발계획기간 중 국영 석유회사인 Saudi Aramco의 원

    유생산능력을 1일 150만 배럴 확대계획

    - $25억을 투자하여 1998년부터 생산을 시작한 UAE 접경 사막지역

    의 Shaybah 유전의 1일 생산능력을 현재 50만 배럴에서 80만 배럴

    로 확대 계획

    - 2002년 발주된 Qatif/Abu Saffa 유전개발사업은 $12억을 투자할 계

    획이며, 현재 두개의 석유․가스 분리공장(GOSP)을 비롯해 관련설

    비의 건설이 진행 중

    - 세계 최대의 유전인 Ghawar 지역의 Khurais 유전에는 $30억을 투

    자하여 4개의 GOSP를 건설하고, 하루 120만 배럴의 생산능력을 갖

    출 계획임.

    ◦ Gas 프로젝트 : 천연가스 탐사․개발 지속 추진

    - 국제기업의 참여를 통해 330,700평방킬로미터 범위의 천연가스 탐

    사․개발․생산 관련 4개 프로젝트 추진

    ◦ Yanbu 지역에 40만 b/d 생산능력의 정유공장을 신설하고 Rabigh

    정유공장은 Rabigh 정유 및 석유화학 통합 콤플렉스로 확대 개발하

    여 정유능력을 30% 확대할 계획임.

    □ 석유화학 부문

    ◦ 가장 경쟁력 있는 산업분야인 석유화학산업을 집중육성하기 위하여

    2004년 700만 톤 정도인 에틸렌 생산설비용량을 2010년에는 1,050만

    톤 규모로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

    ◦ 이를 위해 사우디 석유화학회사인 SABIC은 다음과 같은 계획을 추

    진하고 있음.

    - Yanbu 석유화학단지에 $30억을 투자하여 연간 130만 톤 규모의 에

    틸렌 플랜트를 건설할 예정이며, $10억을 투자하여 메탄올 공장을

    설립할 것임.

  • - 30-

    - Jubail 석유화학단지에 연간 62만 5천 톤의 에틸렌글리콜 플랜트와

    연간 13만 규모의 Butene-1 플랜트를 건설할 예정임.

    ◦ Int'1 Methanol Co.가 Jubail 석유화학단지에 연간 97만 톤 규모의

    메타놀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이며, National Petrochemical

    Industrialization Co.가 50만 톤 규모의 초산, 27만 5천 톤 규모의

    비닐 및 180만 톤 규모의 메타놀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임.

    □ 발전 및 담수화

    ◦ 연중 고온이라는 지역적 특징과 빠른 인구증가율 등으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전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력시설 확충에 집중

    투자하고 있음.

    ◦ 현재의 추세가 지속될 경우 15년 이후 발전용량은 현재 26.6GW의

    2배 수준으로 확대가 불가피함.

    ◦ 국토의 대부분이 사막인 관계로 절대적으로 부족한 수자원 확보를

    위하여 담수시설 확충도 국가의 전략 과제중의 하나로 부각

    - 8차 5개년 계획 기간 중 담수능력을 현재의 연간 10억 7천만 입방

    미터에서 16억 5천만 입방미터로 확대 계획

    ◦ 사우디 정부는 전력 및 담수 수요의 충족을 위해 외국인 투자와 민

    간주도의 발전․담수산업(Independent Water and Power Plant

    Project: IWPPs)을 권장

    - 사우디 정부는 2016년까지 총 $160억 규모의 10개의 IWPP 설립을

    승인하였고, 2020년까지 발전 및 담수부문에 총 $500억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

    - 8차 5개년 계획기간 중 몇 개의 발전프로젝트는 BOT (Build-Operate-

    Transfer) 또는 BOO(Build-Own-Operate)방식으로 발주하여 10,996MW

    의 발전용량 확충 계획(담수공장으로부터 1,330MW포함)

  • - 31-

    ◦ 상하수 시설 및 중수시설 확충 계획

    - 상수 공급율 80%, 하수처리 시설 50% 확대

    - 중수시설 확충을 통해 하수의 40%를 재활용

    □ 석유개발 관련 세제 및 투자 환경

    ◦ 사우디 내 개발권 부여는 사우디 정부에서 담당하나 Saudi Aramco

    가 사우디 내 모든 광구를 보유함.

