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문학과 97 . 인문학과(Department of Humanities) 1. 학과 교육목표 대학원 인문학과는 어문학전공, 역사학전공, 기록관리학전공으로 나누어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목표로 학습, 연구가 이루어진다. 첫째 인문학자로서 품성과 자질의 함양, 둘째 인문학 전문가로서 연구 능력 신장, 셋째 인문학계 지도자로서 인격 도야가 그것이다. 이 를 위해 본 인문학과의 어문학전공에서는 국어국문학, 중어중문학에 걸치는 세 하위 영 역으로 나누어 그 효율을 꾀하고 있다. 아래에서 인문학과 각 전공별, 하위 영역별 교육목 표와 교수명단, 그리고 내규를 소개하고자 한다. 2. 전공 교육목표 1) 어문학전공 ① 어문학자로서 품성과 자질의 함양 첫째, 언어 및 문학에 대한 폭 넓은 이해 언어와 문학에 대한 철학적·역사학적·심리학적·미학적 관점들을 통합하여 사람 삶의 한 보편문화로서 그들이 지니고 있는 의의와 구조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어문학에 대한 공시적 연구를 통해, 어문학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 전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둘째, 어문학자로서 올바른 가치관 정립 국어국문학, 중어중문학을 중심으로 인류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현대역사와 사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지니며, 올곧은 문화형성의 주도자로서 사명감과 책임감을 길러 문화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올바르게 이끌 수 있도록 한다. ② 어문학 전문가로서 연구 능력 신장 첫째, 언어학과 문학, 문화 연구방법의 연마 국어국문학, 중어중문학을 중심으로 개별 언어와 문학, 문화 영역에서 개별 전공자가 지녀야 할 연구수행 능력을 기르고 새로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전문성을 함양한다. 둘째, 어문학 이론의 통합적 응용 능력 신장 문화로서의 언어와 문학에 대한 다()학문적·학제간 학문적 이해를 바탕으로 삼아 언어문화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결과들을 분석·종합하고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 력을 갖추어야 한다. 나아가 국어국문학, 중어중문학에 대한 전문지식을 각 분야에 실천 적으로 적용하고 사회에 그대로 환원할 수 있도록 한다.

인문학과(Department of Humanities) · E T A U D A R G L O O H C S M A N G N U Y K Y T I S R E V I N U 인문학과 97인문학과(Department of Humanities) 1. 학과 교육목표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97

    . 인문학과(Department of Humanities)

    1. 학과 교육목표대학원 인문학과는 어문학전공, 역사학전공, 기록관리학전공으로 나누어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목표로 학습, 연구가 이루어진다. 첫째 인문학자로서 품성과 자질의 함양, 둘째 인문학 전문가로서 연구 능력 신장, 셋째 인문학계 지도자로서 인격 도야가 그것이다. 이를 위해 본 인문학과의 어문학전공에서는 국어국문학, 중어중문학에 걸치는 세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그 효율을 꾀하고 있다. 아래에서 인문학과 각 전공별, 하위 영역별 교육목표와 교수명단, 그리고 내규를 소개하고자 한다.

    2. 전공 교육목표1) 어문학전공

    ① 어문학자로서 품성과 자질의 함양첫째, 언어 및 문학에 대한 폭 넓은 이해언어와 문학에 대한 철학적·역사학적·심리학적·미학적 관점들을 통합하여 사람 삶의

    한 보편문화로서 그들이 지니고 있는 의의와 구조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어문학에 대한 공시적 연구를 통해, 어문학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 전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둘째, 어문학자로서 올바른 가치관 정립국어국문학, 중어중문학을 중심으로 인류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현대역사와 사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지니며, 올곧은 문화형성의 주도자로서 사명감과 책임감을 길러 문화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올바르게 이끌 수 있도록 한다.

    ② 어문학 전문가로서 연구 능력 신장첫째, 언어학과 문학, 문화 연구방법의 연마국어국문학, 중어중문학을 중심으로 개별 언어와 문학, 문화 영역에서 개별 전공자가

    지녀야 할 연구수행 능력을 기르고 새로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전문성을 함양한다.둘째, 어문학 이론의 통합적 응용 능력 신장문화로서의 언어와 문학에 대한 다(多)학문적·학제간 학문적 이해를 바탕으로 삼아

    언어문화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결과들을 분석·종합하고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나아가 국어국문학, 중어중문학에 대한 전문지식을 각 분야에 실천적으로 적용하고 사회에 그대로 환원할 수 있도록 한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98 대학원 요람

    ③ 어문학계 지도자로서 인격 도야첫째, 풍부한 교양을 갖춘 문화계 지도력 함양사람의 삶에 대한 풍부한 교양을 쌓아 어문학계의 지도자로서 자아상을 정립하고, 나

    아가 국어국문학과 중국문화에 관한 전문가로서 세계화를 주도할 수 있는 역량과 태도를 기른다.

    둘째, 문화활동을 통한 국가 발전에 기여어문학 연구와 창작 및 비평 활동을 왕성히 하여 국가의 문화적 자원을 확충하고, 세계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노력함으로써 인문학자로서 정체성 확립과 자긍심 배양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2) 역사학전공① 역사학자로서의 품성과 자질의 함양첫째, 인류 역사에 대한 폭넓은 이해인간 삶에 대한 역사적 시각의 본질을 이해하고 동서양의 역사와 역사이론들을 섭렵

    하여, 역사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에 노력하고 인접 학문과의 유기적 통합을 통해 역사현상에 대한 총체적 이해력을 기른다.

    둘째, 역사학자로서의 올바른 생활관 정립역사학의 사변적·경험적 논의에 친숙해짐으로써 사회현상을 역사학적으로 탐구하려

    는 적극적인 태도를 기르고, 포괄적인 역사지식을 습득케 함으로써 역사의 실체는 물론 역사발전의 보편진리를 스스로 탐구하도록 계도하여 사회 문화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주도자로서의 자아관을 확립토록 한다.

    ② 역사 현상에 대한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첫째, 역사학적 연구방법의 연마역사연구의 근본 패러다임, 역사연구 방법론 및 역사연구의 성과에 대한 이해를 심화

    하여, 인간 삶의 역사적 현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숙달한다.둘째, 역사적 현상에 대한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 배양사회 제 현상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역사적 분석을 통해 인간이 겪고 있는 역사적 문제

    에 대한 다양한 실천적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전문 능력을 신장시킨다.③ 실전에 강한 인재 양성역사학전공에서는 개설 이래 지금까지 역사학 전공자 양성에 주력하여 많은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고고학이나 문화재분야 인력양성에 힘을 기울였으며, 그들이 여러 기관에서 중진 인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는 최근의 문화재분야 인력수요 급증 추세에 부응하는 동시에 학교의 대학원 개편에 발맞추어, 문화재·박물관분야 전문가 양성에 더욱 주력하고자 한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99

    3) 기록관리학전공①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기록관리 전문요원 양성기록관리학은 한 사회가 생산한 모든 종류의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평가, 관리, 보존,

    전승할 수 있는 전문요원의 양성을 목표로 삼는다. 기록관리 전문요원은 공공기록물로부터 개인기록물에 이르기까지 영구 보존 가치가 있는 모든 기록물을 물리적으로 보존하고, 이를 지적, 법적, 재정적 사안에서 활용 가능한 정보 형태로 축적할 수 있는 이론 지식과 실무 능력을 겸비하여야 한다.

    ② 투철한 윤리의식과 역사적 소명감을 가진 기록관리 전문요원 양성기록관리 전문요원은 지식정보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기록 자료를 비축해야 할 시대

    적 소명을 가지고 있다. 생산되는 모든 기록물에 공정하고 객관적인 자세로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록물이 생산되는 법적·제도적·사회적 조건과 역사적 맥락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투철한 윤리 의식과 역사적 소명감을 함양하는 것이 기록 관리학 교육의 근간이다.

    ③ 지역사회와 지역민의 요구에 성실하게 봉사하는 기록관리 전문요원 양성기록관리 전문요원은 기록물을 평가하고 보존 관리하고 전승하는 것 못지않게, 수요

    자가 기록물을 훼손 없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데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도서관의 사서나 박물관 학예사와 마찬가지로, 기록관리 전문요원은 지역사회와 지역민의 기록물 정보 수요에 성실하고도 적극적인 자세로 부응하는 봉사 정신을 함양한다.

    3. 교수 명단성 명(한자) 직 위 학 위 연 구 분 야 전 화 E-mail 주소 및 홈페이지

    이철리(李哲理) 교 수 문 학 박 사 중국문학비평 249-2143 [email protected]박태일(朴泰一) 교 수 문 학 박 사 현대시론 249-2109 [email protected]이종흡(李宗洽) 교 수 문 학 박 사 서양근대사 및 특수기록물관리연구 249-2163 [email protected]배대화(裵大華) 교 수 문 학 박 사 러시아문학·문예이론 249-2193 [email protected]김정우(金政佑) 교 수 문 학 박 사 국어음운론 249-2111 [email protected]조호연(趙虎衍) 교 수 역사학박사 러시아사 및 서양의기록관리체계 연구 249-2161 [email protected]김태식(金兌植) 교 수 경제학박사 중국경제 249-2885 [email protected]최송자(崔松子) 부 교 수 법 학 박 사 국제통상법 249-2175 [email protected]장윤정(張允禎) 부 교 수 문 학 박 사 한국고고학 249-2156 [email protected]김혜진(金惠珍) 부 교 수 경제학박사 중국경제 249-6342 [email protected]이선미(李善美) 부 교 수 문 학 박 사 현대소설 249-2108 [email protected]전은숙(全恩淑) 부 교 수 문 학 박 사 중국문학,소설 249-2701 [email protected]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00 대학원 요람

    4. 인문학과 내규

    제정 2011. 2.28.1차 개정 2019. 5. 17.

