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 86 - 기능성 음성장애는 매우 다양한 질환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질환군이라 있다. ‘기능성’이라는 용어 자체가 ‘기질적’ 이란 용어와 상대적인 의미를 내포하는데 , 기질적 원인이 모두 배제 음성장애를 총괄한다고 있다. 1) 기질적 환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원인에 따라 다르다. 염증성 질환 이라면 그에 맞추어 약제를 사용하고 해부학적인 문제라면 수술적 치료법으로 접근 수도 있다. 그러나 기능성 음성장 애의 치료는 그리 간단하지가 않다. 왜냐하면 증상을 가지고 내원한 환자를 먼저 ‘기능성’ 음성장애로 진단하는 것이 선행 요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진단은 영상검사, 혈액검사, 시경 검사 , 각종 검사에서 나오는 양성 결과에 따라 진단하 것이 아니라 음성 결과에 따른 배제적 진단(exclusion di- agnosis) 방식을 택하기 때문이다. 가능한 모든 기질적 음성장애를 배제하여 기능성 음성장 애를 진단한 , 기능성 음성장애에 포함되어 있는 많은 환을 대상으로 한차례의 감별진단 단계를 거쳐 질환의 인을 ‘추측’한 후에야 이에 따른 치료를 시작할 있는 것이 . 의사가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 원인을 ‘추측’한다는 것이 무책임하게 보일 있다. 그러나 사실 실제 임상에서는 대부분의 초치료가 ‘추측’에 의해서 시작된다. 단지 이를 측이라고 표현하지 않고 impression ’이라고 순화하여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리고 추측의 다음 단계인 치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능성 음성장애라는 질환군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질환에 대하여 숙지하고 감별하는 것이 필요하 . 기능성 음성장애에는 가장 대표적인 근긴장성 발성장애 외에도 심인성 발성장애, 인위성 발성장애 등이 포함되며 질환에 따라 원인이 다르며 치료법도 차이가 있다. 2) 설에서는 각각의 질환의 지엽적인 치료법 보다는 기능성음성 장애의 전반적인 이해와 이에 따른 치료법의 특성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1. 병력청취 및 평가 음성장애의 원인이 ‘기능성’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하는 것이 기능성 음성 장애 치료의 고려사항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Abstract = Controversies in Management of Functional Dysphonia Han Su Kim, MD, Ph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Functional dysphonia (FD) is a voice disorder in the absence of structural or neurologic laryngeal pathology. FD is not a sin- gle disease but a disease entity. Therefore several voice disorders, which have completely different pathogenesis, are included in this category. The first step of treatment of FD is differentiating patient’s voice symptoms from other organic voice disor- ders and other functional voice problems. Several different treatment modalities are included in the managements of FD. Voice therapy is in charge of the main role in treatment of FD. Medical treatment is also necessary when patient has general problems which would affect voice production. Vocal folds mucosal lesions can cause FD even the lesion is minor. In this case proper sur- gical intervention helps to improve the symptom of FD. Psychiatric consult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patient has psy- chological problems. KEY WORDSFunctional dysphoniaVoice therapyManagementPsychogenic dysphonia.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25 2 2014 책임저자 :김한수, 158-710 서울 양천구 안양천로 1071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 (02) 2650-2686·전송: (02) 2648-5604 E-mail [email protected] online © ML Comm

기능성 음성 장애 치료의 고려사항 · 2016. 11. 8. · Laryngeal aerodynamic analysis in assisting with the diagnosis of muscle tension dysphonia. J Voice 2012;26(2):177-81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기능성 음성 장애 치료의 고려사항 · 2016. 11. 8. · Laryngeal aerodynamic analysis in assisting with the diagnosis of muscle tension dysphonia. J Voice 2012;26(2):177-81

- 86 -

서 론

기능성 음성장애는 매우 다양한 질환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질환군이라 할 수 있다. ‘기능성’이라는 용어 자체가 ‘기질적’