    - Saudi Aramco는 외국회사와의 석유개발 계약을 담당함.

    ◦ 석유 상류산업은 다른 비석유산업과는 달리 외국인의 투자 및 직접

    운영이 금지되어 있으며 외국 석유회사는 서비스 계약에 의한 석유

    상류부문 사업 참여만 가능함.

    - 최근 체결한 외국회사와의 계약은 설계, 조달, 건설 단계에 대하여

    일괄 계약하는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계약임.

    - 첫 번째 계약은 2001년 3월 이탈리아 Snamprogetti사와 체결한

    Haradh 구조 개발 사업에 대한 계약임.

    - 미국 Chicago Bridge & Construction과 Qatif South 석유가스분리

    시설 건설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프랑스 Technip-Coflexip과는

    Berri 가스전 개발 및 Qatif 유․가스전 연결 파이프라인 건설 계약

    을 체결하였음.

    ◦ 외국회사에게는 순소득액에 따라 20~30%의 법인소득세가 부과됨.

    ◦ 개인소득세는 부과되지 않지만 종교세인 Zakum을 자발적으로 납부

    하며, 법인의 경우 자산의 2.5% 정도를 납부하는 것이 보통임.

  • - 32-

    3. 에너지자원 분야 국제 협력 현황

    ◦ 걸프협력회의(Gulf Co-operation Council(GCC))

    - 1981년 5월에 걸프 만의 6개 아랍산유국이 역내협력을 강화하기 위

    해 결성한 지역협력기구

    - 2002년 12월 카타르 개최 제23차 GCC 최고회의 시 GCC 관세동맹

    을 2003년 1월 1일 부로 발효키로 결정하였으며, GCC 회원국 간

    관세와 무역 제한적 규정과 절차를 폐지하고 역내국에 대해서는 통

    일적 관세 및 무역관세규정을 적용하고자 GCC 관세동맹 집행 절

    차 및 조치규정(총12개 조항)을 제정함.

    - 2007년 공동시장, 2010년 통화동맹 및 단일통화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아랍 석유수출국기구(OAPEC)

    - 1968년 아랍 석유수출국의 석유산업 이익을 도모하고자 설립

    - 초기구성 회원은 쿠웨이트, 리비아, 사우디아라비아임.

    ◦ 석유수출국기구(OPEC)

    - 1960년 9월 국제 석유가격 조정 및 회원국 간의 협력을 위하여 이

    라크․이란․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베네수엘라의 5대 석유 생산․

    수출국 대표가 모여 결성한 협의체

    ◦ 세계무역기구(WTO)

    - 1993년 6월 GATT에 가입을 신청, 세계무역 체제에 편입하기를 노

    력해 왔음. 그러나 자국민 지원제도, 비관세 장벽 제도 등 외국인

    및 외국기업에 대한 차별정책으로 WTO체제가 지향하는 수준에

    미달하여 가입이 지연됨.

  • - 33-

    - 사우디는 우리나라를 비롯 일본, 호주,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아

    르헨티나, 파키스탄 등 10대 주요 교역대상국, EU와 가입 동의 협

    정을 체결한바 있고, 미국과의 협상 또한 2005년 9월 9일 타결됨에

    따라, 2005년 11월에 홍콩에서 개최된 WTO각료회의에서 WTO 가

    입이 확정됨.

  • - 34-

    Ⅳ. 에너지자원 산업 현황

    ◦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 수출국 기구 회원국 중 최대 석유 생산국으

    로 세계 매장량의 1/5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최저수준의 생산

    비용 등의 유리한 투자환경으로 세계 최대 석유수출국으로 자리 잡

    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2006년 1월~11월 사이 미국에 원유 140만 b/d,

    미국 원유수입의 약 14%를 공급함.

    ◦ IMF는 2005년 사우디의 석유 수출이 총 수출수입의 약 90%를 차지하

    며 국가 총수입의 70~80%, GDP의 44%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함.