    제1조(목적) 이 내규는 학칙시행규정 제62조에 따라 학과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타전공입학자의 추가지정과목 이수) ① 타전공입학자의 경우 학칙시행규정 제17조에 따라 추가지정과목을 이수하여야 한다.② 추가지정과목은 9학점 이내로 하되, 학과장이 전공주임교수와 협의를 거쳐 추가로 이수하여야 할 교과목을 선정한다.③ 추가지정과목 이수범위는 동일전공계열 학사학위과정 과목 또는 해당전공 석사학위과정과목으로 한다. 다만, 기록관리학전공의 경우에는 다음의 과목 중에서 이수하여야 한다.1. 1학기 : ‘역사학개론’, ‘동양사개론’, ‘서양사개론’, ‘조직론’2. 2학기 : ‘도시행정론’, ‘정책과정의이해’, ‘기록관리학의이해’, ‘지방자치의이해’④ 학칙시행규정 제17조제4항에 따라 추가지정과목의 이수범위를 축소하거나 이수를 면제할 수 있다.⑤ 추가지정과목의 이수학점은 수료학점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제3조(학위청구논문의 중간발표) 학위청구논문을 제출하고자 하는 자 중, 어문학전공 중문학연구분야 및 기록관리학전공자는 논문제출 1학기 전까지 학위논문에 대한 중간발표를 하여야 한다.

    성 명(한자) 직 위 학 위 연 구 분 야 전 화 E-mail 주소 및 홈페이지박근배(朴根培) 조 교 수 문 학 박 사 국어학 249-2174 [email protected]김한신(金漢信) 조 교 수 철 학 박 사 동양사 249-2159 [email protected]윤상현(尹詳絢) 조 교 수 문 학 박 사 한국현대사 249-6371 [email protected]이 현(李 鉉)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동양중세사 249-2147 [email protected]조진기(趙鎭基)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현대소설론 249-2106 [email protected]김영일(金永一)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고전소설론 249-2106 [email protected]김정육(金政六)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중국고전소설 249-2140 [email protected]이재승(李載勝)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중국어문법 및 중국문화언어학 249-2140 [email protected]유장근(兪長根)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동아시아근대사 및 동양의기록관리 체계연구 249-2147 [email protected]김정대(金政大)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국어문법론 249-2106 [email protected]김봉렬(金鳳烈)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한국현대사 249-2147 [email protected]이지우(李志雨)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한국근세사 249-2147 [email protected]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01

    제3조의2(석사학위논문 대체) ① 석사학위청구논문 외 연구보고서 제출로 석사학위청구논문을 대체(이하 석사논문 대체) 할 수 있다.② 석사논문 대체를 희망하는 학생은 소정기한내 석사과정 학위취득계획서(석사논문대체신청서)를 지도교수, 전공주임교수, 학과장의 승인을 받아 대학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③ 연구보고서 제출로 석사논문 대체를 하고자 하는 자는 연구보고서 제출 학기에 학과 교수 및 원생들이 참여하는 가운데 실시하는 최종 발표 후에 제출한다.[본조신설 2019.5.17.]

    제4조(현장실습 등) 기록관리학전공 이수자는 정규 실습과목 이외에 지도교수가 지정하는 공·사립기관에서 기록물관리현장실습을 이수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여야 한다. 다만, 공·사립기관에서 기록물관리를 담당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담당하고 있는 자는 정규과목 이외의 기록물관리현장실습을 면제할 수 있다.

    부칙(2011.2.28.)① (시행일) 이 내규는 2011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② (적용례) 2011학년도 이전 입학자에게도 이 내규를 적용한다.

    부칙(2019.5.17.)이 내규는 2019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5. 교과목 구성1) 학과 공통과목과정 구분 1학기 학점 구분 2학기 학점

    석사과정

    공통공통공통공통공통

    언어학특강통사이론한자학연구한국문화재의과거와현재기록관경영론

    33333

    공통공통공통공통공통

    문화론의이해문학비평한문학연구공공역사학방법론특강한국고문헌연구

    33333

    2) 전공별 교과목■ 어문학전공과정 구분 1학기 학점 구분 2학기 학점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고려가요연구고전문학세미나Ⅰ국어어휘론연습국어통사론연구국어학세미나Ⅰ

    33333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가사연구고전문학세미나Ⅱ국어사연구국어음운론연구국어의미론연구

    33333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02 대학원 요람

    ■ 역사학전공

    과정 구분 1학기 학점 구분 2학기 학점

    석사과정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국어형태론연구민담형태론경남부산지역문학연구비교문학론연구 중세국어연구한국고전소설연구고대가요·향가연구한국신화연구한국민속과전통문화연구현대단편소설연구현대문학세미나Ⅰ현대문학연구방법론현대작가연구현대시론연구훈민정음연구연구지도와세미나Ⅰ

    3333333333333333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국어학세미나Ⅱ대중문학연구문예창작연구시조연구한국고전문학자료연구 민요·무가연구한국문학연구방법론한국어와한국문화한국한시연구현대문학세미나Ⅱ현대문학특수연구연구지도와세미나Ⅱ

    33333333333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고문연구문언소설연구문자학연구변려문연구사곡연구시경연구악부시연구중국속문학연구중국수사학연구중국어학연구방법론중국어학이론연구중국현대문법연구중국현대문학연구초사연구훈고학연구중국어어휘론연구

    3333333333333333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고문자연구당송시연구명청소설연구설문연구성운학연구중국문언문법연구중국문학비평연구중국문학연구방법론중국문학전제특강중국문화언어학연구중국어학연습중국어학전제특강중국현대소설연구중국희곡연구한부연구한중어학비교연구

    3333333333333333

    과정 구분 1학기 학점 구분 2학기 학점

    석사과정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고고학특수연습동양고고학연구동아시아국제관계사연구동양사회경제사특강서양고대사세미나서양근세사연구서양중세사연구학제연구특수연습한국고고학한국고대사연구한국근세사연구한국사회경제사연구한국정치제도사연구

    3333333333333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고고학연구방법론문화연구특수연습서양지성사원전강독서양현대사연구실험고고학연구역사고고학특강중국고대사특강한국고대사연습한국근세사연습한국미술사한국사상사연구한국중세사연습한국최근세사연습

    3333333333333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03

    ■ 기록관리학전공

    6. 교과목 해설 1) 학과공통과목언어학특강(Issues of Linguistics)본 강좌는 인문학 상호간의 의사소통에 기여하는 언어학의 제반 기능과 특성에 대한 탐

    구를 목표로 한다. 20세기에 들어서 여러 학문의 기본 방법론으로서 자리를 잡은 언어학은 오늘날 다양한 개별 학문 분과의 교류와 교섭의 중요 도구가 되고 있다. 본 강좌는 언어학 일반의 지식 체계 위에서 언어를 매개로 한 인접 학문과의 상호 이해를 드높일 수 있는 학습 내용을 학습하고자 한다.

    문화론의이해(Understanding of Cultural Studies)본 강좌는 현대사회 통합적 학문 영역으로서 문화의 의의와 값어치를 발견하고, 그것을

    이해하는 다양한 이해방법과 지식을 점검하는 문화연구 입문을 목표로 삼는다. 그리하여 문화 개별 영역의 세부 전공 지식을 쌓기 위한 바탕을 다질 뿐 아니라, 새로운 인문사회학 연방향의 디딤돌을 놓고자 한다.

    통사이론(Syntactic Theory)통사이론이란 단어들이 어떤 규칙에 의해 더 큰 구나 문장으로 구성되는가에 대한 이론

    이다. 본 과목은 에서는 현대통사이론을 학습하는 입문과목이다.

    과정 구분 1학기 학점 구분 2학기 학점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한국중세사연구한국최근세사연구한국현대사연구중국의문물학동아시아박물관사연구연구지도및세미나Ⅰ문화재현장실습Ⅰ

    3333333

    전선전선전선

    한국현대사연습연구지도및세미나Ⅱ문화재현장실습Ⅱ

    333

    과정 구분 1학기 학점 구분 2학기 학점

    석사과정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구술사연구기록물평가의이론과실제동양의기록관리체계연구비공공기관기록물관리실습사기록물수집론특수기록물연구한국기록관리행정의역사한국행정체계연구행정절차와정보공개

    333333333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공공기록물관리실습기록물정리·기술의이론과실제기록물편찬전시론기록보존과학서양의기록관리체계연구전자기록물관리론지방사료연구지방자치행정연구

    33333333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04 대학원 요람

    문학비평(Literary Criticism)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학비평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아울러 각 시대의 문예사

    조를 검토한다. 이 과목에서는 독자반응비평, 구조주의, 해체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정신분석비평,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신역사주의, 문화연구 등 20세기의 다양한 비평이론을 심도 있게 연구하면서 그 적용방법을 연구한다.

    한자학연구(A study of Chinese character)한자의 기원 및 시대별 변천 과정을 학습하고, 이를 통해 중국 문화 및 한자문화권에 대

    한 이해를 높이도록 한다. 본 과정은 우선 한자의 정의와 연구 범위, 한자의 기원 및 변천 과정을 학습하여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이러한 기초 하에 갑골문, 금문, 전국 문자, 소전, 예서, 해서, 행서, 초서, 간체자 등 각 단계의 한자 체계에 대한 소개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와의 비교를 통해 한자의 역사와 기능 및 미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한문학연구(A study of Chinese literature)동아시아의 한국·중국·일본·베트남은 중국어의 표기문자인 한자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한자문화권을 이루었다. 이러한 한자문화권의 풍부한 한문학 유산은 근세의 새로운 문학을 이루는 밑거름이 되고 있으며, 동양사회 전반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근간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과정에서는 한문학 작품 중 대중성이 높은 작품을 선별해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분석을 통해 심도 있는 작품 분석을 시도한다.