이란 용어와 상대적인 의미를 내포하는데 즉, 기질적 원인이

모두 배제 된 음성장애를 총괄한다고 할 수 있다.1) 기질적 질

환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그 원인에 따라 다르다. 염증성 질환

이라면 그에 맞추어 약제를 사용하고 해부학적인 문제라면

수술적 치료법으로 접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능성 음성장

애의 치료는 그리 간단하지가 않다. 왜냐하면 증상을 가지고

내원한 환자를 먼저 ‘기능성’ 음성장애로 진단하는 것이 선행

요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진단은 영상검사, 혈액검사, 내

시경 검사 등, 각종 검사에서 나오는 양성 결과에 따라 진단하

는 것이 아니라 음성 결과에 따른 배제적 진단(exclusion di-agnosis)의 방식을 택하기 때문이다.

즉 가능한 모든 기질적 음성장애를 배제하여 기능성 음성장

애를 진단한 후, 기능성 음성장애에 포함되어 있는 수 많은 질

환을 대상으로 또 한차례의 감별진단 단계를 거쳐 질환의 원

인을 ‘추측’한 후에야 이에 따른 치료를 시작할 수 있는 것이

다. 의사가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 원인을 ‘추측’한다는 것이

무책임하게 보일 수 도 있다. 그러나 사실 실제 임상에서는

대부분의 초치료가 ‘추측’에 의해서 시작된다. 단지 이를 추

측이라고 표현하지 않고 ‘impression’이라고 좀 순화하여 쓰

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리고 추측의 다음 단계인 치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능성 음성장애라는 질환군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질환에 대하여 숙지하고 감별하는 것이 필요하

다. 기능성 음성장애에는 가장 대표적인 근긴장성 발성장애

외에도 심인성 발성장애, 인위성 발성장애 등이 포함되며 각

질환에 따라 원인이 다르며 그 치료법도 차이가 있다.2) 본 종

설에서는 각각의 질환의 지엽적인 치료법 보다는 기능성음성

장애의 전반적인 이해와 이에 따른 치료법의 특성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본 론

1. 병력청취 및 평가

음성장애의 원인이 ‘기능성’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하는 것이

기능성 음성 장애 치료의 고려사항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비인후과학교실

김 한 수

= Abstract =

Controversies in Management of Functional Dysphonia

Han Su Kim, MD, PhD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Functional dysphonia (FD) is a voice disorder in the absence of structural or neurologic laryngeal pathology. FD is not a sin-gle disease but a disease entity. Therefore several voice disorders, which have completely different pathogenesis, are included in this category. The first step of treatment of FD is differentiating patient’s voice symptoms from other organic voice disor-ders and other functional voice problems. Several different treatment modalities are included in the managements of FD. Voice therapy is in charge of the main role in treatment of FD. Medical treatment is also necessary when patient has general problems which would affect voice production. Vocal folds mucosal lesions can cause FD even the lesion is minor. In this case proper sur-gical intervention helps to improve the symptom of FD. Psychiatric consult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patient has psy-chological problems.

KEY WORDS:Functional dysphoniaㆍVoice therapyㆍManagementㆍPsychogenic dysphonia.

종 설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제 25 권 제 2 호 2014

책임저자 :김한수, 158-710 서울 양천구 안양천로 1071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 :(02) 2650-2686 ·전송:(02) 2648-5604

E-mail :[email protected]

online © ML Comm

Page 2: 기능성 음성 장애 치료의 고려사항 · 2016. 11. 8. · Laryngeal aerodynamic analysis in assisting with the diagnosis of muscle tension dysphonia. J Voice 2012;26(2):177-81

김 한 수

- 87 -

치료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제대로 된 진단이 되어야만 치료

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병력청취 시에는 음성남용/과용

과 같은 음성장애 진단시 흔히 묻는 질문 외에도, 스트레스

또는 정신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는 없는지, 음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과적 질환의 유무 여부 및, 발성 시 목 부위에