    ◦ 사우디 아람코와 SABIC 같은 거대 국영기업이 여전히 사우디의 경

    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아람코는 사우디 상류부문과 국가 석유 매장량의 98%를 지배하며

    SABIC은 세계에서 7번째 큰 석유화학기업으로 중동에서 가장 큰

    기업임.

    1. 에너지자원 기본통계

    ◦ 사우디의 주요 부존자원은 석유, 가스로서 주로 동부지역에 매장

    되어 있음.

  • - 35-

    [그림 4] 석유, 가스 자원 분포도

    출처: OAPEC(2006년 아랍에너지회의 보고서)

    아람코 석유․가스전

    발견지역1938~1988 1989~2005 발견된

    유전개수석유 가스 석유 가스

    동부 53 2 9 8 72

    중부 - - 18 1 19

    홍해 1 - 2 2 5

    북부 - - - 1 1

    합계 54 2 29 12 97

    출처: OAPEC(2006년 아랍에너지회의 보고서)

  • - 36-

    ◦ 97개의 석유, 가스 유전 가운데 2/3이상이 동부 지역에 있으며,

    1980년대까지 석유전 중심의 개발을 해 온 반면, 1990년대 이후부터

    는 가스전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사우디 석유․가스전 개발현황

    총 합계가스 석유

    개발년도타회사 아람코 타회사 아람코

    46 1 1 6 38 1935-1975

    12 - - - 12 1976-1981

    47 - 12 1 34 1982-2005

    105 1 13 7 84 합계출처: OAPEC(2006년 아랍에너지회의 보고서)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 자원현황(2005)

    구 분원유매장량 (억 배럴)

    원유생산량 (천 b/d)

    원유수출량 (천 b/d)

    석유 (원유 +정유)

    수출량(천b/d)

    천연가스 매장량

    (10억 m3) 

    천연가스 생산량

    (10억 m3) 

    사우디 2,642 9,353 7,209 8,594 6,900 71

    OPEC 9,043 30,673 22,774 27,202 89,357 498

    세계전체 11,540 71,763 44,730 63,093 180,238 2,837

    사우디비중 22.9% 13.0% 16.1% 13.6%   3.8% 2.5%

    출처: OPEC

    [그림 5] OPEC의 세계 석유매장량 비중

    출처: OPEC

  • - 37-

    □ 에너지원별 소비

    ◦ 사우디아라비아의 에너지원별 소비는 비교적 간단하게 이루어져 석

    유, 가스 외 다른 에너지원의 소비는 전무한 상태임.

    ◦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 가스 위주의 에너지 소비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경제발전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그림 6] 에너지원별 소비현황

    0

    500

    1,000

    1,500

    2,000

    2,500

    천 boe/d

    소비 에너지원별

    총 에너지소비 석유소비 가스소비

    총 에너지소비 1,798 1,819 1,834 1,857 1,950 2,080석유소비 1,164 1,175 1,194 1,212 1,290 1,400가스소비 634 635 640 645 660 68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출처: OAPEC(2006년 아랍에너지회의 보고서)

    ◦ 1994년~2004년 부문별 에너지소비와 2010~2014년 예상소비는 다

    음과 같음.

  • - 38-

    [그림 7] 부문별 에너지 소비

    출처: OAPEC(2006년 아랍에너지회의 보고서)

    ◦ 부문별 총에너지소비는 1994년 5억 3,800만 boe(1,475,000 b/d)에서

    2004년 7억 9,600만 boe(2,180,000b/d)로 연평균 4.0%의 증가율을

    보임.

    - 2010~2014년 동안에는 총 에너지소비가 연평균 약 5.5%정도 증가

    하여 2014년에 13억 5,600만 boe(3,716,000 b/d)에 이를 것이며, 특

    히 경제성장의 주축을 이루는 교통, 서비스, 산업 및 무역, 건설부

    문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임.

  • - 39-

    2. 석유산업

    ◦ 사우디아라비아는 국영석유회사인 아람코를 통해 $700억 규모의 에

    너지부문 투자계획과 2009년까지 1,250만 b/d 석유증산계획을 실행

    할 예정임.