    한국문화재의과거와현재(Past and Present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현재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문화재는 고고학·선사학·역사학·문학·예술·과학·종교·민

    속·생활양식 등에서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인류 문화활동의 소산(所産)을 말한다. 그러나 이 강좌에서는 그것을 포함하여, 그것이 내재하고 있는 가치뿐만 아니라 주로 20세기 이후에 그것을 발명(invention)되어 가는 과정과 그 주체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문화재를 근대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도록 할 것이다.

    공공역사학방법론특강(Topics in Methodology of Public History)최근 역사학의 새로운 경향들을 소개하면서 이를 세미나 형태 등을 통해 심화하기 위해

    설치된 과목이다. 몇 가지 특수한 역사학적 방법론들을 이해한 뒤에, 참여자들은 각자 관심 있는 역사현상에 이 방법론들을 적용하여 기초 사료들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한다. 아울러 사용된 방법론이 어떤 이론적 실천적 한계와 이데올로기적 함축을 가지고 있는지에 관해서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기록관경영론(Administration & Management of Archives)이 교과목은 기록관과 경영이라는 두 가지의 주요 개념으로 이루어졌다. 경영은 매우 포

    괄적인 개념이다. 하지만 기록관으로 한정시켜 말하자면 기록을 수집, 정리, 보존, 이용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록관의 인력, 예산, 설비 등을 계획, 조직, 지휘, 통제하는 활동이라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05

    고 할 수 있다. 곧 기록관의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모든 활동이다. 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기록관을 경영하는 수많은 문제들을 검토하게 될 것이다.

    한국고문헌연구(A Study of Korean Historical Documents)한국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사를 연구하는데 기본이 되는 각종 문헌사료

    와 자료를 강독하고 분석함으로써 고문헌 연구를 위한 기본 소양을 배양한다. 이와 함께 한국사 사서의 편찬체제와 편찬과정을 이해하고, 사료의 수집과 해석 및 분석 능력을 배양한다. 역대의 정사와 야사류를 비롯하여 정부연대기, 지지류, 법전류, 문집과 고문서류 등 한국사와 관계된 자료를 통해 각종 고문헌 자료의 해독 능력을 배양한다. 이를 통해 한국사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이해하고 역사학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어문학전공과목가사연구(Studies of Gasa)가사를 창작, 향유했던 문화적 공간을 통하여 생활문화로서의 특성을 이해하고, 가사가

    우리말의 다양한 표현 방법을 실천했던 점을 주목하여 그 언어적 진술과 표현 양상을 정리하면서 한국시의 시적 진술 및 문학적 관습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고려가요연구(Studies of Goryeo Gayo)고려시대의 국문시가인 속악가사를 대상으로 하여 그 시학적 특성을 밝혀 향가에서 이

    어지는 한국 고전시학의 초석을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속악가사에 대하여 서정의 변모와 각각의 기능에 따른 변모양상을 집중적으로 다루도록 한다. 나아가 시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면모를 보이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주의 깊게 보도록 한다.

    고전문학세미나I(Seminar on Classic Korean Literature I)지금까지 축적된 학문적 역량을 바탕으로 고전문학 전반에 걸쳐 스스로 해로운 문제를

    제기하고 창의적으로 탐구 해결하는 훈련을 함으로써 고전문학 분야에 대한 이해를 더욱 확대, 응용해 나가는 1단계 강좌이다.

    고전문학세미나II(Seminar on Classic Korean Literature II)지금까지 축적된 학문적 역량을 바탕으로 고전문학 전반에 걸쳐 스스로 해로운 문제를

    제기하고 창의적으로 탐구 해결하는 훈련을 함으로써 고전문학 분야에 대한 이해를 더욱 확대, 응용해 나가는 2단계 강좌이다.

    국어사연구(Studies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국어사는 국어가 이 땅에 모습을 드러낸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것의 제 양상을 역사

    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영역이다. 우선은 각종 선행 연구에 바탕을 둔 국어의 변화 과정에 대해 정리하고, 이어서 국어사에서 쟁점이 되는 주제를 음운, 형태, 통사, 의미 부문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특히 쟁점과 관련된 권위있는 논문들을 비교·검토함으로써, 역사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06 대학원 요람

    언어학적 방법론을 이해하고 국어사적 안목도 키운다.

    국어어휘론연습(Seminar on Korean Lexicology)국어어휘론은 국어 어휘를 수집하고 일정한 방법으로 이를 체계화하는 것을 일차적인

    과제로 삼는 학문 영역이다. 따라서 어휘의 수집·정리에 관한 각종 이론과 그 이론에 의한 구체적인 연구물에 대하여 분석 비판하고, 실제로 문학작품 등 구체적인 텍스트를 대상으로 어휘 자료를 수집, 정리하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이와 아울러 그것들을 어휘 교육, 국어 순화, 사전 편찬 등에 실용적인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방안들에 관해서도 연구한다.

    국어음운론연구(Studies of Korean Phonology)구조음운론과 생성음운론으로부터, 운율음운론, 음절음운론, 어휘음운론, 의존음운론

    등 최근의 음운이론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이해하고, 이러한 이론에 근거한 구체적인 연구물을 분석·비판한다. 이를 통해서 국어의 음운 구조와 음운들 상호간의 작용을 지배하는 음운 규칙을 수립해 본다. 한편 전통적인 음운 단위인 음소와 음절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함께 이들 단위가 새로운 이론에 어떻게 포섭될 수 있는가의 문제도 심도 있게 다루어 본다.

    국어의미론연구(Studies of Korean Semantics)언어와 의미와의 관계, 의미론의 성립과 그 변천 과정 및 최근의 연구 동향, 의미 기능 및

    의미 유형, 다양한 의미 이론과 그에 따른 의미론의 종류 등 의미론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하고, 성분분석, 의미상 이론 등 의미 연구방법론에 대해서 연구한다. 그리고 동의관계, 대립관계 등 어휘의 여러 공존관계를 고찰하고, 의미 변화에 관해서도 원인, 과정, 결과의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기로 한다. 문장의 정보, 어순, 문장 제약 등 문장의미와, 전제와 함의 등 발화의미에 대해서 연구하고 나아가 철학적 의미론, 일반의미론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국어통사론연구(Studies of Korean Syntax)국어통사론 논의를 위한 몇 가지 전제에 대해서 언급하고, 국어 통사 범주를 정한 다음

    이를 특히 변형문법적인 입장에서 다룬다. 통사론의 논의 대상, 문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국어 문법 범주론과 문장형성론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자 하는 것이다.

    국어학세미나I(Seminar on Korean Linguistics I)국어학세미나I은 국어학 관련 과목들과의 연계 관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국어학 분

    야의 전체적인 질서를 체계화함으로써 국어학과 관련된 제반 쟁점을 검토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해석하거나 응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1단계 강좌이다.

    국어학세미나II(Seminar on Korean Linguistics II)국어학세미나II은 국어학 관련 과목들과의 연계 관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국어학 분

    야의 전체적인 질서를 체계화함으로써 국어학과 관련된 제반 쟁점을 검토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해석하거나 응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2단계 강좌이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07

    국어형태론연구(Studies of Korean Morphology)생성형태론의 최근 동향을 일별하고, 이를 국어에 적용시키는 문제를 여러 각도로 고찰

    한다. 이를 위하여 국어의 형태론 연구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특정 자료의 해석에 적합한 특정 이론의 전개 양상을 논의한다.

    대중문학연구(Studies of Popular Literature)대중문학은 현대사회에서 대중문화론의 일부로 인식되면서 새로운 관점에서 관심의 대

    상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중문학은 대중의 통속적 취향에 맞춘 위안의 문학이라는 고식적 관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이라는 고식적 관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강좌에서는 대중문학론을 근거로 대중문학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 틀을 점검하고 대중문학의 지향성을 해명하는데 목표를 둔다.

    문예창작연구(Theory of Writing Literature)문학에 대한 이론 학습은 창작 학습을 빌려 그 심도를 더한다. 나아가 문학창작은 문학

    학습의 중핵적인 일거리로 주류 문학의 무게 중심을 바꾸고 있다. 이론 심화를 위한 창작이나, 전문 작가로 올라서기 위한 목표를 겨냥하여 시를 중심으로 한 창작 실제 학습을 거듭하는 강좌다. 나아가 시창작 방법의 일반론 수립까지 겨냥한다.

    민담형태론(Morphology of Folk tale)현대의 민담학이 제시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참고하여 한국민담의 형태에 대하여 체계

    적으로 검토한다. 이는 민담이 인간이 창조한 주체적이고 종합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데서 출발하여 서사문학의 근간으로서 민담의 서사모형을 그 형태에서 추출한다. 이러한 민담형태를 위해 프롭에서 리드에 이르는 다양한 형태론을 검토하고 유형화 작업을 거쳐 민담의 원형과 변이 양상에 대한 미학의 주제론적인 해석도 시도한다.

    경남부산지역문학연구(Studies on Regional Literature of Gyungnam and Busan Area)오늘날 지역구심주의는 탈근대·근대반성 담론의 중요한 영역을 이루고 있다. 지역문학

    연구는 이러한 전제 아래서 마련된 지역연구의 한 하위분야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지역문학연구에 이르기 위해 이 강좌에서는 첫째, 지역문학연구에 대한 동서양의 이론적 틀과 그 구체적 양상, 둘째 우리 근현대 문학사 전통에 나타나는 지역문학의 양상, 셋째 부산경남지역문학의 통·공시적 개별성과 구체적 양상에 대한 분석 해명에 이른다. 이 일을 바탕으로 경남부산지역문학연구는 지역 문학과학의 성립 가능성까지 논의의 폭을 한 발 넓혀 나간다.