특징적인 통증 발생 여부 등 기능성 음성장애를 유발 가능

한 다양한 원인을 고려 하면서 병력을 청취한다(Fig. 1). 또

한 병력청취 과정 중 자연스럽게 환자의 음성을 들어 보면서

연축성 음성장애 또는 근긴장성 음성장애 등의 특징적인 발

성 패턴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목 부위 촉진은 매우 중요한데

발성 시 후두부 주변을 촉진하면서 외후두근육의 과도한 긴

장 여부와 통증이 유발 부위의 유무를 확인한다. 근긴장성 발

성장애의 경우 촉진시 외후두근육의 과도한 긴장과 후두부

주변의 통증을 호소하여 감별진단에 도움이 된다.3) 이후 후

두스트로보스코피 검사를 통해 성문부의 기질적 질환의 유무

및 발성 시 성문상부를 포함한 후두부 전반의 이상운동 여부

를 확인하여야 한다.

호흡은 발성의 시작으로 일관적이고 지속 가능한 발성을 유

지하는데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호흡 이상으로 음성장애가

유발 될 수 있으므로 고령, 만성질환, 폐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

자의 경우 호흡기능 검사를 해 보는 것이 좋다.4) 근전도검사는

근긴장성 발성 장애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면 근전도검사(surface electromyography)를 이용하면 외

후두근육에 대하여 비침습적으로 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장

점이 있지만 특이도 및 민감도에는 저자마다 다른 보고를 하

고 있기 때문에 고려를 해야 한다.5,6) 이외에도 일반적인 음성

장애 때 시행하는 음향학적 검사, 공기역학적검사, 청지각적

검사 등을 시행하여 환자의 음성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해야

한다.

2. 음성치료

음성치료는 간접음성치료(indirect voice therapy)와 직접음

성치료(direct voice therapy)로 나뉜다.7) 간접음성치료의 초

점은 음성장애를 유발하는 요소의 제거로서 음성위생(vocal

hygiene) 향상과 관계된 프로그램으로 구성 되어 있다. ‘환자

교육’은 간접음성치료의 기본으로서 기능성 음성장애의 발병

이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심인성 요인이 주원인인 경우 일단 환자들이 이 것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잘 이해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전환장애

에 의한 음성장애의 경우 환자가 병식을 가지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그러나 꾀병 환자나 이차적 이득을 바

라고 있는 환자의 경우 무리하게 병식을 인식 시키려고 하면

치료를 중단하고 내원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

다. 이외에도 일반적인 음성위생과 관계되는 금연, 금주, 올바

른 목관리 방법에 대해서도 상담과 교육을 하여야 한다.8)

직접음성치료의 목적은 좀더 적극적으로 ‘좋은 목소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음성장애 환자의 치료

에 적용되는 모든 음성치료를 사용할 수 있다. 기능성 음성장

애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직접음성치료에는 호흡법교정, 후

두위치교정, 후두마사지, 하품호흡법(yawn-sigh method), 씹

기법(chewing technique)과 같은 치료법이 있다.9) 특정한 한

치료법을 고집하기 보다는 환자의 증상과 순응 정도에 따라

서 다양한 치료법을 적응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후두마

사지의 경우 근긴장성 음성장애의 진단에도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외래 치료실에서 손쉽게 환자에게 치료 효과를 보여

줄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순응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3. 내과적 치료

많은 전신 및 이비인후과적 질환에서 기능성 음성장애가 동

Fig. 1. The etiology and management of functional dysphonia.