    ◦ Oil and Gas Journal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확인매장량은

    약 2,600억 배럴로(사우디-쿠웨이트 중립지역의 25억 배럴 포함), 이

    는 세계 매장량의 1/5에 해당하는 양임.

    [그림 8]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매장량

    출처: Saudi Aramco

  • - 40-

    - 사우디 석유 매장량의 약 2/3은 ‘light' 또는 'extra light' 등급으

    로 분류되며 나머지는 'medium' 또는 'heavy'로 분류됨.

    [그림 9] Ghawar, Safaniya 유전

    출처: Saudi Aramco

    - Ghawar 유전(세계에서 가장 큰 유전으로 추정매장량 700억 배럴):

    사우디 총 석유생산의 약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음

    - Ghawar 유전의 주요 생산구조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루어져 있

    음: Ain Dar, Shedgum, Uthmaniyah, Hawiya, Haradh

    - Safaniya 유전(Khafji, Hout 유전 포함) : 세계 최대 해상유전으로

    추정 매장량 250~350억 배럴)

    ◦ 원유 생산능력

    - 사우디아라비아는 2006년 5월 원유 생산량은 약 1,050만~1,100만

    b/d로 추정됨.

    ∙ 사우디 아람코는 2009년까지 1,250만 b/d, '20년까지 1,500만

    b/d로 증산을 목표로 $180억 규모의 투자계획을 발표함.

  • - 41-

    [그림 10]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생산(2000~2015년)

    출처: EIA

    - Oil Daily Report에 따르면 아람코는 2007년 육지와 근해에서 427

    개의 원유 유정시추계획을 추진 중이며 이중 약 134개는 Ghawar

    유전 근처, 85개는 Khurais 유전, 50여개의 유정은 Khursaniya 유

    전에서 시추가 이루어질 것임.

    - 사우디아라비아는 연평균 6~8%의 유전고갈을 겪고 있으며 이에 대

    한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음.

    - 아람코는 사우디의 유전이 평균적으로 29% 고갈되었다고 추정하고 있음.

    ∙ 가장 오래된 Abqaiq 유전 74%, 가장 큰 Ghawar 유전과 가장

    최근에 개발된 Shaybah 유전은 5%로 추정

    ∙ 이에 사우디 석유장관은 장기적 투자와 지속적인 탐사활동으로

    2,000억 배럴의 추가매장량을 확신하며, 자원고갈을 막기 위하여

    채굴기술개발과 각 유전의 체계적 관리와 개선시스템의 필요성

    을 강조함.

  • - 42-

    사우디 주요 유전의 현황

    주요 유전 매장량(억 배럴) APIGhawar 700 34

    Safaniyah(해상) 190 27

    Abqaiq 170 37

    Manifa 168 29

    Shaybah 150 n.a

    Zuluf 122 32

    Berri 91 32~34

    Khurais 85 33

    Abu-Safah 82 30

    Qatif 72 33~34

    기타 788

    출처: AOG Directory 2003API: 미국석유협회(API)는 원유를 비중에 따라 수치화한 ‘API지수’를 만들어서 경질유

    (輕質油), 중질유(中質油), 중질유(重質油)로 구분하고 있음.(輕質원유 : API 34 이상, 中質원유 : API 30 ~ 34, 重質원유 : API 30 이하)

    - 사우디는 많은 석유․가스전을 보유하고 있지만 절반 이상의 원유

    매장량은 세계 최대 유전인 Ghawar 유전(700억 배럴)과 세계 최대

    해상 유전인 Safaniya 유전(190억 배럴) 등 8개 유전에 집중되어 있음.

    - 중립지대는 쿠웨이트와의 국경지대에 위치하며 이곳에서 생산된

    석유는 쿠웨이트와 균등 분할함.

    [그림 11] 사우디-쿠웨이트 중립지역

    출처: EIA

  • - 43-

    ∙ 중립지대의 확인 석유 매장량은 50억 배럴이며 Khafji 및 Hout

    유전에서 총 30만 b/d를 생산중임.