    비교문학론연구(Theory of Comparative Literature)비교문학이란 2개국 이상의 국민문학 사이에 존재하는 영향의 수수관계를 규명하여 자

    국문학의 특수성을 밝히려는 문학연구방법론의 하나다. 따라서 비교문학론은 한국의 근대문학의 성립과 발전이란 서구-일본-한국이라는 문학수용의 과정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정당한 평가는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이 강좌에서는 비교문학의 방법론을 검토하고 이를 바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08 대학원 요람

    탕으로 우리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를 실천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시조연구(Studies of Sijo)정형시로서의 시조에 대하여 역사적 갈래로서의 특성을 이해하고 서정시로서의 시학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조의 형성과 전개, 장시조의 형성과 전개 등을 포함한 다른 갈래와의 관련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를 펼 수 있도록 한다.

    중세국어연구(Studies of Middle Korean Language)국문자로 기록된 중세국어 자료는 물론 한자 차용표기 문헌도 조사·연구하게 하고 기존

    의 중세국어에 대한 연구 업적들을 비판·검토하여 국어사의 재정립에 일익을 담당하게 하는 교과목이다. 통시·공시론적 연구 방법이 적용될 수 있고, 현대국어가 고대국어로부터 변천되어 왔다고 하며 중세국어는 그 중간 단계로서의 위치를 정립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고전문학자료연구(Dissertation in Classical Korean Literary Bibliography)한국고전문학자료의 존재방식, 자료분석 방법 등을 문헌학적 입장에서 접근하고 한국

    문학연구를 위한 기초적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 고전문학에 대한 제재사의 정리와 아울러 새로운 문제의 제기와 방법론의 모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국고전소설연구(Studies of Classical Korean Novels)한국고전소설을 작품 중심으로 서사문학사의 큰 흐름에서 그 가닥을 살피도록 한다. 작

    품자체의 검토를 통한 서사이론의 수립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고전소설에 대한 제반 논의를 검토하고 작품 분석의 기틀을 마련한다. 이러한 기틀은 고전소설의 인물유형과 사건의 전개 및 배경에 관한 이른바 사실적 합리성에 의해 그 서사구조를 모형화하는 데서 마련될 것이다.

    민요 · 무가연구(Studies of Korean Folk Song and Shamanistic Epic)노래와 이야기의 원류에 각각 해당하는 민요와 무가의 본질과 형태, 연행 환경과 문화적

    영향력 등에 관하여 이론적 토대와 현장론적 접근을 병행하여 탐구한다. 민요와 무가가 전승 시기와 지역에 따라 변화하는 요소와 변하지 않는 요소를 구별하여 이해하고, 생활문화로서 민요와 주술문화로서 무가의 특성을 이해한다. 나아가 이들 자료를 실제로 수집, 정리하고 그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문학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Korean Literature)한국문학연구에 임하는 연구자의 기본자세 및 한국문학을 대상으로 한 과학적 연구의

    제 방향을 이론적 측면과 현실적 측면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논의한다. 연구방법은 곧 연구자의 실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중시하여 연구방법이 마련되는 과정의 현실적·철학적 기반을 검토하고 한국문학 각각의 역사적 갈래가 지닌 성격을 고려하여 연구자의 실천을 전제로 한 연구방법론을 토론하고 그 방향을 모색하도록 한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09

    한국민속과전통문화연구(Study of Korean Folklore and Traditional Culture)문화는 한 민족의 존재양식이다. 이 양식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그리고 존재의 가치를 바

    꿀 때 마다 변하거나 소멸한다. 그러나 전통문화는 원시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불변하는 한 민족의 존재양식이다. 본 강좌는 한국문화의 원형을 그 민속에서 탐구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한국인의 존재양식을 조명한다. 여기에는 민속과 문화를 연계하는 다양한 연구방법과 그 해체의 작업이 제시된다. 그리고 한 민족의 존재양식과 그 가치관이 민속으로 형성되는 과정도 이 강의의 과제이다.

    고대가요 ․ 향가연구(Studies of Ancient Korean Poetry and Hyangga) 현재 남아있거나 잃어버린 고대가요와 향가를 통해 한국 서정시의 형성 과정과 한국문

    화의 본래적 성격을 고찰한다. 고대가요와 향가의 작품 내용과 전승 관련 기록을 강독하고, 이들의 해석에서 쟁점이 되어 온 부분을 정리하며 나름의 시각에 따른 판단을 추구한다. 이를 통해 중세로의 이행과정에서 지속, 변천, 상실된 성향을 파악한다. 나아가 현대적 관점에서 고대가요·향가의 신비주의와 환상성을 평가, 응용할 수 있다.

    한국신화연구(Studies of Korean Myth)본 강좌는 한국의 신화에 대한 종합적인 탐색을 목표로 한다. 천지창조나 생명의 유래에

    관한 신화를 포함하여 고대국가의 건국과 관련한 건국신화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그 이후 신화가 변모하는 양상까지 살피도록 한다. 나아가 동아시아의 다른 신화와 비교하는 과제도 설정하고자 한다.

    한국어와한국문화(Korean Language and Culture)이 강좌는 본 대학원으로 유학을 오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과정으로, 이미 습득한 기

    초적인 한국어 능력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한국어와 한국 문학 관련된 자신의 전공 분야에 대한 심화된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서 한국어로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한시연구(Studies of Korean Chinese Poetry)한국한시에 대한 체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중국 한시와의 공통점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

    국한시의 개별성을 밝혀 공동문어로 된 한시의 시학을 수립하는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한시의 출발과 함께 중국 한시와의 관련을 검토하고 나아가 한국한시의 성격이 바뀌는 과정을 심도 있게 논의하여 한시를 담당했던 담당층들을 시적 정서에 대한 이해의 폭을 심화시키도록 한다. 이와 함께 한국한시의 차별적인 성격도 부각하여 다른 역사적 갈래와의 관련에 대해서도 살피도록 한다.

    현대단편소설연구(Studies of Modern Korean Short-Story)한국의 근대소설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단편소설은 장편소설과는 달리

    단일한 인물과 단일한 사건을 통하여 단일한 이야기적 효과를 성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10 대학원 요람

    그러므로 단편소설은 구조적으로 장편소설과는 다른 특성을 지니게 되는 바, 단편소설의 양식적 특성을 검토하고 단편소설의 성립과 전개양식과 작가 및 작품의 성격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한국소설사에서 단편소설의 위상을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문학세미나I(Seminar on Modern Korean Literature I)한국 현대문학사 100년에 걸친 다채로운 지속과 변모 양상 가운데서 중심 주제와 쟁점을

    찾아 심화된 학습으로 나아간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세부 전공에 초점을 두고 맞춤형 학습방법을 취하는 1단계 강좌다.

    현대문학세미나II(Seminar on Modern Korean Literature II)한국 현대문학사 100년에 걸친 다채로운 지속과 변모 양상 가운데서 중심 주제와 쟁점을

    찾아 심화된 학습으로 나아간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세부 전공에 초점을 두고 맞춤형 학습방법을 취하는 2단계 강좌다.

    현대문학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Modern Literature)문학의 연구란 작품을 분류하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과 방법이 필요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이 강좌에서는 문학연구의 다양한 방법론을 검토하는 동시에 이를 구체적으로 문학작품의 연구에 적용하여 방법론의 허실을 검증한다.

    현대문학특수연구(Disserta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이 강좌는 현대문학 전반에 걸친 문제점을 찾아 그 해결점을 모색하는 동시에 학위논문

    으로 준비하고 있는 문제에 대하여 전반적이며, 구체적으로 논의함으로써 논문작성의 실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대작가연구(Studies of Modern Korean Writers)문학작품이란 한 작가의 투영이라 할 만큼 작품과 작가는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한국 근·현대 작가의 삶과 문학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그들의 문학적 위상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둔다. 작가연구는 단순히 작가의 개인적 삶을 문제 삼지 않고 작품해석에 새로운 시각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하며, 작품연구는 작가의 삶을 해명하여 작가와 작품이 유기적 관계임을 확인한다.

    훈민정음연구(Studies of Hunminjongum)훈민정음의 제작 동기와 제자 원리 등을 살펴 한글의 우수성을 증명하게 하고, 기존의 연

    구 업적들을 검토 비판하여 중세국어 연구와 국어사 정립에 일익을 담당하게 한다.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해 국어정책과 민족의식 함양에도 일익을 담당하게 한다.

    현대시론연구(Modern Korean Poetics)일반문학적 관점에서 서정시 갈래 이론에 대한 체계적인 틀을 검토한 뒤, 19세기 이후의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11

    동서양 현대 서정시 이론에 대한 폭넓은 이해에 이른다. 이 일을 바탕으로 첫째, 우리 근현대 서정시 이론사의 조건과 양상을 검토하고, 둘째, 동아시아와 서구에 두루 걸치는 비교시학과 주제학적 시 이론에 대한 안목을 넓혀 나간다.

    연구지도와세미나I(Directed Research and Seminar I)특정 주제에 대해 개별적인 지도를 하면서 학생의 논문 준비 및 작성을 도우며, 전공 관

    련된 제반 쟁점을 검토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해석하거나 응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1단계 강좌이다.

    연구지도와세미나II(Directed Research and Seminar II)특정 주제에 대해 개별적인 지도를 하면서 학생의 논문 준비 및 작성을 도우며, 전공 관

    련된 제반 쟁점을 검토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해석하거나 응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2단계 강좌이다.

    연구지도I(Directed Research I)특정 주제에 대해 교수가 학생에게 개별적인 지도를 하면서 학생의 논문 준비 및 작성을

    돕는다.

    연구지도II(Directed Research II)특정 주제에 대해 교수가 학생에게 개별적인 지도를 하면서 학생의 논문 준비 및 작성을

    돕는다.

    연구지도III (Directed Research III)특정 주제에 대해 교수가 학생에게 개별적인 지도를 하면서 학생의 논문 준비 및 작성을

    돕는다.