Etiology

StructuralMinor mucosal lesions

StructuralSurgery

MedicalMedication

MedicalGeneral fatigue

post viral infection

NeurologicalCentral nervous system

peripheral nervous system

PsychologicalCounsel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NeurologicalRehabilitation

botulinum toxin

PsychologicalDepressionconversionpersonality

PersonalOccupation

misuse behaviorcompensation

PersonalVoice therapy

education

Managements

Page 3: 기능성 음성 장애 치료의 고려사항 · 2016. 11. 8. · Laryngeal aerodynamic analysis in assisting with the diagnosis of muscle tension dysphonia. J Voice 2012;26(2):177-81

기능성 음성 장애의 치료

- 88 -

반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신 허약, 폐렴, 폐절제후 상태 등 폐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 호흡기능의 문제 때문에 기능성 음성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적절한 내과적 치료와 함께

호흡 훈련을 동반하면 기능성 음성장애의 증상이 호전 될 수

있다. 또한 중추신경장애 환자의 경우에도 적절한 발성조절

이 여의치 않아 음성장애가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전

신적인 상태를 확인하여 음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찾

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0)

이비인후과적 질환 중 음성장애를 유발하는 대표적 질환

으로는 상기도감염, 인후두역류증, 만성비염, 부비동염, 알러

지비염 등이 있다.1) 이 질환들은 후두내시경 검사에서는 정상

으로 보이지만 후두부위의 염증을 일으켜 후두점막의 미세

한 구조 변화를 초래하여 음성장애를 유발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질환이 동반되어 있다면 해당증상에 대한 적극적인 약

물 치료를 병행하여야 한다.

기능성 음성장애에 대한 직접적인 약물치료를 고려할 수도

있다. 근긴장성 음성장애에 동반되는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

여 간단한 진통제 투여부터 리도케인을 이용한 탈감작치료,

긴장 근육에 직접적인 보툴리늄독소 주사를 시행할 수도 있

다. 또한 심인성 요인이 증상 발현에 주요한 원인이라면 이에

대한 정신과 협진과 약물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4. 수술적 치료

기능성 음성장애의 정의에 따르면 성대결절, 성대구증 등 후

두부, 특히 성문부에 기질적 질환이 있는 경우 진단을 내릴 수

는 없다. 그러나 많은 경우 기질적 질환과 기능적 음성장애가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기능성 음성장애로 인해 기질적

질환이 속발했는지 아니면 반대의 경우 인지는 진단 시점에서

판단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기질적 질환에 의해 기능성 음성

장애가 속발한 경우라면 기질적인 요인을 제거해 주는 것이

치료의 시작이 된다. 예를 들어 성대결절, 성대구증, 노인성 성

대, 혹은 성대부전 등 성문폐쇄에 영향을 주는 기질적 요인

이 있는 경우 보상작용으로 과도하게 성문상부 및 후두외근

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다 보면 근긴장성 음성장애와 같은 기

능성 음성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성문폐쇄에 영향

을 주는 기질적 요인들은 적절한 외과적 시술을 통해 치료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기능성 음성장애의 잘못된 발성 습관

에 의해 발생한 기질적 질환의 수술적 치료는 숙고하여야 한

다. 왜냐하면 수술치료 후에도 발성 습관의 교정이 되지 않으

면 재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질적’ 또는 ‘기능성’ 요

인 중 어는 것이 선행되었고 더 중요하게 음성장애에 영향을 미

치는 지를 파악하고 그 것에 따라서 치료의 순서와 방법을 결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기질적 질환의 위치, 크기,

성문폐쇄부전 정도에 비해 음성장애의 정도가 심하고 기능

성 음성장애의 특정적인 발성패턴들이 보인다면 두 질환이 동

반된 것으로 판단하고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5. 심리상담

기능성 음성장애 환자의 많은 경우에서 정신적, 심리적 요인

이 중요한 발병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11) 여러 연구에 의하면

불안(anxiety), 우울(depression)과 같은 감정 상태는 기능성

음성장애와 깊은 연관성이 있다. 또한 기능성 음성장애 환자

들은 ‘만성피로’를 호소하는 경우가 높은데 피로에 의해서 음

성장애가 유발되는 것인지, 음성장애가 피로를 유발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꽤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성격적인