    ∙ 일본 Arabian Oil Company(AOC)가 운영하였으나 2000년 2월

    사우디측 지역의 조광권을 박탈당한 뒤 Saudi Aramco의 자회사

    인 Arabian Gulf Oil Corporation(AGOC)이 운영

    ◦ 원유 생산동향

    - 사우디아라비아는 중질(重質)에서 초경질(超輕質)에 이르는 원유를

    생산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총 생산량의 약 65~70%는 경

    질유이고 나머지는 중질유(中質油) 및 중질유(重質油)임.

    ∙ lighter 등급은 일반적으로 육상에서 생산되고 medium과 heavy

    등급은 해상유전(근해)에서 생산되고 있음.

    - Ghawar 유전은 API 34°의 Arabian Light 500만 b/d을 주로 생산

    하며, Abqaiq(170억 매장량)은 API 37° 의 Arab Extra Light 40만

    b/d를 생산하고 있음.

    - 1994년 이래 Najd 유전은(Hawatah 유전과 리야드 남부의 가장 작

    은 유전인 Nuayyim, Hazmiyah유전을 포함하는) API 45~50°, 황

    0.06%인 Arab Super Light 약 20만 b/d를 생산함.

    - 해상유전(생산)은 주로 Zuluf(50만 b/d 이상 생산)유전과 Marjan(27

    만 b/d 생산)유전에서 Arab Medium crude를 생산하며, Safaniya

    유전에서는 Arab Heavy crude를 생산함.

    ∙ ‘extra light'와 'super light'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생산은 황비율이 높은 산성성분임.

  • - 44-

    아람코 상류부문 석유프로젝트(2011년까지)

    유전현재용량(천 b/d)

    증가분(백만 b/d) Type 예산(US$) 생산일시

    Haradh 300.000 0.3 Light $15억 2006.4

    Khurais

    (Abu Jiran,

    Mazalij 포함)

    0 1.2 Light $110억(가스포함)

    2009.6

    Khursaniyah

    (Abu Hadriyah,

    Al-Fadhili 포함)

    50,000 0.5 Light $40억 2007.6

    Manifa

    (해상유전)0 0.9 Heavy $7~90억 2011

    중립지역* NA 0.15 Medium $4억(추정) 2010

    Nuayyim 0 0.1 Extra Light $3억5천 2008

    ShaybahⅠ 555,000 0.25 Extra Light $30억 2008.4

    ShaybahⅡ,Ⅲ* NA 0.2 Extra Light $8억(추정) 2010

    총 새로운 용량 3.6*확인되지 않음

    출처: Reuters, Dow Jones, Oil Daily, Saudi Aramco, Business Middle East, Global

    Insight

    - 사우디아라비아의 장기적 개발목표는 UAE 접경인 Shaybah 유전지

    역에서 초경질유(lighter crude)를 추가 개발하는 것임.

    ∙ 장기적으로 경질유 개발을 위하여 사우디 동부 UAE 국경 인근

    의 Empty Quarter에 위치한 Shaybah 유전의 개발을 추진 중

    ∙ Shaybah 유전은 과거 20년 동안 개발된 세계에서 가장 큰 유전

    으로 프리미엄등급인 41.6° Sweet Arab Extra Light 143억 배

    럴을 포함하고 있으며, 2006년 11월 기준 141개의 유정에서 약

    55만 b/d을 생산하였음.

    - Abu Safa 해상 유전에서는 바레인과 공동으로 석유를 생산 중이

    며, 수익금 중 일부는 바레인에 배분함.

    ∙ 동 유전의 생산량은 14만 b/d이며 50%의 증산 계획을 수립한 바

    있음.

  • - 45-

    발견시점 유전 API

    1938 Dammam 35-46

    1940 Abu Hadriya 13-36

    1940 Abqaiq 27-43

    1945 Qatif 27-44

    1948 Ghawar 38-40

    1949 Fadhili 38

    1951 Safaniya 17-35

    1954 al-Wafrah 18-24.5

    1956 Khursaniyah 18-31

    1957 Khurais 33-37

    1957 Manifa 25-29

    1960 Khafji 28-28.5

    1963 Hout 36-38

    1963 Fawaris al-Janub 24

    1963 Abu Sa'fah 7-30

    1964 Berri 31-41

    1965 Zuluf 29-38

    1966 Jaham 25

    1966 Habari 25-28

    1966 Janubi Um-Qdir 24

    1967 Kidan Gas

    1967 al-Lulu 34.4

    1967 Dorra Gas

    1967 Marjan 22-39

    1967 Karan 21-25

    1967 Jana 25~33

    - 사우디는 석유 생산능력을 증대하여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세계 석

    유공급을 주도할 수 있도록 유전개발을 추진 중임.