    고문연구(Studies of Gu-Wen)先秦시대와 漢魏六朝 및 隋·唐·宋·元·明·淸에 이르는 중국의 역대 산문들 중 비교적 사상

    성이 풍부하고 문학성이 뛰어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는 유명 작품들을 골라 읽으면서, 그 속에 담긴 작자의 사상과 감정을 음미하고 또 그 형식적인 특징을 파악하도록 한다. 특히 諸子散文과 唐宋八家文을 위주로 세밀한 분석을 가함으로써, 시대별 유파별로 古文 작품들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풍격을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 선조들이 창작한 한문 문장들을 독해 감상할 수 있는 능력도 아울러 배양하고자 한다.

    고문자연구(Studies of Ancient Chinese Characters)중국문자의 되는 신석기시대의 陶文에서부터 甲骨文, 金文, 春秋全國文字를 거쳐서 秦

    代의 小篆에 이르기까지 중국문자의 변천과정 및 각 시기 문자의 字形的 특징을 분석한다. 그리고 현재까지의 상관된 古文字 연구 성과를 두루 섭렵하여 고문자 해독의 성과 및 해독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12 대학원 요람

    방법을 습득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출토되고 있는 새로운 고문자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현재 학계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중국 고문자 연구의 현황과 흐름을 파악한다.

    당송시연구(Studies of Tang & Song Poetry)중국문학사에 있어서 시의 완성기이자 전성기라 할 수 있는 唐·宋代의 시를 대상으로 각

    시대별 유파별로 주요 작품을 선정 분석함으로써, 개별적인 작품의 이해와 함께 그 속에 반영되어 있는 각 시대의 사회상 그리고 시대별 작품 특징 및 발전 과정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律詩와 絶句 등 近體詩를 위주로 하여 그 당시 작품들이 갖추고 있는 완미성과 독창성, 형식과 내용의 조화성 그리고 시인들마다의 독특한 개성 등 여러 면을 면밀하게 분석하는 훈련을 통해 차후에 이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켜 나간다.

    명청소설연구(Studies of Ming & Qing Novels)명대 소설은 문학사상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송 ․ 원대를 거쳐 명대에 이르러 예술성

    과 형식면에서 대단한 성취를 이룬 소설은 무엇보다도 백화문으로 기술된 백화소설이라는 점에서 돋보인다. 그리고 소설에 대한 관념의 변화와 시대적 배경을 명확히 반영하고 있다는 점 역시 주목을 끈다. 또 청대에는 시대 상황의 영향으로 대단히 많은 소설이 창작되었는데, 특히 청대 말엽에는 견책소설의 등장으로 정치와 사회의 모순을 폭로하고 견책하는 소설이 등장한다. 중국소설사에서 찬란한 성취를 이룬 명 ․ 청대의 소설을 주제와 제재별로 나누어 분석 연구한다.

    문언소설연구(Studies of Classical Chinese Novels)위진남북조 시대에 풍미했던 유미주의 문학사조 속에서 소설은 그 체재나 기교면에서

    의 한계로 인해 제대로 적응해 나갈 수가 없었다. 그래서 소설은 계속해서 초보적인 단계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당시 성행했던 불교 영향으로 인하여, 인과응보 사상을 드러내 보이려는 의도로 지어진 소설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소설은 불경 중의 고사를 채용하여 소설의 제재를 넓히기도 했다. 당대의 전기는 작가가 의식적으로 소설을 창작했다는 점에서 소설사상 특이한데, 지괴소설과 전기 작품을 강독하여 문언소설의 발달과정과 후세에 미친 영향 등을 연구한다.

    문자학연구(Studies of Chinese Characters)문자학은 문자와 언어의 관계, 서로 다른 유형 문자의 구조 체계와 필사 형식 및 규칙, 문

    자 발생과 발전의 역사 등을 다루는 학문이다. 한자는 표의문자로 독특하고 유구한 역사 연원을 갖고 있는데, 이 과목에서는 한자의 성질, 한자의 형성과 발전, 형체의 연변, 한자의 기본 유형에 대한 분류 이른바 六書를 구체적으로 심도 있게 다루며, 이체자와 동형자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또한 자형과 音義의 교착 관계 및 오늘날 중요시되고 있는 한자의 정리와 간화 문제에 대해서도 그 의미를 새겨 보도록 한다.

    변려문연구(Studies of Pian li-Wen)魏晋南北朝시대에 성립하여 初唐 무렵까지 극성을 누렸던 騈儷文 작품들을 선별 분석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13

    함으로써, 개별 작품들의 내용과 형식을 이해하는 한편 변려문의 독특한 예술성과 그것이 야기한 유미주의 문학사조에 대하여도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실제 작품 분석을 통해 字數 ․ 對句 ․ 聲律 중시 ․ 押韻 ․ 典故 사용 등 고도로 추구된 변려문의 형식성을 이해하고, 아울러 이러한 예술성 추구와 한자의 근본 속성과의 관련 그리고 과도한 규칙화에 따른 여러 가지 폐단으로 인해 결국 古文運動에 밀려 문단에서의 우위를 잃게 되는 과정 등도 함께 고찰하기로 한다.

    사곡연구(Studies of Ci & Qu Poetry)詞와 曲은 각각 宋代와 元代에 성행하였던 중국문학에서만 존재하는 민간 가요 계통의

    詩歌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우선 宋代를 중심으로 한 詞를 시대별 유파별로 주요 詞人의 작품을 선정하여, 개별 작품을 분석 이해하고 아울러 창작 기법과 발전 과정 그리고 영향 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로 한다. 이어서 元代文學을 대표하는 曲의 표현 양식을 정리하고, 주요 작품들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통하여 曲의 발전 과정이나 후대 문학에 끼친 영향 등도 아울러 검토해 나가기로 한다.

    설문연구(Studies of Shuo-wen Jie-zi)≪說文解字≫는 한자의 자형을 분석하고 字源을 연구하는 데 없어서는 안될 중국의 대

    표적인 문자학 서적이다. 또한 고문자와 한어 어휘 그리고 고음을 연구하는 데 아주 중요한 자료이다. 이 과목에서는 ≪說文解字≫의 내용 즉 字義에 대한 해설과 六書에 의거한 형체 구조 및 독음에 대한 해설을 중심으로 하되 다른 학자들의 ≪說文解字≫에 대한 주석을 함께 참고함으로써, 고서중의 문자 훈고와 ≪說文解字≫가 어떻게 다른가를 비교하고 아울러 字義가 어떻게 引申되어 왔는지 살피고자 한다.

    성운학연구(Studies of Chinese Phonology)성운학은 서로 다른 시기 한자의 성모 ․ 운모 및 성조 체계와 그들의 변화 법칙을 연구하

    는 중국의 전통 언어학으로 古音學 ․ 今音學 ․ 等韻學 등이 이에 속한다. 古音學은 秦漢 이전의 한어 상고음을 주로 연구하고, 今韻學은 ≪切 音≫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魏晋南北朝로부터 隋唐시기의 어음 체계를 연구한다. 等音學은 도표로 한어의 성모 ․ 운모 ․ 성조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고 한어의 발음 원리와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성운학은 한어의 어음 체계 ․ 어사 ․ 어휘 ․ 문법 ․ 방언 등의 연구뿐만 아니라 문자학 ․ 역사학 ․ 문학 ․ 민속학 등을 망라한 사회 과학 분야에서도 필요로 하는 학문 분야이다.

    시경연구(Studies of Shi-Jing)시경은 춘추시대 때 이미 그 문학적 지위가 소실되었으나, 오히려 정치나 사회적으로는

    가장 유용한 문헌으로서 여전히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비록 독립된 문학 생명은 없지만, 중국 시문학의 효시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가장 오래된 문학 작품이기도 하다. 중국 고대의 민간 민요와 제신 송가 등을 시의 성질과 표현법에 따라 六義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또 시경이 갖고 있는 작시상의 특수한 형태에 대하여 연구한다. 그리고 후세 시문학에 끼친 영향을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14 대학원 요람

    검토하여 중국 시문학이 갖고 있는 문학사상의 의의를 연구한다.

    악부시연구(Studies of Yue-Fu)중국의 고전 시가 작품들은 중국문학 유산 중의 정화라 할 수 있으며, 중국 문화를 온전

    히 이해하려면 이러한 시 작품들에 대한 감상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교과목에서는 우선 漢代 및 魏晉南北朝시대의 악부 민가 작품들을 선별 분석함으로써, 작품 속에 담긴 시인의 사상과 정서를 이해하고 그 표현 기교 등을 살펴보며, 아울러 작품의 전체적인 경향과 中國詩史에서 차지하는 위치도 함께 검토해 보기로 한다. 특히 각 시대별 유파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독특한 특징이나 개성 등을 면밀히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 분야에 대한 심도 높은 연구의 기틀을 다져 나간다.

    중국문언문법연구(Studies of Classical Chinese Grammar)이 과목에서는 고대 한어의 특징과 어휘, 품사, 문장에 이르는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어법상의 역사적 변천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아울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고대 한어와 현대 한어가 어법상으로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 가운데 어순과 생략, 어조와 문장 형식, 품사의 활용, 특수한 문법 구조, 복합문에 관한 것들을 심도 있게 고찰하도록 한다. 아울러 우리말 문법과의 대비까지도 연구의 범위에 포함시킨다.

    중국문학비평연구(Studies of Chinese Literary Criticism)先秦시대와 漢魏六朝 ․ 隋 ․ 唐 ․ 五代 및 宋 ․ 金 ․ 元 ․ 明 ․ 淸代를 통틀어 고전문학비평에

    관련된 주요 문장 및 저술들을 선별 분석함으로써, 중국 전통 문인들의 문학관과 창작 이론 및 비평 이론의 요체를 파악하는 한편 중국문학비평의 성립과 발전 과정 그리고 그 특징 등을 함께 검토하도록 한다. 특히 서양의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비평 작업과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중국문학비평 특유의 인상식 비평 방식을 감안하여, 그 가운데 담겨 있는 견해들이나 비평 척도 및 비평 실태 등을 정확하게 분석해내는 데 역점을 두어 강의를 진행한다.