측면을 보면 완벽주의적인 성격이 강할수록 기능성 음성장애

의 발병 가능성이 높고 음성 사용 중 피로를 호소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감정, 성격적 문제 외에도

정신과적 질환의 양상으로 음성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전환장애가 대표적으로 전혀 발성이 되지 않는 무음증(apho-nia)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무음증 환자의 후두스트로보스

코피를 보면 발성 시 양측 성대의 접촉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다. 반면에 기침을 하라고 유도하면 성대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서 목소리가 만들어 지는 것으로 감별 진단을 할 수 있다. 심리

적 원인과 기능성 음성장애의 발병과의 상관 관계는 아직 추

가적 연구가 더 이루어 져야 할 부분이지만 적절한 심리상담과

그에 따른 치료가 증상 호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기

능성 음성장애 환자의 치료 시 심리적 요소에 대한 고려를 항

상 해야 할 것이다.13)

결 론

기능성 음성 장애는 다양한 질환이 포함되어 있는 일종의 질

환군이다. 따라서 기능성 음성장애의 치료는 각 질환의 특징

을 잘 숙지하고 감별 진단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치료에

는 음성치료, 내과적 약물치료, 수술적치료, 심리상담 등이 있

으며 환자의 기질적 질환 유무와 증상 정도에 따라서 다양한

치료를 함께 적용하여야 한다.

중심 단어 : 기능성 음성장애ㆍ치료ㆍ음성검사ㆍ심인성 발성장애.

REFERENCES1) Roy N. Functional dysphonia.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3;11(3):144-8. 2) Van Houtte E, Van Lierde K, D’Haeseleer E, Claeys S. The preva-

lence of laryngeal pathology in a treatment-seeking population with dysphonia. Laryngoscope 2010;120(2):306-12.

3) Van Houtte E, Van Lierde K, Claeys S.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muscle tension dysphonia: a review of the current knowledge.

Page 4: 기능성 음성 장애 치료의 고려사항 · 2016. 11. 8. · Laryngeal aerodynamic analysis in assisting with the diagnosis of muscle tension dysphonia. J Voice 2012;26(2):177-81

김 한 수

- 89 -

J Voice 2011;25(2):202-7.4) Zheng YQ, Zhang BR, Su WY, Gong J, Yuan MQ, Ding YL, et al.

Laryngeal aerodynamic analysis in assisting with the diagnosis of muscle tension dysphonia. J Voice 2012;26(2):177-81.

5) Khoddami SM, Nakhostin Ansari N, Izadi F, Talebian Moghadam S. The assessment methods of laryngeal muscle activity in muscle tension dysphonia: a review. ScientificWorldJournal 2013;2013:507397.

6) Van Houtte E, Claeys S, D’haeseleer E, Wuyts F, Van Lierde K. An examination of surface EMG for the assessment of muscle tension dysphonia. J Voice 2013;27(2):177-86.

7) Ruotsalainen J, Sellman J, Lehto L, Verbeek J. Systematic review of the treatment of functional dysphonia and prevention of voice dis-order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8;138(5):557-65.

8) Ruotsalainen JH, Sellman J, Lehto L, Jauhiainen M, Verbeek JH. In-terventions for treating functional dysphonia in adul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18:(3):CD006373.

9) Bos-Clark M, Carding P. Effectiveness of voice therapy in function-al dysphonia: where are we now?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1;19(3):160-4.

10) Pedersen M, Beranova A, Møller S. Dysphonia: medical treatment and a medical voice hygiene advice approach. A prospective ran-domised pilot study.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4;261(6):312-5.

11) Deary V, Miller T. Reconsidering the role of psychosocial factors in functional dysphonia.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1; 19(3):150-4.

12) O’Hara J, Miller T, Carding P, Wilson J, Deary V.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perfectionism, and functional dysphonia.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1;144(6):921-6.

13) Miller T, Deary V, Patterson J. 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in voice disorders: a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model.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4;22(3):201-5.