    ∙ Khrais 유전의 생산량은 2005년까지 80만 boe/d(석유 50만 b/d

    및 가스 890만 ㎥/d) 증대하였음.

    ∙ Ghawar 유전 남부에 인접한 유전인 Haradh 유전은 60만 b/d

    로 생산량을 증대하는 프로젝트를 수행 중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가스전 (사우디-쿠웨이트중립지역 포함)

  • - 46-

    발견시점 유전 API

    1968 Jurayd 15

    1968 Juraybi'at 24-28

    1968 Shaybah 42

    1969 Barqan 43

    1969 Marzouk 28

    1971 Harmaliyah 35-43

    1971 Mazalij 31

    1972 Shutfah 29

    1973 El Haba 25

    1973 Maharah 32-43

    1973 Abu Jifan 32-40

    1973 Qirdi 35-41

    1974 Rimthan 28-36

    1974 Kurayn 24-31

    1974 Ramlah 36

    1974 Bakr 30

    1975 Lawhah 22-43

    1975 Dibdibah 17-32

    1975 Ribyan 27-40

    1975 Watban 31

    1976 Suban 15-30

    1976 Sharar 20-31

    1976 Hasbah 18-26

    1978 Jaladi 37

    1978 Harqus 20

    1978 Wari'ah 28

    1979 Jawb 36-40

    1979 Dhib 31

    1979 Faridah 26-31

    1979 Hamur 23-37

    1979 Samin 37-42

    1979 Lughfah 42

    1982 Maghrib 30-41

    1982 Tinat 49

    1983 Jauf 34-36

    1983 Farhah 32

  • - 47-

    발견시점 유전 API

    1984 Sahba 30

    1989 Hawtah 49

    1989 Dilam 44

    1990 Raghib 45

    1990 Hazmiyah 47

    1990 Nuayyim 44-48

    1990 Hilwah Gas

    1990 Ghinah 51

    1991 Kahf Gas

    1992 Midyan 34

    1993 Wajh South Gas

    1993 Umluj Gas

    1993 Umm Jurf 53

    1993 Nisalah 50

    1994 Layla 47

    1994 Abu Markhah 43

    1995 Abu Rakiz 41

    1995 Burmah 48

    1996 Usaylah 46

    1996 Shiblah 46

    1996 Mulayh 47

    1996 Abu Shidad 40

    1997 Khuzama 46

    1997 Waqr Gas

    1998 Hamma 34

    1998 Wudayhi Gas

    1998 Sham'ah Gas

    1998 Sidr 39

    1998 Kahla Gas

    1999 Shaden Gas

    1999 Niban 49

    2000 Ghazal 33

    2000 Manjurah Gas

    2001 Jufayn 48

    2002 Warid 43

    2002 Tukhman 40

  • - 48-

    발견시점 유전 API

    2003 Yabrin 35

    2003 Awtad Gas

    2004 Abu Sydr 54

    2004 Midrikah Gas

    2005 Duayban 41

    2005 Halfa 37

    2005 Muraiqib 35

    출처: OAPEC(2006년 아랍에너지회의 보고서)

    석유 수출 현황

    구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석유 수출(천 b/d) 7,118 6,278 7,623 7,739 8,153

    원유 6,036 5,285 6,468a

    6,500a

    6,853a

    정유제품 1,082 994 1,155a 1,239a 1,300a

    원유수출가($/bbl) 23.15 24.32 27.69a

    34.53a

    50.63a

    석유수출비용(정유포함,백만$)

    a 60,139 54,439 75,259 93,360 144,615

    a Economist Intelligence Unit estimates. 출처: Saudi Arabian Monetary, IEA, EIU(2006)

    □ 정유산업 현황

    ◦ 사우디는 정제시설 확충을 통해 원유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석유제

    품을 직접 수출하는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 중

    ◦ 사우디의 정제능력은 1980년에 64.5만 b/d였으나, 시설을 확장하여

    1990년에는 175만 b/d, 2005년 기준으로는 209만 b/d의 능력을 보

    유하고 있음.