    중국문학연구방법론(Methodology in Chinese Literature)역대 중국문학 작가들의 작품 활동과 경향을 이해하고 그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한 다음,

    세부 주제 또는 대 주제를 선정하여 전문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일차적으로 先秦시대로부터 漢魏六朝 및 唐 ․ 宋 ․ 元 ․ 明 ․ 淸代에 이르는 중국 고전문학 전반에 걸쳐, 각 시대별 문학사조와 작가 ․ 작품 및 문학 양식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 정리하기로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중국문학 전반에 걸친 폭넓은 이해를 갖추고, 나아가 차후에 전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적절한 방향 설정과 아울러 유기적이고 종합적인 분석과 연구를 실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중국문학전제특강(Topics in Chinese Literature)詩 ․ 詞 ․ 曲 ․ 賦 ․ 散文 ․ 戱曲 ․ 小說 ․ 評論 ․ 現代文學 등 중국문학의 여러 분야들 중에서 그

    때그때 학계에 특별히 부각되고 있는 문제나 특정 작품 또는 思潮나 테마 등을 선정하여, 세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15

    미나 형식의 강의 진행을 통해 본격적인 문학 연구의 기초를 다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 교수가 학생들이 특별히 관심을 많이 기울이고 있는 문학적인 주제를 선정하여 함께 연구 토론해 나감으로써 학생들이 중국문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나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중국문화언어학연구(Chinese Cultural Linguistics)이 과목은 중국언어와 문화를 접목시켜 통시와 공시의 교차 연구를 중점적으로 연구하

    며, 한편 사회변화와 교제 기능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언어의 문화적 내포를 주된 연구과제로 삼는다. 즉, 문화의 언어계통과 언어 관념에 대한 영향, 문화의 언어발생과 발전에 대한 영향, 문화의 언어 접촉과 융합에 대한 영향 등에 대해 연구하며, 한편 사회 언어 환경의 변화가 언어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한다. 여기에는 사회언어학 범주와 민속언어학 뿐만 아니라 중국과 한국의 대비연구와 한국의 중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도 포함하고 있다.

    중국속문학연구(Studies of Chinese Folk Literature)중국 속문학의 범위는 대단히 광범위하다. 시와 산문을 제외한 소설 ․ 희곡 ․ 변문 ․ 탄사

    같은 류가 모두 속문학에 속한다. 이러한 속문학은 정통 문학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결코 홀시할 수 없는 것이다. 고대 가요와 한 대 ․ 육조의 민가, 당대의 민간 가요와 변문, 송 ․ 금의 사와 제궁조, 원대 산곡과 명대 선가 등 어느 하나 정통 문학과 관련되지 않은 것이 없다. 이러한 속문학의 산생 배경에 대한 검토와 작품 독해 등을 통하여 문체의 연변과 영향을 연구한다.

    중국수사학연구(Studies of Chinese Rhetorics)수사학은 수사 현상에 나타난 조리와 규율을 연구 대상으로 함에 이들 조리, 규율 및 수

    사 관념 체계를 명시함으로써 복잡한 사회 교제의 요구에 부응하여 각종 수사 방법을 운용하고 창조해 내는데 도움을 주는 학문 분야이다. 각종 어문 재료의 수사 기능과 표현 기능의 특징은 대비 분석을 통해서만 드러나는데, 이런 점에서 비교는 수사학의 가장 중요한 방법이라 하겠다. 이 과목에서는 중국 문장에 나타난 여러 가지 수사 방법과 방식을 개괄해 보고 여기에 내재한 원리 원칙을 조명해 본다.

    중국어학이론연구(Studies of Theory of Chinese Linguistics)중국언어학에 도입되어 응용되고 있는 서양 이론을 중심으로 그 특징과 내용을 살펴보

    고 소주제를 택해 이들 이론을 적용하여 논구를 전개하는 연습을 실시한다. 한편 서양 이론이 중국언어학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지 그 연변 과정과 흐름을 파악하는 것도 이 과목에서 병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또한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언어학 분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면밀히 고찰하는 데 중요성을 함께 부여하고 있다.

    중국어학연구방법론(Methodology in Chinese Linguistics)중국에서의 어학 연구는 선진시대로부터 그 맹아를 엿볼 수 있는데 한대이후 문자학, 훈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16 대학원 요람

    고학, 성운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비로소 학문으로서 자리를 제대로 잡기 시작하였다. 이 과목에서는 먼저 중국 언어학의 대상과 임무, 시대 구분 등 문제와 더불어 아편전쟁 이전과 이후로 시대를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나타나는 전통적 어문 연구와 그 특징, 어법학 건립 이후의 발달사 등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 방법을 검토한다. 아울러 같은 시기 외국에서의 언어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도 함께 비교 고찰하도록 한다.

    중국어학연습(Seminar on the Chinese Linguistics)이 과목은 학위 논문 연구를 목표로 한 학생들이 중국어학과 관련된 작은 테마를 주제로

    선정하여 이에 대한 자료 수집과 정리, 논리 전개 등의 과정을 반복 연습함으로써 문제 제기와 이를 해결하는 다양한 가능성을 토의하고, 주제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는 데 그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주어진 테마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연습이 전제되어야 하며 중국어학 제분야에 대한 이론적 바탕과 이해력이 요구된다.

    중국어학전제특강(Topics in Chinese Linguistics)이 과목은 중국어학의 제분야 가운데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특정한 테마를 골라 이를 소

    개하고 탐구하는 과목이다. 이를 통해 서양 이론의 도입 등 중국어학 연구의 새로운 경향과 사적 고찰을 바탕으로 그 분야의 전체적인 흐름을 조명하게 된다. 언어학이 선도적인 과학으로서 이의 발달에 따라 인류학, 사회, 심리, 수리, 병리, 신경, 계산기, 발전, 응용, 인지, 모호, 생태 등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언어학이 탄생하였는데, 이 과목은 바로 이러한 내용을 다루는 것이 그 주된 과제이다.

    중국현대문법연구(Studies of Modern Chinese Grammar)어법학은 언어의 어법 구조를 대상으로 각종 어법 단위의 기능 및 그 존재와 발전의 규율

    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현대 한어의 어법 연구는 사 ․ 사조 ․ 사류 ․ 문장 및 문장 성분 그리고 문장론 속에 나타난 문제점, 복문 ․ 어기 ․ 허사에서 자주 보는 어법상의 오류와 이를 검색하는 방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과목에서는 각각의 내용에 대한 연습을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함으로써 학위 논문 준비를 하는 학생들에게 테마를 선택하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현대문학연구(Studies of Modern Chinese Literature)중국 현대문학은 1919년 5 ․ 4운동 시기에 발단하여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기

    까지의 특정 역사 시기에 성장하고 발전한 문학 양식이다. 먼저 현대문학을 이해하기 위하여 당시 상황이나 배경을 검토하고, 각 문학 단체의 문학 이론이나 주장을 검토한 후 그것들이 작품 속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현대문학 30년의 시기를 각 10년씩 3차로 나누어 제1차 국내 혁명전쟁 시기의 문학, 제2차 국내 혁명전쟁 시기의 문학, 항일전쟁 시기의 문학 등으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 문학 운동과 문예 창작에 투영되어 있는 작가들의 사상을 연구한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17

    중국현대소설연구(Studies of Modern Chinese Novels)1918년 5월 발표된 노신의 는 중국 최초의 현대소설로서, 문학혁명의 소산

    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으로부터 시작된 중국 현대소설은 철저한 반봉건 정신을 담고 있고, 구소설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흔적이 역력히 엿보인다. 이 강좌에서는 1949년까지의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을 연구하여, 작가가 표출하고자 했던 주제를 분석하기로 한다. 아울러 국민정신을 개조하고자 시도했던 작가들이 각자 소속했던 문학사단의 대표 작가로 활약하면서 외래 문학 이론을 어떻게 작품 속에 수용하고 있는지를 연구하여 그 영향을 검토한다.

    중국희곡연구(Studies of Chinese Drama)중국 최초의 희곡은 춤과 노래의 혼합 형식으로 그 주역은 무당이고, 자연과 귀신에 대한

    경외와 신앙심을 나타내는 것이 그 주요 목적이었다. 이러한 신과 귀신에 대한 예배에서 희곡성 가무가 산생되었고, 이러한 의식이 바로 희곡의 기원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진정한 중국 희곡은 송대로부터 시작된다. 송대의 잡극과 금대의 원본이 원대 잡극의 기초가 되어 발전해 왔다. 이러한 발달 과정을 연구하고 상호 영향 관계를 검토하며, 특히 각 조대별 희곡의 형식과 체재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각각의 특징을 파악하도록 한다.

    초사연구(Studies of Chu-Ci)초사는 전국시대 남방의 신흥 문학으로서 남방 문학의 총집이다. 그래서 남방 운문의 대

    표 격으로 통칭된다. 초사 연구를 통하여 남북 대표 문학의 발생 연원을 검토하고, 아울러 문자 조직 면에서의 초사의 특징을 검토한다. 나아가 시경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낭만주의의 실현이 지역 ․ 종교 ․ 음악 등 각 방면에 걸친 근원을 검토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각 작가의 작품에 대하여 체제와 제재를 비교 검토하여, 초사의 진면목을 조감하고 후세 산문 문학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한부연구(Studies of Han Rhyme-prose)前 ․ 後漢의 대표적인 賦 작품들을 선별 분석함으로써 그 내용과 형식적인 특징들을 파악

    하고, 아울러 賦 형식의 半詩半文的인 독특한 속성과 그것이 후대 문학에 끼친 영향 관계 등도 함께 검토하기로 한다. 특히 抒情賦와 敍事 ․ 詠物賦 등으로 나누어 주요 작가들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漢賦 특유의 歌功頌德 및 鋪張敍述 등의 특징을 살펴보고, 아울러 각 작품의 성과와 전반적인 변천 양상 그리고 楚辭나 후대 賦 작품들과의 상관관계 등을 파악하도록 한다.