    - 사우디는 미국(1998년), 한국(1991년), 필리핀(1994년), 일본(2004년),

    중국(2005년)의 정유사업에 진출하여 165만 b/d의 해외정유시설을

    확보하고 있으며, 인도와도 합작을 추진 중

     

  • - 49-

    원유생산 및 정제능력 현황 및 전망  (단위 : 천b/d)

    구 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원유생산능력 950 1,050 1,100 1,150 1,200 1,250

    정제능력 208 209 210 210 210 250

    출처: OPEC, 사우디 석유광물부

    ◦ 사우디는 국내의 정유시설 외에 해외 투자도 함께 병행하고 있으며,

    국내시설의 단독 지분(1,146천b/d)외에, Shell과의 SASREF, Exxon과

    의 SAMREF 합작투자를 하고 있으며, Mobita와 S-Oil, Petron,

    Motor Oil 과 해외합작투자를 하고 있음.

    사우디 정제시설 참여 업체현황 

    국내시설해외합작투자 합계

    단독지분 합작투자 소계

    Ras Tanura 325

    Rabigh 423

    Yanbu 190

    Riyadh 120

    Jeddah 60

    Khajif 35

    SASREF

    (Shell50%) 305

    SAMREF

    (Exxon 50%) 365

    1,816천b/d

    (세계 9위, 2.2%)Motiva(50%) 840

    S-Oil(35%) 525

    Petron(40%) 180

    Motor oil(42%) 100

    3,461천 b/d

    (소계)1,146천b/d (소계)670천b/d (소계)1,654천b/d

    출처: 석유광물부

    ◦ 정제시설 및 소매

    - 사우디의 정제능력은 1980년 64.5만 b/d였으나 1980년대에 정제시

    설을 확장하여 1990년에는 175만 b/d 규모의 정제 시설을 보유하

    게 됨.

    ∙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석유정제능력은 완만한 증가세를 기록하였음.

  • - 50-

    - 사우디는 총 8개의 정제시설이 있으며 총 181.6만 b/d의 정제능력

    보유

    사우디 정제시설 현황(2005년)

    지역 정제능력(b/d) 운영회사

    Ras Tanura 325,000 Saudi Aramco

    Jeddah 84,000 Saudi Aramco

    Riyadh 120,000 Saudi Aramco

    Yanbu(내수용) 235,000 Saudi Aramco

    Yanbu(수출용) 400,000 Saudi Aramco / ExxonMobil

    Jubail(Sasref) 313,000 Saudi Aramco / Shell

    Rabigh 400,000 Saudi Aramco / Petrola

    Khajif(중립지대) 30,000 AOC

    출처: OPEC, Annual Statistical Bulletin, EIU(Country Profile 2006)

    - 사우디는 정제 시설 확충을 통해 원유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석유제

    품을 직접 수출하는 전략을 구사

    ∙ 2003년 말 20만 b/d 규모의 Ras Tanura 정제 시설이 완공되어

    총 정제능력이 200만 b/d로 증가함.

    ∙ Rabigh 공장도 $18억을 투입하여 40만 b/d를 확장하는 공사를

    진행 중임.

    ∙ Riyadh 정유공장은 Technip-Coflexip사에 의해 유황회수(Sulfur

    Recovery) 공장 부설공사를 포함한 70톤/일 규모의 신규 공장시

    설, 황 저장소, 신규 유황수 처리시설(sourwater stripper), 신규

    아민(amine) 처리 시설 공사를 진행 중

    - 사우디의 석유소매업은 1993년 완전 자유화되어 외국 석유회사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Shell은 Modern Automotive Services Company(Masco)라는 합

    작회사(지분율 49%)를 통해 Shell 상표로 40여개 주유소에서 판매

  • - 51-

    ∙ 이탈리아 Agip사도 사우디 민간석유회사인 Tashilat와 합작회사

    설립을 통해 Western Province에서 100여개의 주유소를 운영 중

    ◦ 석유 비축시설 및 수출 터미널

    - 사우디 국내 5곳에 94.5만 배럴 규모로 원유 및 제품을 비축하는

    시설을 보유하고 있음.

    ∙ 수도 Riyadh, Jeddah, Abha의 비축 시설과 2004년에 완공된

    Medina, Buraidah의 비축시설이 있음.

    ∙ 비축시설은 지하 190m의 깊이로 건설하였으며, 건설비용은 총

    110억 리얄(약 $29억)로 추정됨.

    - 사우디는 걸프만과 홍해에 9개의 석유 수출용 터미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중 걸프만의 Ras Tanura, Ras al-Ju'aymah와 홍해의

    Yanbu 등 3대 터미널을 통해 사우디 전체 수출물량의 2/3 이상을

    수출함.

    ∙ 3대 수출 터미널의 처리 능력은 1,400만 b/d로 사우디의 원유생

    산량을 능가함.

    ∙ 3대 수출 터미널 외에 걸프 만에는 Jubail 터미널, Jizan 석유제

    품 터미널, Zuluf 해상 터미널이 있으며, 홍해에는 Jiddah 터미

    널, Rabigh 터미널, 중립지대에는 Ras al-Khajif 터미널이 있음.

    ◦ 파이프라인

    - 사우디의 파이프라인은 총 길이 15,000km로 90여개가 가동 중이며

    주로 원유생산지대와 정제시설 및 수출터미널을 연결하는 원유 파

    이프라인임.

    ∙ 정제시설과 주요소비지를 연결하는 제품 파이프라인도 가동 중임.

    - 사우디는 복선인 East-West Crude Oil Pipeline(Petroline으로 불림)

    을 통하여 유럽과 아시아 시장으로 수출

    ∙ Petroline은 서부지역과 홍해 터미널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복선

    중 한 선(AY-1L)은 2002년 7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으로 전환하

  • - 52-

    여 연간 700만 배럴의 NGL을 수송하며 나머지 한 선(AY-1)은

    Arab Light와 Arab Super Light 등 경질원유 수송에 이용됨.

    ∙ Petroline은 1984년 완공 이후 두 차례에 걸쳐 확장 공사를 완료

    하여 1993년 이후 총 500만 b/d의 수송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실제 수송량은 수송 능력의 절반 정도에 미치는 것으로 알려짐.

    - 인접국가와는 직접 또는 비상시 수출용 석유 파이프라인이 설치되

    었으나 1980-90년대부터 정치적인 이유 등으로 폐쇄됨.

    ∙ Trans-Arabian Pipeline(Tapline, 수송능력 165만 b/d, 직경 48인

    치)은 1950년 완공되어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등 인근 국가와

    연결되어 있으나 1983년 이후 사용이 중단됨.

    ∙ 이라크와 연결된 Iraqi-Saudi 파이프라인(IPSA)도 ’90년 이라크

    의 쿠웨이트 침공 이후 폐쇄됨.

    □ 전망 및 평가

    ◦ 사우디는 향후 세계 석유시장에서의 Major Player로서의 역할을 유

    지하기 위하여 원유 생산능력을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전략을 추진

    중에 있어 향후 원유생산능력의 증대가 전망됨.(2009년 1250만 b/d)

    - 미확인 원유 매장량은 약 2,000억 배럴로 추정되며, 원유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향후 원유탐사활동도 활발해 질 전망

    ◦ 사우디는 우리의 최대원유 수입국으로 전체 원유수입량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어 에너지 안보차원에서 원유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사

    우디와의 전략적 관계 유지의 지속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 사우디는 걸프전·이라크전 등과 같은 석유위기 발생 시 우리나라의

    전략적 원유공급원임.

    - 걸프 만이 봉쇄될 경우 홍해를 통해 원유를 공급받을 수 있는 유일

    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