    훈고학연구(Studies of Chinese Exegetics)훈고학은 중국 고대 서면어의 音意 관계 및 문자사용 중의 字義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

    는 학문 분야이다. 훈고학은 고대 서면어의 詞意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선대 학자들의 注疏 경험을 총괄하고, 훈고의 법칙, 義例를 천명하며, 언어 문자의 의미의 연변을 탐구함과 동시에 훈고의 역사적 발전과 학술 계파 등을 연구하여 詞義의 연구와 이와 관련된 고문의 교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18 대학원 요람

    학, 고적 정리, 사서 편찬 등의 작업을 진행시키는데 커다란 도움을 준다는데 그 중요성이 있다.

    중국어어휘론연구(Study of Chinese Lexicology)본 강좌는 언어학의 주요 분과 가운데 하나인 어휘론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과목

    이다. 통사론 중심의 현대 중국어 단어의 구성과 단어의 의미 및 구문 의미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어휘 계통의 구성, 어휘의 형성 및 발전을 포함하는 어휘 체계를 연구한다. 또한 중국어 어휘 사전 등을 토대로 한 어원, 어휘의 의미, 사전학에 대한 고찰과 이를 통한 공시적 ․통시적 연구도 병행한다. 언어학 연구에서 점점 주목받고 있는 어휘론 분야를 주요 논문과 저서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연구할 것이다.

    한중어학비교연구(A Comparative Studies on Chinese and Korean Language)본 강좌는 중국과 한국의 두 언어를 비교언어학의 관점에서 상호 수용관계와 유사성 ․ 차

    이점을 다룬 논문들을 중심으로 종래의 연구결과를 비교 ․ 평가하고 새로운 결과를 도출해 낸다. 또한 중-한, 한-중 번역의 문제에 대하여 언어학적 상호 구성 특징을 비교하고 사회 ․문화언어학적 관점에서 두 언어 간의 의미론적 특징과 화용론적 특징을 비교하여 새로운 번역법 모색과 교수법 등을 심도 있게 연구할 것이다.

    3) 역사학전공과목고고학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s in Archaeology)인간이 남긴 유적 ․ 유물을 근거로 하여 고대문화를 복원해야 하는 만큼 그에 알맞은 나

    름의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인간의 제문화를 이해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도 병행되어야 한다. 고고학 자료를 정리 ․ 분석하여 학문적 입장을 세우기 위한 형식론 ․ 분포론 ․층위론 ․ 기능론 ․ 연대결정론 등의 여러 방법론을 검토한다. 나아가 최근에는 통계학의 방법을 이용한 다량분석 등도 중요한 테마로 되고 있다.

    고고학특수연습(Special Topics in Archaeology)도시의 발생, 농경의 시작과 사회변화, 고고학과 기술, 종교고고학, 한민족의 기원 등 고

    고학에서 다루어지는 주제는 다양하다. 이들 주제는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한 두 학기의 강의만으로 단숨에 극복되는 것은 아니다. 이 강좌에서는 이처럼 다양한 주제 가운데 몇 가지를 선정하여 그 주제와 관련되는 논문을 읽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하여 핵심적인 내용을 짚어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종국에는 고고학이 단순히 물질자료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이들 물질자료를 통하여 인간 사회의 다양한 모습이나 구조를 복원할 수 있는 기초가 되고자 한다.

    동아시아국제관계사연구(Studies in History of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동아시아 국가들은 전통적으로 어떤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을까. 이 강좌가 목표로 하는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19

    것은 바로 이와 같은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서다. 일반적으로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국제관계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조공관계라고 한다. 중국이 중심으로서 상위에 있고, 주변의 여러 국가가 위성처럼 주위에 포진하고 있으면서 중국을 상국으로 섬긴다는 의미일터이다. 그러나 중국의 역대 국가에서는 이런 의례를 왜 만들었으며, 주변국가에서는 아무런 대가없이 이런 의례를 수용하였을까. 당연히 문화적, 경제적, 군사적인 차원에서도 조공의 문제를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다른 한편 이런 문제도 제기할 수 있다. 정말로 전통시대에 동아시아 국가들은 상대방을 잘 이해하고 있었고, 제대로 교류가 이루어졌을까? 언어장벽은 없었을까? 제도적으로 교류를 뒷받침했을까? 등등... 오늘날의 동아시아는 비교적 소원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근대는 침략과 전쟁, 정치 군사적 간섭으로 얼룩져 있다. 이것의 연원을 역사를 통해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동양고고학연구(Studies in Archaeology of Asia)한반도 선사 ․ 고대 문화의 시작 단계는 거의 대부분 주변 지역의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시베리아나 Ordos, 중국, 일본 등의 주변지역 문화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로서, 이들 지역에 대한 이해 없이 한반도의 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강좌는 한반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주변 여러 지역의 문화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상호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부적으로는 시베리아고고학, 중국고고학, 일본고고학, 동남아시아고고학 등 지역적으로 나누어서 한반도의 당시 정황과 상호 비교하면서 검토하는 것으로 한다.

    동양사회경제사특강(Topics i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Asia)유럽의 계몽주의 시대 이래로 동양사회란 낙후되고 정체된 사회로 인식되어 왔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동양사회의 자체적인 발전과정을 유럽사의 경험에 비추어 검토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동양사회의 발전과정을 독자적인 이론들로 설명할 수는 없을까. 이 강좌에서는 이를 목표로 한다. 먼저 삶의 기초가 되었던 토지와 농경방식의 전개과정을 검토할 것이다. 이와 짝하여 발전한 가족과 종족, 그리고 이것이 핵심이 되었던 촌락사회와 그 내부의 계층관계도 더듬어 본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우리는 동양의 큰 세계인 중국사회의 발전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사회경제문제는 권력구조와 떼어 놓고 얘기할 수 없다. 따라서 권력과 지방사회의 문제도 검토대상이 된다. 그리고 최종적인 결과로서 오늘날의 중국사회를 분석해 본다. 포괄적인 강좌이기 때문에 전시대를 검토할 수도 있고, 특정한 시대의 특정 주제를 검토할 수도 있다. 진행방식은 강의와 기존 연구 성과의 독해이다.

    문화연구특수연습(Special Topics in Cultural Studies)이 과목은 문화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실제로 다양한 인류 문화들 사이의

    상호작용과 갈등을 역사적으로 분석해보는 과목이다. 따라서 집단의 문화적 특성, 문화집단 사이의 상호작용, 개인과 집단의 문화적 관계 등과 관련된 역사학적 주제를 선택하여 일상생활과 관습, 정신적 태도, 미시적 권력관계 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주안을 둔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20 대학원 요람

    서양고대사세미나(Seminar in Ancient History of Europe)세미나를 통해서 서양 고대사의 특정한 주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목표를 둔다. 고

    대 지중해세계의 정치제도사, 생산관계, 국제관계, 오리엔트 문명, 원시기독교, 로마의 몰락, 비잔티움 문명 등 특수한 주제를 선별적으로 깊이 있게 다루는 동시에 그것의 고대 문명 전반에 대한 영향사적 관계를 재구성한다.

    서양근세사연구(Studies in Early Modern History of Europe)15~18세기 유럽사의 핵심 주제들을 개관하는 과목으로 이 시대에 대한 개괄적이고 총

    체적인 이해를 목표로 삼는다. 특히 이 시기 동안 국민국가, 자본주의시장, 과학기술 등 서구 근대성에 고유한 특징들이 중세적 과의 차별화를 통해서 형성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다양한 주제들을 관련짓고 체계적으로 소개함으로써 서양 근대의 형성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주안을 둔다.

    서양중세사연구(Studies in Medieval History of Europe)게르만족의 이동과 정착으로부터 14세기 위기에 이르기까지 중세사 전반에 관련된 핵

    심 주제들을 연구한다. 고게르만족의 관습들과 게르만-로마 사이의 접촉 및 충돌에 관해서도 연구한다. 유럽 중세에 특유한 정치경제적, 문화-심성적 이 형성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되, 될 수 있는 대로 다양한 주제들을 골고루 소개함으로써 서양중세사 전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주안을 둔다.

    서양지성사원전강독(Readings in Intellectual History of the West)서양의 지성사, 과학사 등의 연구에서 비중이 높은 사료나 고전을 정밀하게 읽고, 더 나

    아가서는 문헌학적 비판과 새로운 주석을 시도하기 위한 과목이다. 비교 연구와 영향사적 검토가 가능할 수 있도록 지적, 과학적 입장에서 대조적인 문헌들이 선택될 것이다.

    서양현대사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History of the West)양차 세계대전과 냉전부터 현재까지 유럽과 북아메리카 역사에 핵심 주제들을 개관하

    는 과목이다. 유럽의 퇴조와 미국의 부상, 동구권의 몰락, 세계 정치질서의 재편 등 정치 경제적 주제들로부터 최근의 포스트 모던적 문화운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들을 균형 있게 소개하는 동시에 동아시아와 한국의 세계사적 위상과 역할을 재검토할 수 있는 기회도 아울러 마련한다.

    실험고고학연구(Studies in Experimental Archaeology)고고학의 1차적인 자료가 되는 유물은 모두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속에는 당

    시의 기술수준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가 함축되어 있으므로 그것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작업이다. 당시의 상황을 그대로 재현한 상태에서 토기를 만들어보지 않고서는 토기 자체를 100% 이해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그 토기를 제작한 사람에 대해서는 더더욱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험고고학은 정보의 해독이라는 측면에서 반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21

    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모든 종류의 유물을 모두 직접 만들면서 관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강좌에서는 가능한 제작, 사용의 실험을 하는 동시에, 기 실험보고서를 통한 간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유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 발굴되는 대부분의 유물은 당시에 사용한 흔적들이 남기 마련이다. 따라서 직접 실험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와 유물의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제작이나 사용에 따르는 여러 가지 사실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함은 물론, 그 속에 숨겨져 보이지 않던 내용까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역사고고학특강(Topic in Archaeology of Historical Age)고구려의 고분과 벽화, 적석목곽분 논쟁, 삼한사회 등 역사시대의 여러 주제는 이미 역사

    기록을 통하여 어느 정도 방증되고 있다. 그러나 역사 기록과 고고학적인 사실은 엄연히 구별되는 것으로 이들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기도 하지만 때로는 서로 상충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역사고고학 연구에 있어서는 문헌자료를 어떤 시각에서 볼 것인가 하는 판단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선사고고학과는 다른 시각에서 역사고고학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문헌기록이 거의 전무하다시피 한 가야사를 오늘날의 수준으로 이끈 데에는 고고학의 공이 지대하다. 위서 동이전이나 삼국사기와 같은 문헌의 검토와 아울러, 고고학 자료를 동시에 검토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역사를 기술하고 이해하는 방향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것이 이 강좌의 목표이다.

    중국고대사특강(Topics in Ancient History of China)이 강좌는 중국 고대사 분야에서 학계의 쟁점이 되거나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는 많은 문

    제점들 중에서 몇 가지 특정 과제를 선정하여, 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수강자로 하여금 중국 고대사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관심과 이해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정치 제도사, 사회 경제사, 문화 사상사 상의 개별 문제뿐만 아니라 고대사에 대한 종합적 학설사적 검토, 노예제와 봉건제의 존재와 실상에 대한 시대 구분론상의 논쟁 문제, 세계 각 지역의 중국 고대사에 대한 연구 동향의 소개와 비판, 최근의 연구 성과에 대한 검토와 비평 등에 대해서도 취급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강좌에서는 수강자들에게 다양하고 폭 넓은 독서와 보고서 제출이 요구될 것이다. 강좌의 진행은 교수의 문제 제기와 수강자의 조사 보고, 토론, 분석, 검토, 평가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학제연구특수연습(Special Topics in Interdisciplinary Studies)이 과목은 역사학과 여타 과학 분과들 사이의 학제적 연구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

    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자연과학 및 인문사회과학의 분과적 특성들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역사 지식의 학제적 응용가능성을 모색하는 동시에 학제적 연구에 어울리는 역사학의 특수한 주제들을 개발하는 데 주안을 둔다.

    한국고고학(Korean Archaeology)이 강좌는 구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의 유적 ․ 유물을 통하여 그 문화적인 내용을 고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22 대학원 요람

    찰한다. 일제강점기에서부터 시작된 韓國考古學史를 개관하고, 시대구분문제를 검토하여 그 문제점을 알아본다. 그리고 각 시대별로 지금까지의 발굴조사결과를 토대로 당시의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나아가 정신적인 측면에 대해 검토한다. 우리 신석기 문화의 環北極圈(circum-Polar)문화와의 관계, 청동기문화의 전파, 낙랑을 비롯한 漢文物의 移入, 삼국과 중국 ․ 일본과의 대외교섭 등을 유물상을 통해 살펴보고, 그 자료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며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검토한다.

    한국고대사연구(Studies in Ancient History of Korea)이 강좌는 국가의 성립에서부터 통일신라와 발해의 멸망에 이르기까지의 정치, 경제 사

    회 및 문화의 제 양상을 지배세력의 변화와 관련하여 고찰해 본다. 한국고대사회의 성격, 고대국가성립 이전의 성읍국가와 연맹왕국단계의 정치사회적 성격, 고대국가의 정치 사회적 구조, 고대국가의 대외관계, 고대국가의 종교와 문화를 비롯하여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로의 발전과정, 전제왕권의 성립 및 호족의 시대 등 고대사 전반을 연구의 대상으로 강좌를 진행한다.

    한국고대사연습(Seminar in Ancient History of Korea)이 강좌는 한국고대사를 종합 정리하는 단계의 강좌로서 학생이 주체가 되어 발표하고

    문제점을 토론하는 발표토론식 강의이다. 한국고대사상 의미 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특히 한국 고대사의 쟁점과 관련된 논문과 논설을 통해 고조선의 강역과 고조선사회의 제문제, 임나일본부설의 허구, 신라의 삼국통일과 발해사를 보는 제시각, 고대사회의 시대구분 문제, 고대국가의 정치사회적 구조와 귀족국가로의 발전과정 등을 좀 더 심도 있게 연구해 본다. 학생 각자가 각기의 주제를 관계문헌을 통해 연구한 후 직접 발표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질의와 토론하는 형태로 강의를 진행한다.

    한국근세사연구(Studies in Early Modern History of Korea)이 강좌는 근대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의 근대변혁이념과 변혁운동, 제국주의의 실체와

    침략에 대한 민중의 항거, 일제식민지하에서의 각 부문의 민족운동 등 강의 주제를 주체적 ․민족적 입장의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전반적 개괄적으로 연구한다. 한국근대사는 아직도 올바르게 자리 매김하지 못한 채 왜곡과 편견의 그릇된 인식에 사로잡혀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근대사를 현재적 입장에서 올바르게 조명할 수 있는 역사인식을 함양하여 우리 근대사의 실체를 올바르게 이해 ․ 연구한다는 점에 강의의 초점을 두고 다양한 관계문헌을 동원하여 역사의 실체에 접근하고자 한다.

    한국근세사연습(Seminar in Early Modern History of Korea)이 강좌는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부터 문호개방 이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세계자

    본주의와 만나기 직전의 조선후기의 사회 ․ 경제적 구성체를 체계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토지제도의 문제를 비롯한 농업, 상업, 수공업, 광업, 신분제도, 직역관계 등의 여러 가지 주제를 그때그때의 필요에 따라 적의하게 선택하여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시키는데 특히 학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인 문 학 과 123

    생들의 발표를 원칙으로 한다.

    한국미술사(History of Korean Arts)이 강좌는 한국고대부터 근대미술에 이르기까지의 미술사를 개관하고 이어 주제별 선

    정에 의해 미술사학적 입장에서 조명한다. 환경의 조건에 따라 그 민족의 역사는 결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우리 민족사도 우리가 처한 현실에 적응한 결과이다. 이것들이 가시화되어 나타난 것이 바로 미술, 넓은 의미에서의 예술이다. 특히 고미술사는 선사 ․ 고대의 각종 미술 ․ 공예품을 통하여 우리 민족의 미적 감각을 알아보는 동시에 한국 고대미술이 가지는 가치를 바르게 인식함으로써 역사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한국사상사연구(Studies in History of Korean Thought)이 강좌는 불교와 더불어 전근대 한국사회의 대표적 사상중의 하나인 유교를 중심으로

    하여 그것의 수용 및 발전과정을 통하여 유학이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과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하여 주로 한국유학사상 최전성기를 이루었던 조선시대의 성리학을 바탕으로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를 비롯하여 불교 등 그 밖의 여러 사상과의 관계를 고찰한다.

    한국사회경제사연구(Studies i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Korea)사회경제사는 분류사적으로 정치사, 문화사, 사상사 등에 대칭되는 개념으로 여기에는

    사회사(신분제도사, 향촌사회사)와 경제사(토지제도사, 농업사, 상공업사)가 포괄된다. 이 강좌는 사회사는 논외로 하고 경제사에서의 토지제도사, 농업사를 중심으로 하여 이에서 파생되는 각종 제도를 논구함으로써 한국사에서의 사회경제구성체의 특질과 유기적 발전을 인식한다.

    한국정치제도사연구(Studies in History of Korean Political Institutions)이 강좌는 한국역사의 전 시기에 걸친 지배세력의 정치적 성격, 왕권과 신권의 조화와 견

    제, 관리임면제도의 변천, 중앙권력과 지방세력 간의 통합과 견제, 지배세력의 피지배세력에 대한 통치방법의 변화 및 지배이데올로기의 역사적 발전과정 등을 연구한다. 각 시대마다의 정치제도사적 쟁점과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고 특히 관계사료와 문헌을 직접 분석함을 통해 제도사적 입장과 사회경제적 입장의 차이를 아울러 이해하고 이를 통해 역사적 실체에 접근하고자 한다.

    한국중세사연구(Studies in Medieval History of Korea)한 시대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그 지배세력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 긴요하다. 고

    려의 지배세력이 문벌귀족이라는 학계의 정통적 인식은 왕족 중심의 통일신라, 양반 중심의 조선에 대해 고려사회의 특성을 규정한 것이 된다. 그러나 이 고려 귀족제 사회설에 대한 반론으로 고려 관료제 사회설이 제시됨으로써 고려지배의 실체에 대한 두 가지 견해가 대립되고 있다. 이 문제에 관련되는 논저들을 고찰 ․ 정리하여 강술하고 학생들의 견해도 발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24 대학원 요람

    표케 함으로써 고려사회의 성격 이해에 도달케 한다.

    한국중세사연습(Seminar in Medieval History of Korea)고려시대 개시의 역사적 의의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위해서는 고려 초기 지배세력에

    대한 이해가 긴요하다. 나말여초 호족세력의 형성과 그 성격, 후삼국정권과의 관계, 고려왕조 성립에 있어서의 호족의 역할, 호족연합정권의 실상, 및 향리제도의 성립 전개 등은 고려 초기 지배세력에 대한 이해에 긴밀하게 연관되는 문제들이다. 학생 스스로가 이들 문제에 대해 기본사료를 조사하고 학계의 상이한 견해를 검토하여 발표 토론케 함으로써 그 연구 능력을 배양한다.

    한국최근세사연구(Studies in Modern History of Korea)이 강좌는 근대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의 근대변혁이념과 변혁운동, 제국주의의 실체와

    침략에 대한 민중의 항거, 일제식민지하에서의 각 부문의 민족운동 등 강의 주제를 주체적 민족적 입장의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전반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